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다바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다바오주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디고스 시이다. 1700년대 후반 다투 바고가 다바오 만 주변 영토를 하사받아 마긴다나오족의 지배를 받기 시작했으며, 1848년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누에바 기푸스코아 주가 설립되었다. 1967년 다바오 주가 분할되면서 다바오델수르 주가 되었고, 2013년 다바오옥시덴탈 주가 분리되었다. 이 지역은 아포 산을 포함한 다양한 지형과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세부아노어를 주로 사용한다. 인구는 2020년 기준 680,481명이며, 기독교가 주된 종교이다. 바고보족, 타가카오로족, 칼라간족 등 다양한 원주민 부족이 거주하며,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바오 지방 - 북다바오주
    북다바오주는 필리핀 다바오 지방 북중앙부에 위치한 주로, 1967년 다바오주에서 분할되어 형성되었고 1998년 다바오데오로주 분리 후 현재 영역을 가지며, 바나나 생산량이 가장 많은 농업 중심지이고 주도는 타굼이다.
  • 다바오 지방 - 동다바오주
    동다바오주는 필리핀 민다나오 섬 동부에 위치하고 마티 시를 주도로 하는 주로서, 다바오 주에서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필리핀 해와 다바오 만에 접하고, 스페인과 미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일본군 점령을 겪었으며, 코코넛, 바나나, 팜오일 등의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남다바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다바오델수르 주 깃발
깃발
다바오델수르 주 문장
문장
공식 명칭다바오델수르 주
현지 명칭세부아노어: Habagatang Dabaw
필리핀어: Katimugang Davao
어원다바오델수르 (남쪽 다바오)
지역다바오 지방 (제11구)
설립일1967년 5월 8일
중심지디고스
면적2,163.98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0년)680,481명
인구 밀도310명/제곱킬로미터
인구 별칭남부 다바오인
시간대PHT (UTC+8)
소득 분류1등급
웹사이트davaodelsur.gov.ph
가장 큰 도시다바오 시
사용 언어아타 마노보어
세부아노어
기앙간어
칼라간어
마티그살루그어
오보어
타가바와어
타갈로그어/필리핀어
영어
정치
주지사Yvonne Roña-Cagas (NP)
부주지사Riafe Cagas-Fernandez (NP)
하원 의원John Tracy F. Cagas (NP)
행정 구역
독립시다바오 시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
구성 도시디고스
지방 자치체반살란
하고노이
키블라완
막사이사이
말랄라그
마타나오
파다다
산타크루스
술롭
바랑가이232개 (독립시 414개 포함)
하원 의원 선거구다바오델수르 주의 입법 선거구
다바오 시의 입법 선거구
지리
최대 해발고도2,954 m (아포 산)

2. 역사

다바오 지역과 남다바오 주의 역사는 1848년 호세 우양구렌이 이끄는 스페인 원정대가 다바오 만 지역을 정복하면서 시작되었다. 1849년, 우양구렌이 정복한 지역에 누에바 기푸스코아 주가 설립되었고, 다바오(당시 누에바 베르가라)가 주도가 되었다.[1] 그러나 우양구렌의 개발 노력은 실패로 끝났다.[1]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하면서 필리핀의 스페인 통치는 끝났다.[1] 1900년대 초, 비사야, 루손, 일본 등지에서 온 이민자들이 다바오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 정착하여 농업을 기반으로 한 경제 성장이 시작되었다.[1]

1942년 태평양 전쟁 중 일본군이 남다바오 주를 점령했다.[1] 1945년, 미국과 필리핀 연방 군대가 다바오 출신 게릴라들의 지원을 받아 남다바오 주를 해방시켰다.[2]

1967년, 다바오 주는 남다바오 주를 포함한 세 개의 주로 분할되었고, 디고스가 주도가 되었다.[1]

