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체그노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체그노비는 몬테네그로의 해안 도시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등을 거쳐 슬라브족이 정착했다. 1382년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가 건설한 요새에서 시작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랑스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속했다가 몬테네그로로 독립했다. 현재는 관광 도시로, 온천, 유적지, 해변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탈리아, 세르비아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헤르체그노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헤르체그노비 |
현지 이름 | |
다른 이름 | (카스텔누오보) (네오카스트론) |
별칭 | 새로운 성 |
일반 정보 | |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위치 | 몬테네그로 |
지역 | 해안 |
지방 자치체 | 헤르체그노비 |
설립 | 1382년 (스베티 스테판으로 설립) |
행정 | |
정치 체제 | 시장-의회 |
시장 | 스테반 카티치 (DCG) |
지리 | |
면적 | 235 제곱킬로미터 |
구성 | 27개 구역 |
구역 유형 | 정착지 |
인구 | |
인구 (2011년) | 19,536명 (도시) |
순위 | 몬테네그로에서 3번째 |
지방 자치체 인구 (2011년) | 30,864명 |
인구 밀도 | 140 명/제곱킬로미터 |
시골 인구 | 11,328명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1 |
하계 시간 (DST) | CEST |
하계 시간 (DST) 오프셋 | +2 |
기타 정보 | |
지역 코드 | +382 31 |
차량 번호판 | HN |
우편 번호 | 85340 |
ISO 3166-2 코드 | ME-08 |
웹사이트 | 헤르체그노비 공식 웹사이트 |
깃발 및 상징 | |
![]() | |
![]() |
2. 역사
루슈티카 반도와 브라냐이 동굴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 지역은 신석기 시대와 초기 청동기 시대에 거주했다. 기원전 3세기에 일리리아인을 물리친 후 이 지역은 로마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로마 제국이 분열된 후 이 지역은 서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이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슬라브 부족은 서기 7세기에 이 땅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작은 정착지는 비잔틴 제국의 드라체비차 지역에 속했으며, 이 지역은 다시 트라부니아 공국에 속하게 되었다. 10세기 동안 드라체비차는 다양한 디오클레아/제타 공작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 공작들은 다시 네마니치 왕조가 통치하는 세르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황제 스테판 두샨이 사망한 후 세르비아 제국은 작은 공국과 지역으로 분열되기 시작했고, 드라체비차는 공작 보이슬라브 보이노비치가 통치했다. 보이노비치의 통치 이후, 이 지역은 현대 몬테네그로의 대부분과 함께 발시치 귀족 가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헤르체그노비는 1382년 보스니아 국왕 트브르트코 1세(Tvrtko I of Bosnia)에 의해 요새로 건설되어 스베티 스테판 또는 카스텔누오보라고 불렸다. 트브르트코의 사후, 헤르체고비나의 코사차 가문 출신인 산달리 흐라니치 공(:en:Sandalj Hranić)이 카스텔누오보를 획득했다. 흐라니치 공의 통치 기간 동안 헤르체그노비는 소금 무역으로 번성했다. 흐라니치 공이 죽자 그의 조카인 스테판 브크치치 코사차(:en:Stjepan Vukčić Kosača)가 카스텔누오보를 계승했다. 스테판 아래에서 카스텔누오보는 확장되어 도시가 되었고 헤르체그노비로 개명했다.
1482년, 오스만 제국이 헤르체그노비를 정복하여 1687년까지 200년 동안 통치했다. 그러나 그 사이 1538년부터 1539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스페인인이 터키를 몰아냈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도시의 지배를 차지하고 코토르만과 현재의 몬테네그로 해안과 함께 알바니아 베네타라는 행정 단위를 편성했다. 1798년 8월 24일, 헤르체그노비는 오스트리아에 병합되었지만, 1805년 12월 26일의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의해 러시아 제국으로 할양되었다. 러시아인은 공식적으로 1806년 2월 28일부터 1807년 8월 12일 사이에 헤르체그노비를 점령했다.
