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다니엘 테일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다니엘 테일러는 1786년 코네티컷에서 태어난 미국의 신학자이다. 예일 대학교에서 티모시 드와이트의 영향을 받아 신학을 공부하고, 뉴헤이븐 제일 교회 목사를 거쳐 예일 대학교 교의신학 교수로 재직하며 부흥 운동을 지지했다. 그는 결정론적 칼뱅주의를 거부하고 인간의 자유를 옹호하며, 원죄, 하나님의 주권, 속죄, 자기 사랑에 대한 독특한 신학적 견해를 제시하여 '뉴 헤이븐 신학'으로 불렸다. 그의 신학은 찰스 피니에게 영향을 미쳤으나, 전통적인 칼뱅주의자들에게 이단으로 비판받았으며, 뉴잉글랜드 회중교회의 쇠퇴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사망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58년 사망 - 로버트 오언
로버트 오언은 공장 경영, 사회 개혁, 교육, 협동조합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인간의 성격이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는 신념으로 사회 개혁을 주장했고, 뉴 라나크 제분소에서 노동자들의 생활 개선과 아동 교육에 힘썼으며, 뉴하모니 공동체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노동조합 운동과 협동조합 운동을 지원하다가 1858년 사망했다. - 1786년 출생 - 빌헬름 그림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 동화 작가인 빌헬름 그림은 형 야곱 그림과 함께 그림 동화를 편집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카셀 도서관 사서, 괴팅겐 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독일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86년 출생 - 윈필드 스콧
윈필드 스콧은 1786년부터 1866년까지 활동한 미국의 군인으로, 미영 전쟁, 미국-멕시코 전쟁 등에서 활약했으며, 185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미국의 신학자 - 존 캅
존 캅은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과정철학을 연구한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클레어몬트에서 과정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과정신학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생태신학, 종교 다원주의, 지속 가능한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 정의와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신학자 - 토니 캠폴로
토니 캠폴로는 미국 복음주의 목사이자 사회학자, 작가, 활동가로서 이스턴 대학교 교수, 복음주의 교육 증진 협회 설립, 사회 정의 운동, 진보적 정치 신념 등으로 논쟁을 일으키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나다니엘 테일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786년 6월 23일 |
출생지 | 뉴밀포드, 코네티컷주 |
사망 | 1858년 3월 10일 |
사망지 | 뉴헤이븐, 코네티컷주 |
묻힌 곳 | 그로브 스트리트 묘지 |
국적 | 미국 |
모교 | 예일 칼리지 |
직업 | 신학자, 교수 |
활동 기간 | 해당 없음 |
알려진 업적 | 뉴헤이븐 신학 |
주요 저서 | 해당 없음 |
2. 생애
나다니엘 테일러는 1786년 코네티컷의 부유하고 독실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1800년, 14세의 나이로 예일 칼리지에 입학했으나, 눈 문제로 1807년에 졸업했다. 그는 나다니엘 테일러와 안나(née 노스럽)의 아들이었다. 예일 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동안 조나단 에드워즈의 손자인 티모시 드와이트 총장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졸업 후 몇 년 동안 신학을 공부했고, 드와이트의 비서로 일했으며, 서품을 받은 후 1812년 뉴헤이븐의 제일 교회 목사가 되었다.
나다니엘 테일러는 제2차 대각성 운동 시기에 활동하며 뉴 헤이븐 신학을 주창하여, 당시 신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신학은 칼뱅주의의 결정론을 거부하고 인간의 자유 의지를 강조하는 등 기존의 교리와는 다른 점이 많았기에, 찰스 호지를 비롯한 구 칼뱅주의자들로부터 알미니우스주의, 심지어 펠라기우스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
3. 신학적 영향
테일러의 신학은 원죄, 하나님의 주권, 속죄 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특히, 그는 그리스도의 죽음이 단순한 죄의 대속이 아니라, 죄인들이 회개하도록 하는 수단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많은 기독교인들에게는 기독교 신앙의 근본을 흔드는 것으로 여겨졌다.