2. 1. 마긴다나오 시대

마긴다나온 다투(Datu)인 다투 바고는 1700년대 후반 스페인과의 전쟁에 참여한 공로로 마긴다나오 술탄국술탄으로부터 다바오 만 주변 영토를 하사받았다. 그는 1800년에 마긴다나오에 있는 그의 조상들의 고향에서 그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바고보족과 그 지역의 다른 원주민들을 설득하여 다바오 만 전체 지역을 정복했다.[2] 그는 1830년 현재 방케로한 공설 시장이 있는 곳에 요새인 '피나구라산'을 건설했고, 이곳은 그의 수도 역할을 했다.[3] 피나구라산 정착지는 다투 바고가 군대를 모으고 결집할 수 있는 요새이자 작전 기지였으며, 결국 방케로한의 제네로소 다리에서 남쪽으로 1km 이상 떨어진 케손 대로까지 뻗어 있는 작은 도시로 성장했다.[2] 마긴다나온족과 바고보족을 비롯한 주변 부족들이 정착지로 몰려들면서 다바오 만 지역의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4] 다투 바고는 다바오 만에 대한 그의 막대한 지배력으로 1843년 수도인 피나구라산에서 그의 신하들에 의해 술탄으로 즉위하여, 마긴다나오 술탄국으로부터 사실상 독립한 왕국을 건설했고, 현재는 마긴다나오 술탄국술루 술탄국과 동등한 지위에 있는 다바오 만을 지배하는 술탄국이 되었다.[3]

2. 2. 스페인 식민 시대

다바오 지역과 남다바오주의 시작은 모두 1848년 호세 우양구렌이 바스크 지방 기푸스코아(스페인어로는 Guipúzcoa)에서 이 지역을 정복한 후 남부 민다나오에 처음으로 세워진 도시인 다바오 건립과 관련이 있다. 1849년, 현재 다바오 지역에 해당하는 우양구렌이 정복한 지역에 누에바 기푸스코아 주가 설립되었으며, 당시 ''누에바 베르가라''라고 불렸던 다바오가 주의 주도였다.[1] 우양구렌은 주지사가 되었지만, 누에바 기푸스코아를 개발하려는 그의 노력은 실패로 끝났다.[1]

다바오가 건립된 지 36년 후인 1884년 10월 5일, 산타 크루스 마을이 설립되었다.[1] 이곳은 다바오 남쪽에 세워진 최초의 마을이며, 현재 이 주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다.[1]

2. 3. 미국 침략 시대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하면서 1898년에 필리핀의 스페인 행정은 종식되었다.[1] 1900년대 초, 비사야, 루손, 그리고 일본에서 온 이민자들이 다바오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은 농업 사업이 번창하면서 경제 성장을 시작했다.[1]

현재 남다바오주의 "곡창 지대"의 일부인, 일명 ''파다다 계곡''은 당시 ''디고스''로 알려진 산타크루스 마을 남쪽의 농업 지역으로 많은 이주민들을 끌어들였으며, 그들 중 대다수는 비사야와 일로코스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전, N.E. 크럼(N.E. Crumb)이라는 사업가 기질이 있는 미국인이 10.24km2를 임대하여 마닐라 삼 농장으로 변모시켰다. 이곳은 당시 이 지역의 경제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1]

2. 4. 일본 점령 시대

1942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이 남다바오주에 상륙했다.[1]

1945년 미국과 필리핀 연방 군대가 남다바오주를 해방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다바오 출신 게릴라들이 지원했다.[2]

2. 5. 필리핀 독립

1967년, 다바오 주가 세 개의 주로 분할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남다바오 주였다.[1] 디고스가 주도가 되었고, 이후 33년 동안 교외 도시로 있었다.[1]

3. 지리

남다바오주는 민다나오섬다바오 지방 남서쪽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2163.98km2이다.[1] 다바오시를 지리적 목적으로 포함하면, 이 주의 면적은 4607.59km2이다.[1] 북쪽으로 다바오델노르테주, 남동쪽으로 다바오옥시덴탈주, 서쪽으로는 북코타바토주와 술탄쿠다라트주, 남서쪽으로는 남코타바토주사랑가니주, 동쪽으로는 다바오만에 접해 있다.

