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지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지란은 사우디아라비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중요한 교역로의 중계지였으며, 4,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아라비아 반도의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이며, 오아시스, 산, 사막 등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갖추고 있다. 고대에는 향료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기독교가 전파되어 번성하기도 했으나, 6세기에 기독교인 학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예멘 전쟁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나지란 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여러 스포츠 클럽, 의료 시설을 갖춘 도시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지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장 | 파리스 알-샤파크 |
주지사 | 질루위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
설립 | 기원전 2000년 |
사우디 아라비아 합류 | 1934년 |
위치 | 사우디 아라비아 나즈란 주 |
지리 | |
고도 | 1293m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4년) | 442,000명 |
나즈란 행정구역 인구 | 421,902명 |
행정 구역 | |
소속 국가 | 사우디 아라비아 |
주 | 나즈란 주 |
기타 정보 | |
시간대 | +3 |
우편 번호 | 알 수 없음 |
지역 번호 | (+966) 17 |
웹사이트 | 나즈란 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나지란은 4,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유서 깊은 도시로, 고대 로마에 점령되기도 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가는 길에 로마인에게 함락된 최초의 도시였다. 향료 무역로의 중심지로서 기원전 1세기와 2세기에 가장 번성하였다. 고대에는 알-우크두드라고 불렸으며, 현재 "알-우크두드"로 알려진 유적은 아마도 당시 중심 도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힘야르 왕국, 라흐미드 왕조, 악숨 왕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무함마드 시대에는 중요한 무기 제조 중심지였으며, 특히 가죽 제품으로 유명했다.
나지란에는 기독교와 유대교 공동체가 공존했다. 5세기경 기독교가 전파되었고, 두 누와스 왕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신앙을 지켜왔다. 무함마드와 조공 및 보호 협정을 맺기도 했으나, 7세기 중반 우마르 칼리프 시대에 메소포타미아로 추방되었다. 나지란의 유대인들은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거주해 왔으며, 1934년 사우디아라비아에 병합된 이후 박해를 받아 아덴을 거쳐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1934년 사우디아라비아-예멘 전쟁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승리하면서 나지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영토가 되었다. 그 이전에는 예멘의 지배를 받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통 가옥 등에서 예멘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1965년부터 신시가지 건설이 시작되어 '파이살리야'로 명명되었고, 현대적인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1996년 미샤알 빈 수우드 주지사 부임 이후, 이스마일파 주민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2000년에는 이스마일파 시위대와 경찰 및 군 부대 간의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8년에는 예멘의 후티 반군이 발사한 탄도 미사일 공격을 받기도 했다.
2. 1. 고대
나지란의 역사는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로마인들이 점령하기도 했는데,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으로 가는 길에 로마인들에게 함락된 최초의 사우디 아라비아 도시였다. 나지란의 가장 번성했던 무역 시기는 기원전 1세기와 2세기였다. 고대에는 알-우크두드로 알려졌다.
아라비아의 다른 고대 지명과 마찬가지로, 나지란은 원래 모든 마을과 촌락을 포함한 전체 오아시스의 이름이었을 수 있다. 현재 "알-우크두드"로 알려진 유적의 옛 이름은 아마도 중심 도시였을 것이고, 라마트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스와 로마 자료에 따르면 나지란은 향료 무역로의 중심지였다. 고대 예멘에서 북쪽 또는 서쪽으로 출발하는 모든 경로는 나지란에서 만나야 했으며, 이곳에서 경로는 두 가지 일반적인 방향으로 갈라졌다. 하나는 히자즈를 통해 북쪽으로 이집트와 레반트로 향하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페르시아만 근처 게르라로 향하는 북동쪽 길이었다.[2]
이집트의 로마 총독 아엘리우스 갈루스는 아라비아 펠릭스를 정복하기 위한 원정을 이끌었고, 기원전 25년 나지란 근처에서 전투에서 승리했다. 그는 도시를 점령하고 마리브의 사바 왕국을 공격하기 위한 기지로 사용했다. 스트라보는 그곳을 '네그라나'라고 불렀다.[3]
힘야르 왕국이 서기 280년에 사바인들을 정복했을 때, 나지란도 장악했을 것으로 보인다. 3세기 중반, 나지란 사람들은 에티오피아인 편에 섰고, 에티오피아인들은 비문에 스클므클름이라는 총독을 보냈다. 힘야르 왕 일샤라 야흐디브는 이 반란을 진압했다.
