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네체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네체르는 이집트 제2왕조의 세 번째 통치자로, 멤피스에서 발견된 동시대 조각상에 의해 그 연대기적 위치가 증명된다. 그는 38년에서 49년까지 장기간 통치했으며, 팔레르모 석비에는 그의 통치 7년차부터 21년차까지의 주요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그의 이름은 사카라의 묘와 아비도스, 누비아의 암석 비문 등에서 발견되며, 세드 축제 복장을 착용한 좌상과 같은 고고학적 증거는 그의 장기간 통치를 뒷받침한다. 니네체르 시대에는 인구 조사와 관련된 식량 관리 부서가 도입되었고, 그의 통치 말기에는 내란과 왕위 경쟁으로 혼란이 발생했다. 그의 무덤은 사카라에 위치하며, 갤러리 무덤의 건축적 특징은 이전 왕들의 무덤과 유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8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왕조
이집트 제2왕조는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한 역사 파악이 어렵지만, 마네토의 기록과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일부 파라오의 이름과 재위 기간, 왕권 변화와 상·하 이집트 통일 시도, 그리고 마지막 왕 카세켐위 시대에 왕권 안정화 후 제3왕조로의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고대 이집트 왕조이다. - 기원전 29세기 파라오 - 라네브
라네브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세레크 이름은 태양 상형 문자를 사용하여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호루스와 세트의 균형을 유지하려던 종교적 특징을 보이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 기원전 29세기 파라오 - 헤텝세켐위
헤텝세켐위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두 권력이 화해했다"는 호루스 이름을 가지며, 왕국 통합과 안정을 추구했던 인물이다. - 기원전 28세기 파라오 - 라네브
라네브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세레크 이름은 태양 상형 문자를 사용하여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호루스와 세트의 균형을 유지하려던 종교적 특징을 보이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 기원전 28세기 파라오 - 웨네그
웨네그는 고대 이집트 제2왕조 시대 인물로 추정되나, 그의 정체, 통치 기간, 역사적 위치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논쟁이 있으며, 웨네그라는 이름과 "웨네그 꽃" 상형 문자를 두고 여러 해석이 존재하고, 파라오 세켐이프-페렌마아트나 라네브와 동일 인물로 추정되기도 하고 독립적인 통치자로도 여겨지나 명확한 정보는 부족하며, 그의 죽음 이후 이집트 왕국이 분열되었다는 설과 함께 그의 유물과 기록을 통해 당시 이집트 상황을 연구하려는 시도가 있다.
니네체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할 | 파라오 |
왕조 | 제2왕조 |
이전 통치자 | 네브라 |
다음 통치자 | 불확실: 누브네페르, 웨네그 (라네브와 구별될 경우에만), 또는 세트-페리브센 |
호루스 이름 | 니네체르 (Nj-nṯr, "신과 같은 자" 또는 "신에게 속한 자") |
네브티 이름 | 니네체르-네브티 (Nj-nṯr-nbt.j, "두 여신의 신과 같은 자") |
금 이름 (팔레르모 석) | 렌-네부 (Rn-nb.w) |
아비도스 왕 목록 | 바네체르 (B3-nṯr) |
사카라 왕 목록 | 바네체루 (B3-nṯr.w) |
토리노 왕 목록 | ...네체르-렌 (...nṯr-rn) |
통치 기간 | |
기간 | 기원전 29세기 ~ 27세기 초 (추정), 38–49년, 가장 유력하게는 40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불확실 |
자녀 | 불확실, 와제네스 및 웨네그? |
아버지 | 네브라? |
어머니 | 알 수 없음 |
매장지 | 사카라, 갤러리 무덤 B |
업적 | |
기념물 | 해당 사항 없음 |
2. 역사적 배경
니네체르가 이집트 제2왕조 초기의 세 번째 통치자이자 라네브의 후계자라는 점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3] 이는 멤피스에서 발굴된 붉은 화강암 조각상인 헤테페디에프의 동시대 조각상으로 증명된다. 헤테페디에프는 왕조의 처음 세 왕의 장례 의례 사제였으며, 그의 오른쪽 어깨에는 호텝세켐위, 라네브, 그리고 니네체르의 세레크(왕의 이름을 새긴 문장)가 연대순으로 새겨져 있다. 투린 왕명표와 같은 역사적 자료 또한 니네체르를 호테프세켐위와 라네브 다음으로 왕조의 세 번째 왕으로 명시하고 있다.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은 팔레르모 석비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데, 이 연대기는 아마도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 처음 편집되었을 것이다. 연대기의 현존하는 파편은 니네체르의 치세 7년차부터 21년차까지의 주요 사건과 나일강 홍수 수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학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니네체르의 재위 기간을 38년에서 최대 49년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2000년 윌킨슨의 왕조 연대기에 대한 재구성에 따르면,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은 40년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토리노 왕 목록은 96년,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는 47년의 통치 기간을 제시했지만,[3] 이집트학자들은 이를 오해나 과장으로 간주하고, 일반적으로 니네체르가 43년 또는 45년의 통치를 했다고 본다.
