맨위로가기

꽃사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사슴은 동아시아의 온대 및 아열대 삼림에 서식하는 중형 초식동물이다. 털에 얼룩무늬가 있고, 수컷은 뿔을 가지고 있으며, 아종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다르다. 주로 잎, 풀, 이끼 등을 먹으며, 번식기는 가을이다. 신성시되기도 하며, 식용 및 약재로도 이용된다. 현재는 개체 수 감소와 유전자 오염, 농작물 피해 등으로 인해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슴속 - 토롤드사슴
    토롤드사슴은 흰입술사슴이라고도 불리며 티베트 고원 등 고지대에 서식하는 대형 사슴으로, 회색-갈색 털, 흰색 주둥이, 수컷의 큰 뿔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사슴속 - 에조사슴
    에조사슴은 홋카이도에 분포하는 일본사슴의 아종으로, 계절에 따라 털색이 변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개체 수 변화에 따라 농림업 피해, 교통사고 등의 문제를 일으키며, 사냥, 울타리 설치 등의 대책이 시행되고 식용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대만의 포유류 - 타이완구름표범
    타이완구름표범은 대만에 서식했던 구름표범으로, 연한 황갈색 털에 구름 모양의 큰 무늬와 작은 반점이 있고 짧은 꼬리를 가졌으나, 현재는 별개 아종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1989년 이후 발견 기록이 없어 절멸된 것으로 간주되지만, 대만 원주민 문화에서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진다.
  • 대만의 포유류 - 인도사향고양이
    인도사향고양이는 인도, 스리랑카,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등에 서식하며 회색빛 갈색 털과 검은색 줄무늬를 가진 야행성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보호 노력이 필요하며 마다가스카르와 잔지바르 제도에는 유입되어 야생화되었다.
  • 일본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일본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꽃사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컷 (숫사슴)
수컷 (숫사슴)
암컷 (암사슴)
암컷 (암사슴)
학명Cervus nippon Temminck, 1838
이명Cervus sika Temminck, 1844
Sika aplodontus Heude, 1884
Sika yesoensis Heude, 1884
Cervus centralis Kishida, 1936
Cervus pulchellus Imaizumi, 1970
한국어 이름꽃사슴
영어 이름Sika
Sika deer
Japanese Sika deer
Japanese deer
일본어 이름鹿 (시카)
日本鹿 (니혼지카)
보전 상태최소 관심
IUCNhttps://www.iucnredlist.org/species/41788/22155877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류
우제목/경우제목
사슴과
아과사슴아과
사슴족
사슴속
아종
분포
꽃사슴 분포도
분포도

2. 특징

꽃사슴은 평지부터 해발 2,500m 높이의 산림에 서식하며, 먹이를 찾을 때 외에는 숲을 떠나지 않는다. 수컷끼리, 암컷끼리, 또는 혼합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주식은 나뭇잎, 풀, 이끼 등이며, 먹이가 부족하면 나무껍질도 먹는다. 메밀, 조, 밤, 도토리 등도 먹이로 삼는다. 소보다는 거친 먹이에 잘 적응하지만, 염소나 양보다는 덜하다.

꽃사슴의 번식기는 9~11월이며, 임신 기간은 약 227~249일이다. 5~6월경 한 배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보통 잡초가 무성한 덤불 속에 낳으며, 3~4일 동안 그곳에 머무른다. 어미는 1~2일간 새끼 곁을 지키다가 밖으로 나가 먹이를 먹으면서 젖을 먹인다.

꽃사슴은 성체가 되어도 얼룩무늬가 사라지지 않는 몇 안 되는 사슴 중 하나이다. 이 얼룩무늬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본토 아종은 크고 뚜렷한 반점을 가지는 반면, 대만 및 일본 아종은 반점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털 색깔은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하며, 흰색 개체도 존재한다. 겨울에는 털이 더 어둡고 덥수룩해지며 반점이 덜 뚜렷해지고, 수컷은 목 뒤에 갈기가 생긴다.[9]

꽃사슴은 중형 초식동물이지만, 아종에 따라 크기 차이가 크고 성적 이형성(암수 간의 크기 차이)이 뚜렷하여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어깨 높이는 50cm에서 110cm, 머리와 몸통 길이는 95cm에서 180cm 정도이며, 꼬리 길이는 약 7.5cm에서 13cm이다.