3. 1. 지형

남다바오주는 민다나오섬다바오 지방 남서쪽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2163.98km2이다.[1] 다바오시를 지리적 목적으로 포함하면, 이 주의 면적은 4607.59km2이다.[1] 남다바오주는 북쪽으로는 다바오델노르테주, 남동쪽으로는 다바오옥시덴탈주, 서쪽으로는 북코타바토주와 술탄쿠다라트주, 남서쪽으로는 남코타바토주사랑가니주, 동쪽으로는 다바오만과 접해 있다.

이 주는 모래 해변과 외딴 섬, 농업 평원과 계곡, 열대 우림, 늪지, 구릉과 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아포산(2954m)도 포함한다.

3. 2. 행정 구역

남다바오 주는 9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구성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단일 선거구에 포함된다.[1] 다바오 시는 지리적 및 통계적 목적으로는 주에 속하지만, 주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관리된다.[1]

도시 또는 지방 자치체인구 (2020년)면적 (km2)인구 밀도 (/km2)바랑가이 수
반살란62,737157.75km2400PD/km225
다바오 시 ‡1,776,9492443.61km2730PD/km2182
디고스 시 †188,376287.1km2660PD/km226
하고노이56,919114.28km2500PD/km221
키블라완49,381390.07km2130PD/km230
막사이사이56,263268.09km2210PD/km222
말라락40,158186.12km2220PD/km215
마타나오60,493202.4km2300PD/km233
파다다29,87883km2360PD/km217
산타크루스101,125319.91km2320PD/km218
술로프35,151155.26km2230PD/km225
총계680,4812163.98km2310PD/km2232


  • † 디고스 시는 주도이다.
  • ‡ 다바오 시는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주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3. 3. 기후

남다바오 주는 지형적 특성과 지리적 위치 덕분에 태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일 년 내내 온화하고 쾌적한 기후를 보인다. 뚜렷한 우기나 건기는 없다. 가장 서늘한 달은 11월부터 2월까지로 평균 기온은 25°C이다. 3월부터 5월까지의 성수기 여름철에는 평균 기온이 28°C까지 오르지만 32°C까지 상승할 수 있다.[15]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다바오주의 인구는 680,481명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310명이다. 다바오시를 지리적 목적으로 포함하면, 주의 인구는 2,265,579명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490명이다.

남다바오 주 인구 조사[11][12]
연도인구±% p.a.
1990390,436
1995437,737+2.15%
2000497,243+2.78%
2007556,070+1.53%
2010574,910+1.16%
2015632,588+1.88%
2020680,481+1.46%
(다바오시 제외; 2000년 이전 데이터는 2013년까지 주의 일부였던 서다바오주의 시/군 제외)


4. 1. 민족 구성

비사야족(대부분 세부아노족), 중국계 필리핀인, 필리핀의 일본인, 한국인과 주 전역에 흩어져 있는 여러 토착 민족 집단이 남다바오주에 거주하고 있다. 세부아노어는 다바오에뇨를 지역 방언으로 사용하며, 주의 주요 언어이지만, 필리핀어영어도 정부 기능 및 간행물에서 널리 사용된다. 20세기 후반부터, 메트로 다바오 지역에서 현지인들이 '국어'(필리핀어)로 언어 이동하거나 세부아노어에 필리핀어 용어와 문법을 혼합하는 언어 현상이 발생했다.[1]

4. 2. 언어

비사야족(대부분 세부아노족) , 중국계 필리핀인, 필리핀의 일본인, 한국인 등 여러 민족이 섞여 사는 남다바오주에서는 세부아노어의 지역 방언인 다바오에뇨가 주로 사용된다. 필리핀어영어도 정부 기능 및 간행물에서 널리 쓰인다. 20세기 후반부터 메트로 다바오 지역에서는 현지인들이 '국어'(필리핀어)로 언어 이동을 하거나, 세부아노어에 필리핀어 용어와 문법을 섞어 쓰는 현상이 나타났다.

