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협동조합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업협동조합 (대한민국)은 농업협동조합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대한민국의 협동조합이다. 1958년 설립되어 1961년 농업은행과 통합하여 농협중앙회가 출범했고, 2012년 금융 및 경제 사업 부문을 분리하여 NH농협금융지주와 농협경제지주를 설립했다. 농업 자재 구매, 농산물 판매, 금융 및 보험 서비스 제공을 통해 조합원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며, 지역농협의 상호금융 업무도 담당한다. 농협은 2개의 지주회사를 통해 농업인과 조합원의 경제적 활동을 지원하며, 조합원 교육과 권익 증진에도 힘쓴다. 2013년 언론 홍보 관련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협동조합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 도드람양돈협동조합
도드람양돈협동조합은 1990년 이천양돈조합으로 시작하여 양돈 농가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돼지고기 브랜드 도드람한돈을 중심으로 축산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 축산 전문 협동조합이다. - 대한민국의 신용조합 - 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는 1963년 마을금고를 모태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 시책사업으로 육성되었고 새마을금고법 제정을 통해 성장 기반을 마련한 후 디지털 금융 서비스 도입과 다양한 금융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금융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신용조합 - 신용협동조합 (대한민국)
신용협동조합은 대한민국에서 조합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운영되는 금융협동조합으로, 여수신 업무, 전자금융, 신용카드 발급, 공제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저축기관 - 상호저축은행
상호저축은행은 1972년 사금융 시장을 제도권으로 편입하기 위해 설립된 금융기관으로, 서민 금융 지원과 지역 금융 활성화를 목적으로 융자 등의 업무를 수행하지만, 2011년 대규모 영업 정지 사태를 겪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저축기관 - 수협은행
수협은행은 2016년 수산업협동조합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2024년 5월 기준 전국에 128개의 영업점을 운영한다.
농업협동조합 (대한민국)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
한자 | 農業協同組合中央會 |
영어 명칭 |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NongHyup |
약칭 | 농협중앙회, 농협, NH |
표어 | 신토불이 (身土不二) |
![]() | |
![]() | |
설립일 | 1961년 8월 15일 |
유형 | 협동조합 (중앙회 제외) |
형태 | 협동조합 (중앙회 제외) |
목적 | 대한민국 농민에 대한 지원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새문안로 16 (충정로1가)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소유주 | 국회 |
회원 | 국회 |
산업 | 은행업, 농산물 마케팅 및 공급, 축산물 마케팅 및 공급, 지원 서비스 |
매출 | 36조 2890억 원 (2011년) |
자산 | 305조 원 (2011년) |
영업 이익 | 9640억 원 (2011년) |
순이익 | 7030억 원 (2011년) |
직원 수 | 알 수 없음 |
공식 웹사이트 | 농협 공식 웹사이트 |
경영진 | |
회장 | 이성희 |
자회사 | |
자회사 | 농협은행 NH투자증권 |
2. 설립 근거
농업협동조합법 제1조[5], 신용협동조합법
3. 연혁
4. 주요 사업
농업협동조합은 2개의 지주회사를 통해 조합원인 농민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농업자재 구매, 생산농산물 판매, 영농 자금 조달(금융), 보험) 등을 지원하며, 지역농협의 상호금융 업무도 담당한다.[4]
최근 유럽 연합-대한민국 자유 무역 협정, 대한민국과 미국 간의 자유 무역 협정 등 국제 협정들은 대한민국 농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농업협동조합의 효율성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농협은 회원 조합의 운영 및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조합원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농민의 권익 증진을 위해 노력한다. 또한 새로운 농업 기술 및 제품 개발, 보급을 위한 투자도 지원한다.
농산물 유통 및 판매를 위해 하나로마트 등을 운영하며, 농축산물의 생산, 유통, 가공, 소비에 대한 마케팅 지원을 제공한다. 특히 판매 채널 확대 및 농업 비용 절감을 통해 농가 소득 증대에 힘쓰고 있다.
금융 사업 부문은 회원 조합에 대출 및 예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자 역할을 한다. 2011년 기준으로 총 예금액은 209조원, 총 대출액은 146조원이다.
2000년 7월 1일에는 축산업협동조합(축협, NLCF) 및 인삼협동조합과 통합하여 조직 기반을 강화했다.[4] 2012년 3월 2일에는 금융 및 보험, 신용 사업을 분리하여 NH농협금융지주를 설립했으며, NH농협은행, NH투자증권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농협은 "신토불이" 운동을 통해 한국산 농산물 소비를 장려하며, 한국산 농산물만을 판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4]
또한 농산물 시장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활기 넘치는 농촌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 한국농협인터내셔널 주식회사를 설립하여 김치 등의 농산물을 수입·판매하는 등 농산물 시장 국제화에도 대응하고 있다.
5. 조직
2011년 12월 기준으로 농업협동조합의 조합원은 244만 6,836명, 준조합원은 1,526만 2,611명이다. 2010년에 비해 조합원은 감소했고, 준조합원은 증가했다. 조합원은 일정 금액을 투자한 비농업인에게 세금 면제 혜택이 있는 은행 계좌 개설과 일부 서비스 이용을 허용한다. 그러나 조합원이 진정한 소유주 또는 이해관계자인 반면, 준조합원은 협동조합 접근이나 영향력 행사에 제한을 받는다.
