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부순환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부순환로는 서울특별시의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를 통과하는 도로이다. 1978년 남부순환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남부순환로로 개칭되었다. 1977년부터 1993년까지 통행료를 징수했으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기도 했다. 주요 경유지로는 김포공항, 양재역, 사당역 등이 있으며, 다양한 교차로와 나들목을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명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광명시의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서울 관악구의 교통 - 남태령
    남태령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과천시를 연결하는 고개로, 조선 시대에는 한양에서 삼남 지방으로 가는 주요 길목이었으며 정조가 이름을 하사했고 소설 《춘향전》에도 등장한다.
남부순환로
지도
기본 정보
도로 종류서울특별시도
노선 번호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의 일부 (안내용), 서울특별시도 제42호선의 일부 (관리용)
노선명남부순환로
영문 명칭Nambu Beltway
한자 명칭남부순환路
로마자 표기Nambu sunhwan-ro
총연장32.62 km
개통년1977년
기점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주요 경유지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기도 광명시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주요 교차 도로구 경부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개화동로
방화대로
국회대로
경인로
시흥대로
난곡로
신림로
관악로
동작대로
과천대로
효령로
반포대로
강남대로
삼성로
영동대로
양재대로
주요 나들목
나들목신월 나들목
오류 나들목
구로 나들목
시흥 나들목
서초 나들목
수서 나들목

2. 역사

1977년 8월 16일 : 영등포구 독산동 ~ 신월동 구간에 통행료 징수 개시[2]

1978년 6월 30일 : 명일동 ~ 방화동 (서울댐 남단) 46km 구간을 '''남부순환도로'''로 지정[3]

1984년 11월 16일 : '''남부순환로'''로 개칭 및 기점과 종점을 각각 대치동 (영동대로)와 공항입구 4거리로 변경하여 29.4km로 노선 단축[4]

1986년 9월 15일 : 시흥 나들목 ~ 오류 나들목 5.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

1993년 7월 3일 : 구로구 독산동 ~ 양천구 신월동 구간 통행료 징수 종료[5]

2006년 3월 2일 : 시흥 나들목 ~ 구로 나들목 2.2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7]

2009년 7월 10일 : 수서 나들목 ~ 둔촌사거리 4.8 km 구간이 양재대로로 편입되면서 종점이 수서 나들목으로 변경됨

2010년 3월 15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남부순환로'''를 고시[8]

2014년 6월 19일 : 구로 나들목 ~ 오류 나들목 3.2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9]

2021년 11월 18일: 광복교 ~ 사성교(옛 안양교) 6차로 확장 완료[10]

2. 1. 개통 초기

1977년 8월 16일 영등포구 독산동 ~ 신월동 구간에서 통행료 징수가 시작되었다.[2] 1978년 6월 30일에는 명일동에서 방화동(서울댐 남단)까지 46km 구간이 남부순환도로로 지정되었다.[3] 1984년 11월 16일 남부순환로로 이름이 바뀌었고, 기점과 종점이 각각 대치동 (영동대로)과 공항입구 사거리로 변경되어 노선이 29.4km로 단축되었다.[4] 1993년 7월 3일 구로구 독산동 ~ 양천구 신월동 구간의 통행료 징수가 종료되었다.[5]

1986년 9월 15일 시흥 나들목 ~ 오류 나들목 5.4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나,[6] 2006년 3월 2일 시흥 나들목 ~ 구로 나들목 2.2 km 구간,[7] 2014년 6월 19일 구로 나들목 ~ 오류 나들목 3.2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다.[9]

2009년 7월 10일 수서 나들목 ~ 둔촌사거리 4.8 km 구간이 양재대로로 편입되면서 종점이 수서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15일에는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남부순환로가 고시되었다.[8] 2021년 11월 18일에는 광복교 ~ 사성교(옛 안양교) 구간이 6차로로 확장되었다.[10]

