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조약 (187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조약(1878년)은 1877-1878년의 러시아-투르크 전쟁 이후,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한 열강들이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간의 산스테파노 조약을 수정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독립을 인정받았지만, 불가리아는 분할되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영국은 키프로스를 얻었다. 또한, 러시아는 아르다한, 카르스 등을 얻었지만 알라슈케르트 계곡과 바야지트 마을은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8년 러시아 -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1877년-1878년)은 1877년 4월 러시아 제국의 선전 포고로 시작되어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반도 동부에서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슬라브 민족 해방, 러시아의 남하 정책, 오스만 제국의 기독교도 학대 문제를 배경으로 러시아군의 승리로 종결되었으며, 산 스테파노 조약과 베를린 조약을 통해 발칸 반도의 정치적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베를린 조약 (1878년) | |
---|---|
조약 정보 | |
이름 | 베를린 조약 |
전체 이름 | 동방 문제 해결을 위한 오스트리아-헝가리, 프랑스, 독일, 영국, 아일랜드, 이탈리아, 러시아 및 오스만 제국 간의 조약 |
유형 | 조약 |
배경 |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베를린 회의 |
서명일 | 1878년 7월 13일 |
서명 장소 | 베를린 |
참가국 | |
관련 | 산 스테파노 조약 수정 |
지도 | |
![]() | |
조약 내용 | |
주요 내용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루마니아의 독립 승인 대불가리아 분할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점령 아나톨리아 동부 도우바야지트 반환 |
2. 배경
1856년 파리 조약으로 크림 전쟁이 종결되었으며, 흑해는 중립 지역이 되었다.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을 보호하고 신성 동맹(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러시아)을 종식시켰으며, 러시아의 전반적인 입지를 약화시켰다. 1870년 러시아는 ''사정 변경의 원칙''을 내세워 흑해 중립성에 관한 조항을 위반함으로써 사실상 조약을 파기했다. 열강들은 오스만 제국이 유럽 내 영토를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베를린 조약은 총 64개 조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875년 헤르체고비나 봉기는 동방 문제를 야기했다.[1] 발칸 반도의 분쟁이 격화되면서 1876년 4월 봉기 당시 불가리아에서 자행된 만행은 러시아와 영국에서 반(反) 터키 정서를 자극했고, 이는 결국 러시아-투르크 전쟁 (1877–1878)으로 이어졌다.[1]
3. 조약의 내용
3. 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루마니아의 독립
베를린 조약은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5] 이들 국가는 사실상 주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루마니아는 남부 베사라비아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해야 했지만, 그 보상으로 도브루자, 다뉴브 삼각주를 포함한 지역을 받았다.[12]
이후 세 나라는 스스로 왕국을 선포했다. 루마니아는 1881년, 세르비아는 1882년, 몬테네그로는 1910년에 왕국을 선포했다.[13]
산 스테파노 조약과 베를린 조약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루마니아 3개국의 독립은 인정되었으나,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영토는 전쟁 전과 비교해 확대되었지만, 산 스테파노 조약으로 얻은 영토의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에 반환하게 되었다.
3. 2. 불가리아 분할
산스테파노 조약으로 성립된 광범위한 자치권을 가진 불가리아 공국은 세 부분으로 분할되었다.[17] 마케도니아는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고, 남은 지역 중 발칸 산맥 이북은 오스만 제국 주권 하의 자치국인 불가리아 공국이 되었으며, 발칸 산맥 이남은 오스만 제국의 자치주인 동루멜리아 자치주가 되었다. 불가리아 자치 공국은 오스만 제국에 공납의 의무를 지녔으며, 동루멜리아 자치주는 술탄이 임명하는 기독교도 총독을 두게 되었다.[5] 이로써 대불가리아는 성립되지 못했다. 또한, 산스테파노 조약으로 정해졌던 러시아 제국군의 주둔 기간은 단축되었다.