장기간의 통치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로는 니네체르의 좌상이 있는데, 그는 왕의 갱신을 위한 축제인 세드 축제의 의례적인 꽉 맞는 의복을 착용하고 있다. 이 축제는 왕이 30년 이상 통치한 후에야 처음으로 기념되었다.
2. 1. 왕조 초기
2. 2. 연대기
니네체르가 제2왕조 초기의 세 번째 통치자이자 라네브의 후계자라는 점은 이집트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3]멤피스에서 발굴된 붉은 화강암 조각상인 헤테페디에프의 동시대 조각상은 이를 직접적으로 증명한다. 이 조각상은 이집트 사적 조각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 헤테페디에프는 왕조의 처음 세 왕의 장례 의례 사제였으며, 그의 오른쪽 어깨에는 호테프세켐위, 라네브, 그리고 니네체르의 세레크가 연대순으로 새겨져 있다.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 동안 재각인된 호테프세켐위와 라네브의 석제 그릇과 같은 고고학적 증거도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 투린 왕명표와 같은 역사적 자료 또한 니네체르를 호테프세켐위와 라네브 다음으로 왕조의 세 번째 왕으로 명시하고 있다.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은 여러 역사적 자료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팔레르모 석비이다. 이 연대기는 아마도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 처음 편집되었을 것이다. 이 연대기는 니네체르의 이름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어 그의 통치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증거로 간주된다.
연대기의 현존하는 파편은 니네체르의 치세 7년차부터 21년차까지의 주요 사건과 나일강 홍수 수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의 통치에 관한 나머지 기록은 유실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파편으로부터 니네체르의 재위 기간을 추정하기 위한 재구성이 시도되었다. 이집트학자들은 38년에서 최대 49년까지의 장기간의 통치를 제안했다. 2000년 윌킨슨의 왕조 연대기에 대한 재구성에 따르면, 팔레르모 석비에 기록된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은 40년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토리노 왕 목록은 96년의 통치를 제시하고 있고,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는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이 47년이라고 제안했다.[3] 이집트학자들은 이 두 진술 모두를 오해나 과장으로 간주하며, 일반적으로 니네체르가 43년 또는 45년의 통치를 했다고 본다.
장기간의 통치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로는 니네체르의 좌상이 있는데, 그는 왕의 갱신을 위한 축제인 세드 축제의 의례적인 꽉 맞는 의복을 착용하고 있다. 이 축제는 왕이 30년 이상 통치한 후에야 처음으로 기념되었다.