2. 2. 통행료 징수 및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

1977년 8월 16일, 영등포구 독산동 ~ 신월동 구간에 통행료 징수가 개시되었다.[2] 1978년 6월 30일에는 명일동에서 방화동(서울댐 남단)까지의 46km 구간이 '''남부순환도로'''로 지정되었다.[3] 이후 1984년 11월 16일, '''남부순환로'''로 개칭되었고, 기점과 종점이 각각 대치동 (영동대로)과 공항입구 4거리로 변경되면서 노선이 29.4km로 단축되었다.[4] 1993년 7월 3일, 구로구 독산동 ~ 양천구 신월동 구간의 통행료 징수가 종료되었다.[5]

1986년 9월 15일, 시흥 나들목 ~ 오류 나들목 5.4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6] 그러나 2006년 3월 2일, 시흥 나들목 ~ 구로 나들목 2.2 km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고,[7] 2014년 6월 19일에는 구로 나들목 ~ 오류 나들목 3.2 km 구간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다.[9]

2009년 7월 10일, 수서 나들목 ~ 둔촌사거리 4.8 km 구간이 양재대로로 편입되면서 종점이 수서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15일에는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남부순환로'''가 고시되었다.[8] 2021년 11월 18일에는 광복교 ~ 사성교(옛 안양교) 구간의 6차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10]

2. 3. 노선 변경 및 자동차 전용도로 해제

1978년 6월 30일, 명일동에서 방화동(서울댐 남단)까지 46km 구간을 '''남부순환도로'''로 지정했다.[3] 1984년 11월 16일, '''남부순환로'''로 개칭하면서 기점과 종점을 각각 대치동(영동대로)과 공항입구 사거리로 변경하여 29.4km로 노선을 단축했다.[4]

1986년 9월 15일, 시흥 나들목에서 오류 나들목까지 5.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했다.[6] 2006년 3월 2일, 시흥 나들목 ~ 구로 나들목 2.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했고,[7] 2014년 6월 19일에는 구로 나들목 ~ 오류 나들목 3.2km 구간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했다.[9]

1977년 8월 16일, 영등포구 독산동에서 신월동 구간에 통행료 징수를 시작했으나,[2] 1993년 7월 3일, 구로구 독산동에서 양천구 신월동 구간의 통행료 징수가 종료되었다.[5]

2009년 7월 10일, 수서 나들목 ~ 둔촌사거리 4.8km 구간이 양재대로로 편입되면서 종점이 수서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15일에는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남부순환로'''를 고시했다.[8] 2021년 11월 18일에는 광복교 ~ 사성교(옛 안양교) 구간의 6차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10]

2. 4. 최근 현황

1977년 8월 16일, 영등포구 독산동 ~ 신월동 구간에서 통행료 징수가 시작되었다.[2] 1978년 6월 30일에는 명일동에서 방화동(서울댐 남단)까지 46km 구간이 '''남부순환도로'''로 지정되었다.[3] 1984년 11월 16일, '''남부순환로'''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기점과 종점이 각각 대치동 (영동대로)과 공항입구 4거리로 변경되어 29.4km로 노선이 단축되었다.[4]

1986년 9월 15일, 시흥 나들목 ~ 오류 나들목 5.4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나,[6] 2006년 3월 2일 시흥 나들목 ~ 구로 나들목 2.2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다.[7] 1993년 7월 3일에는 구로구 독산동 ~ 양천구 신월동 구간의 통행료 징수가 종료되었다.[5]

2009년 7월 10일, 수서 나들목 ~ 둔촌사거리 4.8 km 구간이 양재대로로 편입되면서 종점이 수서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3월 15일에는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남부순환로'''가 고시되었다.[8] 2014년 6월 19일, 구로 나들목 ~ 오류 나들목 3.2 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다.[9] 2021년 11월 18일에는 광복교 ~ 사성교(옛 안양교) 6차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10]

3. 주요 경유지

서울특별시

: 강서구 - 양천구 - 구로구

경기도 광명시

서울특별시

: 구로구 - 금천구 - 관악구 - 동작구 - 서초구 - 강남구

3. 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구간은 강서구에서 시작하여 양천구를 거쳐 구로구에 이른다. 이후 경기도 광명시를 지나 다시 서울특별시 구로구로 진입하여 금천구,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를 거쳐 강남구까지 이어진다.

