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르비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르비족은 고대 벨기에에 거주했던 켈트-게르만 계통의 부족으로,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기록되었다. 그들은 갈리아 전쟁에서 로마에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로마에 복속되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곡물 생산과 도자기 제작으로 알려졌다. 로마 쇠퇴 이후 프랑크족의 지배를 받으며 동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의 부족 - 트레베리족
    트레베리족은 켈트-게르만 문화의 혼합 양상을 보이며 로마와 협력하여 자치 도시 지위를 얻고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한 고대 민족이다.
  • 갈리아의 부족 - 헬베티족
    헬베티족은 로마 문헌에 기록된 골족의 부족으로, 기원전 1세기에 서쪽으로 이동하려다 카이사르와 갈리아 전쟁을 벌였고 비브락테 전투에서 패배하여 로마의 지배를 받다가 멸망했으며, 스위스 지역에 정착하여 스위스 국가 명칭과 관련된 유산을 남겼다.
  • 갈리아 전쟁 - 갈리아 전기
    《갈리아 전기》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을 기록한 라틴어 저서이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집필되었고, 갈리아 및 게르만족의 문화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 갈리아 전쟁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은 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기원전 55년과 54년에 걸쳐 두 차례 발생했으며, 브리튼 섬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두고 이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화 기반을 마련했다.
  • 벨기에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벨기에의 역사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네르비족
지도
기본 정보
국가벨기에
민족벨가에족
위치스헬더 강과 상브르 강 사이
주요 도시바가쿰 네르비오룸 (Bagacum Nerviorum, 현재의 바베 Bavay)
주요 인물보두그나투스 (Boduognatus)
역사
기원기원전 3세기 경
갈리아 전쟁 참여기원전 57년
로마 제국 합병기원전 54년 경
반란 참여기원후 69년 ~ 70년 (바타비아인 반란)
문화
특징용맹스러운 전사, 검소한 생활
종교갈리아 다신교
언어갈리아어
군사
병력약 6만 명 (갈리아 전쟁 당시)
주요 전투사비스 전투 (기원전 57년)
저항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침략에 강력하게 저항
같이 보기
관련 항목갈리아, 벨가에, 율리우스 카이사르, 갈리아 전쟁

2. 명칭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와 오로시우스(5세기 초)는 '네르비이'(Nervii)로,[4] 스트라본(1세기 초)은 '네로우리오이'(Νερούιοι)로,[5] 플리니우스(1세기)와 ''노티티아 디그니타툼''(5세기)은 '네르비'(Nerui)로,[6] 타키투스(2세기 초)는 '네르비오스'(Nervios)로, 프톨레마이오스(2세기)는 '네루시오이'(Νερούσιοι)로 언급했다.[8][9]

민족명칭 '네르비이'(Nervii)는 '사람'을 뜻하는 서부 인도유럽어 어근 *''ner''-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예: 중세 웨일스어 ''ner'' '주님, 지도자'). 이는 라틴 코그노멘 ''네르바''(Nerva)와 동족어인 것으로 보인다.

3. 영역

300px


자비에 데루에 따르면, 네르비족의 핵심 지역은 중세 시대의 에노의 ''파구스''와 같았으며, 이는 엔 강, 상류의 삼브르 강, 그리고 대헬프 강 및 소헬프 강 지역이었다. 엔 강 북쪽으로는 중세 시대의 브라반트의 ''파구스''가 될 지역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북서쪽 경계는 스헬데 강(프랑스어 ''에스고'', 네덜란드어 ''스헬데'')에 있었다.[10] 많은 인구가 아베넬 근처 삼브르 강 근처의 남부 지역에 거주했으며, 아베네-쉬르-엘프에 가장 큰 인구가 있었다.

아세 근처에서 발견된 오피둠은 그들의 소유였을 수도 있지만 고립되어 있었고 메나피 영토와 가까웠다. 남쪽에서 네르비족은 아루아즈와 티에라슈 숲 이상으로 확장되지 않았다.[11] 그 남쪽에는 비로만두이가 캉브레 남쪽에 있었고, 레미가 있었다. 데루는 남서쪽의 캉브레 지역 또는 ''파구스''가 로마 시대까지 비교적 미개발 상태였다고 제안한다.[12]

동쪽으로, 중세 경계를 기준으로, 네르비족의 영토는 딜 강과 오 드 어르까지 뻗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데루에 따르면, 이 영토의 일부, 특히 북쪽은 로마 시대에 이 지역에 추가되었을 수 있다. 네르비족의 ''치비타스''에는 뢰번 또는 나뮈르가 포함되지 않았다.