테일러의 신학적 입장은 앨버트 반스와 라이먼 비처 등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은 구 칼뱅주의자들로부터 이단 혐의로 고발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은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음으로써, 테일러의 뉴헤이븐 신학은 정통 기독교 신학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한편, 베넷 타일러는 테일러의 신학에 반대하며 이스트 윈저 신학 신학교를 설립하여, 회중 교회 내의 신학적 분열을 이끌었다. 이러한 분열은 부흥 운동에 대한 공격으로도 해석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많은 부흥 운동가들이 칼뱅주의 교회에서 분리되어 아르미니우스주의 신념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2]
앤거스 스튜어드는 테일러의 뉴 헤이븐 신학이 뉴잉글랜드 회중교회를 신학적 자유주의에 더 개방적으로 만들었으며, 이는 결국 자유주의의 영향력 감소와 함께 뉴잉글랜드 회중교회의 쇠퇴를 초래했다고 주장한다.[3]
3. 1. 칼뱅주의 교리에 미친 영향
나다니엘 테일러는 스스로 부흥 전도자는 아니었지만, 부흥 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부흥 운동에 대한 공감으로 부흥 운동가들의 핵심 신념과 그들로부터 생겨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2차 대각성 운동은 그 규모와 힘에도 불구하고, 미국 성공회와 "구(舊) 칼뱅주의자", 그리고 성장하는 유니테리언 운동에 의해 반대받았다. 테일러는 1822년 예일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교수로 임명된 후,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부흥 운동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반대자들로부터 그 신념과 관행을 옹호했다.
예일 대학교에서 테일러는 결정론적 칼뱅주의, 즉 신의 섭리가 우주의 모든 활동을 결정한다는 사상을 거부했다. 그는 인간의 자유라는 이상을 지키기 위해 이 주장을 펼쳤는데, 결정론이 자유와 모순되며 부도덕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신은 부도덕할 수 없으므로, 사랑과 완벽함을 갖춘 신에게 결정론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았다.
결정론 거부에 이어 계시, 인간의 타락, 신의 주권, 그리스도의 속죄, 중생과 같은 칼뱅주의 교리에 대한 추가적인 변화가 있었다. 테일러와 드와이트는 모두 전통적인 칼뱅주의를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미국 회중 교회와 뉴 스쿨 장로교 신자들에게 호소력을 가진 "뉴 헤이븐 신학"을 창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테일러와 뉴 헤이븐 신학은 올드 칼뱅주의자들, 특히 프린스턴 신학교의 찰스 호지로부터 격렬한 반대에 직면했다. 테일러의 칼뱅주의 수정은 그들의 분노를 샀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이 테일러의 체계가 칼뱅주의가 아니라 알미니우스주의, 심지어 펠라기우스주의라고 선언하게 만들었다.
3. 2. 찰스 피니에게 미친 영향
나다니엘 테일러는 스스로 부흥 전도자는 아니었지만, 부흥 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부흥 운동에 대한 그의 공감은 그가 부흥 운동가들의 핵심 신념과 그들로부터 생겨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치도록 했다.
테일러의 영향력은 제2차 대각성 운동 시대의 가장 유명한 부흥사로 여겨지는 찰스 그랜디슨 피니의 사역을 연구할 때 중요하다. "테일러의 신학이 피니의 사역에서 설교되었다"라고 말하는 것은 분명 정확하지 않지만, 두 사람은 거의 같은 시기에 두각을 나타냈고, 두 사람의 저술물을 비교해 보면 특히 "구 칼뱅주의"와 다른 부분에서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테일러의 신학의 상당 부분은 피니가 설교한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테일러는 기독교인이 죄 없고 순종하는 삶을 사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다는 믿음인 "완전주의"를 결코 지지하지 않았다. 피니가 부흥 운동에 미친 영향력도 중요했지만, 뉴잉글랜드 교회에서는 테일러와 뉴헤이븐 신학이 우세를 보였다.
3. 3. 테일러 신학 요약
나다니엘 테일러는 스스로 부흥 전도자는 아니었지만, 부흥 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부흥 운동을 지지하여 부흥 운동가들과 그로부터 생겨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2차 대각성 운동은 그 규모와 힘에도 불구하고, 미국 성공회와 "구(舊) 칼뱅주의자", 그리고 성장하는 유니테리언 운동에 의해 반대받았다. 테일러는 1822년 예일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교수로 임명된 후,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부흥 운동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반대자들로부터 그 신념과 관행을 옹호했다.
예일 대학교에서 테일러는 신의 섭리가 우주의 모든 활동을 결정한다는 결정론적 칼뱅주의를 거부했다. 그는 인간의 자유라는 이상을 지키기 위해 이 주장을 펼쳤는데, 결정론이 자유와 모순되며 부도덕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신은 부도덕할 수 없으므로, 사랑과 완벽함을 갖춘 신에게 결정론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았다.