북아라비아의 라흐미드 왕 임루 알-카이스 이븐 '암크는 서기 328년에 나지란을 공격했다. 악숨의 영향으로, 나지란의 기독교인들은 번성했고, 6세기 초에 다시 악숨과 동맹을 맺기 시작했다.
나지란 마을은 무함마드가 살아있을 때 이미 중요한 무기 제조 중심지였다. 그러나 철보다는 가죽으로 더 유명했다.
기독교는 다른 남아라비아 지역과 마찬가지로, 서기 5세기에 나지란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아마도 그보다 한 세기 전에 전파되었을 수도 있다. 아랍인의 초기 이슬람 역사학 이븐 이샤크에 따르면, 나지란은 남아라비아에서 기독교가 처음 뿌리내린 곳이다.
518년 또는 523년 경 두 누와스는 히미야르 왕좌를 차지한 후,[4] 자파르, 예멘에서 악숨 왕국의 주둔지를 공격하여 점령하고 교회를 불태웠다. 그 후 그는 기독교인이자 악숨의 요새인 나지란으로 진격했다. 그는 도시의 항복을 받아들인 후, 기독교를 포기하지 않은 주민들을 학살했다. 524년 베스 아르샴의 주교인 시메온 오브 베스 아르샴이 쓴 생존 편지는 두 누와스의 나지란(현재 사우디 아라비아의 알 우크두드)에서의 박해를 묘사하고 있다.[5] 이 학살은 두 누와스의 군대 사령관 중 한 명이 의뢰한 비문 (Ja 1028)에서도 기념적인 방식으로 묘사된다.[6]
''샤이바니의 시야르''에 따르면, 나지란의 기독교인들은 무함마드에게 매년 2,000벌의 옷을 조공으로 바치는 데 동의했으며, 그 대가로 보호를 약속받았다. 이 협정은 칼리프 아부 바크르와 우마르 이븐 알-하타브 시대에도 갱신되었다.[7] 그러나 641년, 나지란의 기독교인들은 고리대금업 혐의를 받아 도시를 떠나라는 명령을 받았다.[8] 우마르 칼리프의 통치 하에, 나지란의 기독교 공동체는 메소포타미아로 추방되었고, 그들은 쿠파 근처의 나자니야라는 곳에 정착했다. 이후 나지란은 중요성을 잃었다.[9] 그러나 이븐 알-무자비르의 보고에 따르면, 13세기에도 유대인과 기독교인이 나지란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기원전 9세기에는 나지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17]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 여러 왕조가 병존했던 고대 및 중세 시대에 나지란은 역사적 시리아와 페르시아만을 잇는 교역로의 중계지로서 번영했다.[17] 또한, 농업이 가능한 오아시스 지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아라비아 반도의 주요 거점으로 기능했다.[18] 와디나지란을 따라 위치한 우후도드 유적에는 사바 왕국 시대의 비문이 남아 있다.