4. 언어

네르비족이 켈트어를 사용했다는 추측이 많지만, 그들의 언어적 관련성에 대한 증거는 결정적이지 않다. 이는 네르비족 서쪽의 영국 해협에 위치한 메나피족과 모리니족, 그리고 네르비족 동쪽의 라인강까지 뻗어있는 ''게르마니 치스르헤나니''와 같은 다른 벨기에 부족들에게도 적용된다.[13]

카이사르는 벨기에인들이 일반적으로 라인강 동쪽의 게르만 민족으로부터 이주를 받았다고 기록했다.[14] 로마화된 그리스인 스트라보는 네르비족이 게르만 기원이라고 기록했다.[15] 타키투스는 저서 ''게르마니아''에서, 자신의 시대에 네르비족과 트레베리족이 모두 골족의 약점과 구별하기 위해, 서로 이웃한 퉁그리족과 유사한 게르만 조상을 주장했다고 말한다.[16]

로마인들은 북부 야만족의 민족지학에 대해 정확하지 않았다. 카이사르는 "게르만"이라는 표현으로 단순히 "라인강 동쪽 기원"을 의미했을 수 있으며, 언어적 구별은 의도하지 않았을 것이다. 카이사르 시대에 라인강 동쪽의 게르만 언어는 엘베강만큼 멀리 떨어져 있었을 수도 있다.[13] 대신 지명 연구를 바탕으로, 이 지역의 고대 언어가 비록 인도유럽어였지만, 켈트어는 아니었으며 (노르트웨스트블록 참조) 켈트어는 엘리트 계층 사이에서 영향력이 있었지만, 아르덴 북쪽 벨기에 지역의 주요 언어였을 가능성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7][18] 반면, 마우리츠 기젤링과 같은 지명 연구는 로마 정복 이전, 아르덴 북쪽 벨기에 지역에 게르만 언어가 유입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했으며, 아르덴과 그 남쪽 지역에서는 고대 켈트 지명의 강력한 증거가 발견된다.[17][18] 루크 반 듀름은 카이사르 시대 켈트어와 게르만어의 영향에 대한 상반된 증거를 요약하며 "카이사르는 초기 중세 로망스어–게르만어 언어 경계보다 약간 더 남쪽에 있는 벨기에에서 켈트어와 게르만어가 대립하는 상황을 목격했음에 틀림없다는 다소 놀라운 결론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하면서, "기원전 2세기의 게르만화가 남쪽에서 유입되는 켈트화를 막지는 못했지만, 두 현상이 동시적으로 상호 작용했다"는 점도 인정한다.[19]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은 네르비족이 갈리아 부족이라고 보고한다.[20]

5. 문화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네르비족을 벨가이 부족 중 가장 호전적인 부족으로 여겼으며, 벨가이 부족은 갈리아에서 가장 용감한 부족이라고 묘사했다. 카이사르는 네르비족의 문화가 스파르타와 같아서, 정신이 용감하려면 맑게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술이나 다른 사치품을 일절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그들은 외국 무역을 싫어하여 상인 계급이 없었고, 영토 내에서 상인을 허용하지 않았다고 한다.[21]

고고학자들은 네르비족이 사용한 동전을 통해 북부 벨가이 부족의 영토를 정의하려 했다. 네르비족은 그리스 문자 엡실론이 새겨진 스타테르 유형의 동전과 관련이 있다.[22]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로마 시대 이전의 켈트 라텐 문화가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카이사르는 네르비족이 기병대를 보유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실제로 그들은 기병대의 공격을 어렵게 만들기 위해 영토 전역에 생울타리를 설치했다.[11]

프라네스 보물은 1864년 에노현의 프라네스레즈앙뱅 근처에서 산림 관리인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으며, 모리니족 및 네르비족과 관련된 동전과 함께 특징적인 골드 토크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알래스터 브래들리 마틴의 Guennol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었다.[23]

6. 갈리아 전쟁

기원전 57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저항한 벨기에 동맹의 일원이었다. 동맹이 깨지고 일부 부족이 항복한 후, 보두오그나투스가 이끌고, 아르트바테스와 비로만두이의 지원을 받은 네르비족은 카이사르를 거의 격파할 뻔했다(아투아투키도 합류하기로 했지만 제때 도착하지 못했다).[24]