3. 2. 경기도

광명시를 지난다.

4. 노선

서울대입구역 사거리와 봉천로 사거리


사당역 사거리 - 경남아파트 사거리


남부순환로는 개화동로와 직결되어 시작하여 밤고개로와 직결되며 끝난다. 주요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11][1]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개화동로와 직결
김포공항입구 교차로김포국제공항
(하늘길)
국도 제48호선
(공항대로)
방화동로
서울특별시 강서구공항지하차도
공항동천주교회송정로서울특별시 강서구
송정중학교서울특별시 강서구
외발산사거리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
(방화대로)
(발산로)
서울특별시 강서구외발산지하차도
강서운전면허시험장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면허시험장 교차로수명로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입구 교차로화곡로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사거리가로공원로서울특별시 양천구
양서중학교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서울호수공원앞 교차로곰달래로
남부순환로58길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 나들목120호선 경인고속도로
국회대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과학수사연구원입구 교차로오목로
남부순환로72길
서울특별시 양천구
강월초교입구 교차로신월로서울특별시 양천구
서부트럭터미널 교차로신정로서울특별시 양천구서부트럭터미널앞지하차도
개봉1동사거리고척로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 나들목국도 제46호선
경인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철도지하차도서해안로서울특별시 구로구개화 방면 진입 불가
개봉고가차도개봉로19길
남부순환로95길
서울특별시 구로구개봉지하차도
광복교경기도 광명시
사성교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 나들목가마산로
구일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고가차도서울특별시 구로구
(이름 없음)구로동로
벚꽃로36길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단지오거리가산로
디지털로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연희미용고입구 교차로남부순환로108길
남부순환로407길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가산초등학교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 나들목시흥대로서울특별시 금천구, 관악구
구로전화국 교차로독산로
조원중앙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구 보훈회관서울특별시 관악구
난곡사거리난곡로서울특별시 관악구신림봉천터널(공사중)
봉림교관천로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역사거리
(신림역)
신림로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우체국 교차로남부순환로191길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역서울특별시 관악구
(이름 없음)양녕로서울특별시 관악구개화 방면만 진출입 가능
서울대입구역 교차로
(서울대입구역)
관악로서울특별시 관악구
원당초교입구 교차로봉천로서울특별시 관악구
낙성대입구 교차로낙성대로
남부순환로237길
서울특별시 관악구
낙성대역서울특별시 관악구
까치고개 교차로인헌길
남부순환로249길
서울특별시 관악구
사당역사거리
(사당역)
(사당고가차도)
과천대로
동작대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관악구
서울교통공사 교차로효령로서울특별시 서초구
경남아파트앞 교차로방배로서울특별시 서초구
래미안아트힐 교차로명달로서울특별시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술의 전당
서울특별시 서초구
예술의전당 교차로반포대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삼거리서초중앙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나들목구 경부고속도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구청 교차로서운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구청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역사거리
(양재역)
강남대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1동주민센터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전화국사거리논현로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매봉역 교차로
(매봉역)
남부순환로377길
남부순환로378길
서울특별시 강남구
아성다이소서울특별시 강남구
매봉터널 교차로언주로서울특별시 강남구
숙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중학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역 교차로
(도곡역)
선릉로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역 교차로
(대치역)
삼성로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울대곡초등학교서울특별시 강남구
학여울역 교차로
(학여울역)
국도 제4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대치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탄천1교 교차로
(대치지하차도)
삼전로서울특별시 강남구지하차도 개화 방면만 통행
(이름 없음)개포로서울특별시 강남구수서 방면 진출입만 가능
수서 나들목동부간선도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양재대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와 직결