1807년 7월 7일, 헤르체그노비는 틸지트 조약에 의해 프랑스 제국으로 할양되었다. 공식적인 프랑스 지배는 러시아인이 도시를 떠난 1807년 8월 12일에 시작되었다. 이 도시는 1809년 10월 14일까지 달마티아의 일부였지만, 그 후 신설된 일리리아 주에 병합되었다.
코토르만과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헤르체그노비는 1813년에 몬테네그로 군대에 점령되었다. 1813년 9월 11일부터 1814년 6월 10일 사이에 도브로타에 본거지를 둔 몬테네그로 정부의 지원을 받는 임시 정부의 관리 하에 있었다. 18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대의 출현은 6월 11일, 몬테네그로 주교공 니콜라 1세에게 영토를 오스트리아로 이양하도록 했다.
코토르만과 함께 헤르체그노비가 다시 점령되자 이 도시는 합스부르크 가문 직할령 달마티아 왕국(Kingdom of Dalmatia)의 일부가 되었다. 만은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지배 하에 놓였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코토르만을 탈환하기 위해 로브첸 산에서 포격을 가했다. 그러나 1916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몬테네그로를 패퇴시켰다. 1918년 11월 7일, 세르비아군이 코토르만에 들어가 해방자로서 주민들에게 환영받았다. 만은 오히려 세르비아와의 직접 통합을 원했지만,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그 1개월 후에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이 성립되었고 1929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명했다. 코토르만은 1922년에 폐지될 때까지 달마티아의 기초 자치 단체였다. 1929년부터 제타 주(Zeta Banovina)에 병합되었다.
헤르체그노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어 이탈리아령 달마티아 현의 일부가 되었다. 1943년 9월 10일, 파르티잔 군에 의해 헤르체그노비는 탈환되었다. 그 후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로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공식적으로 병합되었다.
2. 1. 초기 역사

14세기 후반, 코토르만 지역은 보스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는 베네치아 공화국과 제노바 공화국 사이의 키오자 전쟁(1378년)에 휘말리고, 코토르 점령 실패, 라구사 금수 조치로 인한 경제적 피해, 해상 무역 접근성 필요 등의 이유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추진하게 된다. 보산스코 프리모르예에 주요 항구가 없다는 점도 도시 건설의 중요한 이유였다.
1382년 초, 트브르트코 1세는 코토르만에 있는 작은 어촌에 요새를 건설하고, 소금 무역 중심지로 삼고자 했다. 이 도시는 처음에는 성 스테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나, 곧 노비( "새로운"이라는 의미)로 불리게 되었다. 트브르트코 1세 사후, 훔 영주 코사차의 공작 산달리 흐라니치가 노비를 획득하여 소금 무역을 시작했다. 흐라니치가 죽은 후, 그의 조카 스체판 부크치치 코사차 공작이 상속받았다. 스체판의 통치 기간 동안 도시는 중요성이 커져 그의 겨울 거처가 되었고, 헤르체그 노비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었다.
2. 2. 중세 시대
14세기 후반, 코토르만 지역은 보스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는 베네치아 공화국과 제노바 공화국 사이의 키오자 전쟁(1378년)에 휘말리면서, 코토르 점령 실패, 라구사 금수 조치로 인한 경제적 피해, 해상 무역 접근성 필요 등의 압박을 받았다. 네레트바강에서 코토르만까지의 아드리아해 해안 지역에 주요 정착지가 없어 보산스코 프리모르예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고, 중요한 항구도 없었기에 트브르트코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에서 가장 젊은 중세 도시를 건설하게 되었다. 1382년 초, 트브르트코는 코토르만에 있는 작은 어촌 자리에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고, 이곳을 새로운 소금 무역 중심지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처음에는 성 스테판의 이름을 따서 스베티 스테판 또는 카스텔누오보로 명명되었지만, 곧 노비 ( "새로운"이라는 의미)로 알려지게 되었다.