2. 3. 통치 기간
니네체르가 제2왕조 초기 세 번째 통치자이자 라네브의 후계자라는 사실은 이집트학자들 사이에서 이견이 없다.[3]이는 멤피스에서 발굴된 헤테페디에프의 동시대 조각상으로 증명된다. 얼룩덜룩한 붉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이 조각상은 이집트 사적 조각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 헤테페디에프는 왕조의 처음 세 왕의 장례 의례 사제였으며, 그의 오른쪽 어깨에는 호테프세켐위, 라네브, 니네체르의 세레크가 연대순으로 새겨져 있다. 이 외에도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 동안 재각인된 호테프세켐위와 라네브의 석제 그릇이 발견되어 고고학적 증거를 뒷받침한다. 람세스 2세 (기원전 1303년경 ~ 기원전 1213년) 시대에 쓰여진 투린 왕명표에서도 니네체르를 호테프세켐위와 라네브 다음으로 왕조의 세 번째 왕으로 명시하고 있다.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은 여러 역사적 자료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팔레르모 석비이다. 이 연대기는 초기 이집트 제5왕조 시대, 아마도 네페르케레 카카이 (기원전 25세기 중반) 치세에 처음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대기의 현존하는 파편은 니네체르의 치세 7년차부터 21년차까지의 주요 사건과 나일강 홍수 수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학자들은 팔레르모 석비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니네체르의 재위 기간을 38년에서 최대 49년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2000년 윌킨슨의 왕조 연대기에 대한 재구성에 따르면,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은 40년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토리노 왕 목록은 96년의 통치를 제시하고 있고,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는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이 47년이라고 제안했다.[3] 이집트학자들은 이 두 기록을 오해나 과장으로 간주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니네체르가 43년 또는 45년의 통치를 했다고 본다.
장기간의 통치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로는 니네체르의 좌상이 있는데, 그는 왕의 갱신을 위한 축제인 세드 축제의 의례적인 꽉 맞는 의복을 착용하고 있다. 이 축제는 왕이 30년 이상 통치한 후에야 처음으로 기념되었다.
3. 주요 특징
니네체르는 제2왕조 초기의 왕들 중 고고학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왕이다.[2] 그의 이름은 사카라에 있는 그의 묘에서 발견된 다수의 석조 용기와 점토 봉인 비문에 나타나 있으며, 아비도스에 있는 페리브센의 묘와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 아래 갤러리에서도 발견되었다.[2]
누비아 아부 한달 근처 암석 비문에는 니네체르의 이름이 세레크 안의 "N" 기호와 함께 세레크 위에 "네체르" 기호로 묘사되어 '신 N'을 의미한다. 이는 페리브센이 호루스 대신 세트를 선택하고, 카세켐위가 두 신을 모두 사용한 것과 같이 종교적 혼란을 암시할 수 있다. 이 비문은 니네체르가 이 지역에 군사적 원정을 보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
니네체르는 람세스 2세 시대 카르투슈 이름인 아비도스 왕 목록의 '바네체르', 사카라 왕 목록의 '바네체루', 토리노 왕 목록의 '네체르-렌'과 동일하게 여겨진다. 팔레르모 석은 니네체르의 황금 이름인 '렌-네부'를 제시하는데, 이는 조세르 왕 치세 제3왕조 초기에 확립된 황금 호루스 이름의 선구자로 여겨진다.[2]
니네체르가 제2왕조 초기 세 번째 통치자이자 라네브의 후계자라는 점은 멤피스에서 발굴된 헤테페디에프 조각상(호텝세켐위, 라네브, 니네체르의 세레크가 새겨짐)을 통해 증명되어 이집트학자들 사이에서 합의를 이루고 있다.
2년에 한 번 열리는 "호루스의 수행" 행사는 왕과 왕실이 이집트 전역을 여행하며 과세를 위한 인구 조사를 실시하고 상품을 수집하는 것이었다.[1] 니네체르는 세 개의 행정 기관을 도입하여 국가 수입 감독 책임을 왕의 재무 대신 권한 아래 두었으며,[3][4] 인구 조사와 관련된 식량 관리 부서도 도입했을 수 있다.[5]
니네체르 통치 말기와 그 직후는 매우 불확실하다. 이집트에서 내란[2]이 있었고,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두 왕국을 동시에 통치하는 왕위 경쟁자들이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3][4][5]
니네체르의 후계자가 이미 다른 통치자와 왕위를 공유했는지, 아니면 그의 죽음 당시 이집트 국가가 분열되었는지도 불분명하다. 사카라 목록, 토리노 정경, 아비도스 표는 와제네스 왕을 니네체르의 직계 후계자이자 세네드의 전임자로 기록하고 있다.