결정론 거부에 이어 계시, 인간의 타락, 신의 주권, 그리스도의 속죄, 중생과 같은 칼뱅주의 교리에 대한 추가적인 변화가 있었다. 테일러와 드와이트는 모두 전통적인 칼뱅주의를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미국 회중 교회와 뉴 스쿨 장로교 신자들에게 호소력을 가진 "뉴 헤이븐 신학"을 창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테일러와 뉴 헤이븐 신학은 올드 칼뱅주의자들, 특히 프린스턴 신학교의 찰스 호지로부터 격렬한 반대에 직면했다. 많은 이들이 테일러의 체계가 칼뱅주의가 아니라 알미니우스주의, 심지어 펠라기우스주의라고 선언했다.
테일러의 영향력은 제2차 대각성 시대의 가장 유명한 부흥사로 여겨지는 찰스 그랜디슨 피니의 사역을 연구할 때 중요하다. 두 사람은 거의 같은 시기에 두각을 나타냈고, 두 사람의 저술물을 비교해 보면 특히 "구 칼뱅주의"와 다른 부분에서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테일러의 신학 상당 부분은 피니가 설교한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테일러는 기독교인이 죄 없고 순종하는 삶을 사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다는 믿음인 "완전주의"를 결코 지지하지 않았다. 뉴잉글랜드 교회에서는 테일러와 뉴헤이븐 신학이 우세를 보였다.
테일러의 신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3. 4. 테일러 가르침에 대한 "구 칼뱅주의"의 반박
제2차 대각성 운동은 그 규모와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미국 성공회와 "구(舊) 칼뱅주의자", 그리고 성장하는 유니테리언 운동과 같은 기존 교회의 반대에 부딪혔다. 나다니엘 테일러는 1822년 예일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교수로 임명된 후, 자신의 영향력을 통해 부흥 운동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반대자들로부터 그 신념과 관행을 옹호했다.
호지(Hodge)를 비롯한 구 칼뱅주의자들은 테일러의 가르침이 심각하게 잘못되었으며, 아르미니우스주의보다는 펠라기우스주의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사실상 전통적인 칼뱅주의자들은 테일러의 가르침을 오류일 뿐만 아니라 이단적이라고 여겼다. 오늘날에도 많은 칼뱅주의자들은 테일러의 가르침을 접하면 그가 진정한 기독교 신앙에서 벗어났다고 결론 내릴 것이다. 찰스 피니를 포함하여 테일러의 신념을 지지한 사람들 역시 마찬가지로 이단적으로 간주되었다.
테일러의 뉴잉글랜드 신학은 앨버트 반스와 라이먼 비처에 의해 시험대에 올랐는데, 이들은 구파 칼뱅주의자들로부터 이단 혐의로 고발당했다. 앨버트 반스는 이단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고 필라델피아 시노드에 의해 정통으로 인정받았다. 라이먼 비처 역시 이단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고 신시내티 시노드에 의해 정통으로 인정받았다. 따라서 테일러의 뉴헤이븐 신학, 신파 신학 또는 신신학은 정통 기독교 신학으로 선언되었다.
이러한 반대의 핵심에는 테일러의 속죄에 대한 관점이 있었다. 많은 기독교인들은 십자가 위에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이 죄의 대속물로서, 인류의 죄가 그리스도에게 전가되었고,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대신하여 우리의 죄에 대해 벌을 받았다고 믿는다. 마르틴 루터는 그리스도가 우주에서 최악의 죄인이 되었다고 말하기까지 했다. 그리스도의 의, 즉 그의 완전함은 모든 신자들에게 전가되었다. 결과적으로 하나님은 더 이상 신자들을 실제 모습 그대로 보지 않고 전가된 의에 의해 가려진다고 보았다. 많은 기독교인들에게 이 믿음은 기독교 신앙의 초석이다. 그러나 테일러는 이러한 견해를 명시적으로 부인했다.
3. 5. 테일러주의 대 타일러주의
나다니엘 테일러는 스스로 부흥 전도자는 아니었지만, 부흥 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부흥 운동에 대한 그의 공감은 그가 부흥 운동가들의 핵심 신념과 그들로부터 생겨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치도록 했다.