아종별 크기 비교는 다음과 같다.

아종수컷 무게암컷 무게
만주꽃사슴 (C. n. mantchuricus)68kg에서 109kg (큰 수컷은 160kg까지)[10], 예조꽃사슴 수컷의 경우 170kg 또는 200kg까지 나간다는 기록도 있다.[11]45kg에서 50kg
일본꽃사슴 (C. n. nippon)40kg에서 70kg[12][13]30kg에서 40kg



꽃사슴은 몸집이 빽빽하고 다리가 가늘며, 머리는 짧고 다듬어진 쐐기 모양이다. 성격은 활발하며, 놀랐을 때는 미국 와피티사슴처럼 엉덩이를 치켜드는 특징적인 행동을 보인다.

수컷은 굵고 곧게 선 뿔을 가지고 있으며, 눈 위 돌기에서 추가적인 지지대가 위로 뻗어 있고 뿔 벽이 매우 두껍다. 앞쪽을 향한 중간 돌기가 꼭대기로 이어지는 선을 끊고, 꼭대기는 보통 두 갈래로 갈라진다. 때때로 꽃사슴 뿔에는 약간 편평한 부분이 발달하기도 한다. 암컷은 이마에 독특한 검은색 혹 두 개가 있다. 뿔 길이는 아종에 따라 28cm에서 45cm에서 80cm 이상까지 다양하다. 수컷은 번식기(번식기)에 독특한 갈기를 가진다.

꽃사슴은 종아리샘과 눈앞샘이 잘 발달되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종아리샘에는 35가지 화합물(장쇄 카르복실산, 직쇄 알데히드, 장쇄 알코올, 케톤, 콜레스테롤)이, 눈앞샘에는 C14~C18 직쇄 및 가지쇄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다.[14][15]

3. 아종

꽃사슴은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는데, 특히 중국에서는 유전자 오염이 심각하여 아종의 지위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1]

꽃사슴의 아종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Cervus nippon nippon'' - 일본 시코쿠, 규슈
  • ''Cervus nippon centralis'' - 일본 혼슈, ''Cervus nippon aplodontus''와 동종이명.
  • ''Cervus nippon mantchuricus'' - 한반도, 러시아 우수리 지방, 중국 북동부, ''Cervus nippon hortulorum''와 동종이명.
  • ''Cervus nippon pseudaxis'' - 베트남 북부
  • ''Cervus nippon pulchellus'' - 대마도
  • ''Cervus nippon sichuanicus'' - 중국 서부 쓰촨성, ''Cervus nippon kopschi'' 와 동종이명.
  • ''Cervus nippon taiouanus'' - 대만
  • ''Cervus nippon keramae'' - 오키나와 게라마 제도.
  • ''Cervus nippon yakushimae'' - 야쿠섬
  • ''Cervus nippon yesoensis'' - 홋카이도
  • ''Cervus nippon grassianus'' - 중국 산시성, 현재 멸종.
  • ''Cervus nippon mandarinus'' - 중국 동부와 동북부, 현재 멸종.
  • ''Cervus nippon soloensis'' - 필리핀 남부 (고대에 도입되었는데 아종의 출신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멸종으로 추정)


쓰시마에 서식하는 꽃사슴은 과거 별도의 아종(''C.n.pulchellus''[60]) 또는 독립종(''Cervus pulchellus''[61])으로 취급되기도 했으나, 유전자 분석 결과 야마구치현이나 오이타현 등의 개체와 매우 가까운 것으로 밝혀져[46][49] 최근에는 아종으로 분류하지 않는다.[62]

3. 1. 주요 아종

꽃사슴의 아종은 여러 개체군에서 심각한 유전자 오염이 발생하여, 일부 아종은 그 상태가 정확하지 않다.