4. 1. 주요 교차로 및 나들목



남부순환로의 주요 교차로는 다음과 같다.[11][1]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개화동로와 직결
김포공항입구 교차로김포국제공항
(하늘길)
국도 제48호선
(공항대로)
방화동로
서울특별시 강서구공항지하차도
외발산사거리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
(방화대로)
(발산로)
서울특별시 강서구외발산지하차도
화곡로입구 교차로화곡로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사거리가로공원로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 나들목120호선 경인고속도로
국회대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부트럭터미널 교차로신정로서울특별시 양천구서부트럭터미널앞지하차도
개봉1동사거리고척로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 나들목국도 제46호선
경인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철도지하차도서해안로서울특별시 구로구개화 방면 진입 불가
광복교경기도 광명시
구로 나들목가마산로, 구일로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고가차도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단지오거리가산로, 디지털로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 나들목시흥대로서울특별시 관악구
구로전화국 교차로독산로, 조원중앙로서울특별시 관악구
난곡사거리난곡로서울특별시 관악구신림봉천터널(공사중)
신림역사거리
(신림역)
신림로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입구역 교차로
(서울대입구역)
관악로서울특별시 관악구
낙성대입구 교차로낙성대로, 남부순환로237길서울특별시 관악구
까치고개 교차로인헌길, 남부순환로249길서울특별시 관악구
사당역사거리
(사당역)
(사당고가차도)
과천대로, 동작대로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초구
예술의전당 교차로반포대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나들목구 경부고속도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역사거리
(양재역)
강남대로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전화국사거리논현로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매봉터널 교차로언주로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역 교차로
(도곡역)
선릉로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역 교차로
(대치역)
삼성로서울특별시 강남구
학여울역 교차로
(학여울역)
국도 제4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탄천1교 교차로
(대치지하차도)
삼전로서울특별시 강남구지하차도 개화 방면만 통행
수서 나들목동부간선도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양재대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와 직결


4. 2. 통과하는 다리

광복교와 안양교는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다리이다.[1] 봉림교는 관천로 위에 있다.

5. 통행료 (폐지)

1977년 8월 16일부터 1993년 7월 3일까지 남부순환로의 금천구 독산동 ~ 강서구 신월동 구간에서 통행료를 징수했다. 본래 통행료는 1997년 12월 31일까지 징수할 계획이었다.

구분통행료
2륜, 3륜차50원
승용차, 버스, 화물차100원
특수차 (10t 이상 화물차 포함)200원


6. 주요 건물 및 시설

송정중학교 (서울특별시 강서구 남부순환로 121)

강서운전면허시험장 (서울특별시 강서구 남부순환로 171)

서부여성발전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남부순환로 371)

양서중학교 (서울특별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380)

신월119안전센터 (서울특별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448)

국도산업 (서울특별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594)

가리봉파출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남부순환로 1275)

서울가산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남부순환로 1288)

서울가산초등학교 (서울특별시 금천구 남부순환로 1304-11)

원음방송 (서울특별시 금천구 남부순환로 1350)

서울창업비즈니스도서관 (2025년 1월 예정)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435)

관악가족행복센터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491)

서울관악우체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643)

서울행운동우체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841)

서울특별시 교육연수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248)

아리랑 TV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51)

국립국악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초동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74)

예술의 전당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외교센터빌딩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서초구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84)

양재1동주민센터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610)

아성다이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748)

숙명여자고등학교·숙명여자중학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807)

대치지구대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907)

서울대곡초등학교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3022)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3104)

6. 1. 강서구



남부순환로의 강서구 구간은 김포공항입구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외발산사거리를 거쳐 양천구로 이어진다.[1] 송정중학교(남부순환로 121), 강서운전면허시험장(남부순환로 171)이 위치해 있다.[1]