제2차 대각성 운동은 그 규모와 힘에도 불구하고, 더 기성적인 교회, 특히 미국 성공회와 "구(舊) 칼뱅주의자", 그리고 성장하는 유니테리언 운동에 의해 반대받았다. 테일러는 1822년 예일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교수로 임명된 후,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부흥 운동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반대자들로부터 그 신념과 관행을 옹호했다.
당시 회중 교회 내에서는 뉴 헤이븐 신학을 옹호하는 사람들과 보다 보수적인 신념을 고수하는 사람들 사이에 신학적 분열이 일어났다. 베넷 타일러는 테일러에 반대하여 이러한 분열을 이끌었고, 예일에서 테일러가 주창한 뉴 헤이븐 신학에 반대하여 '''이스트 윈저 신학 신학교'''를 설립했다. 새뮤얼 홉킨스의 가르침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타일러주의[2]는 뉴 헤이븐의 사고방식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고 여겨지는 것에 대해 격렬하게 반대했다.
당시 테일러의 신학에 대한 이러한 반대는 부흥 운동의 일부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부흥 운동의 "적"은 기존 교회, 특히 엄격한 칼뱅주의를 받아들이고 가르치는 교회로 이해되었다. 아마도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많은 부흥 운동(그리고 나중의 근본주의 및 복음주의 운동)이 고백적이고 칼뱅주의적인 교회에서 분리되어 아르미니우스주의 신념을 굳히게 되었을 것이다.
3. 6. 테일러와 뉴잉글랜드 회중주의의 쇠퇴
나다니엘 테일러는 스스로 부흥 전도자는 아니었지만, 부흥 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부흥 운동을 지지하여 부흥 운동가들의 핵심 신념과 그들로부터 생겨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3]
제2차 대각성 운동은 그 규모와 힘에도 불구하고, 미국 성공회와 "구(舊) 칼뱅주의자", 그리고 성장하는 유니테리언 운동과 같은 더 기성적인 교회들의 반대를 받았다. 테일러는 1822년 예일 대학교에서 교의신학 교수로 임명된 후,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부흥 운동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반대자들로부터 그 신념과 관행을 옹호했다.[3]
앤거스 스튜어드는 테일러(및 다른 사람들)가 옹호한 뉴 헤이븐 신학이 19세기 후반에 많은 주류 교파에 영향을 미친 신학적 자유주의에 대해 뉴잉글랜드 회중교회를 더욱 개방적이고 수용적으로 만들었으며, 이러한 영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느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주장은 테일러가 부흥주의와 그에 수반되는 "개종" 경험을 지지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혹한 판단으로 보일 수 있지만, 스튜어드는 테일러와 다른 뉴 헤이븐 신학 옹호자들이 당시까지 전통적인 칼뱅주의 신학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졌던 가르침을 의도적으로 포기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고 포기함으로써, 미래 세대가 다른 칼뱅주의적 가르침을 더욱 부정하는 가르침에 더 큰 영향을 받도록 허용하는 역사적 선례가 만들어졌다.[3]
역사적으로 자유주의 기독교에 의해 지배되어 온 주류 개신교 교파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와 영향력이 감소함에 따라, 스튜어드는 뉴잉글랜드 회중교회도 같은 운명을 겪었다고 주장한다. 테일러의 "구 칼뱅주의" 거부와 자유주의 신학 수용의 영향으로, 남침례교와 달리 근본주의적 반발이 없었기 때문에, 미국의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교회 집단 중 하나는 더 이상 미국 기독교에서 지배적인 세력이 아니다.[3]
4. 도덕정부
테일러는 예일대학교 강의 중에 '신적 계시의 심장'이 그의 사후 2권의 책으로 출판되었는데, 그는 성경이 도덕정부의 본질을 밝혀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고 주장하였다.[5]
5. 저서
원죄 교리를 새롭게 방어한 《성직자의 책임》[6]이 있다.
참조
[1]
서적
Webster's Biographical Dictionary
Merriam
1943
[2]
서적
Webster's Biographical Dictionary
Merriam
1943
[3]
간행물
The Decline and Fall of New England Congregationalism
http://www.prca.org/[...]
1999-04
[4]
서적
The New England theology : from Jonathan Edwards to Edwards Amasa Park
https://www.worldcat[...]
Baker Academic
2006
[5]
서적
America's God : from Jonathan Edwards to Abraham Lincoln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6]
웹인용
CONCIO AD CLERUM a Sermon by Nathaniel W. Taylor at Yale College, 1828
https://www.gospeltr[...]
2020-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