2세기 말에 에티오피아의 악숨 왕국이 아라비아 반도로 진출했을 때, 나지란은 아라비아에서 악숨의 두 번째 거점으로 여겨졌으며, 대관이 배치되었다.[19] 6세기의 힘야르 왕국 시대에 남 아라비아의 주요 기독교도 거점이 되었으며, 523년에 힘야르 왕 주 누와스에 의한 나지란의 기독교 공동체|나지란의 기독교 공동체영어 탄압으로 많은 순교자를 냈다.[18]
2. 2. 중세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 여러 왕조가 병존했던 고대, 예멘에 독립된 정권이 수립된 중세 시대에 나지란은 역사적 시리아와 페르시아만을 잇는 교역로의 중계지로서 번영했다.[17] 또한, 농업이 가능한 오아시스 지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아라비아 반도 유수의 중요 거점으로 기능했다.[18]2세기 말에 에티오피아의 악숨 왕국이 아라비아 반도로 진출했을 때, 나지란은 아라비아에서 악숨의 두 번째 거점으로 여겨졌으며, 대관이 배치되었다.[19] 6세기의 힘야르 왕국 시대에 남 아라비아 유수의 기독교도의 거점이 되었으며, 523년에 힘야르 왕 주 누와스에 의한 나지란의 기독교 공동체영어 탄압으로 많은 순교자를 냈다.[18]
2. 3. 이슬람 시대와 유대인 공동체
나지란에는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으며, 이들은 역사적으로 도시를 정복하고 예멘의 기독교 침략 이전까지 통치했던 바누 알-하리트와 관련이 있었다. 1934년 사우디가 나지란을 정복하면서 박해가 심해졌고, 1949년 9월과 10월 사이에 약 200명의 나지란 유대인이 남쪽으로 아덴으로 도피했다.[17] 사우디 국왕 이븐 사우드는 그들의 귀환을 요구했지만, 예멘 국왕 아흐마드 빈 야흐야는 이 난민들이 예멘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거부했다. Ḥashid Camp(마하네 게울라라고도 불림)에 정착한 후, 그들은 더 큰 규모의 마법의 양탄자 작전의 일환으로 이스라엘로 공수되었다.일부 나지란 유대인들은 코친으로 탈출했는데, 그들은 통치자들과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파라데시 유대인과 무역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무함마드 시대에 나지란의 기독교인들은 매년 2,000벌의 옷을 조공으로 바치고 보호를 약속받는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은 아부 바크르와 우마르 이븐 알-하타브 칼리프 시대에도 갱신되었다.[7] 그러나 641년, 나지란의 기독교인들은 고리대금업 혐의로 도시를 떠나라는 명령을 받았다.[8] 우마르 칼리프의 통치 하에, 나지란의 기독교 공동체는 메소포타미아로 추방되었고, 그들은 쿠파 근처의 나자니야라는 곳에 정착했다. 이후 나지란은 중요성을 잃었다.[9] 그러나 이븐 알-무자비르의 보고에 따르면, 13세기에도 유대인과 기독교인이 나지란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2. 4. 근현대
나지란에는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며, 역사적으로 도시를 통치했던 바누 알-하리트와 연관되어 있었다. 1934년 사우디가 나지란을 정복하면서 박해가 심해졌고, 1949년 9월과 10월 사이에 약 200명의 나지란 유대인이 남쪽으로 아덴으로 도피했다. 사우디 국왕 이븐 사우드는 그들의 귀환을 요구했지만, 예멘 국왕 아흐마드 빈 야흐야는 이 난민들이 예멘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거부했다. Ḥashid Camp(마하네 게울라라고도 불림)에 정착한 후, 그들은 더 큰 규모의 마법의 양탄자 작전의 일환으로 이스라엘로 공수되었다.[17] 일부 나지란 유대인들은 코친으로 탈출했는데, 그들은 통치자들과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파라데시 유대인과 무역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기원전 9세기에는 나지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17]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 여러 왕조가 병존했던 고대, 예멘에 독립된 정권이 수립된 중세 시대에 나지란은 역사적 시리아와 페르시아만을 잇는 교역로의 중계지로서 번영했다.[17] 또한, 농업이 가능한 오아시스 지대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아라비아 반도 유수의 중요 거점으로 기능했다.[18]
2세기 말에 에티오피아의 악숨 왕국이 아라비아 반도로 진출했을 때, 나지란은 아라비아에서 악숨의 두 번째 거점으로 여겨졌으며, 대관이 배치되었다.[19] 6세기의 힘야르 왕국 시대에 남 아라비아 유수의 기독교도의 거점이 되었으며, 523년에 힘야르 왕 주 누와스에 의한 나지란의 기독교 공동체영어 탄압으로 많은 순교자를 냈다.[18]
