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늑대는 회색늑대의 아종으로, 일본 열도에 서식했던 멸종된 개과 동물이다. 어원은 일본 민속에서 여행자를 보호하는 늑대를 지칭하는 데서 유래되었으며, '오오카미'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분류 및 기원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며, 홋카이도에 서식했던 에조늑대와는 다른 아종으로 구분된다. 일본에서는 오오카미와 야마이누라는 두 종류의 개과 동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으며, "일본늑대"라는 명칭은 메이지 시대에 나타났다. 일본늑대는 1905년 멸종되었으며, 멸종 이후에도 목격담이 존재한다. 멸종으로 인해 멧돼지, 사슴 등의 개체 수가 증가하여 생태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시베리아늑대 재도입 계획이 논의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멸종한 동물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일본의 멸종한 동물 - 후쿠이티탄
후쿠이티탄은 일본 후쿠이현에서 발견된 전기 백악기 시대의 거대 용각류 공룡으로, 2010년에 *Fukuititan nipponensis*라는 학명으로 명명되었으며, 후쿠이역 공룡 광장에는 실물 크기 복원 모형이 설치되어 있다. - 멸종한 식육목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멸종한 식육목 - 발리호랑이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에 서식했던 순다열도에서 가장 작은 호랑이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되었으며, 현재 표본이 보존되어 있고 발리 문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유전적 연구 결과 순다열도호랑이로 재분류되었다. - 일본의 고유종 포유류 - 일본산양
일본산양은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에 서식하는 소과에 속하는 반추동물이며, 숲의 살아있는 국보라고도 불리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수 감소에 대한 우려가 있다. - 일본의 고유종 포유류 - 날다람쥐
날다람쥐는 다람쥐과 포유류로, 앞뒷다리 사이의 비막을 이용하여 활공하며,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의 숲에 서식하고, 야행성 수목 생활을 하며, 다양한 수목의 잎, 씨앗, 열매 등을 섭취하고, 족제비, 담비, 맹금류 등이 천적이며, 일본 문화 속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나고, 현재는 조수보호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일본늑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nis lupus hodophilax |
명명자 | 콘라트 야코프 테민크, 1839년 |
다른 이름 | 야마이누 (일본어: 山犬) 니혼오오카미 (일본어: ニホンオオカミ) |
영어 이름 | Japanese wolf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개과 |
속 | 개속 |
종 | 늑대 (Canis lupus) |
아종 | 일본늑대 (Canis lupus hodophilax) |
멸종 정보 | |
상태 | 멸종 (EX) |
멸종 시기 | 1905년 |
기타 | |
이명 | Canis hodopylax (콘라트 야코프 테민크, 1844) Canis japonicus (알프레트 네링, 1885) |
2. 어원
C. hodopylax영어의 이명은 그리스어의 ''Hodos''(길)와 ''phylax''(수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일본 민속에서 여행자를 보호하는 늑대 또는 족제비를 묘사한 오쿠리이누를 가리킨다.[47]
일본 늑대를 가리키는 다른 별칭도 많이 있었는데,[7] 오오카미(늑대)라는 이름은 고대 일본어 öpö-kamï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신토에서 야생 동물이 산신 야마노카미와 연관되어 "위대한 영"을 의미하거나,[6] "큰 개",[7] "큰 물기"(ōkami 또는 ōkame),[8] "큰 입"을 의미한다. 오오쿠치노마카미(일본어)는 일본 늑대의 오래되고 신격화된 별칭이었으며, 숭배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여러 이론에 따르면 늑대의 입이 야마토 타케루를 인도하고 왕자에 의해 그렇게 불렸다는 몇몇 전설과 민속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거나, 아스카 지역의 ''Ōkuchi-no-Makami-no-Hara''에서 아스카노 키누누이노 코노하(일본어)가 살았고 많은 사람들이 그곳의 늙은 늑대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전해지는 "큰 입을 가진 진정한 신"을 의미했다.[9]
3. 분류 및 기원
일본늑대의 분류 및 기원에 대한 연구는 에도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혼슈에는 '오오카미'(늑대)와 '야마이누'(산 개, 야생 개로 추정)라는 두 종류의 개과 동물이 살고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 1803년 본초학자 오노 란잔은 '오오카미'는 식용 가능한 회갈색 동물, '야마이누'는 얼룩덜룩한 황색 털을 가진 동물로 묘사했다.[10]
데지마에서 활동한 독일 식물학자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는 오노 란잔의 저서를 연구, 1826년에 암컷 산 개와 늑대 한 마리를 구입하여 두 동물을 서로 다른 종으로 묘사하고 스케치를 남겼다. 그러나 코엔라드 야콥 템민크는 지볼트의 메모를 잘못 해석하여 둘을 동의어로 취급했다.[10] 지볼트가 소지했던 "야마이누"는 후년의 조사에서 개와의 교배 개체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70]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야마이누'(산개), '늑대'(랑)라고 불리는 개과의 야생 동물이 있다고 여겨졌으며, 에도 시대 무렵부터는 이 둘이 다른 것이라고 명시된 문헌도 나타났다. 야마이누는 작고 늑대는 크며, 늑대에게는 "물갈퀴"가 있어서 헤엄치고, 늑대는 신앙의 대상이었지만 야마이누는 그렇지 않았다는 등의 차이가 있었다.[79] 현재는 야마이누와 늑대를 동종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80] 현대에는 "야마이누"가 들개를 가리키는 호칭으로 사용되거나, 영어 wild dog|와일드 독영어의 번역어로 사용되기도 한다.[81]