트브르트코가 죽은 후, 훔 영주 코사차의 공작 산달리 흐라니치가 노비를 획득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도시는 소금 무역을 시작했다. 흐라니치가 죽자, 그의 조카 스체판 부크치치 코사차 공작이 그것을 상속받았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도시는 중요성이 커졌고, 스체판의 겨울 거처가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헤르체그 노비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은 1481년 12월 14일 이전에 헤르체그노비를 정복하여 200년 동안 통치했다.[2] 오스만 제국은 도시의 가장자리에 칸리 타워를 건설했다. 1538년에서 1539년 사이에는 카스텔누오보 공방전에서 패배하기 전 스페인에 점령된 짧은 기간이 있었다. 스페인은 짧은 지배 기간 동안 도시 위에 오늘날까지 잘 보존된 히스파니올라 요새를 건설했다.[2] 에브리야 첼레비는 코토르 만을 방문하여 헤르체그노비에 거주하는 크로아티아인, 보스니아인, 알바니아인(아르나우트)에 대해 언급했다.[2]1608년 헤르체그노비에 지진이 발생하여 도시를 파괴했다.
2. 4. 근대
1687년, 지롤라모 코너 휘하의 베네치아 공화국이 헤르체그노비를 점령하여 베네치아 알바니아에 포함시켰다. 베네치아인들은 이 도시를 카스텔누오보(Castelnuovo)라고 불렀으며, 구 시가지의 성벽과 탑을 재건하고 요새를 시타델라 탑으로 보강했다. 1798년 8월 24일, 헤르체그노비는 오스트리아에 병합되었지만, 1805년 12월 26일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따라 러시아에 양도되었다. 러시아는 1806년 2월 28일부터 1807년 8월 12일까지 헤르체그노비를 공식적으로 점령했다.
1807년 7월 7일, 헤르체그노비는 틸지트 조약에 따라 나폴레옹 1세 보나파르트의 프랑스 제국에 양도되었다. 1807년 8월 12일, 프랑스의 공식적인 통치가 시작되었고, 1809년 10월 14일까지 달마티아에 속해 있다가 일리리아 지방에 병합되었다.
헤르체그노비는 1813년에 몬테네그린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1813년 9월 11일부터 1814년 6월 10일까지 도브로타에 기반을 둔 임시 정부의 통제를 받았으며, 몬테네그로의 지원을 받았다. 1814년 오스트리아 군대의 등장으로 몬테네그로의 대주교는 6월 11일에 오스트리아 행정에 이 지역을 넘겨주었다. 이후 헤르체그노비는 달마티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지배를 받았다.
2. 5. 현대
1900년에는 ERZEG NOVI와 CASTELNUOVO PRESSO CATTARO라는 두 이름이 이중 언어 소인에 사용되었다.[3] 1918년 11월 7일, 세르비아군은 만에 진입했고, 슬라브족 해방자들로 환영받았다. 그 후 만은 자칭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가 한 달 안에 1929년 유고슬라비아로 이름이 변경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로서 세르비아와 통일되었다. 만은 1922년에 모든 역사적 실체와 마찬가지로 폐지될 때까지 달마티아의 지방 자치 단체였다가 1929년 스타일 제타 바나테에서 제타 오블라스트(주)에 편입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몬테네그로 왕국은 로브첸에서 포격을 가하며 코토르만을 탈환하려 했지만, 1916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몬테네그로를 격파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이탈리아에 의해 병합되어 카타로 주(province of Cattaro)의 일부가 되었다가, 1943년 9월 10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군에 의해 재탈환되었다. 티토의 공산주의 개혁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헤르체그노비는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70년 4월 8일, 소련 대 세계 '세기의 매치'가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후, 헤르체그노비에서 블리츠 체스 토너먼트가 열렸고, 4명의 세계 챔피언이 참가했으며, 이 대회는 현대 체스 역사상 가장 강력한 블리츠 토너먼트로 여겨졌다.