회원 조합은 민주적으로 통제되는 자율적인 사업체로, 정부 재정 투자보다는 회원 출자금으로 자금을 조달하며, 제도적 출자금을 통해 농업협동조합중앙회를 지원한다. 협동조합은 직접 선출된 조합장이 운영하며, 조합장들은 중앙회 회장을 선출한다.
5. 1. 조직 체계

2011년 12월 기준으로 조합원은 244만 6,836명, 준조합원은 1,526만 2,611명이다. 2010년에 비해 조합원은 929명 감소했고, 준조합원은 77만 9,079명 증가했다. 조합원은 일정 금액을 투자한 비농업인에게 세금 면제 은행 계좌 개설과 일부 서비스 이용을 허용한다. 그러나 조합원이 진정한 소유주 또는 이해관계자인 반면, 준조합원은 협동조합 접근이나 영향력 행사에 제한을 받는다.
회원 조합은 민주적으로 통제되는 자율적인 사업체로, 정부 재정 투자보다는 회원 출자금으로 자금을 조달하며, 제도적 출자금을 통해 농업협동조합중앙회를 지원한다. 협동조합은 직접 선출된 조합장이 운영하며, 조합장들은 중앙회 회장을 선출한다.
5. 1. 1. 지역농협
회원 조합은 민주적으로 통제되는 자율적인 사업체로, 정부의 재정 투자보다는 회원 출자금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이들은 다시 제도적 출자금을 통해 농업협동조합중앙회를 지원한다. 협동조합은 직접 선출된 조합장에 의해 운영되며, 조합장들은 중앙회 회장을 선출한다.[1]2011년 말, 농협(NACF)은 1,167개의 본점과 3,306개의 협동조합으로 구성되었다.[1]
5. 1. 2. 품목농협
회원 조합은 민주적으로 통제되는 자율적인 사업체로, 정부의 재정 투자보다는 회원 출자금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이들은 다시 제도적 출자금을 통해 농업협동조합중앙회를 지원한다. 협동조합은 직접 선출된 조합장에 의해 운영되며, 조합장들은 중앙회 회장을 선출한다.
2011년 말 기준으로 농협(NACF)은 1,167개의 본점과 3,306개의 협동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 | 개소 |
---|---|
농협 | 46 |
축협 | 24 |
5. 2. 중앙회
농업협동조합 중앙회는 지역본부, 지역축협, 품목농협, 사업소, 시군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군지부 아래에는 지역농협이 있다.5. 2. 1. 임원
농업협동조합의 임원은 회장과 전무이사가 있으며, 그 외에 상무, 상무보가 있다.5. 2. 2. 사업 부문별 대표이사
직책 | 이름 |
---|---|
농업경제 대표이사 | |
축산경제 대표이사 | |
상호금융 대표이사 | |
NH농협금융 대표이사 | |
NH농협케이블TV 대표이사 |
(이전 출력과 동일하므로 변경사항 없음)
5. 3. 지주회사
NH농협금융지주는 1961년에 농업은행과 농업연합회의 합병으로 설립되었다. 농협중앙회의 고유 활동에 필요한 자금과 수익을 확보하고, 고객에게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금융, 주택담보대출, 개인 신용대출, 기업 금융, 부동산 금융 및 신기술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생명 보험, 재산 보험 및 손해 보험 상품도 제공한다.NH농협금융지주의 자회사는 다음과 같다.
농협경제지주와 그 자회사의 목표는 첨단 전문 지식과 효율적인 제품 유통을 통해 농축산물의 마케팅과 공급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농협경제지주의 자회사는 다음과 같다.
- 한국농업협동조합 마케팅
- 남해화학
- 영일화학
- 농협한삼인
- 농협물류서비스
- 한국농업협동조합 무역
- 농업협동조합 부산경남유통
- 농업협동조합 충북유통
- 대전농산물마케팅센터
- 농협-아그로
- 삼협농산
- 농협사료
- 농협목우촌
6. 국제 협력
농협은 농산물 시장 국제화에 발맞춰 일본에 한국농협인터내셔널 주식회사를 설립하여 김치 등 농산물을 수입·판매하고 있다.[4]
7. 비판 및 논란
2013년, 배기운 의원(더불어민주당)과 월간 시사 잡지 《시사IN》은 농협의 부당한 언론 홍보 관행을 폭로했다. 농협으로부터 홍보 기사 게재 대가를 받은 언론사에는 《동아일보》(6.287000000000001억원), 《중앙일보》(3.75억원), 《조선일보》(5660만원), 《경향신문》(3300만원), 《한겨레》(1250만원)와 같은 신문, 《연합뉴스》(1.32억원), 《오마이뉴스》(5500만원) 등의 뉴스 웹사이트가 포함되었다.[3]
익명을 요구한 농협 홍보 직원은 《코리아 옵서버》에 협동조합과 정책을 홍보하는 기사에 대한 대가로 언론사에 돈을 지불했다고 말했다.
8.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Global 300 Report 2010: The world's major co-operatives and mutual businesses
http://ica.coop/site[...]
[2]
웹사이트
Global 300 for 2008
http://www.global300[...]
Global300.coop
2012-06-08
[3]
뉴스
Nonghyup 'paid dailies to run promo articles'
http://www.koreaobse[...]
2013-10-16
[4]
문서
身土不二#韓国における身土不二運動 참조
[5]
문서
농업협동조합법 제1조(목적) 이 법은 농업인의 자주적인 협동조직을 바탕으로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고, 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하여 농업인의 삶의 질을 높이며,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