넵투누스 분수 (피렌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넵투누스 분수 (피렌체)는 1559년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의뢰로 제작된 분수이다.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가 바초 반디넬리의 설계도를 기반으로 제작했으며, 1560년부터 1574년까지 여러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미스키오 대리석을 주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코시모 1세의 후원과 피렌체의 예술적, 정치적 중요성을 나타낸다. 분수는 개방 이후 훼손되었으며, 2019년 살바토레 페라가모의 기부로 복원되었다. 넵투누스 조각상은 코시모 1세의 얼굴을 본떠 제작되었으며, 분수에는 신화적 요소와 코시모 1세의 권력을 상징하는 요소들이 담겨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넵투누스 분수 (피렌체) | |
|---|---|
| 지도 | |
| 일반 정보 | |
![]() | |
| 위치 | 이탈리아 피렌체 시뇨리아 광장 |
| 좌표 | 43°46′09.13″N 11°15′21.48″E |
| 제작자 |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 |
| 의뢰인 | 코시모 1세 데 메디치 |
| 스타일 | 매너리즘 |
| 재료 | 카라라 대리석과 청동 |
| 높이 | 5.6 미터 (18 피트) |
| 완공 | 1565년 |
| 역사 | |
| 개요 |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의뢰로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가 설계 및 제작 1565년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와 요한나 폰 외스터라이히의 결혼을 기념하여 제작 분수대의 넵투누스 조각상은 암만나티의 걸작으로 평가되지만, 피렌체 시민들에게는 "비안코네(Il Biancone)" (하얀 거인)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함 암만나티는 조각상 제작 과정에서 미켈란젤로의 조언을 구했으며, 미켈란젤로는 "자신의 예술을 따르라"고 조언 분수대는 완공 직후부터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으며, 특히 물 공급 부족 문제가 심각했음 1580년,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는 분수대의 물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송수관 건설을 지시 분수대는 수 세기 동안 피렌체의 중요한 상징물로 여겨졌으며, 다양한 행사와 축제에 사용됨 분수대는 여러 차례 보수 및 복원 작업을 거쳤으며, 특히 19세기에는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이루어짐 20세기 후반, 분수대는 오염과 파손으로 인해 심각한 손상을 입었으며, 2007년부터 2019년까지 복원 작업을 진행 현재 분수대는 피렌체의 중요한 관광 명소이며, 매년 수많은 관광객이 방문 |
| 특징 | |
| 조각상 | 넵투누스 조각상은 카라라 대리석으로 제작되었으며, 높이는 5.6 미터 넵투누스는 바다의 신으로, 삼지창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됨 조각상의 자세는 역동적이며, 넵투누스의 힘과 위엄을 나타냄 조각상의 얼굴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를 모델로 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
| 기타 조각상 | 분수대에는 넵투누스 조각상 외에도 다양한 신화 속 인물과 동물을 묘사한 조각상들이 있음 특히, 분수대 기단에는 스킬라와 카리브디스를 묘사한 조각상들이 있으며, 이는 바다의 위험을 상징 분수대에는 또한 다양한 바다 생물을 묘사한 조각상들이 있으며, 이는 바다의 풍요로움을 상징 |
| 분수 | 분수대는 다양한 형태의 물줄기를 뿜어내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분수대의 아름다움을 더함 분수대는 또한 야간에는 조명이 켜지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분수대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함 |
| 추가 정보 | |
| 문화적 중요성 | 넵투누스 분수는 피렌체의 중요한 상징물 중 하나이며, 피렌체 시민들의 자부심의 대상 분수대는 또한 피렌체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 분수대는 다양한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에 등장하며, 피렌체의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 |