3. 지리
3. 1. 기후
헤르체그노비는 코토르 만 지역의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와 지중해성 기후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다.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온난하고 습하다. 특히 겨울철 강수량이 여름보다 훨씬 많다.[17] 헤르체그노비는 남향, 바다와의 근접성, 석회암 지반, 차가운 공기 덩어리의 돌파를 막는 산악 내륙의 영향으로 특정한 미기후를 보인다.[17]연간 약 200일의 맑은 날씨를 보이며, 7월과 8월에는 하루 평균 약 11시간의 일조시간이 있다.[17][8][9] 연평균 기온은 16.2℃로 나폴리, 리스본과 유사하다.[17] 기온 변화는 잦지만, 평균 일교차는 4℃로 작은 편이다.[17][8][9] 5월부터 9월까지 평균 기온은 약 25℃이며, 여름철 평균 해수 온도는 22℃에서 26℃ 사이로 높아 해수욕을 즐기기에 적합하다.[17]
연평균 강수량은 1930mm이다.[17][8][9] 상대 습도는 가을에 80%로 가장 높고, 여름에는 63%로 가장 낮다.[17][8][9]


4. 인구
헤르체그노비의 인구는 1948년 12,482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3년에는 33,034명에 달했다. 2011년에는 30,864명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31,471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18] 헤르체그노비 시는 프레블라카에서 베리게 해협까지 뻗어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이어진 마을에는 2011년 기준 30,864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5]
헤르체그노비 기초 자치구는 프레블라카 반도에서 베리게 해협까지 뻗어 있으며, 2003년 조사 기준 주민은 33,034명이었다.[18] 여기에는 이갈로, 헤르체그노비, 바오시치, 제노비치, 멜리네, 비예라 등이 포함된다. 이 마을들은 인접해 있어 헤르체그노비와 이갈로는 하나의 마을(인구 16,493명)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갈로를 포함한 헤르체그노비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 1981년 3월 3일 - 12,686명
- 1991년 3월 3일 - 15,105명
- 2003년 11월 1일 - 16,493명
'''민족 분포 (2003년 기준)'''[6]
민족 | 인구 | 비율 |
---|---|---|
세르비아인 | 17,818명 | 52.45% |
몬테네그로인 | 9,651명 | 28.41% |
크로아티아인 | 831명 | 2.45% |
로마인 | 290명 | 0.85% |
무슬림 | 218명 | 0.64% |
보스니아인 | 89명 | 0.26% |
알바니아인 | 25명 | 0.07% |
그 외의 민족 | 1,350명 | 3.97% |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음 | 2,800명 | 8.24% |
자료 없음 | 899명 | 2.65% |
합계 | 33,971명 | 100% |
1948년에는 몬테네그로인이 73.02%, 세르비아인이 18.59%, 크로아티아인이 8.39%를 차지했다. 1961년 조사에서는 몬테네그로인 58.38%, 세르비아인 28.11%, 크로아티아인 10.18%로 나타났다. 이후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다가, 2003년 조사에서는 세르비아인이 52.4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다.[6]
4. 1. 민족 구성
2003년 몬테네그로 통계청(MONSTAT)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헤르체그노비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6]민족 | 인구 | 비율 |
---|---|---|
세르비아인 | 17,818명 | 52.45% |
몬테네그로인 | 9,651명 | 28.41% |
크로아티아인 | 831명 | 2.45% |
로마인 | 290명 | 0.85% |
무슬림 | 218명 | 0.64% |
보스니아인 | 89명 | 0.26% |
알바니아인 | 25명 | 0.07% |
그 외의 민족 | 1,350명 | 3.97% |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음 | 2,800명 | 8.24% |
자료 없음 | 899명 | 2.65% |
합계 | 33,971명 | 100% |
1948년에는 몬테네그로인이 73.02%, 세르비아인이 18.59%, 크로아티아인이 8.39%를 차지했다. 1961년 조사에서는 몬테네그로인 58.38%, 세르비아인 28.11%, 크로아티아인 10.18%로 나타났다. 이후 1971년, 1981년, 1991년 조사에서도 몬테네그로인, 세르비아인, 유고슬라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순으로 민족 비율이 나타났으며, 2003년 조사에서는 세르비아인이 52.4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6] 헤르체그노비 기초 자치구는 프레블라카 반도에서 베리게 해협까지 뻗어 있으며, 2003년 조사 기준 주민은 33,034명이었다.[18]
4. 2. 종교
2011년 몬테네그로 통계청(MONSTAT)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헤르체그노비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7]
5. 문화
'''"JUK 헤르체그-페스트"'''는 1992년 2월 24일에 설립된 문화 행사이다. 2년 후, 문화 센터는 "오리옌" 영화 배급 및 제작 회사와 합병했다. 이들은 도시의 문화 생활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미모사 축제, 지역 연극 행사, 영화 및 음악 축제 등 많은 연례 행사를 개최한다.