기원전 57년 사비스 전투(현재 소므 강 지류 셀 강으로 확인, 현대 소르주아 근처; 이전에는 삼브르 강으로 확인)에서 숲 속에 숨어 강가에서 접근하는 로마군을 공격했다. 공격은 매우 빠르고 예상치 못해서, 일부 로마군은 방패 덮개를 벗기거나 헬멧을 쓸 시간조차 없었다. 기습으로 잠시 로마군이 노출되었다. 그러나 카이사르는 방패를 잡고 최전선으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부대를 조직했다. 동시에 제10군단의 지휘관인 티투스 라비에누스는 네르비족의 진영을 공격했다. 후방의 짐 수송대를 지키던 두 개의 군단이 도착하여 전투의 흐름을 바꾸는 데 기여했다. 카이사르는 네르비족이 전투에서 거의 전멸했다고 말하며 그들의 용기에 찬사를 보내며 "영웅"이라고 불렀다.[25]

기원전 53년 암비오릭스와 에부로네스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남은 네르비족은 봉기에 가담하여 웅변가의 동생인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와 그의 군단을 겨울 야영지에서 포위했으며, 카이사르가 직접 구원하러 올 때까지였다.[26] 그들은 단지 칼만을 사용하여 로마 요새 주변에 빠르게 보루를 건설할 수 있었다. "세 시간도 안 되어 그들은 둘레가 약 16.09km에 달하는 요새를 완성했고, 나머지 날들 동안 그들은 보루 높이의 망루와 갈고리, 그리고 방어막을 준비하고 건설하기 시작했다." 카이사르는 이 기술이 로마인들에게서 배운 것이며, 포로로 잡힌 로마 군인들의 조언에 따른 것이라고 보고했다.[27]

공격 일곱째 날, 매우 강한 바람이 불어오자 그들은 갈리아 관습에 따라 짚으로 지붕을 덮은 오두막에, 구운 또는 경화된 점토로 만든 뜨거운 덩어리와 뜨겁게 달군 투창을 투석기로 발사하기 시작했다. 이것들은 곧 불이 붙었고, 바람의 세기로 인해 불길이 캠프의 모든 부분으로 흩어졌다.[28]

상황은 로마 캠프에 있던 네르비족이 노예를 통해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되면서 회복되었고, 그 노예는 눈에 띄지 않게 카이사르에게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29] 카이사르는 병력을 모아 일부 네르비족을 격파할 수 있었다.

네르비족과 그들의 동맹인 아두아투키, 에부로네스, 트레베리, 메나피이는 로마와의 전쟁을 계속 준비했고, 라인 강 동쪽의 게르만족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로마는 트레베리 왕 인두티오마루스를 살해하면서 결정적인 타격을 가했다. 그 직후, 카이사르는 가장 가까운 네 개의 군단을 집결시켜 예기치 않게 네르비족의 영토로 진격했고, 그들이 소집하거나 후퇴하기도 전에, 많은 수의 가축과 사람들을 사로잡고, 그들의 땅을 황폐하게 하고 그 전리품을 병사들에게 넘겨주었으며, 그들에게 항복하고 인질을 넘겨주도록 강요했다.[30]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의 마지막 단계에서, 네르비족은 알레시아에 집결한 베르킨게토릭스의 대규모 연합군에 기여하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이들은 알레시아 전투에서 패배했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에서 여러 차례 로마군에 저항하여 카이사르를 곤경에 빠뜨렸다.

7. 로마 시대

로마 시대에 네르비족 도시 국가의 원래 주요 도시는 바가쿰(갈리아어: ''Bāgācon'', '너도밤나무'를 뜻하는 ''bagos''에서 유래)이었다.Bāgācon|바가콘la 이 도시는 전통적인 네르비족 영토의 남쪽에 세워졌으며 현재는 프랑스-벨기에 국경 근처의 도시인 바베로 알려져 있다. 포럼이 발굴되었다. 이 도시는 기원전 30년경에 설립되었으며 빠르게 로마 문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네르비족 영토에 속한 도시들은 ''파눔 마르티스'' (파마르)와 제미니아쿰 (리베르쉬)이었다.

네르비족은 곡물 수출과 도자기(''terra nigra'') 생산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멀리 네이메헌에서는 프루멘타리우스의 흥미로운 묘비가 발굴되었다.