'''IS''': 교차로, '''IC''': 나들목

이름 [1]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참고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개화동로)와 직접 연결
김포공항입구 교차로 (Gimpo Airport Entrance IS)김포공항입구 교차로김포국제공항
(하늘길)
국도 제48호선
(공항대로)
방화동로
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강서구공항 지하차도
공항동천주교회 (Gonghang-dong Catholic Church)공항동천주교회송정로
송정중학교 (Songjeong Middle School)송정중학교
외발산사거리 (Oebalsan IS)외발산사거리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
(방화대로)
(발산로)
외발산 지하차도
강서운전면허시험장 (Gangseo License Examination Center)강서운전면허시험장
강서면허시험장 교차로 (Gangseo License Examination Center IS)강서면허시험장 교차로수명로


6. 2. 양천구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의 일부인 남부순환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를 경유한다. 화곡로입구 교차로에서 화곡로와 교차하며, 신월사거리에서는 가로공원로와 교차한다.[1] 양서중학교가 남부순환로 380에 위치해 있다. 서서울호수공원 교차로에서는 곰달래로 및 남부순환로58길과 연결된다.[1] 신월 나들목에서는 경인고속도로국회대로로 진입할 수 있다.[1] 과학수사연구원입구 교차로에서는 오목로 및 남부순환로72길과 교차하고, 강월초교입구 교차로에서는 신월로와 연결된다.[1] 서부트럭터미널 교차로에서는 신정로와 교차하며, 이 교차로는 서부트럭터미널 지하차도로 연결된다.[1]

6. 3. 구로구



구로구 구간은 개봉1동사거리, 오류 나들목, 개봉철도지하차도, 개봉고가차도, 광복교, 구로 나들목, 가리봉고가차도를 지난다. 개봉1동사거리에서는 개봉로와 교차하고, 오류 나들목에서는 국도 제46호선 및 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 (경인로)과 교차한다.[1] 개봉철도지하차도에서는 서해안로와 교차하지만 개화 방면 진입은 불가능하다.[1] 개봉고가차도는 개봉로19길 및 남부순환로95길과 교차하며, 개봉 지하차도가 설치되어 있다.[1] 광복교는 구로구경기도 광명시의 경계에 있다. 구로 나들목에서는 가마산로 및 구일로와 교차하며, 가리봉고가차도는 구로동로 및 벚꽃로36길과 교차하는 이름 없는 교차로 위에 있다.[1] 가리봉파출소는 남부순환로 1275에 위치해 있다.

6. 4. 금천구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지나는 남부순환로는 디지털단지오거리에서 시흥 나들목까지 구간이다. 디지털단지오거리는 가산로디지털로와 교차하며, 서울연희미용고입구 교차로는 남부순환로108길 및 남부순환로407길과 연결된다.[1] 서울가산초등학교가 이 구간에 위치해 있다.[1] 시흥대로와 만나는 시흥 나들목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과 연결된다.[1]

6. 5. 관악구



남부순환로 관악구 구간은 시흥 나들목부터 사당역사거리까지이다.[1] 구로전화국 교차로, 난곡사거리, 신림역사거리, 관악우체국 교차로,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교차로, 원당초교입구 교차로, 낙성대입구 교차로, 낙성대역, 까치고개 교차로를 지난다.[1]

시흥대로와 만나는 시흥 나들목, 독산로·조원중앙로와 만나는 구로전화국 교차로, 난곡로와 만나는 난곡사거리, 신림-봉천터널(건설 중), 관천로와 만나는 봉림교, 신림로와 만나는 신림역사거리(신림역), 남부순환로191길과 만나는 관악우체국 교차로, 봉천역, 양녕로, 관악로와 만나는 서울대입구역 교차로(서울대입구역), 봉천로와 만나는 원당초교입구 교차로, 낙성대로·남부순환로237길과 만나는 낙성대입구 교차로, 낙성대역, 인현길·남부순환로249길와 만나는 까치고개 교차로, 과천대로·동작대로와 만나는 사당역사거리(사당역)(사당고가차도)가 있다.