일본 늑대의 골격 유해는 조몬 시대(기원전 10,000년~250년) 도리하마 조개 무덤과 같은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15][16] 일본 늑대는 다른 회색 늑대 개체군보다 작았으며, 두개골 길이는 193.1mm에서 235.9mm 사이였다. 2009년 연구에서는 두개골 전체 길이가 206.4mm에서 226.0mm 사이였으며, 형태학적 특징만으로는 대형 애완견과 구별하기 어렵다고 밝혔다.[16]
일본 늑대는 규슈, 시코쿠, 혼슈 섬에 서식했지만[16] 홋카이도 섬에는 서식하지 않았다.[16] 이는 조상이 한반도를 거쳐 아시아 대륙에서 일본으로 이주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계통수는 일본 늑대가 다른 회색 늑대 개체군과 분리된 긴 가지를 나타내며, 고대 mDNA 해플로그룹 2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늑대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25,000년에서 125,000년 전에 일본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20,000년 전 미만에 남부 섬에 도착했음을 나타냈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일부 키슈[16], 시베리안 허스키[16], 시바견[21]이 일본 늑대와 유전적으로 가깝거나 동일한 유형을 가지고 있어 과거의 교배 가능성을 보여준다. 2021년 유전체 연구에서 일본 늑대가 플라이스토세 시베리아 늑대에서 유래되었으며 살아있는 유라시아 늑대와 유전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27] 2022년 연구에서는 홀로세 일본 늑대가 시베리아 플라이스토세 늑대의 별도 이주와 시베리아 플라이스토세 늑대와 현대 늑대 조상이 혼합된 후기 이주의 혼합물(약 37,000~14,000년 전)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30] 2024년 연구에서는 일본 늑대가 북미 늑대보다 유라시아 늑대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다른 늑대보다 애완견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일본 늑대가 애완견의 직접적인 조상일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31]
애완견 및 야생견과의 혼합은 일본에서 흔했고, 분류 및 종 식별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이 메이지 시대에 시작되어 당국이 늑대와 개의 피해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원래 늑대를 구별하는 것은 이미 어려웠다.[32]
3. 1. 명명: "오오카미"와 "야마이누"
일본에서는 코엔라드 야콥 템민크가 분류하기 이전에 이미 혼슈에 ''오오카미''(늑대)와 ''야마이누''(산 개, 야생 개로 추정)라는 두 종류의 개과 동물이 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1803년, 본초학자 오노 란잔은 자신의 저서 ''본초강목계몽''에서 ''오오카미''는 식용이 가능하고 탐욕스러운 회갈색 동물이며, ''야마이누''는 얼룩덜룩한 황색 털을 가진 비슷한 동물로 묘사했다.[10]
데지마에서 활동하던 독일 식물학자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는 란잔의 저서를 연구했다. 그는 1826년에 암컷 산 개와 늑대 한 마리를 구입하여 두 동물을 서로 다른 종으로 묘사하고, 그 차이점을 보여주는 두 개의 스케치를 준비했다. 그러나 템민크는 늑대와 산 개를 구별하는 지볼트의 메모를 잘못 해석하여 둘을 동의어로 취급했다.[10]
지볼트가 소지하고 있던 "야마이누"는 후년의 조사에서 개와의 교배 개체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70]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야마이누'''(산개), '''늑대'''(랑)라고 불리는 개과의 야생 동물이 있다고 여겨져, 설화나 그림 등에 등장했다. 에도 시대 무렵부터는 이 둘이 다른 것이라고 명시된 문헌도 나타났다. 야마이누는 작고 늑대(오오카미)는 크며, 늑대에게는 "물갈퀴"가 있어서 헤엄치고, 늑대는 신앙의 대상이 되었지만 야마이누는 그렇지 않았다는 등의 차이가 있었다.[79]
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설이 있다.
현재는 야마이누와 늑대는 동종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80]
현대에는 "야마이누"가 들개를 가리키는 호칭으로 사용되거나, 영어 wild dog|와일드 독영어의 번역어로 사용되기도 한다.[81]
3. 2. 골격 및 유전적 발견
일본 늑대의 골격 유해는 조몬 시대(기원전 10,000년~250년) 도리하마 조개 무덤과 같은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15][16]
일본 늑대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늑대는 아니었지만, 다른 회색 늑대 개체군보다 작았다. 일본 늑대의 표본은 193.1mm에서 235.9mm 사이에서 측정되었다. 1991년의 한 검사에서 한 표본의 과두기저부 길이(두개골 길이 측정)는 205.2mm였다.[18] 2009년의 골학 연구에서는 일본 늑대의 두개골 전체 길이가 206.4mm에서 226.0mm 사이였으며, 형태학적 특징만으로는 아키타견과 같은 대형 애완견과 일본 늑대를 구별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다.[16]
일본 늑대는 규슈, 시코쿠, 혼슈 섬에 서식했지만[16] 홋카이도 섬에는 서식하지 않았다.[16] 이는 그 조상이 한반도를 거쳐 아시아 대륙에서 일본으로 이주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그 계통수는 일본 늑대가 다른 회색 늑대 개체군과 분리된 긴 가지를 나타내며, 고대 mDNA 해플로그룹 2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늑대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동안 25,000년에서 125,000년 전에 일본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대한 해협의 과거 해수면과 일본 늑대 서열의 시기를 함께 조사한 최근 연구에서는 20,000년 전 미만에 남부 섬에 도착했음을 나타냈다.