3. 1. 이름과 정체성
고고학적으로 니네체르는 제2왕조 초기의 왕들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2] 그의 이름은 사카라에 있는 그의 묘에서 다수의 석조 용기와 점토 봉인에 있는 비문에 나타난다. 그의 이름을 새긴 많은 유물이 아비도스에 있는 왕 페리브센의 묘와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 아래 갤러리에서도 발견되었다. 그러나 일부 비문의 연대, 특히 검은색 잉크로 만들어진 비문의 연대는 약간의 문제를 야기했다. 일로나 레굴스키와 같은 문헌 전문가와 고고학자들은 잉크 비문이 석조 및 봉인 비문보다 다소 늦은 시기에 속한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잉크 표시를 카세켐위와 조세르와 같은 왕들의 통치 시기로 추정하며 유물이 아비도스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실제로 니네체르의 이름을 보여주는 매우 유사한 글꼴 디자인의 검은색 잉크 비문이 있는 알라바스터 용기와 흙 항아리가 페리브센의 묘에서 발견되었다.[2]닌예체르의 이름은 또한 누비아의 아부 한달 근처의 암석 비문에도 나타난다. 이 비문은 왕의 세레크 안에 "N" 기호만 표시하지만, 세레크 위에 일반적으로 호루스 매가 차지하는 위치에 "신"을 의미하는 "네체르" 기호가 놓여 있다. 따라서 닌예체르의 이름은 "신 N"으로 묘사된다. 호루스가 없는 것은 종교적 혼란을 암시할 수 있는데, 이는 페리브센 왕이 세레크 위에 호루스 대신 세트를 선택하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파라오 카세켐위가 그의 위에 두 신을 서로 마주하게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이 비문 자체는 닌예체르가 이 지역에 군사적 원정을 보냈다는 단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그의 통치 20년 이후일 가능성이 높은데, 닌예체르의 통치 처음 20년을 다루는 현존하는 왕실 연대기에는 그러한 원정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니네체르는 일반적으로 람세스 시대 카르투슈 이름인 아비도스 왕 목록의 '바네체르', 사카라 왕 목록의 '바네체루', 토리노 왕 목록의 '네체르-렌'과 동일하게 여겨진다. 팔레르모 석비의 비문은 니네체르의 특이한 황금 이름을 제시하는데, '렌-네부'는 "황금 후손" 또는 "황금 송아지"를 의미한다. 이 이름은 이미 니네체르 생존 시대의 유물에서 나타나며, 볼프강 헬크와 토비 윌킨슨과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이 이름이 조세르 왕 치세 제3왕조 초기에 왕실 칭호에서 확립된 황금 호루스 이름의 일종의 선구자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니네체르가 제2왕조 초기 세 번째 통치자이자 라네브의 후계자라는 상대적인 연대기적 위치는 이집트학자들 사이에서 합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헤테페디에프의 동시대 조각상에 의해 직접적으로 증명된다. 멤피스에서 발굴된 얼룩덜룩한 붉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이 조각상은 이집트 사적 조각의 가장 초창기 사례 중 하나이다. 헤테페디에프는 왕조의 처음 세 왕의 장례 의례 사제였으며, 세레크가 헤테페디에프의 오른쪽 어깨에 정황상 연대순으로 새겨져 있다. 호테프세켐위, 라네브, 그리고 니네체르. 추가적인 고고학적 증거도 이 이론을 뒷받침하는데, 특히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 동안 재각인된 호테프세켐위와 라네브의 석제 그릇이 있다. 두 개의 역사적 자료 또한 같은 결론을 가리킨다. 즉, 니네체르의 전임자의 신원을 보존하지는 않지만 그가 제2왕조의 첫 번째 왕이 아님을 시사하는 고왕국 왕조 연대기와, 람세스 2세 치하에 쓰여진 왕 목록인 투린 왕명표는 니네체르를 호테프세켐위와 라네브 다음으로 왕조의 세 번째 왕으로 명시하고 있다.