'''"오페로사 오페라 페스티벌"'''은 여름 동안 스타리 그라드(구시가지)의 칸리 쿨라 원형 극장과 포르테 마레 요새에서 열린다.
'''헤르체그노비 시립 기록 보관소'''는 크로아티아의 자다르로 임시 이전되었다가 1956년 헤르체그노비로 반환되었다. 기록 보관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이탈리아인에 의해 자다르로 이전되었다. 1885년에 지어진 원래의 기록 보관소 건물은 1979년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나, 얼마 후 개조되었다. 오늘날 기록 보관소는 700 m² 규모이며, 현대적인 장비와 일반에 공개된 도서관을 갖추고 있다. 기록 보관소에서 가장 오래된 문서는 1685년에 작성되었으며, 도서관에는 약 30,000권의 도서와 1,000종의 정기 간행물이 소장되어 있다.
'''역사 박물관'''은 1949년에 설립되어 1953년에 공식 개관했다. 전 시장 미르코 코므네노비치 (1870–1941)와 그의 아내 올가가 도시에 기증한 박물관 건물은 15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립 도서관'''에는 최소 30,000권의 장서가 소장되어 있다. 이 컬렉션에 기여한 사람들로는 두샨 페트코비치 (5,000권), 벨자 라도예비치 (1,500권), 도클레스티치, 달예브, 루치치, 수보티치 등이 있다.
6. 관광
헤르체그노비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관광지이다. 온천 및 건강 센터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근처 이갈로에는 "이갈리스코 블라토"(이갈로 진흙)라고 불리는 풍부한 진흙 목욕과 "이갈리스케 슬라티네"(이갈로 온천)라고 불리는 광천수가 있다. 가장 유명한 관광 명소는 1382년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가 건설한 포르테 마레 성, 19세기에 오스트리아인이 건설한 시계탑, 터키인이 건설한 칸리 타워이다.
그 외에도 성 일리야 교회, 프레오브라제냐 교회, 성 조르제 교회, 성 구원 교회(성 스파스), 성 대천사 미카엘 교회, 사비나 수도원을 포함한 다양한 고대 세르비아 정교회가 있다.
이 도시는 코토르만 나머지 지역을 따라 길고 모래 해변이 없기 때문에, 선탠을 위한 주요 관광지는 아니지만, 많은 해변을 보트로 갈 수 있다. 관광 회사는 마을 반대편에 위치한 루슈티차 반도로 당일 보트 여행을 조직한다. 인기 있는 루슈티차 반도 해변으로는 ''자니치'', ''미리슈테'' 및 ''로즈''가 있다. 헤르체그노비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전 몬테네그로의 숙박 중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부드바, 코토르 등의 선호로 바뀌었다.
6. 1. 주요 관광 명소
헤르체그노비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관광지이다. 온천 및 건강 센터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근처 이갈로에는 "이갈리스코 블라토"(이갈로 진흙)라고 불리는 풍부한 진흙 목욕과 "이갈리스케 슬라티네"(이갈로 온천)라고 불리는 광천수가 있다. 가장 유명한 관광 명소는 1382년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가 건설한 포르테 마레 성, 19세기에 오스트리아인이 건설한 시계탑, 터키인이 건설한 칸리 타워이다.그 외에도 성 일리야 교회, 프레오브라제냐 교회, 성 조르제 교회, 성 구원 교회(성 스파스), 성 대천사 미카엘 교회, 사비나 수도원을 포함한 다양한 고대 세르비아 정교회가 있다.