  • ''Cervus nippon nippon'' - 일본 시코쿠, 규슈
  • ''Cervus nippon centralis'' - 일본 혼슈, ''Cervus nippon aplodontus''와 동종이명.
  • ''Cervus nippon mantchuricus'' - 한반도, 러시아 우수리 지방, 중국 북동부, ''Cervus nippon hortulorum''와 동종이명.
  • ''Cervus nippon pseudaxis'' - 베트남 북부
  • ''Cervus nippon pulchellus'' - 대마도
  • ''Cervus nippon sichuanicus'' - 중국 서부 쓰촨성, ''Cervus nippon kopschi'' 와 동종이명.
  • ''Cervus nippon taiouanus'' - 대만
  • ''Cervus nippon keramae'' - 오키나와 게라마 제도. 다만, 원래 게라마 제도에 서식하던 것이 아닌 인위적인 유입으로 생겨난 종으로도 알려져 있다. 크기의 차이는 단순히 섬에 적응하면서 작아진 것이며, 유전학적으로는 일본 규슈에 서식하는 ''Cervus nippon nippon''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한다.[105]
  • ''Cervus nippon yakushimae'' - 야쿠섬
  • ''Cervus nippon yesoensis'' - 홋카이도
  • ''Cervus nippon grassianus'' - 중국 산시성, 현재 멸종.
  • ''Cervus nippon mandarinus'' - 중국 동부와 동북부, 현재 멸종.
  • ''Cervus nippon soloensis'' - 필리핀 남부 (고대에 도입되었는데 아종의 출신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멸종으로 추정)

3. 2. 한반도의 꽃사슴

과거 한반도에는 대륙사슴(''Cervus nippon hortulorum'')과 우수리사슴(''Cervus nippon mantchuricus'')의 2 아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Cervus nippon mantchuricus''를 기준으로 ''Cervus nippon hortulorum''은 동종이명으로 간주된다.[105] 일제강점기의 해수구제 사업으로 인해 남한에서는 1940년대에 야생 개체가 절멸했다. 북한에서는 보호동물로 지정되어 백두산에서 소수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사육 목적으로 해외에서 도입된 꽃사슴 중 일부가 방목되었다. 그러나 한반도에 서식하던 대륙사슴과는 다른 아종이므로, 외래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3. 3. 일본 열도의 꽃사슴

일본 열도에 서식하는 일본사슴(ニホンジカ|니혼지카일본어)은 형태와 분포에 따라 에조사슴, 혼슈사슴, 큐슈사슴, 마게사슴, 야쿠사슴, 케라마사슴의 6아종으로 분류된다.[47]

최근 분자 계통 분석에 따르면, 일본 열도의 일본사슴은 크게 북일본 그룹(홋카이도, 혼슈 동부, 시코쿠 동부)과 남일본 그룹(혼슈 서부, 시코쿠 서부, 큐슈 및 주변 도서)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43][45][48][49]

아종학명분포 지역비고
에조사슴C.n.yesoensis홋카이도
혼슈사슴C.n.centralis혼슈 및 주변 섬나라현 나라시 일대 서식 개체군은 국가 천연기념물 (나라의 사슴)[51]
큐슈사슴C.n.nippon시코쿠, 큐슈, 고토 열도기준 아종
마게사슴C.n.mageshimae가고시마현 타네가시마, 마게시마마게시마는 타네가시마 앞바다의 작은 섬으로, 2023년부터 섬 전체의 대규모 개발이 진행 중[52][53][54][55]
야쿠사슴C.n.yakushimae가고시마현 야쿠시마, 쿠치노에라부지마수컷 뿔은 보통 3개
케라마사슴C.n.keramae오키나와현 케라마 제도야카비지마와 케루마지마는 국가 천연기념물 (케라마사슴 및 그 서식지)[58]



에조사슴 수컷


에조사슴(홋카이도 아칸호 부근)


큐슈사슴 어미와 새끼(가고시마현)


쓰시마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과거 쓰시마사슴이라는 아종 또는 별도의 종으로 취급되기도 했으나, 유전자 분석 결과 야마구치현이나 오이타현 등의 개체와 매우 가까운 것으로 밝혀져[46][49] 최근에는 아종으로 취급하지 않는다.[62]

4. 형태

꽃사슴의 몸길이는 수컷 90~190cm, 암컷 90~150cm이다.[40] 어깨높이는 수컷 70~130cm, 암컷 60~110cm이며,[40] 몸무게는 수컷 50~200kg,[66][67] 암컷 25~80kg이다.[40] 머리와 몸통 길이는 110~170cm, 꼬리 길이는 8~20cm이다. 일본산 동물 중에서는 베르크만의 법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북부 개체군은 크고 남부 개체군은 작은 경향이 있다. 엉덩이에는 흰색 무늬가 있으며, 검은색 테두리가 있다.[40] 몸통은 갈색이지만, 엉덩이 털은 흰색 바탕에 검은 테두리가 있다. 여름에는 몸통에 흰 점이 나타나지만 겨울에는 거의 사라진다. 수컷은 가지가 갈라진 뿔(지각)을 가지고 있으며, 봄이 되면 뿔이 떨어지고 새로운 뿔이 돋아난다.