| 논란 | 분수대는 완공 직후부터 피렌체 시민들에게 조롱의 대상이 되었으며, 특히 넵투누스 조각상은 "비안코네(Il Biancone)" (하얀 거인)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비판받음 분수대는 또한 물 공급 부족 문제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으며, 이는 분수대의 실용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 분수대는 또한 파손과 오염으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으며, 이는 분수대의 보존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킴 |
2. 역사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는 1559년에 넵투누스 분수를 만들 예술가를 선정하기 위한 경연 대회를 열었다. 이 분수는 피렌체에 깨끗한 물을 선물하려는 코시모의 선물이자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 1세와 오스트리아의 요하나 대공 부인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 의뢰된 것이었다.[1][2] 돈 빈첸초 보르기니는 코시모의 도상학 전문가로 분수 건설 계획을 책임졌다.[3]
분수는 공개된 직후부터 손상되기 시작했다. 공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지역 주민들은 분수를 잉크통 및 빨래터로 사용하며 대리석에 손상 및 변색을 야기했다.[8] 1580년, 1830년, 1848년, 1980년대, 2005년 등 여러 차례 훼손 행위를 겪었다.[9] 특히 1580년에는 분수 거의 전체가 파손되어 조각 몇 개만 온전하게 남았고, 1982년 이탈리아가 월드컵에서 우승하자 넵투누스의 어깨 부위가 페인트칠을 당하기도 했다. 2005년 8월 3일에는 누군가가 넵투누스 조각상을 오르려다 손이 떨어져 나가고 삼지창이 부서졌으며, 아래 전차에도 손상을 입혔다.[10]
피렌체 시 당국은 훼손 행위를 막기 위해 CCTV를 설치하고 경찰 인력을 늘리는 등 보안 조치를 강화하였다.[9]
살바토레 페라가모는 2019년 복원 작업에 150만유로를 기부했다. 2014년에 시작된 Art Bonus 프로그램 덕분에, 페라가모와 같은 개인 기부자들은 도시 미술품 복원 기여 활동에 대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페라가모의 기부로 2017년 초에 복원이 시작되어 2019년에 완료되었다. 1987년 이후로 작동하지 않던 분수의 펌프가 스테인리스강으로 교체되었고, 대리석 얼룩 제거, 갈라진 틈 보수, 녹슨 청동상 복원 등이 이루어졌다.[11]
2. 1. 제작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는 1559년에 넵투누스 분수를 만들 예술가를 선정하기 위한 경연 대회를 열었다. 이 분수는 피렌체에 깨끗한 물을 선물하려는 코시모의 선물이자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 1세와 오스트리아의 요하나 대공 부인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 의뢰된 것이었다.[1][2] 돈 빈첸초 보르기니는 코시모의 도상학 전문가로 분수 건설 계획을 책임졌다.[3]제작 의뢰는 본래 바초 반디넬리에게 주어졌으나, 1560년에 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그의 제자인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에게 넘어갔다. 암만나티는 반디넬리가 그린 설계도를 기반으로 넵투누스 분수를 만들었다.[5] 암만나티가 주 조각가였지만, 빈첸초 데 로시, 잠볼로냐 등 다른 예술가들의 도움을 받아 1560년부터 1574년까지 분수를 완성했다. 로시는 넵투누스 경연 대회에서 낙선한 뒤 코시모에게서 헤라클레스의 12과업 제작 의뢰를 받기도 했다. 거대한 넵투누스 대리석상을 조각하는 데 도움을 준 조각가들에는 안드레아 칼라메크, 바티스타 팜메리, 체사레 디 니코데모 등이 있었다.[6]
넵투누스 분수는 조개 모양의 말이 이끄는 전차 위에 있는 거대한 넵투누스 조각상 외에도, 트리톤, 사티로스, 푸토와 같이 있는 젊은 여성 두 명, 돌고래와 같이 있는 젊은 여성 두 명, 파우누스 등 여러 부분들로 이뤄져 있다.[6] 넵투누스의 특징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모습을 본뜬 것이며, 피렌체가 지중해 무역을 위한 안전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 코시모의 피사에 대한 최근 승리를 적절히 나타낸 것이었다.[1]
분수의 크기가 컸기 때문에, 암만나티는 넵투누스를 만들 때 어느 정도 혁신적인 선택을 해야 했다. 말 조각상 중 두 개는 하얀색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지만, 나머지 두 개는 세라베차에 있는 코시모 대공의 굴착지에서 발견된 미스키오(mischio)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5] 이 새로운 대리석은 각력암의 일종으로 빨강, 노랑, 보라 등 여러 가지 색상을 띤다.[7] 미스키오 대리석은 새로운 재료였기 때문에 조각가들은 이 대리석의 품질에 대해 알지 못했고, 미스키오의 강도는 암만나티의 작업을 더욱 어렵게 했다. 미스키오의 무른 특성으로 인해 미스키오로 만든 기둥은 운송 중에 파손되어 완공 일자가 지연되었다.