4. 3. 종교

기독교는 필리핀에서 로마 가톨릭교회 형태로 존재하며, 남다바오 주의 주요 종교이며 80% 이상이 따르고 있다. 그 외 종교로는 이슬람교, 아글리파얀, 침례교, Iglesia ni Cristo,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 여호와의 증인 등이 있다.

4. 4. 원주민 부족

마긴다나온 다투(Datu)인 다투 바고는 1700년대 후반 스페인과의 전쟁에 참여한 공로로 마긴다나오 술탄국술탄으로부터 다바오 만 주변 영토를 하사받았다. 그는 마긴다나오에 있는 그의 조상들의 고향에서 1800년에 그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바고보족과 그 지역의 다른 원주민들을 설득하여 다바오 만 전체 지역을 정복했다.[2] 그는 1830년 현재 방케로한 공설 시장이 있는 곳에 요새인 '피나구라산'을 건설했고, 이곳은 그의 수도 역할을 했다.[3]

주요 모로 민족 집단은 카간 부족으로, 마긴다나오 술탄국의 일부였기 때문에 타가카오로스, 만다야, 만사카, 칼라간과 관련된 이슬람화된 집단이다. 다바오델수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일부 모로 부족으로는 마긴다나온, 마라나오, 타우수그 및 이란운이 있다.

다바오 시 출신의 루마드족 여성. 루마드족은 이 지방에서 가장 큰 토착 민족을 형성한다.


바고보족은 다바오델수르와 남코타바토에서 아포 산 기슭과 다바오 시까지, 다바오 강과 풀랑기 강에 접한 지역, 북부 코타바토와 남동부 부키드논까지 이르는 지역에 거주한다. 약 8만 명에 달하며, 전통 의상은 마닐라 삼 섬유로 짜여졌으며, 구슬, 조개, 금속 원반, 자수, 밝은 색의 기하학적 아플리케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바고보족은 다바오 민족 집단 중 가장 눈부신 의상을 가지고 있지만, 특별한 경우에만 착용한다. 만다야족과 만사카족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눈썹을 얇은 선으로 밀고, 이빨을 갈고 검게 칠한다. 바고보족 대장장이는 작은 종을 주조하여 주머니, 팔찌, 재킷, 발목걸이, 상감 금속 상자에 부착한다.

타가카오로족은 약 2만 3천 명으로, 만의 서쪽 해안과 아포 산의 경사면 사이 지역에 거주한다. 이들은 이슬람 개종을 거부하고 고지대 애니미즘 문화를 유지했던 부족 중 하나이다.

칼라간족은 부분적으로 이슬람화되고 부분적으로 기독교화되었으며, 타가카오로족과 관련이 있다. 약 7천 명에 불과하며, 다바오 만 연안을 따라 거주한다.

망구앙간족은 현재 3천 명에 불과하다. 그들은 다바오델수르와 다바오델노르테에서 발견된다.

두 집단 모두에서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손으로 짠 마닐라 삼 튜브 스커트, 자수된 파란색 면 상의, 그리고 무거운 장신구를 착용한다. 남성들은 넓은 파란색 또는 흰색 술 장식 및 자수 바지, 그리고 헐렁한 셔츠를 입는다. 빨간색은 족장("바가니")과 지위가 높은 여성만을 위한 색상이다.