이 도시는 코토르만 나머지 지역을 따라 길고 모래 해변이 없기 때문에, 선탠을 위한 주요 관광지는 아니지만, 많은 해변을 보트로 갈 수 있다. 관광 회사는 마을 반대편에 위치한 루슈티차 반도로 당일 보트 여행을 조직한다. 인기 있는 루슈티차 반도 해변으로는 ''자니치'', ''미리슈테'' 및 ''로즈''가 있다. 헤르체그노비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전 몬테네그로의 숙박 중 3분의 1을 차지했지만, 부드바, 코토르 등의 선호로 바뀌었다.
7. 교통
헤르체그노비 또는 이갈로는 몬테네그로 내륙과 세르비아에서 오는 버스의 최종 목적지이다.[16] 몬테네그로 해안을 따라 뻗어 있는 2차선 고속도로인 아드리아해 고속도로(:en:Adriatic Highway, E65)는 데벨리 브리예그 국경 검문소에서 크로아티아 도로망과 합류하기 전에 헤르체그노비를 통과한다.[16]
베리게 해협의 카메나리 - 레페타네 노선에서는 페리가 운행되는데, 이 페리를 이용하면 티바트, 코토르, 부드바, 몬테네그로 내륙으로 가기 위해 보카 코토르스카 만을 우회할 필요가 없다.[16]
페리를 이용하면 23km 떨어진 티바트 공항으로 갈 수 있다.[16] 이 공항은 베오그라드와 취리히행 정기 항공편이 있으며, 여름 성수기에는 수십 대의 전세기가 티바트 공항에 매일 착륙한다.[16]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 공항은 약 30km 떨어져 있으며, 많은 유럽 목적지로 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16]
8. 자매 도시
헤르체그노비는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맺고 있다.[11][12]
- 바를레타, 이탈리아[13]
- 굴리오네시, 이탈리아
- 스메데레보, 세르비아
- 제문, 세르비아
- 레방에르, 노르웨이
- 크란, 슬로베니아
- 비톨라, 북마케도니아
- 코토르바로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바치카토폴라, 세르비아
- 바냐루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베오친, 세르비아
- 차예티나, 세르비아
- 사라예보 센타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포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크리스티안산, 노르웨이
- 로즈니차, 불가리아
- 말리즈보르니크, 세르비아[14]
- 노보메스토, 슬로베니아
- 오데사, 우크라이나
-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 프리즈렌, 코소보
- 세네츠, 슬로바키아
- 세게드, 헝가리
- 트레비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5]
- 보레알, 프랑스
- 볼고레첸스크, 러시아
- 자예차르, 세르비아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11 Census of Herceg-Novi
http://www.hercegnov[...]
Herceg Novi municipality
2017-07-31
[2]
간행물
Putopis : odlomci o jugoslavenskim zemljama
https://www.academia[...]
[3]
서적
Die postalischen Abstempelungen auf den österreichischen Postwertzeichen-Ausgaben 1867, 1883 und 1890
[4]
웹사이트
Montenegro Census 2023
http://pop-stat.mash[...]
2024-04-15
[5]
웹사이트
Montenegrin 2011 census
http://www.monstat.o[...]
Monstat
[6]
웹사이트
Popis 2011
https://www.monstat.[...]
2011-09-29
[7]
웹사이트
Popis 2011
https://www.monstat.[...]
2011-09-29
[8]
웹사이트
Climate: Herceg Nov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5-24
[9]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5
[10]
웹사이트
Climate: Herceg Novi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1-18
[11]
웹사이트
Градови побратими
https://www.hercegno[...]
2021-07-04
[12]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3-01-01
[13]
웹사이트
Sito del Comune – Gemellaggi ed opportunità
http://www.comune.ba[...]
2013-06-25
[14]
웹사이트
Gradovi pobratimi
https://www.hercegno[...]
2021-01-19
[15]
웹사이트
Pobratimili se Herceg Novi i Trebinje
https://rtcg.me/vije[...]
2023-10-23
[16]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7〜18 中欧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17]
웹인용
Climate: Herceg Novi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26
[18]
웹인용
Montenegro Census 2023
http://pop-stat.mash[...]
2024-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