1934년 사우디아라비아-예멘 전쟁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승리하기 전까지, 나지란은 때때로 예멘의 지배를 받았으며, 예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17] 전통 가옥에서 볼 수 있는 방수를 위한 옻칠에 시공된 장식에는 예멘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17]
1965년부터 기존 시가지에 인접한 토지에서 신 시가지 건설이 시작되었고, 신 시가지는 파이살리야로 명명되었다. 신 시가지에는 주택지, 공원, 학교, 병원과 같은 시설이 정비되었으며, 주변에서는 공업 단지 건설도 진행되고 있다.[17]
2018년, 인접국 예멘의 반정부 세력 후티가 발사한 탄도 미사일이 시내로 날아왔다.[20]
2. 5. 이스마일파와의 갈등
이스마일파는 사우디아라비아 남서부 나지란주에 역사적 뿌리를 둔 종교적 및 민족적 소수 집단이다. 이들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정부 고용, 종교적 관습 및 사법 시스템을 포함한 공식적인 차별을 받고 있으며,[13] 정부 관계자들은 이스마일파를 의사 결정 과정에서 배제하고 그들의 신앙을 공개적으로 비하한다.[13]1996년 미샤알 빈 수우드가 나지란의 주지사로 부임하면서 지역 당국과 이스마일파 주민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14] 2000년 4월 23일, 나지란의 홀리데이 인 호텔 밖에서 무장한 이스마일파 시위대와 경찰 및 군 부대 간의 중대한 대립이 발생했는데, 이는 3개월 전 경찰이 종교적 휴일에 모든 타이이비 이스마일파 모스크를 폐쇄하고, 4월 23일 보안군과 종교 도덕 경찰이 이스마일파 성직자를 체포한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미샤알 주지사가 청원자들과의 만남을 몇 시간 동안 거부하자 보안군과 무장 시위대 간의 교전이 벌어져 이스마일파 2명이 사망했고, 일부 정부 발표에 따르면 경찰관 1명도 사망했다.
이스마일파 남성들은 그들의 종교적 정체성이 공격받고 있다고 믿고 다이 알-무틀라크인 이스마일파 종교 지도자의 거점인 쿠샤이와 주변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만수라 모스크 단지를 포함하는 쿠샤이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예멘뿐만 아니라 인도와 파키스탄에도 신도가 있는 술레이마니 이스마일파의 영적 수도였다. 군대는 이스마일파의 위치를 포위하고 도시를 통제하에 두었으나, 대치는 유혈 사태 없이 같은 날 늦게 종료되었다.[14]
2. 6. 최근의 사건
이스마일파는 사우디아라비아 남서부 나지란 주에 역사적 뿌리를 둔 종교적 및 민족적 소수 집단으로, 공식적인 차별로 인해 정체성이 위협받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이스마일파에 대한 공식적인 차별은 정부 고용, 종교적 관습 및 사법 시스템을 포함한다. 정부 관계자들은 이스마일파를 의사 결정 과정에서 배제하고 그들의 신앙을 공개적으로 비하한다.[13]1996년 미샤알 빈 수우드가 나지란의 주지사로 부임하면서, 지역 당국과 이스마일파 주민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고, 2000년 4월 23일, 나지란의 홀리데이 인 호텔 밖에서 무장한 이스마일파 시위대와 경찰 및 군 부대 간의 중대한 대립으로 절정에 달했다. 3개월 전, 경찰은 종교적 휴일에 모든 타이이비 이스마일파 모스크를 폐쇄했다. 4월 23일, 보안군과 종교 도덕 경찰이 이스마일파 성직자를 체포한 후, 미샤알 주지사가 거주하는 홀리데이 인 밖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주지사가 청원자들과 몇 시간 동안 만남을 거부한 후, 보안군과 무장 시위대 간의 교전으로 이스마일파 2명이 사망했으며, 일부 정부 발표에 따르면 경찰관 1명도 사망했다. 이스마일파 남성들은 그들의 종교적 정체성이 공격받고 있다고 믿고 다이 알-무틀라크인 이스마일파 종교 지도자의 거점인 쿠샤이와 주변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만수라 모스크 단지를 포함하는 쿠샤이와는 사우디 아라비아와 예멘뿐만 아니라 인도와 파키스탄에도 신도가 있는 술레이마니 이스마일파의 영적 수도이기도 했다. 군대는 이스마일파의 위치를 포위하고 도시를 통제하에 두었다. 대치는 유혈 사태 없이 같은 날 늦게 종료되었다.[14]
2018년, 인접국 예멘의 반정부 세력 후티가 발사한 탄도 미사일이 시내로 날아왔다.[20]
3. 지리
나지란은 오아시스, 산, 그리고 동쪽의 사막, 이렇게 세 가지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1. 기후