5. 생태

꽃사슴은 반추동물이며, 주로 일출과 일몰 전후에 활동하는 박명박모성 동물이다. 하지만 사람들의 방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야행성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일본과 같은 산악 지역에서는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이동하는데, 겨울에는 여름 서식지보다 최대 700m 낮은 곳에서 지낸다.[16]

식성은 식물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주로 나뭇잎, 풀, 이끼 등을 먹지만, 먹이가 부족하면 나무껍질을 먹기도 하고, 메밀, 조, 밤, 도토리 등도 먹는다. 소보다는 거친 먹이에 잘 견디지만, 염소나 양보다는 못하다.

꽃사슴은 암수가 나뉘어 무리 생활을 하는데, 암컷 무리는 어미와 새끼를 중심으로 한 모계 집단으로 구성된다.[16] 수컷은 생후 1~2년이 되면 독립하여 수컷끼리 무리를 짓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지낸다. 가을과 겨울에는 암수 여러 마리가 모여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번식기는 9월 초부터 11월까지가 절정이지만 겨울까지 이어지기도 한다.[17] 이 시기에는 수컷들이 뿔과 발굽을 사용하여 싸움을 벌여 서열을 결정한다.[16] 우위를 차지한 수컷은 암컷들의 행동권 안에 자신의 세력권을 형성한다. 세력권의 크기는 서식지 유형과 수컷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강한 수컷은 최대 2헥타르(약 20000m2)의 영역을 차지하기도 한다. 수컷은 앞발이나 뿔로 얕은 구덩이(최대 1.6m 너비, 0.3m 깊이)를 파고 그 안에 소변을 누르면서 강한 사향 냄새를 풍겨 자신의 영역을 표시한다.[16]

임신 기간은 약 7개월이며, 암컷은 5월 하순부터 7월 하순에 걸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4.5~7kg(10~15파운드) 정도이며, 어미는 최대 10개월 동안 젖을 먹여 키운다.[16] 어미는 출산 직후 새끼를 빽빽한 덤불 속에 숨겨두고, 새끼는 어미가 돌아올 때까지 조용히 기다린다. 새끼는 태어난 지 10~12개월 후에 독립하며,[17][16] 16~18개월이 되면 번식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성적으로 성숙한다. 꽃사슴은 울음소리가 많은 동물로, 부드러운 휘파람 소리부터 큰 비명 소리까지 10가지가 넘는 다양한 소리를 낸다.

꽃사슴의 평균 수명은 사육 상태에서 15~18년 정도이지만, 25년 5개월을 산 기록도 있다.[16]

꽃사슴은 붉은사슴과 교잡이 가능하며, 잡종은 순종보다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경우도 있다.[16]

6. 인간과의 관계

일본에서는 신도에서 꽃사슴(シカ)을 신과 인간 사이의 사자(使者)로 여긴다.[34] 나라시와 도다이지와 같은 많은 공원과 사찰에 서식하는 꽃사슴은 신의 사자로 여겨지기 때문에 특별하게 보호받는다.[18][19] 나라현에서는 꽃사슴을 "절하는 사슴"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사슴 과자"(鹿せんべい, 시카 센베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과자를 먹기 전에 머리를 조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슴이 머리를 조아리는 것은 머리로 들이받으려는 신호이기도 하다.

쓰키오카 요시토시(Tsukioka Yoshitoshi)의 우키요에(ukiyo-e), 미나모토노 쓰네모토(Minamoto no Tsunemoto)가 유미(yumi)로 시카 사슴을 사냥하는 모습 묘사


고대 일본에서 행해졌던 의 하나로 '''복점'''(ふとまに)이 있으며, 고사기일본서기에 그 기록이 있다. 이 점에서는 사슴의 뼈(卜骨 - 보콧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슴점'''(かぼく)이라고도 불린다.