3. 3.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통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중재의 대가로 오스만 제국에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관할권을 받았다.[17]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명목상으로는 여전히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가 됨을 의미했다. 산 스테파노 조약에서는 자치권을 부여받기로 했던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점령하게 되었는데, 이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당시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사이의 밀약에 따른 것이었다. 러시아는 오스트리아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점령하는 것을 용인하고, 그 대가로 오스트리아는 중립을 유지한다는 내용이었다.[17] 최종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명목상 주권은 남았지만, 현실적으로는 오스트리아가 통치권을 행사하는 체제가 1908년까지 이어졌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이 지역을 1908년에 완전 병합한다.[17]
코소보 빌라예트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오스만 보스니아 빌라예트와 노비 파자르 산자크에 군사 주둔지를 배치할 수 있었다. 보스니아 빌라예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하에 놓였지만, 30년 후인 1908년 10월 5일 오스트리아-헝가리에 합병될 때까지 형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13] 노비 파자르 산자크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주둔지는 1908년, 보스니아 빌라예트의 합병과 그로 인한 보스니아 위기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타협점을 찾기 위해 철수했다.[13] 또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사이에 있는 오스만 제국의 노비파자르 현(일명 산자크 지방)에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군대를 주둔시킬 권리가 인정되었다.
3. 4. 영국의 키프로스 관할권 획득
대영 제국(영국)은 베를린 조약 중재의 대가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키프로스의 관할권을 받았다.[17] 영국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14년에 이 지역을 완전 병합하였다.
3. 5. 아나톨리아 동부 지역 반환
베를린 조약에 따라 러시아 제국은 산스테파노 조약에서 획득한 오스만 제국 영토 대부분을 유지했지만, 알라슈케르트 계곡과 바야지트는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다.[7] 아르다한과 카르스 지역은 러시아에 할양되었다.[8]
3. 6. 기타 조항
베를린 조약은 일부 종교 단체에 특별한 법적 지위를 부여했으며, 이는 국제 연맹의 틀 안에서 설립될 소수 민족 조약의 모델이 되었다.[14] 이 조약은 루마니아가 비기독교인(유대인 및 무슬림)을 완전한 시민으로 인정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그리스와 오스만 제국 간의 국경 수정에 대해 모호하게 언급했으며, 이는 1881년 장기간의 협상 끝에 테살리아를 그리스에 양도하면서 이루어졌다.
솔즈베리 후작은 산 스테파노 조약과 러시아에 유리한 입장에 대한 반대를 분명히 했다.[15] 역사학자 A. J. P. 테일러는 "만약 산 스테파노 조약이 유지되었다면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모두 오늘날까지 살아남았을 것이다."라고 썼다. 또한, 이 조약은 조약을 위반하는 국가를 공격하도록 당사자들에게 촉구한다.[16]
코소보 빌라예트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오스만 보스니아 빌라예트와 노비 파자르 산자크에 군사 주둔지를 배치할 수 있었다. 보스니아 빌라예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하에 놓였지만, 30년 후인 1908년 10월 5일 오스트리아-헝가리에 합병될 때까지 형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노비 파자르 산자크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주둔지는 1908년, 보스니아 빌라예트 합병과 그로 인한 보스니아 위기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타협점을 찾기 위해 철수했다.[13]
4. 조약의 영향 및 평가
이전 답변에서는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어야 지시사항에 따라 결과물을 수정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5. 주요 회담 참석자
참조
[1]
Citation
The Map of Europe by Treaty; which have taken place since the general peace of 1814. With numerous maps and notes
https://archive.org/[...]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019-02-08
[2]
서적
Sovereignty: Organized Hypocris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EB1911
[4]
encyclopedia
Berlin Congress (1878)
http://opil.ouplaw.c[...]
2017-12-15
[5]
서적
Russia and the Formation of the Romanian National State, 1821–187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War in the East: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Turkey, With a Review of the Eastern Question
https://archive.org/[...]
H.S. Goodspeed & Co.
1878
[8]
간행물
Article LVIII of the Treaty of Berlin,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1908-10
[9]
encyclopedia
https://bigenc.ru/do[...]
2022-02-19
[10]
journal
The Definitive Treaty of Peace between Russia and the Porte: Signed at Constantinople on 8th February,1879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2022-02-19
[11]
서적
Russian Citizenship: From Empire to Soviet Union
https://1lib.mx/book[...]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12]
서적
Rumania: 1866–1947
Oxfo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Bosnian Crisis
https://encyclopedia[...]
[14]
서적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 a Nutshell
West
2002-07-01
[15]
서적
Armenia: The Survival of A Nation
Croom Helm
1980
[16]
서적
The Struggle for Mastery in Europe 1848–1918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
두산백과
베를린회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