전 세계 1576마리의 개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 결과, 한 마리의 키슈[16]와 한 마리의 시베리안 허스키[16]가 일본 늑대와 동일한 유형을 가지고 있어 과거의 교배를 나타냈다.[16][22][23] 일본 늑대의 미토콘드리아 DNA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두 개의 별도 그룹으로 더 나눌 수 있으며, 한 마리의 키슈, 한 마리의 시베리안 허스키 및 한 마리의 시바견의 서열도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
2021년, 유전체 연구에서 일본 늑대가 플라이스토세 시베리아 늑대에서 유래되었으며 살아있는 유라시아 늑대와 유전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27] 2022년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35,000년 된 늑대의 게놈을 해독한 결과 홀로세 일본 늑대가 시베리아 플라이스토세 늑대의 별도 이주와 시베리아 플라이스토세 늑대와 현대 늑대 조상이 혼합된 후기 이주의 혼합물(약 37,000~14,000년 전)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30] 2024년 연구에서는 일본 늑대가 북미 늑대보다 유라시아 늑대와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하지만 유라시아 늑대에 속하지는 않음) 다른 늑대보다 애완견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일본 늑대가 애완견의 직접적인 조상일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31]
애완견 및 야생견과의 혼합은 일본에서 흔했고, 분류 및 종 식별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이 메이지 시대에 시작되어 당국이 늑대와 개의 피해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원래 늑대를 구별하는 것은 이미 어려웠다.[32]
4. 분포
일본늑대는 규슈, 시코쿠, 혼슈 섬에 서식했지만, 홋카이도 섬에는 서식하지 않았다.[16] 북극 시베리아 해안의 야나강에서 발견된 28,000년 된 늑대 표본의 잔해는 일본늑대의 mDNA 해플로타입과 일치하며, 이는 이들이 공통 조상[36]과 더 넓은 분포를 공유했음을 나타낸다.
5. 신체적 특징
일본늑대는 큐슈, 시코쿠, 혼슈 섬에 서식했지만, 홋카이도 섬에는 서식하지 않았다.[16] 척추동물아문포유강식육목개과개속에 속하며, 멸종된 종이다. 체장 95~114cm, 꼬리 길이 약 30cm, 어깨높이 약 55cm, 체중은 약 15kg으로 추정된다.
다른 지역의 늑대보다 작고, 중형 일본견 정도이지만, 중형 일본견보다 다리가 길고 다리 힘도 강했다고 한다. 꼬리는 등 쪽으로 굽어 있으며, 끝이 둥글다. 주둥이는 짧고, 일본견과 같은 단차가 없다. 귀가 짧은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여름과 겨울에 털색이 변화하여, 주변 환경에 녹아들었다.
19세기까지는 일본의 도호쿠 지방에서 규슈까지 널리 분포했다.
1905년 (메이지 38년) 1월 23일, 나라현 요시노군 오가와촌 와시야구치(현 히가시요시노촌 와시야구치)에서 포획된 어린 수컷이 확실한 마지막 생존 정보이다.[60][61][62]
메이지 시대 초기에 멸종했기 때문에, 두개골, 모피는 몇 점 존재하며 박제는 전 세계에 5점 밖에 없다. 이 중 일본 국내에 4점, 네덜란드에 1점이 확인되었다.