스코틀랜드의 중앙 벨트를 가로지르는 안토니누스 장벽을 따라 러프 캐슬 요새에서 발견된 유물에 새겨진 비문은, 2세기에 이 요새가 보병 부대인 네르비족의 제6 코호트 500명의 기지였음을 나타낸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네르비족은 라인 국경을 따라 주둔한 코호트에서도 복무했다. 노섬벌랜드의 휘틀리 캐슬(에피아쿰이라고도 함) 로마 요새에서 발견된 제단에는 제2 네르비족이 이 요새에 주둔했음을 보여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베인브리지, 노스 요크셔에서 발견된 두 개의 사암은 3세기에 브로 힐에 로마가 요새를 건설했음을 기록하고 있다. 한 석판의 비문은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푸덴스의 지휘 아래 제6 코호트가 요새를 건설했음을 나타냈다.

260~275년 프랑크족의 파괴적인 공격 이후, 바베보다 더 남쪽에 있는 카마라쿰(캉브레)에 새로운 주요 도시가 지정되었고, 바베 자체와 그 도시가 위치한 주요 도로는 새로운 2차 방어 국경 지대의 일부가 되었다. 네르비족 영토의 북부 지역은 결국 게르만족 집단에 의해 정착되었으며, 중세 브라반트와 중세 에노의 남부 지역은 더 로마화된 상태로 남았다. 432년경에는 프랑크족이 로마화된 네르비족의 영토로 침투하여 점령한 것으로 보인다. 힐데리크 1세는 투르네에 묻혔다. 중세 캉브레 로마 가톨릭 대교구는 1559년까지 로마 ''도시 국가''와 대략 같은 지역을 계속 관할했다.

로마와 중세 경계의 한 가지 차이점은 대교구의 북동부, 루펠 강 동쪽의 앤트워프의 대성당이 중세 시대에 부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31]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에서 여러 차례 로마군에 저항하여 카이사르를 곤경에 빠뜨렸던 네르비족은, 로마 속주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었던 탓에 로마화에 가장 늦게까지 저항했다. 갈리아 전쟁 이후에는 로마에 복종했지만, 로마 쇠퇴 후에는 프랑크족의 지배 하에 들어가 동화되었다.

8. 중세

갈리아 전쟁 이후 로마에 복종했지만, 로마 쇠퇴 후 프랑크족의 지배 하에 들어가 동화되었다.

9. 대중문화

네르비족과 그들의 서쪽 이웃인 메나피족은 만화책 ''아스테릭스 벨기에에 가다''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이 만화에서는 벨기에인과 아르모리카 출신의 갈리아인 간의 용맹함을 겨루는 경쟁이 벌어지며, 줄리어스 시저가 심판을 맡는다는 다소 황당한 내용이 전개된다.

네르비족은 비디오 게임 ''토탈 워: 로마 2''에도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Les Gaulois du Nord de la Gaule" Paris
[2] 서적 Germania https://www.perseus.[...]
[3] 서적 Geographica https://penelope.uch[...]
[4]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5] 서적 Geōgraphiká
[6] 서적 Naturalis Historia
[7] 서적 Historiae
[8]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9] 서적 Nervii
[10] 간행물 Cadres géographiques du territoire des Nerviens https://www.cairn.in[...]
[11] 서적 Gallia Belg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간행물 L'occupation du Cambrésis à la période romaine. Résultats des campagnes de prospections systématiques
[13] 서적 Gallia Belg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15] 서적 Geographica https://penelope.uch[...]
[16] 서적 Germania https://www.perseus.[...]
[17] 서적 De Taalgrens: Van de oude tot de nieuwe Belgen Davidsfonds
[18] 간행물 Enkele Belgische leenwoorden in de toponymie
[19] 간행물 Genesis and Evolution of the Romance-Germanic Language Border in Europe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N.D. unit listing: Sagittarii Nervii Gallicani http://lukeuedasarso[...] 2017-10-07
[21] 서적 The conquest of Gaul https://books.google[...] Penguin
[22] 서적 Gallia Belg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문서 "'Valuables and Ornamental Items': The Collection of Mr. and Mrs. Alastair Bradley Martin" 1969-11
[24] 문서 "La Bataille de la Selle (du Sabis) en l' An 57 avant J.-C." 1955
[25]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6]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7]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8]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9]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30]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31] 간행물 Les limites de la cité des Nerviens https://www.persee.f[...]
[32] 서적 갈리아 전쟁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