꽃사슴은 원래 서식지와 도입된 많은 지역에서 귀하고 잡기 어려운 사냥감으로 여겨진다. 갓 돋아난 비로드 같은 피부로 덮인 뿔(녹용)은 한의학에서 인기 있는 재료로,[33] 약재로 이용되기도 한다.[35] 일본에서는 「의약품·의료기기 등의 품질, 유효성 및 안전성의 확보 등에 관한 법률」(医薬品、医療機器等の品質、有効性及び安全性の確保等に関する法律)에 따라 녹용(鹿茸)의 원료 동물로 시베리아 사슴(우스리 사슴)과 만주 사슴이 후생노동성이 정한 원료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91]

꽃사슴의 뿔과 털가죽은 활용 가치가 높다. 縄文인은 사슴뿔을 깎아서 낚싯바늘을 만들었다.

꽃사슴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며 식생을 파괴하는 해로운 동물로 간주되기도 한다.[92] 2022년 일본의 야생동물에 의한 농업 피해액은 1650억이다. 동물별로는 사슴이 650억으로 1위를 차지했다. 도도부현별 피해액은 홋카이도가 47.6억으로 가장 많았다. 작물별로는 사료용 작물이 24.8억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채소 10억, 벼 9.7억 순으로 피해가 발생했다.[94]

사슴은 산림·임업에 대한 피해가 큰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묘목을 먹거나 나무껍질을 벗겨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거나 나무를 고사시키는 것 외에도, 풀을 모두 먹어치움으로써 보수력과 토양의 결속력을 저하시켜 산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 2024년 7월 1일에 시가현 이부키산 산록에서 발생한 토석류 재해는 집중호우와 사슴의 식해로 인해 식생이 쇠퇴한 것이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95]

사슴이 사람을 공격하여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2024년 10월 9일, 교토부 후쿠치야마시에서 사슴의 뿔에 가슴을 찔려 사망한 남성이 발견되었다.[96]

민간 신앙으로 사슴 몸속에 들어있는 사슴의 위석(鹿玉)을 모으면 부자가 된다는 속설이나, 사슴 태아를 구워 먹으면 산후 회복이 빠르다는 속설이 있다.[93]

7. 보전

과거 일본에서는 187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남획으로 꽃사슴 개체 수가 급감하고 서식지가 줄어들었으나, 1947년부터 1994년까지 암컷 사냥을 엄격히 규제하는 보호 정책을 실시하여 개체 수와 서식 범위가 증가하였다.[97] 일본 국토에 대한 서식 범위 비율은 1945년에는 10% 미만이었으나, 2014년에는 50% 이상으로 추정된다.[97]

1993년에는 일본 내 꽃사슴 개체 수가 17만~33만 마리로 추산되었고,[20] 2015년에는 홋카이도를 포함하여 3080000마리로 추산되었다.[21] 주요 포식자인 일본늑대가 1세기 전에 멸종하면서[2] 꽃사슴 개체 수가 급증하여 숲과 농경지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일본 환경성과 농림수산성은 꽃사슴 급증으로 인한 생태계 및 농업 피해를 줄이기 위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개체 수를 반감시키는 10년 계획을 수립하고, 2014년부터 각 도도부현에 포획 지원 교부금을 지급하고 있다.[98] 2015년도 말 일본 본토(혼슈) 이남의 추정 개체 수는 약 304만 마리(90% 신뢰 구간 약 224만~456만 마리)이다.[92]

2022년 일본 야생동물 농업 피해액은 165억이며, 동물별로는 사슴이 65억으로 1위, 멧돼지가 36억으로 2위였다. 도도부현별 피해액은 홋카이도가 47.6억으로 가장 많았고, 이와테현(2.7억), 나가노현과 효고현(각각 1.2억) 순이었다.[94]

2022년 일본 야생동물 농업 피해 현황[94]
구분피해액 (엔)비고
전체165억
동물별사슴 (65억)1위
멧돼지 (36억)2위
도도부현별홋카이도 (47.6억)1위
이와테현 (2.7억)
나가노현, 효고현 (각 1.2억)