소장처 | 표본 정보 | 비고 |
---|---|---|
국립과학박물관 | 박제, 전신 골격 표본: 1870년경·후쿠시마현산 수컷·겨울 털 | |
도쿄 대학 농학부 | 박제: 1881년 이와테현산 암컷·겨울 털[111] | |
와카야마현립 자연박물관 | 박제: 1904년 와카야마·나라현 경계 오다이산 계산·겨울 털, 와카야마 대학에서 위탁 | 1981년에 두개골을 꺼내 조사한 결과 일본늑대로 판명[112] |
사이타마현 지치부시의 지치부미야 기념 미네산 박물관 | 모피 2점 | 2002년에 잇따라 발견·확인 |
구마모토 시립 구마모토 박물관 | 전신 골격 표본 | 구마모토현 야쓰시로군 교조산 동굴에서 1976년부터 1977년에 걸쳐 실시된 조사에서 발견.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살았던 것으로 밝혀짐. |
네덜란드 라이덴의 네덜란드 국립 자연사 박물관 | 박제: 1826년 오사카 텐노지에서 구입, 성체 | 지볼트가 일본에서 가져온 표본. 유전자 분석 결과, 어미는 일본늑대, 아비는 개의 잡종임이 밝혀짐.[114] |
영국 런던의 런던 자연사 박물관[115] | 모피, 두개골: 1905년 나라현 히가시요시노 촌 와시카구치에서 구입, 어린 수컷, 겨울 털 | |
독일 베를린의 훔볼트 박물관 | 모피 | |
야마나시현립 박물관 | 근육과 가죽, 뇌의 일부가 남아있는 개과의 동물의 두개골 | 2004년 4월 야마나시현후에후키시미사카정에서 발견. 국립과학박물관의 감정에 의해 일본늑대의 것으로 단정(미사카 늑대).[116] |
기타아이키무라 고고학 박물관 | 일본늑대 뼈의 파편 | 도치하라 이와카게 유적의 유물 |
도요하시 시립 자연사 박물관 | 일본늑대의 두개골 | 2021년 2월, 아이치현도요카와시의 옛 가문에서 기증[118][119] |
6. 역사
713년, ''고부도키 이츠분''(고대 풍습에 관한 잃어버린 기록)에 늑대가 처음으로 기록되었다.[10] 967년부터 역사 기록은 늑대가 야생마나 목장, 마구간, 마을의 말 사냥을 선호했음을 나타낸다. 1701년, 최초의 늑대 현상금이 도입되었고, 1742년에는 전문 늑대 사냥꾼들이 총기와 독을 사용했다.[10] 1736년, 광견병이 일본 동부의 개들 사이에서 나타나 늑대 개체로 퍼져 조직적인 늑대 사냥으로 이어졌다.[10] 메이지 유신 아래에서 늑대 사냥은 국가 정책이 되었고, 한 세대 안에 일본늑대는 멸종되었다.[10] 1905년 1월 23일, 마지막 일본늑대가 나라현 히가시요시노촌 와시카구치에서 포획되어 죽임을 당했다.[16] 늑대 멸종에 대한 일부 해석은 광견병으로 인한 공격성과 늑대 서식지의 증가하는 산림 벌채가 늑대를 인간과의 갈등으로 몰아넣었다고 강조한다.[47]
7. 문화
신토(Shinto) 신앙에서 ''오오카미''(ōkami, "늑대")는 가미(kami) 영의 사자로 여겨지며 멧돼지, 사슴과 같은 작물 침입자로부터 보호해 준다. 야생 동물은 산신 야마노카미(Yama-no-kami)와 관련이 있었다. 위험하고 치명적인 장소로 여겨지는 일본의 산은 늑대와 매우 관련이 있었으며, 늑대는 그들의 보호자이자 수호자로 여겨졌다.[47] 혼슈에만 약 20개의 신토 늑대 신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유명한 국립 신사는 사이타마현(Saitama Prefecture) 지치부시(Chichibu, Saitama)의 미츠미네에 위치해 있으며, 기이 반도(Kii Peninsula)에는 타마키 신사(Tamaki Shrine)와 토츠카와(Totsukawa) 마을의 카타카티 신사(Katakati Shrine)를 포함한 여러 작은 늑대 신사가 있다.
일본 민간에서는 밤에 숲을 혼자 걷는 사람을 해를 끼치지 않고 집까지 따라가는 ''오쿠리오오카미''(okuriōkami, "호위 늑대")에 대한 믿음이 널리 기록되어 있다. 이 호위에 대한 제물을 바치기도 했다.[47] 일부 전설은 일본 늑대를 예언적인 생물로 묘사한다. 타마키 산에는 "개 울음의 삼나무"라는 나무가 있는데, 1889년 홍수 전에 늑대가 울부짖어 마을 사람들에게 경고했던 장소라고 전해지며,[47] 늑대가 멸종된 1923년의 대지진 전에도 그랬다. 또 다른 믿음은 "늑대 알림"인데, 여행자가 집에 돌아오지 않으면 늑대가 집에 와서 그들의 죽음을 알리는 슬픈 울부짖음을 낸다는 것이다.