6. 6. 서초구

서울특별시도 교육연수원(남부순환로 2248)이 서초구에 위치해 있다. 아리랑 TV(남부순환로 2351), 국립국악원(남부순환로 2364),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초동캠퍼스(남부순환로 2374), 예술의 전당(남부순환로 2406)이 남부순환로에 있다. 외교센터빌딩(남부순환로 2558), 서초구청(남부순환로 2584), 양재1동주민센터(남부순환로 2610)도 있다.

사당역사거리(사당역)는 과천대로동작대로와 연결되며, 사당고가차도가 설치되어 있다.[1] 서울교통공사 교차로에서는 효령로와,[1] 경남아파트앞 교차로에서는 방배로와 연결된다.[1] 래미안아트힐 교차로에서는 명달로와 연결된다.[1] 예술의전당 교차로는 반포대로와 연결된다.[1] 우면삼거리에서는 서초중앙로와 연결된다.[1] 서초 나들목에서는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된다.[1] 서초구청 교차로에서는 서운로와 연결된다.[1] 양재역사거리(양재역)는 강남대로와 연결된다.[1] 양재전화국사거리는 논현로와 연결된다.[1]

6. 7. 강남구

아성다이소강남구 남부순환로 2748에 위치해 있다.[1] 숙명여자고등학교·숙명여자중학교가 남부순환로 2807에 위치해 있으며,[1] 대치지구대는 남부순환로 2907에 있다.[1] 서울대곡초등학교는 남부순환로 3022에,[1]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는 남부순환로 3104에 위치한다.[1]

매봉역 교차로(매봉역)에서는 남부순환로377길과 남부순환로378길이 교차한다.[1] 한국교육방송공사는 이 구간에 위치해 있다.[1] 매봉터널 교차로에서는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언주로)과 교차한다.[1] 숙명여자고등학교와 숙명여자중학교가 근처에 있다.[1] 도곡역 교차로(도곡역)에서는 선릉로와 교차하며,[1] 대치역 교차로(대치역)에서는 삼성로와 교차한다.[1] 서울대곡초등학교가 인근에 위치하며, 학여울역 교차로(학여울역)에서는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로)과 교차한다.[1]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와 대치교가 이 구간에 있다.[1] 탄천1교 교차로(대치지하차도)에서는 삼전로와 교차하며, 개화 방면으로는 지하차도를 통해서만 통과할 수 있다.[1] 이 외에도 개포로와 교차하는 지점이 있으며, 수서 나들목에서는 서울특별시도 제61호선 (동부간선도로), 지방도 제23호선, 서울특별시도 제92호선 (양재대로)과 교차한다.[1]

참조

[1] 일반
[2] 공고 서울특별시공고 제177호 http://event.seoul.g[...] 1977-07-27
[3] 공고 서울특별시공고 제277호 http://event.seoul.g[...] 1978-06-30
[4] 공고 서울특별시공고 제673호 http://theme.archive[...] 1984-11-16
[5] 공고 서울특별시공고 제1993-158호 http://event.seoul.g[...] 1993-07-10
[6] 공고 서울특별시공고 제511호 http://theme.archive[...] 1986-09-15
[7] 공고 서울특별시공고 제2006-338호 http://event.seoul.g[...] 2006-03-02
[8] 고시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19호 http://gwanbo.mois.g[...] 2010-03-15
[9] 고시 서울특별시고시 제2014-224호 http://event.seoul.g[...] 2014-06-19
[10] 뉴스 서울시, 남부순환로 광복교~사성교 6차로 확장 완료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21-11-18
[11]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