사슴은 산림·임업에도 큰 피해를 주는데, 묘목을 먹거나 나무껍질을 벗겨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고 나무를 고사시키며, 풀을 모두 먹어 보수력과 토양 결속력을 저하시켜 산사태를 유발하기도 한다. 2024년 7월 1일 시가현 이부키산 산록에서 발생한 토석류 재해는 집중호우와 사슴의 식생 훼손이 원인으로 여겨진다.[95] 또한, 사슴이 사람을 공격하여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96]

마게시카(馬毛島のニホンジカ)는 멸종 위기 지역 개체군으로,[100]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101] 2000년에는 571마리였고,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에는 255~277마리로 추정된다.[101]

참조

[1] IUCN Cervus nippon 2021-11-12
[2] 학술지 Adaptive management of sika deer populations in Hokkaido, Japan: theory and practice
[3] 학술지 Mitochondrial DNA phylogeography of red deer (Cervus elaphus) http://www.wzw.tum.d[...] Elsevier 2006-10-06
[4] 서적 Deer of the World: Their Evolution, Behavior, and Ecology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5] 웹사이트 Hybridisation between sika and red deer https://www.sbes.sti[...] University of Edinburgh 2022-12-05
[6] 학술지 Classification and phylogeny of sika deer ( Cervus nippon ) subspecies based on the mitochondrial control region DNA sequence using an extended sample set https://www.tandfonl[...] 2024-11-02
[7] 학술지 Fossil cervifauna of Syatin near Tainan, southwestern Taiwan (Formosa) https://scholar.goog[...] 2024-11-03
[8]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Cervus nippon soloensis https://www.itis.gov[...] 2016-02-14
[9] 웹사이트 Sika Deer https://bds.org.uk/i[...] British Deer Society 2024-11-03
[10] 서적 エゾシカは森の幸 人・森・シカの共生
[11] 서적 Sika Deer: Biology and Management of Native and Introduced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2] 웹사이트 Sika deer http://www.bds.org.u[...] 2018-11-09
[13]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 학술지 Volatile components in metatarsal glands of sika deer, Cervus nippon
[15] 학술지 Straight- and branched-chain fatty acids in the preorbital gland of sika deer, Cervus nippon
[16] 웹사이트 Cervus nippon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17] 뉴스 Sika deer (Cervus nippon) https://www.woodland[...] Woodland Trust 2020-12-15
[18] 잡지 The Wild Deer That Roam a Japanese City's Streets https://www.wired.co[...] 2020-11-06
[19] 학술지 A historic religious sanctuary may have preserved ancestral genetics of Japanese sika deer (Cervus nippon) https://doi.org/10.1[...] 2023-02-07
[20] 서적 Sika Deer: Life History Plasticity and Management https://link.springe[...] Springer Nature 2024-11-03
[21] 웹사이트 環境省_(お知らせ)改正鳥獣法に基づく指定管理鳥獣捕獲等事業の推進に向けたニホンジカ及びイノシシの生息状況等緊急調査事業の結果について http://www.env.go.jp[...] 2018-11-09
[22] 뉴스 국내 멸종 '대륙사슴'?…야생 꽃사슴 발견 https://news.kbs.co.[...] 2024-03-03
[23] 웹사이트 Sika Deer - North America Introduced - Big Game Hunting Records - Safari Club International Online Record Book http://www.scirecord[...] 2016-02-14
[24] 웹사이트 Exotic Sika Deer Captured on Trail Camera in New York https://www.wideopen[...] 2019-01-25
[25] 웹사이트 Exotic Deer of Spieden Island https://www.rochehar[...] 2020-11-12
[26] 서적 Sika Deer: Life History Plasticity and Management https://link.springe[...] Springer Nature 2022