일부 마을에는 야생 멧돼지로부터 마을과 작물을 보호한다고 믿었던 ''시시요케''(shishiyoke)라는 늑대 부적이 있었다.[47] 여행자들은 악령을 막기 위해 늑대의 송곳니, 가죽, 털을 가지고 다녔고, 늑대 두개골은 불행을 막기 위해 일부 가정 신사에 보관되었다. 기후현(Gifu Prefecture)과 같은 일부 마을에서는 늑대 두개골이 보호뿐만 아니라 빙의된 마을 사람들을 치료하는 부적으로 사용되었다. 작물을 보호하는 것 외에도 늑대는 마을 사람들을 위해 먹이를 남길 수도 있었다.[47]
일본 늑대는 2012년 히트작 애니메이션 영화 ''늑대 아이(Wolf Children)''의 주요 소재로, 인간으로 변할 수 있는 마지막 일본 늑대의 삶과 남편이 죽은 후 두 늑대 인간 아이를 싱글맘으로 키운 인간 아내의 삶을 다루고 있다.[51] 일본 늑대는 또한 1997년 스튜디오 지브리(Studio Ghibli) 영화 ''원령공주(Princess Mononoke)'', 2006년 비디오 게임 ''Ōkami'', 2019년 쇼 ''가면라이더 제로원(Kamen Rider Zero-One)'' 등 다른 대중 매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8. 멸종 이후의 기록
멸종 상태에도 불구하고,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Canis lupus hodophilax''(일본늑대)를 닮은 개과 동물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었다.[54]
- 1910년 후쿠이성에서 포획된 사례,[52][53]
- 1996년 지치부에서의 두 건의 목격 사례,[54][55]
- 2000년 소보산에서의 목격 사례,[56][57]
- 2018년 잠재적인 녹음 기록[58]
위의 사례들은 동물의 정체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996년 지치부에서 사진 작가 야기 히로시는 늑대와 닮은 동물이 도로 옆을 걷는 것을 발견하고 여러 번 사진을 찍었다. 그 개과 동물은 사람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고, 사진을 분석한 여러 전문가들은 그 동물이 일본 늑대와 매우 흡사하다고 인정했다. 야기는 1970년대 등산 로지에서 일하면서 일본 늑대의 울음소리일 가능성이 있는 소리를 들은 적도 있었다. 1996년 목격 이후, 야기 팀은 오쿠치치부 산맥에 70대 이상의 자동 카메라를 설치했고, 2018년 한 카메라가 사슴이 뛰어가는 모습과 함께 배경에서 울음소리를 녹음했다. 전문가들은 이 울음소리가 동부 늑대(''C. lycaon'')의 울음소리와 거의 동일하다고 분석했다.[58]
1910년 기록의 경우, 과학자들은 이것이 ''Canis''(개)라고 동의했지만, 4~5일 전에 이동식 동물원에서 탈출한 유라시아 늑대일 가능성도 지적했다. 그러나 동물원 직원이 시체를 확인한 결과, 포획된 동물은 다른 종으로 확인되었다.[52]
이러한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일본늑대의 생존에 대한 상당한 의구심이 남아있다. 일본 늑대는 주로 작은 무리로 이동하는 반면, 대부분의 목격 사례는 단독 개체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일본 늑대는 주로 일본 너도밤나무로 이루어진 낙엽수림에 서식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서식지의 40% 이상이 삼나무와 노송나무의 조림지로 대체되어 일본 늑대가 의존했던 다양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DNA 증거만이 야생에서 목격된 개과 동물의 정체가 일본 늑대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4][5][58]
1905년 (메이지 38년) 1월 23일, 나라현 요시노군 오가와촌 와시야구치(현 히가시요시노촌 와시야구치)에서 포획된 어린 수컷이 마지막으로 확인된 생존 개체이다.[60][61][62]
1910년 (메이지 43년) 8월에 후쿠이성 터에 있던 농업시험장에서 타살된 개과 동물이 표본으로 만들어졌으나, 태평양 전쟁 중 후쿠이 공습으로 사진만 남기고 소실되었다. 2003년에 "이것은 일본늑대였다"는 논문이 발표되었지만,[63][61] 표본이 사라져 학술적으로 불확실하다.[61]
환경성의 적색 목록에서는 "과거 50년간 생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그 종은 멸종되었다"고 하기 때문에, 일본늑대는 멸종종이 되었다.
9. 멸종의 영향과 재도입 계획
일본늑대가 멸종되면서 천적이 사라진 멧돼지, 사슴, 일본원숭이 등이 크게 번식하였다.[93] 이들은 사람의 생활 영역까지 들어와 농작물뿐만 아니라 산림과 생태계에도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미국에서는 멸종된 늑대를 복원하여 무너진 생태계를 되살린 사례가 있다. 이와 비슷하게 시베리아늑대를 일본에 도입하여 야생동물 문제를 해결하려는 계획이 제안되기도 했으나, 일본늑대보다 크고 강한 시베리아늑대가 야생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중단되었다. 현재도 일본늑대와 조상이 같다는 설이 있는 중국 대흥안령의 늑대를 일본 산림 지대에 방사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클론 기술을 이용하여 일본늑대를 복원하려는 논의도 있다.[93]
하지만, 섬 지역에서는 늑대와 같은 최상위 포식자가 없어도 초식·잡식 동물이 살아가는 곳이 많다. 예를 들어 아와지섬, 쓰시마섬, 야쿠섬, 구치노에라부섬, 마게섬에는 현재도 사슴과 멧돼지가 자연 분포하지만, 이 섬들에서는 일본늑대가 역사적으로 서식했다는 기록이 없다. 늑대 기록이 없는 사도섬에도 과거 멧돼지가 자연 분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9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야쿠섬의 야쿠시카는 포식자가 없어도 자연적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외국에서도 늑대 도입이 생태계를 일방적으로 회복시킨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이 있으며,[96] 늑대 도입 후 수십 년이 지난 지역에서도 유해 야생 동물 피해 문제가 계속 논의되고 있다.[97] 도입된 늑대를 인위적으로 제거하여 개체 수를 줄이는 경우도 있다.[98]
일본 내에서 늑대에 의한 유해 야생 동물 피해는 주로 광견병 전래 이후의 기록이 주목받지만, 늑대가 사람을 공격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99] 광견병 전래 이전에도 대규모 인명 피해가 보고된 바 있다.[100]
참조
[1]
간행물
Canis lupus
2018
[2]
서적
Over de Kennis en de Verbreiding der Zoogdieren van Japan
1839
[3]
웹사이트
In search of Japan's lost wolves: Primal howl
https://features.jap[...]