본래 계획은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 1세와 오스트리아의 요하나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1565년 쯤에 완공하는 것이었지만, 재료 공급의 지연으로 인해 1574년에야 완성되었다. 암만나티는 오스트리아의 요하나 도착에 맞춰 스투코와 그림을 이용하여 완성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임시 해결책을 내놓았다. 예술품의 주제와 코시모 공작이 새롭게 찾아낸 재료(미스키오)를 사용한 것이 넵투누스와 결합되어 이 분수를 지중해와 아펜니노산맥에 대한 피렌체 공작의 지배권의 상징으로 만들어냈다.[5]
2. 2. 후원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는 1537년부터 1569년까지 피렌체의 공작으로 재임하면서 피렌체를 예술과 건축의 도시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자신을 아우구스투스와 비교하며 피렌체의 새로운 시대를 이끄는 건축가로 여겼다.[3]코시모 1세는 시뇨리아 광장의 살라 그란데(Sala Grande), 우피치 미술관, 넵투누스 분수, 보볼리 정원 등을 건설하고, 피티 궁전을 완공했으며,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과 산타 크로체 성당 같은 교회 시설들을 보수했다.
코시모 1세의 이러한 후원 활동은 단순히 시민들을 위한 공공 공간과 예술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다. 그는 교회 시설 보수를 통해 로마의 호의를 얻어 1569년에 대공의 지위를 얻고자 했다. 1560년과 1574년 사이에 그가 주최한 축제들은 대중을 즐겁게 하는 동시에 그의 통치를 미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코시모 1세의 의뢰 뒤에는 메디치 가문과 피렌체에 대한 그의 정권 찬미가 근본적으로 있었다.[3]
코시모 1세는 예술 후원뿐만 아니라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피렌체를 독립시키고 신국가 피렌체의 지배자로서 자신을 확립했다.[6][3]
2. 3. 반달 행위와 복원
넵투누스 분수는 공개된 직후부터 손상되기 시작했다. 공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지역 주민들은 분수를 잉크통 및 빨래터로 사용하며 대리석에 손상 및 변색을 야기했다.[8] 분수는 1580년부터 1989년까지 여러 차례 훼손 행위를 겪었다. 1580년에는 분수 거의 전체가 파손되어 조각 몇 개만 온전하게 남았다. 이후 1830년과 1848년 행사들로 손상되었다. 1980년대에도 여러 차례 훼손 행위가 발생하여 말 조각상들이 손상되었고, 1982년 이탈리아가 월드컵에서 우승하자 넵투누스의 어깨 부위가 페인트칠을 당하기도 했다.[9] 2005년 8월 3일에는 누군가가 넵투누스 조각상을 오르려다 손이 떨어져 나가고 삼지창이 부서졌으며, 아래 전차에도 손상을 입혔다.[10][9] 분수가 겪은 피해의 결과로, 피렌체 시 당국은 CCTV를 설치하고 훼손 행위를 막기 위해 경찰 인력을 늘리는 등 더욱 엄격한 보안 조치를 실시하였다.[9]살바토레 페라가모는 복원 작업에 150만유로를 기부하며, 2019년에 있었던 넵투누스 분수 복원에 큰 역할을 했다. 2014년에 시작된 새로운 Art Bonus 프로그램 덕분에, 페라가모와 같은 개인 기부자들은 도시 미술품 복원 기여 활동에 대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페라가모의 기부 덕분에 오랫동안 지연되었던 넵투누스 분수의 복원이 2017년 초에 시작되어 2019년에 완료되었다. 복원 기간 동안 1987년 이후로 작동하지 않던 분수의 펌프가 스테인리스강으로 교체되었다. 그 외에도 대리석 얼룩 제거, 갈라진 틈 보수, 녹슨 청동상 복원 등이 이루어졌다.[11]
3. 상징
넵투누스 분수는 넵투누스를 중심으로 트리톤, 사티로스 등 다양한 신화적 인물들을 묘사하고 있다.[6] 넵투누스 전차에는 황도대 기호들이 새겨져 있으며,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의 넵투누스는 왕관과 채찍 끈을 쥐고 있어 세속적 지배자를 상징하는데, 이는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를 빗댄 것으로 해석된다.[13] 넵투누스의 얼굴은 코시모 1세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3. 1. 신화적 요소


넵투누스 분수는 바다의 신 넵투누스를 중심으로 트리톤, 사티로스, 푸토, 파우누스 등 다양한 신화적 인물들을 묘사하고 있다.[6] 넵투누스 전차에는 황도대 기호들이 새겨져 있는데, 백양궁에서 처녀궁으로 끝나는 전통적인 순서를 따르면서도 처녀궁을 신부의 모습으로 묘사하고 유니콘을 함께 배치하여 성경적 상징을 암시한다.[12] 이는 그리스도의 신부와 어린 예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2]
르네상스 시대에는 넵투누스를 묘사한 고전 시대 조각품이 남아 있지 않아, 예술가들은 개인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넵투누스를 표현했다.[13]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의 넵투누스는 정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며, 왕관과 채찍 끈을 쥐고 있어 세속적 지배자를 상징한다. 이는 넵투누스를 올림포스의 신보다는 현시대의 지배자, 즉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에 대한 상징으로 이끌어내고 있다.[13]