아에타족은 다바오 시에서 다바오델노르테 주, 콤포스텔라밸리 주, 부키논 주에 걸쳐 거주한다. 그들은 코타바토의 마노보족과 관련이 있으며, 다바오델노르테 주, 카팔롱 숲의 ''탈라잉고드''와 ''마티그살루그''와 같은 하위 집단을 포함한다. 약 22만 2천 명에 달하는 아타족 남성은 긴 소매 셔츠를 입고, 창을 들고 다니며, 사냥하고, 벌목하고, 작물을 재배한다. 여성들은 전통 블라우스, "말롱" 치마, 팔찌와 구슬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를 착용한다. ''만다야''와 ''만사카''는 문화적으로 관련된 집단으로, 5현 대나무 기타, 2현 류트, 바이올린, 플루트, 꽹과리, 드럼, 대나무 유대인 하프를 연주하는 등 음악적 재능이 뛰어나다. 그들은 또한 흉갑, 보석, 단검, 칼을 제작하는 훌륭한 은세공인이다. ''만다야''는 부족 문양이 수 놓인 다채로운 마닐라 삼 섬유 직조로 유명하다.

5. 경제

연도빈곤율 (%)
2006
2009
2012
2015
2018
2021



'''출처:''' 필리핀 통계청[7][10][11][12][13][14]

6. 문화

다바오의 다채로운 예술 유산은 이 지역 부족들의 풍부한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바고보족에게 미학은 무기를 세밀하게 조각하는 것, 방울이 달린 상감 금속 상자를 정교하게 장식하는 것, 자수, 조개, 구슬, 금속 디스크로 아바카 섬유 의상을 장식하는 것이다. 반면 만다야족은 직조에 확고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유명한 거친 질감의 천을 만들기 위해 아바카 섬유에 흙 염료를 입히고 등틀로 짠다.

최종 제품은 밝은 색상의 실로 기하학적 패턴으로 수놓아지며, 부족 민속의 일부 요소도 디자인에 포함된다. 만사카족은 만다야족과 함께 은세공 전문가이다. 그들은 무기, 흉갑, 의상 액세서리를 제작한다.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인이다. 다바오는 또한 기독교 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조화롭게 융합된 곳이다. 그러나 가장 놀라운 문화적 측면은 음악, 무용, 종교 의식, 의상 및 장식을 포괄하는 민족 예술이다.

7. 정치

직책이름
주지사이본 로냐 카가스
부지사리아페 "아이아이" 카가스-페르난데스
하원의원 (다바오델수르 단독 선거구)존 트레이시 카가스


8. 주요 인물

남다바오주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지직업
케이제드 탕딘디고스가수
네스티 페테시오산타크루스권투 선수
로날드 델라 로사산타크루스정치인
케일 칼가수
스코티 톰슨파다다농구 선수
헤수스 두레자하고노이2016-2018 평화 프로세스 대통령 고문
제이 손자반살란전 뉴스 캐스터, 전 토크쇼 진행자 및 블로거


8. 1. 주 내


  • 케이제드 탕딘 - 가수 (디고스)
  • 네스티 페테시오 - 권투 선수 (산타크루스)
  • 로날드 델라 로사 - 정치인 (산타크루스)
  • 케일 칼 - 가수
  • 스코티 톰슨 - 농구 선수 (파다다)
  • 헤수스 두레자 - 2016-2018 평화 프로세스 대통령 고문 (하고노이)
  • 제이 손자 - 전 뉴스 캐스터, 전 토크쇼 진행자 및 블로거 (반살란)

참조

[1] 웹사이트 Province: Davao del Sur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4-05-01
[2] 서적 Davao, Reconstructing History from Text to Memory Ateneo de Davao
[3] 웹사이트 Datu Mama Bago: villain or hero? https://mindanaotime[...] Mindanao Times 2019-03-16
[4] 서적 Davao in the Pre-conquest Era and the Age of Colonization Lethei Printing and Publishing House
[5] 웹사이트 DavSur voters approve of Davao Occidental http://r11.pia.gov.p[...] 2013-10-30
[6]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Davao del Sur, Philippines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07-15
[7]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8] 기타 2000
[9] 기타 2003
[10] 기타 2006
[11] 기타 2012
[12] 기타 2015
[13] 기타 2018
[14] 기타 2021
[15]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Davao del Sur, Philippines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07-15
[16]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7] 기타 2000
[18] 기타 2003
[19] 기타 2006
[20] 기타 2012
[21] 기타 2015
[22] 기타 2018
[23] 기타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