2021-10-29
[4]
웹사이트
In search of Japan's extinct wolves: Sightings of a mysterious canine in Chichibu have been captivating animal enthusiasts
https://www.japantim[...]
2019-05-25
[5]
웹사이트
In search of Japan's lost wolves: Territorial threat
https://features.jap[...]
2021-10-29
[6]
서적
Kokugo Dai Jiten, Revised Edition 1988
Shogakukan
[7]
간행물
Japanese Names of the Animals Belonging to Genus Canis Described in "the Flora, Fauna and Crops of the Japan Islands" in the 18th Century.
Kanagawa Prefectural Museum Natural
2004
[8]
간행물
Why the oinu-sama' had not become extinct :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Musashi Mitake shrine
Faculty of Humanities and Human Sciences, Graduate School of Humanities and Human Sciences, and School of Humanities and Human Sciences, Hokkaido University
2019
[9]
서적
Fudoki Nihon Koten Bungaku Taikei 2
Iwanami Shoten
1958
[10]
논문
A re-examination of C. J. Temminck's sources for his descriptions of the extinct Japanese wolf
[11]
웹사이트
Pleistocene Fossils of Wolves in Japan: NAORA Nobuo Collection
https://www.rekihaku[...]
[12]
웹사이트
Canis lupus hodophilax (Japanese wolf)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3]
웹사이트
[14]
웹사이트
Canis lupus hodophilax
http://vertebrates.s[...]
[15]
논문
Dog and wolf remains of the earliest Jomon period at Torihama site in Fukui Prefecture
Torihama-Kaizuka-Kennkyu
[16]
논문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the Japanese Wolf (Canis Lupus Hodophilax Temminck, 1839) and Comparison with Representative Wolf and Domestic Dog Haplotypes
[17]
간행물
On the repaired specimen of Japanese wolf (Canis lupus hodophilax Temminck) and its skull newly taken out
1983
[18]
간행물
On the skull of Japanese wolf (Canis hodophilax Temminck) taken out from the mounted specimen preserved in Wakayama University
http://www.geocities[...]
1991
[19]
간행물
Notes on a skull of so-called "Yama-Inu" or wild canine preserved in the Minamiashigara municipal folklore museum
http://nh.kanagawa-m[...]
1992
[20]
웹사이트
Late Pleistocene Megacanid (Mammalia, Canidae) from Yage Limestone Quarry, Central Honshu, Japan.
http://www.gmnh.pref[...]
2020
[21]
논문
Japanese Wolves are Genetically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an 8-Nucleotide Insertion/Deletion within the mtDNA Control Region
[22]
논문
Intra- and interbreed genetic variations of mitochondrial DNA major noncoding regions in Japanese native dog breeds (Canis familiaris)
[23]
논문
Lineage classification of canine inheritable disorders using mitochondrial DNA haplotypes
[24]
논문
mtDNA data indicate a single origin for dogs south of Yangtze River, less than 16,300 years ago, from numerous wolves
[25]
논문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database and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ystem for Canis lupus familiaris
[26]
논문
Genetic evidence for an East Asian origin of domestic dogs
[27]
논문
Extended survival of Pleistocene Siberian wolves into the early 20th century on the island of Honshū
2021-01-22
[28]
논문
The Japanese wolf is most closely related to modern dogs and its ancestral genome has been widely inherited by dogs throughout East Eurasia
https://www.biorxiv.[...]
2021-10-11
[29]
웹사이트
Mysterious, extinct Japanese wolf may hold clues to origins of dogs
https://www.science.[...]
2021-10-29
[30]
논문
Paleogenomics reveals independent and hybrid origins of two morphologically distinct wolf lineages endemic to Japan
https://linkinghub.e[...]
2022-06
[31]
논문
Japanese wolves are most closely related to dogs and share DNA with East Eurasian dogs
http://dx.doi.org/10[...]
2024-02-23
[32]
서적
Fielder
Kasakura Publishing Co,.Ltd.
2021
[33]
웹사이트
100年以上前に絶滅したニホンオオカミは、まだ生きているかもしれない?
https://ddnavi.com/n[...]
2017
[34]
서적
絶滅した日本のオオカミ―その歴史と生態学
Hokkaido University Press
2009
[35]
웹사이트
In search of Japan's lost wolves: Zoological mystery
https://features.jap[...]
2021-10-29
[36]
논문
Ancient DNA analysis of the oldest canid species from the Siberian Arctic and genetic contribution to the domestic dog
[37]
간행물
Canis Hodophylax, or Japanese wolf. Chrysanthemum, A Monthly Magazine for Japan and the Far East
http://www.baxleysta[...]