3. 2. 코시모 1세와 연결
넵투누스의 얼굴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르네상스 시대에는 넵투누스를 묘사한 고대 조각품이 남아 있지 않아, 예술가들은 각자의 해석을 바탕으로 넵투누스를 표현했다. 이탈리아의 넵투누스 묘사는 그리스 신화와 달리 신보다는 인간, 특히 헤라클레스와 비슷한 모습으로 나타났다.[13]
15세기 동안 넵투누스는 정적인 모습, 동적인 모습, 그리고 두 가지가 혼합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암만나티의 넵투누스는 정적인 모습으로, 당시 피렌체에서 인기 있었고 분수에 자주 사용되었다.[13] 암만나티의 넵투누스는 왕관을 쓰고 오른손에 채찍 끈을 쥐고 있는데, 이는 세속적 지배자를 가리키며 넵투누스를 올림포스 신보다는 현시대의 지배자, 즉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3]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는 피렌체를 예술과 건축물의 도시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자신을 아우구스투스와 비교하며 피렌체의 새로운 시대를 이끄는 건축가로 여겼다.[3]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후원은 정치적 이득을 위한 것이기도 했다. 교회 시설 보수는 로마의 호의를 얻고 대공 지위를 받기 위한 것이었으며, 축제들은 대중을 즐겁게 하는 동시에 그의 통치를 미화하기 위한 것이었다.[3]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는 예술 후원뿐만 아니라 피렌체를 신성 로마 제국에서 벗어나게 하고, 자신을 피렌체의 지배자로 확립했다.[6][3]
4. 유사한 조각상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는 1565년에 스톨도 로렌치에게 두 번째 넵투누스 분수 제작을 의뢰했다. 이 청동 조각상은 피티 궁전 뒤쪽 보볼리 정원 중심에 설치되었으며, 피렌체에 대한 메디치 가문의 권력을 상징했다.[14] 볼로냐 마조레 광장에도 잠볼로냐가 제작한 또 다른 넵투누스 분수가 있다. 이 분수는 교황 특사 카를로 보로메오의 의뢰로 1563년에서 1566년 사이에 설치되었으며, 잠볼로냐는 피렌체의 넵투누스 분수 제작을 돕기도 했다.[15][16]
5. 갤러리
참조
[1]
서적
Art in Renaissance Italy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2018-08-09
[2]
서적
Renaissance Florence: A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4
[3]
서적
Cosimo I de' Medici and His Self-Representation in Florentine Art and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뉴스
In Florence, Revelations in Stone
https://www.nytimes.[...]
2011
[5]
저널
La Maggior Porcheria Del Mondo': Documents for Ammannati's Neptune Fountain
https://www.jstor.or[...]
2005-07
[6]
저널
A Note on Ammannati's Apennine and on the Chronology of the Figures for His Fountain of Neptune
https://www.jstor.or[...]
1973-05
[7]
저널
Moving Stones, Managing Waterways, and Building an Empire for Duke Cosimo I de' Medici
https://www.jstor.or[...]
2011
[8]
웹인용
New life for the Neptune Fountain - The Florentine
http://www.thefloren[...]
2016-07-12
[9]
웹인용
The White Giant - The Florentine
http://www.thefloren[...]
2011-05-19
[10]
뉴스
Italy Neptune statue loses hand
http://news.bbc.co.u[...]
BBC
2020-02-15
[11]
뉴스
Salvatore Ferragamo Unveils Restored Fountain of Neptune in Florence
https://wwd.com/busi[...]
2019-03-26
[12]
저널
The Zodiacal Virgo on the Neptune Fountain in Florence
http://dx.doi.org/10[...]
2001
[13]
저널
Neptune in classical and Renaissance visual art
http://dx.doi.org/10[...]
1995
[14]
서적
Great Statues and Seismic Vulnerability–A Photogrammetric Approach for Early Safeguard
https://d1wqtxts1xzl[...]
Museen der Stadt Wien – Stadtarchäologie
[15]
웹인용
GIAMBOLOGNA
https://www.wga.hu/h[...]
[16]
저널
A Sixteenth Century Bozzetto
https://www.jstor.or[...]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