[27] 서적 Sika Deer doi.org/10.1007/978-[...] Springer Japan 2024-11-03
[28] 뉴스 Cross-breeding 'threat' to deer http://news.bbc.co.u[...] BBC 2009-01-22
[29] 뉴스 Rats top invasive mammals table https://www.bbc.com/[...] 2018-11-09
[30] 웹사이트 Sika Deer https://newforestwil[...] 2024-11-03
[31] 뉴스 British Mammals: Sika Deer http://www.bbc.co.uk[...] BBC 2009-10-08
[32] 웹사이트 Sika Deer https://www.nonnativ[...]
[33] 학술지 Deer antler base as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chemistry and pharmacology 2013
[34] 뉴스 How to (safely) enjoy Japan’s famed deer park https://edition.cnn.[...] 2019-03-29
[35] IUCN Cervus nippon 2017-09-06
[36] 논문 Cervus nippon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37] 논문 Illustrated Checklist of the Mammals of the Worldにおける日本産哺乳類の種分類の検討 日本動物分類学会
[38] 서적 Cervus nippon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9] 서적 ニホンジカ 平凡社
[40] 서적 ニホンジカ 東海大学出版会
[41] 논문 ニホンジカにおける分類・分布・地理的変異の概要 日本哺乳類学会
[42] 논문 The Process of Population Expansion of Sika Deer https://link.springe[...] Springer Nature 2024-12-23
[43] 논문 Two Genetically Distinct Lineages of the Japanese Sika Deer Based on Mitochondrial Control Regions https://link.springe[...] Springer Japan 2024-12-23
[44] 논문 マゲシカCervus nippon mageshimaeの遺伝的独自性についての再検討 https://www.jstage.j[...]
[45] 논문 Two Genetically Distinct Lineages of the Sika Deer, Cervus nippon, in Japanese Islands: Comparison of Mitochondrial D-Loop Region Sequences https://linkinghub.e[...]
[46] 논문 Geographic Origin and Genetic Structure of Introduced Sika Deer, Kerama Deer ( Cervus nippon keramae ) on Ryukyu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s http://www.bioone.or[...]
[47] 논문 シリーズ 日本の哺乳類 種名検討編,日本産偶蹄類の学名·和名について https://www.jstage.j[...]
[48] 논문 Distribution of two distinct lineages of sika deer (Cervus nippon) on Shikoku Island revealed by mitochondrial DNA analysis http://www.bioone.or[...]
[49]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southern Japan lineages of the sika deer (Cervus nippon) in Shikoku and Kyushu Islands, Japan https://bioone.org/j[...]
[50] 웹사이트 全国のニホンジカ及びイノシシの個体数推定及び生息分布調査の結果について(令和2年度) https://www.env.go.j[...] 2024-12-28
[51]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https://kunishitei.b[...] 2024-12-28
[52] 뉴스 馬毛島の自衛隊基地着工 防衛省、アセス評価書公告 https://nordot.app/9[...] 2023-01-12
[53] 뉴스 馬毛島の自衛隊基地着工 防衛省、アセス評価書公告 https://kumanichi.co[...] 2023-01-12
[54] 웹사이트 馬毛島(まげしま)における施設整備について https://www.mod.go.j[...]
[55] 뉴스 絶滅危惧種マゲシカが「奈良公園なみ」大繁殖? 基地建設で緑減った馬毛島、防衛省の数値で試算すると… https://www.tokyo-np[...] 東京新聞こちら特報部 2024-05-19
[56] 논문 喜界島に定着した国内外来ニホンジカの起源推定 https://www.jstage.j[...]
[57] 간행물 資料2 ヤクシカの生息状況について https://www.rinya.ma[...] 屋久島世界遺産地域科学委員会ヤクシカ・ワーキンググループ第1回会合
[58]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https://kunishitei.b[...] 2024-12-28
[59] 논문 ケラマジカの由来に関する若干の考察
[60] 웹사이트 対馬の陸棲哺乳類 https://ndlsearch.nd[...] 2024-12-29
[61]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Cervus from the Tsushima Island, Japan, with a revision of subgenus Sika based on clinal analysis
[62] 논문 シリーズ 日本の哺乳類 種名検討編,日本産偶蹄類の学名·和名について https://www.jstage.j[...]