Kelly & Co., Yokohama
[38]
서적
The wolf: the Ecology and Behavior of an Endangered Species
Natural History Press
[39]
논문
Osteological and Genetic Analysis of the Extinct Ezo Wolf (Canis Lupus Hattai) from Hokkaido Island, Japan
[40]
웹사이트
Phylogenetic analysis of extinct wolves in japan
http://www.geocities[...]
Gifu University, Japan
2016-05-09
[41]
간행물
山の神としてのオオカミ
西郊民俗談話会
[42]
문서
The picture from 獣類写生帳 from Edo period, recorded in 山がたり―なぞの動物たち in 1967 by Inosuke Hida, published by Bungeishunjū
[43]
문서
The textbook from Meiji which is displayed at [[Kaichi School]]
[44]
서적
ニホンオオカミは生きている
Futami Shobo Publishing Co., Ltd
[45]
서적
狼 その生態と歴史
Tsukiji Shokan Publishing Co., Ltd.
[46]
문서
西洋の研究者から見たニホンオオカミ
Canis Hodophilax Museum by Hiroshi Yagi
[47]
논문
On the Extinction of the Japanese Wolf
Nanzan University
[48]
서적
The beasts that hide from man: seeking the world's last undiscovered animals
Paraview Press
[49]
문서
Kitayama moon - Toyohara Sumiaki, from the series ''One hundred aspects of the moon'' by Tsukioka Yoshitori.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http://www.artgaller[...]
[50]
웹사이트
Japan Print Gallery, Notting Hill Gate, London
https://www.japanese[...]
2016-04-25
[51]
웹사이트
Review: Mamoru Hosoda's 'Wolf Children' anime is wild
https://www.latimes.[...]
2013-09-26
[52]
웹사이트
Record of Canis hodophirax Temminck, 1839 captured in the garden of the Castle of Fukui, Fukui Prefecture, Japan.
http://www.geocities[...]
[53]
뉴스
守ろう 絶滅危惧種 写真特集 – ニホンオオカミ
https://www.jiji.com[...]
Jiji Press
[54]
논문
Size estimation of so-called "Chichibu wild dog" from photographs: comparison with known structures and application of super-impose method.
http://www.geocities[...]
[55]
웹사이트
1996年10月秩父山中で撮影された犬科動物
http://www.geocities[...]
WANTED Canis hodophilax
[56]
서적
ニホンオオカミは生きている
Futami Shobou
[57]
서적
ニホンオオカミは消えたか?
Junppousha
[58]
웹사이트
The hunt for Japan's 'ghost' wolves
https://www.bbc.com/[...]
2021-10-29
[59]
간행물
Osteometrical and CT examination of the Japanese wolf skull
[60]
웹사이트
RDB図鑑~希少な生きものたち~
環境省
2019-01-06
[61]
뉴스
asahi.com:最後のニホンオオカミ 福井市(6)-マイタウン福井
http://mytown.asahi.[...]
朝日新聞社
2007-01-09
[62]
뉴스
東京朝日新聞 昭和11年7月4日
東京朝日新聞
1936-07-04
[63]
간행물
福井城内で射殺されたニホンオオカミ
https://web.archive.[...]
農大動物研究会
[64]
뉴스
東京新聞:ニホンオオカミ 高崎にいた!? 絶滅5年後「1910年に駆除」記事発見:群馬(TOKYO Web)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2-04-29
[65]
간행물
ニホンオオカミの分類と変異
https://web.archive.[...]
野外調査研究所
[66]
간행물
笠倉出版社
[67]
웹사이트
100年以上前に絶滅したニホンオオカミは、まだ生きているかもしれない?
https://ddnavi.com/n[...]
ダ・ヴィンチ
2021-10-29
[68]
서적
絶滅した日本のオオカミ―その歴史と生態学
北海道大学出版会
[69]
간행물
山の神としてのオオカミ
西郊民俗談話会
[70]
웹사이트
In search of Japan's lost wolves: Zoological mystery
https://features.jap[...]
2021-10-30
[71]
뉴스
朝日新聞
2009-12-15
[72]
웹사이트
トピックス■絶滅したニホンオオカミの遺伝学的系統
http://www.zoology.o[...]
公益社団法人日本動物学会
2019-01-06
[73]
간행물
絶滅した日本のオオカミの遺伝的系統
http://nichiju.lin.g[...]
[74]
간행물
日本産後期更新世の巨大狼化石
http://www.gmnh.pref[...]
群馬県立自然史博物館
2020
[75]
학술지
Extended survival of Pleistocene Siberian wolves into the early 20th century on the island of Honshū
https://www.scienced[...]
2021-01-22
[76]
학술지
Paleogenomics reveals independent and hybrid origins of two morphologically distinct wolf lineages endemic to Japan
https://linkinghub.e[...]
2022-06
[77]
간행물
Japanese wolves are most closely related to dogs and share DNA with East Eurasian dogs
https://www.nature.c[...]
2024
[78]
학술지
江戸中期・諸国産物帳に記載されたイヌ属動物の名称
https://nh.kanagawa-[...]