나지란은 아라비아 반도의 전형적인 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구분 ''BWh'')를 보인다. 강우량은 매우 불규칙적이며, 가벼운 개별 강우로 이루어진다. 사우디아라비아 남쪽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지란의 평균 기온은 수도인 리야드보다 약 3.3°C 낮으며, 이는 해발 고도가 700m 더 높기 때문이다. 해발 1,293m의 고지에 위치해 비교적 온화하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4.4 | 26.3 | 28.4 | 31.3 | 34.6 | 36.9 | 36.9 | 36.6 | 34.9 | 30.3 | 26.5 | 25.9 | 31.1 |
평균 기온 (°C) | 16.6 | 18.5 | 21.2 | 24.1 | 27.5 | 28.9 | 29.8 | 29.6 | 27.1 | 22.1 | 18.5 | 17.8 | 23.5 |
평균 최저 기온 (°C) | 8.9 | 10.8 | 14.0 | 16.9 | 20.4 | 21.0 | 22.7 | 22.7 | 19.3 | 14.0 | 10.6 | 9.7 | 15.9 |
강수량 (mm) | 4 | 11 | 57 | 35 | 7 | 0 | 2 | 5 | 2 | 0 | 1 | 8 | 132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5.5 | 28.7 | 31.4 | 33.8 | 37.0 | 38.9 | 39.3 | 39.2 | 36.8 | 32.1 | 28.7 | 26.1 | 32.3 |
평균 기온 (°C) | 17.5 | 20.7 | 23.8 | 26.5 | 30.1 | 31.8 | 32.9 | 32.6 | 29.5 | 24.5 | 21.1 | 18.0 | 25.8 |
평균 최저 기온 (°C) | 8.9 | 12.0 | 15.7 | 18.6 | 21.3 | 22.4 | 25.2 | 24.6 | 20.5 | 15.4 | 12.5 | 9.5 | 17.2 |
강수량 (mm) | 3.4 | 1.2 | 17.0 | 19.2 | 6.5 | 3.5 | 2.1 | 9.7 | 0.1 | 5.0 | 1.9 | 1.0 | 69.5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3 | 1.0 | 5.1 | 8.3 | 2.3 | 0.4 | 2.0 | 2.5 | 0.2 | 1.3 | 1.2 | 0.4 | 26.0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록 기온 (°C) | 36.0 | 38.4 | 39.4 | 40.0 | 42.0 | 43.0 | 44.0 | 43.0 | 42.0 | 38.0 | 35.0 | 36.0 | 44.0 |
평균 최고 기온 (°C) | 26.2 | 29.2 | 32.0 | 34.6 | 37.5 | 39.4 | 39.8 | 39.6 | 37.3 | 32.6 | 28.7 | 26.4 | 33.6 |
평균 기온 (°C) | 17.7 | 20.7 | 24.0 | 27.0 | 30.0 | 31.9 | 33.2 | 32.6 | 29.7 | 24.7 | 20.9 | 18.0 | 25.9 |
평균 최저 기온 (°C) | 9.2 | 12.0 | 15.8 | 19.0 | 21.7 | 23.1 | 25.7 | 24.8 | 21.0 | 15.9 | 12.7 | 9.7 | 17.5 |
최저 기록 기온 (°C) | 1.0 | 3.0 | 4.0 | 11.0 | 14.5 | 16.2 | 17.0 | 17.0 | 15.0 | 7.8 | 3.5 | 1.4 | 1.0 |
강수량 (mm) | 2.9 | 0.9 | 15.0 | 20.1 | 10.5 | 3.0 | 3.7 | 10.7 | 0.1 | 4.7 | 1.7 | 0.5 | 74.1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0.5 | 0.3 | 1.4 | 2.9 | 1.2 | 0.2 | 0.8 | 1.2 | 0.1 | 0.5 | 0.3 | 0.1 | 9.5 |
4. 고고학
나지란은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옛 나지란은 방어용 발코니가 있는 사각형 돌로 지어진 220 x 230미터 크기의 원형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그 안에는 여러 독특한 건물들이 있었다. 외부 벽 남쪽에는 공동묘지가 있었다. 이 유적지 발굴을 통해 유리, 금속, 도자기, 청동 유물과 사각형 및 직사각형 건물도 발견되었다. 나지란시 남쪽에 있는 알-우크두드에서는 당시의 조각과 사람 뼈를 볼 수 있다. 박물관에는 청동 사자 머리를 비롯한 다른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나지란의 랜드마크로는 높이 2m의 화강암 "라스" 석재가 있다.[15]
5. 교육
나지란에는 나지란 대학교와 나지란 기술 전문대학이 있다. 나즈란 대학교는 2006년에 설립된 국립 대학이다.[23]
6. 스포츠
나지란에는 다음과 같은 스포츠 클럽 및 시설이 있다.