[63] 논문 Evidence of pre-introduction hybridization of Formosan sika deer (Cervus nippon taiouanus) on Okinoshima, Wakayama Prefecture, Japan,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sequences https://link.springe[...]
[64] 논문 Bi-Directional Movement of Deer between Tomogashima Islands and the Western Part of the Kii Peninsula,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Hybridization between the Japanese Sika Deer (Cervus nippon centralis) and the Introduced Exotic Deer https://bioone.org/j[...]
[65] 논문 Evaluation of introgressive hybridization among Cervidae in Japan's Kinki District via two novel genetic markers developed from public NGS data https://onlinelibrar[...]
[66] 서적 エゾシカは森の幸 人・森・シカの共生
[67] 서적 Sika Deer: Biology and Management of Native and Introduced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68] 논문 岩手県北上高地における自動撮影によるニホンジカ(Cervus nippon)の日周活動性の推定
[69] 논문 北海道東部におけるエゾシカの日周活動と時空間分布の季節変化
[70] 논문 カメラトラップを用いた北海道中央部の哺乳類相と日周性の解明
[71] 논문 ニホンジカの捕獲誘引地点への出没状況
[72] 논문 北海道西部におけるエゾシカの冬期の食性と積雪の影響
[73] 논문 スギ人工林が卓越する場所でのニホンジカの食性と林床植生への影響:鳥取県若桜町での事例
[74] 논문 過疎化した山村でのシカの食性-山梨県早川町の事例-
[75] 논문 日本におけるニホンジカの採食植物・不嗜好性植物リスト
[76] 박사학위논문 The effect of the creation of Lake Kariba upon the terrestrial ecology of the middle Zambezi valley University of Manchester
[77] 논문 A grazing ecosystem in the Serengeti
[78] 논문 シカの食性と採食行動
[79] 논문 ニホンジカに採食されていたハグロケバエの幼虫
[80] 논문 シカ肉の生食による肺吸虫感染の可能性
[81] 학위논문 ニホンジカと植生との相互関係に関する生態学的研究 https://tohoku.repo.[...] 東北大学
[82] 논문 A case of male infanticide in captive sika deer (''Cervus nippon'').
[83] 논문 Carcass provisioning for scavenger conservation in a temperate forest ecosystem
[84] 논문 Vertebrate scavenger guild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carrion in an East Asian temperate forest
[85] 웹사이트 長谷川善和氏(日本列島2000万年の進化史―とくに日本産哺乳類化石に関する研究) https://www.mammalog[...] 日本哺乳類学会
[86] 연구보조금 後期更新世大型シカ類の動物考古学的研究 https://kaken.nii.ac[...] 2018-04-01/2023-03-31
[87] 논문 冠状縫合を使った鮮新統-更新統産の三尖の角を持つシカ類の分類について https://doi.org/10.1[...]
[88] 논문 更新世末の大形獣の絶滅と人類 https://rekihaku.rep[...]
[89] 논문 貯蔵中に発生する鹿肉の不快臭と脂質酸化 https://doi.org/10.2[...]
[90] 웹사이트 ジビエ(野生鳥獣の肉)はよく加熱して食べましょう https://www.pref.fuk[...] 福岡県庁 2024-04-15
[91] 논문 ロクジョウ(鹿茸)原材料種および亜種の再検討
[92] 웹사이트 ニホンジカ等の生息や被害の現状 / 全国のニホンジカ及びイノシシの個体数推定等の結果について(平成27年度) / 全国のニホンジカ及びイノシシの個体数推定等の結果について(平成29年度) https://www.env.go.j[...] 環境省 2017-09-06
[93] 서적 民間信仰辞典 https://dl.ndl.go.jp[...] 東京堂出版
[94] 웹사이트 全国の野生鳥獣による農作物被害状況について(令和4年度)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農村振興局農村政策部鳥獣対策・農村環境課
[95] 뉴스 伊吹山の土石流災害、シカの食害原因か…山肌露出の「裸地化」進行で保水力低下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4-07-24
[96] 뉴스 京都 福知山 田んぼで68歳の男性死亡 シカに角で刺されたか https://www3.nhk.or.[...] NHK 2024-10-10
[97] 논문 シンポジウム:シカと森林の管理
[98] 웹사이트 全国のニホンジカ及びイノシシ https://www.env.go.j[...] 環境省
[99] 서적 季語辞典 東京堂出版
[100] 웹사이트 鹿児島県レッドリスト改訂の主なポイント https://www.pref.kag[...]
[101] 서적 馬毛島のニホンジカ ぎょうせい
[102] 문서 獅子とは別語
[103] 문서 カモシカは「あおじし」、ウシは「たじし」
[104] IUCN Cervus nippon
[105] 웹인용 ケラマジカ / 国立環境研究所 侵入生物DB https://www.nies.go.[...] 2023-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