小田原 : 神奈川県立生命の星・地球博物館
2005-03
[79]
문서
長野県松本市の旧開智学校に展示されている明治期の教科書(副読本)
[80]
간행물
オオカミやヤマイヌと呼ばれたシーボルトが残したニホンオオカミ標本の謎
2020
[81]
웹사이트
wild dogの意味・使い方 - 英和辞典 Weblio辞書
https://ejje.weblio.[...]
ウェブリオ株式会社
2019-01-06
[82]
간행물
「山犬と狼」 平岩米吉
https://dl.ndl.go.jp[...]
犬の研究社
1936
[83]
서적
イヌ
同成社
[84]
서적
オオカミがいた山 : 消えたニホンオオカミの謎に迫る
https://ndlsearch.nd[...]
山梨県立博物館
[85]
문서
北越雪譜
[86]
서적
富山県大門町史
[87]
서적
砺波市史
[88]
서적
越中婦負郡志
[89]
뉴스
ニホンオオカミ生存か
1973-08-18
[90]
뉴스
1973-08-21
[91]
뉴스
1973-08-23
[92]
간행물
山根一眞の動物事件簿 狼 第15回 突如、現れた秩父野犬
新潮社
1997
[93]
뉴스
絶滅のニホンオオカミ復活へ 神戸・理研が挑戦
http://www.kobe-np.c[...]
神戸新聞社
2019-01-06
[94]
뉴스
「30数万年前取り残される/佐渡のイノシシ、DNAで」
https://www.shikoku-[...]
2002
[95]
간행물
屋久島世界遺産地域でヤクシカが減少している! ~従来の定説を覆す,生態系による制御の可能性を示唆~
https://www.hokudai.[...]
北海道大学
2021
[96]
뉴스
Yellowstone's wolves are back, but they haven't restored the park's ecosystem. Here's why.
https://www.usatoday[...]
2018
[97]
간행물
Restoration or Destruction: The Controversy over Wolf Reintroduction
https://www.jyi.org/[...]
2005
[98]
간행물
Wolf reintroduction program still controversial 25 years later
https://nbcmontana.c[...]
2020
[99]
서적
風土記
岩波書店
1958
[100]
서적
日本人とオオカミ―世界でも特異なその関係と歴史
雄山閣
2004
[101]
학술지
The Middle Pleistocene Matsugae Fauna, Northern Kyushu, West Japan
2009-12
[102]
간행물
On the trail of the Indian wild dog
https://www.thehindu[...]
2018
[103]
학술지
日本における後期更新世~前期完新世産のオオヤマネコLynxについて
http://www.gmnh.pref[...]
[104]
뉴스
Lynx escapes from Welsh wildlife park
https://www.theguard[...]
2017
[105]
학술지
[研究ノート] 『直良信夫コレクション目録』の訂正ほか
https://doi.org/10.1[...]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17-03
[106]
뉴스
体長3メートル超? 巨大で強い肉食性、謎の本州ヒグマを追え 古代DNA分析から起源と渡来時期を解明
https://www.kobe-np.[...]
神戸新聞
2021-08-23
[107]
논문
秋吉台を中心とした西日本と近隣の大陸の第四紀哺乳動物相の関連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08]
웹사이트
中学生発見のニホンオオカミのはく製 一般公開 東京 上野
https://www3.nhk.or.[...]
2024-05-21
[109]
웹사이트
夏休みの自由研究が、世界的発見へ――ニホンオオカミの論文を書いた小学生の探究心 #令和の子
https://news.yahoo.c[...]
Yahoo Japan
2024-08-11
[110]
뉴스
はく製は絶滅したニホンオオカミか 気づいたのは都内の中学生
https://www3.nhk.or.[...]
2024-02-27
[111]
웹사이트
哺乳類 —動物— 32 ニホンオオカミ
https://umdb.um.u-to[...]
null
[112]
웹사이트
西日本で唯一「ニホンオオカミ」剥製を期間限定で展示、明治期に奈良で捕獲か…学芸員「世界的にも珍しい」
https://www.yomiuri.[...]
2024-01-18
[113]
웹사이트
瀬戸愛知県館
http://www.expo2005.[...]
null
[114]
웹사이트
"ニホンオオカミ”~オランダの標本が“交雑種”だった理由~ - ダーウィンが来た!"
https://www.nhk.jp/p[...]
2024-04-18
[115]
웹사이트
Canis lupus hodophilax, Japanese wolf
http://piclib.nhm.ac[...]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null
[116]
문서
御坂オオカミ의 형태학적 형질에 대해서는、2004、문화사적 배경의 검토에 대해서는2008
[117]
웹사이트
縄文のくらし 縄文の食生活
http://www.jomon-no-[...]
鹿児島県上野原縄文の森
null
[118]
웹사이트
愛知県唯一のニホンオオカミの頭骨が寄贈されました(お知らせ)
https://www.toyohaku[...]
豊橋市自然史博物館
2021-02-02
[119]
웹사이트
ニホンオオカミの頭骨を豊橋市自然史博物館へ寄贈
http://www.higashiai[...]
東愛知新聞
2021-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