클럽/시설명 | 설립 연도 | 비고 |
---|---|---|
알-옥두드 클럽 | 1976년 | |
샤로라 클럽 | 1975년 | |
나지란 FC | 1980년 | |
칼디야트 알-자노브 스포츠 센터 | ||
프린스 미샬 스포츠 센터 | ||
나지란 볼링장 |
축구의 나지란 클럽이 이 곳을 본거지로 하고 있다.
7. 의료
나지란에는 다음과 같은 병원들이 있다.
병원 이름 |
---|
킹 칼리드 병원 |
나지란 종합병원 |
나지란 산부인과 및 아동 병원 |
나지란 군 병원 |
종합 정신 병원 |
알 자페르 병원 |
알 하야 병원 |
알 카디 전문 병원 |
알 시파 의료 병원 |
국제 의료 단지 |
알 마사 치과 센터 |
참조
[1]
웹사이트
Najran Governorate
https://www.citypopu[...]
2024-02-03
[2]
간행물
Description in A. F. L. Beeston "Some Observations on Greek and Latin Data Relating to South Arabia"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London
[3]
서적
The Geography of Strabo
https://penelope.uch[...]
[4]
웹사이트
Historians back BBC over Jewish massacre claim
https://web.archive.[...]
[5]
서적
The Chronicle of Zuqnin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1999
[6]
서적
Muhammad and his followers in context: the religious map of late antique Arabia
Brill
2023
[7]
서적
The Islamic Law of Nations: Shaybānī's Siyar
The Johns Hopkins Press
1966
[8]
서적
Annali dell' Islam
Milano
1911
[9]
서적
History of the Arabs from the Earliest Time to the Present
Macmillan
1951
[10]
서적
In Ishmael's House
2000
[11]
서적
In Ishmael's House
2000
[12]
웹사이트
The last family of Pardesi Jews in Madras « Madras Musings
http://www.madrasmus[...]
2018-02-09
[13]
웹사이트
The Ismāʻīlīs of Najrān. Second-class Saudi citizen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2-04-16
[14]
웹사이트
The Ismailis of Najran. Second-class Saudi citizen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2-04-16
[15]
웹사이트
Najran
https://nabataea.net[...]
[16]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Najran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2-06
[17]
문서
ナジュラーン
世界地名大事典
[18]
문서
ナジュラーン
岩波イスラーム辞典
[19]
간행물
ヒムヤル王国トゥッバァ朝の実体に関する一仮説
東洋文庫
2005-03
[20]
웹사이트
サウジ、イエメンから発射のミサイル7発撃墜 1人死亡
https://www.cnn.co.j[...]
CNN
2018-03-26
[21]
웹사이트
Temperature, Climate graph, Climate table for Najran
//en.climate-data.or[...]
Climate-Data.org
2017-03-19
[22]
웹사이트
Climate Data for Saudi Arabia
http://jrcc.sa/repor[...]
Jeddah Regional Climate Center
2015-12-07
[23]
웹사이트
ナジュラーン大学の学部
http://sa-daigaku.sa[...]
在日サウジアラビア王国大使館 文化部
2013-02-20
[24]
웹인용
Temperature, Climate graph, Climate table for Najran
//en.climate-data.or[...]
Climate-Data.org
2017-03-19
[25]
웹인용
Climate Data for Saudi Arabia
http://jrcc.sa/repor[...]
Jeddah Regional Climate Center
2015-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