3. 2. 행정 및 경제
2년에 한 번 열리는 "호루스의 수행" 행사는 팔레르모 석에 언급된 것으로, 왕과 왕실이 이집트 전역을 여행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1] 적어도 니네체르 통치 시대부터 이 여행의 목적은 과세를 위한 인구 조사를 실시하고, 다양한 상품을 수집하고 분배하는 것이었다. 제3왕조의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이 인구 조사에는 "금과 토지의 열거"가 포함되었다.[2] 국가 수입 감독 책임은 왕의 재무 대신 권한 아래 있었으며,[3] 그는 니네체르가 이전의 기관을 대체하여 도입한 세 개의 행정 기관을 지휘했다.[4] 니네체르는 또한 인구 조사와 관련된 식량 관리 부서를 도입했을 수도 있다.[5]제3왕조 초기에 "호루스의 수행"은 기록에서 사라지고 더 철저한 인구 조사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니네체르 통치 기간 동안 시작되었을 수 있다.[6] 적어도 스네프루 통치 시대부터 이 확장된 인구 조사에는 가축 조사가 포함되었는데, 이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황소와 작은 가축은 제5왕조부터 기록되었다.[7]
이러한 혁신은 제1왕조 중반에 왕실 무덤 준비 및 이후의 장례 의식 유지를 담당하는 기관과 국가 재무부가 창설된 후 초기 이집트 국가를 대신하여 자원 수집 및 관리의 질적으로 새로운 단계를 나타낸다.[8] 니네체르의 새로운 시도는 분명히 공무원 규모 증가와 병행되었다. 그 주요 임무는 왕권의 지속적인 존재와 효능을 보장하는 것이었으며, 여기에는 사후 왕의 삶을 위한 준비가 포함되었다.[9] 이는 차례로 제2왕조 왕실 무덤이 왕의 궁전을 본떠서 와인과 음식을 위한 많은 저장 공간을 통합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상품의 양을 증가시켰다.[10]
3. 3. 종교
Ra영어 숭배와 태양 숭배는 라네브와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 동안 발전했다.[4] 팔레르모 석에 기록된 14년째 기록은 니네체르를 대신하여 "쉠-라"(Shem-Ra)라는 기관 또는 건물의 설립(파괴가 아닌)을 언급하는데, 그 이름은 "라의 행진",[4] "태양이 나아가다",[4] 또는 "태양이 왔다"로 다양하게 번역된다.[4]3. 4. 통치 말기의 혼란
니네체르의 통치 말기와 그 직후에 일어난 일은 매우 불확실하다. 이집트에서 내란[2]이 있었고,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두 왕국을 동시에 통치하는 왕위 경쟁자들이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3][4][5] 역사 기록은 니네체르의 통치 말부터 카세켐위 시대까지 왕들의 상반된 목록을 보존하고 있다.[6]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세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다.
- 정치적 붕괴와 종교적 갈등
- 행정적 고려 사항에 따른 니네체르의 의도적인 선택
- 경제적 붕괴로 인한 이집트 분열
에릭 호르눙은 멤피스와 하이집트로의 권력 및 왕실 관심 이동에 대한 상이집트의 반발로 인해 국가의 통일성이 무너졌다고 보았다.[7] 이는 제2왕조의 처음 세 왕의 무덤이 건설된 사카라를 선호하여 제1왕조의 아비도스 묘지를 버린 것을 통해 나타난다. 이 정치적 갈등은 니네체르의 후계자 아래에서 종교적 측면을 띠기도 했을 수 있다. 호르눙과 슐뢰글은 페리브센이 그의 이름에 대한 신성한 후원자로 호루스가 아닌 세트 신을 선택한 점을 지적하는데, 세트는 옴보스 출신의 상이집트 신이다.[7] 페리브센은 또한 아비도스의 옛 왕실 매장지에 무덤을 짓기로 결정했고, 그곳에 장례식 담장도 세웠다.[7] 이러한 전개에 대한 하이집트의 대응도 있었는데, 호루스와 관련된 왕들이 이집트 북부를 동시에 통치했다.[8][7]
볼프강 헬크, 니콜라스 그리말, 헤르만 알렉산더 슐뢰글, 프란체스코 티라드리티와 같은 이집트 학자들은 니네체르가 지나치게 복잡한 국가 행정으로 고통받는 왕국을 남겼다고 믿는다. 그 결과, 니네체르는 이집트를 그의 두 후계자(아마도 그의 아들들) 사이에 나누기로 결정했을 수 있으며, 그들은 두 개의 별도 왕국을 통치하여 두 통치자가 국가를 더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9][10]
반면에, 바바라 벨과 같은 이집트 학자들은 이 시기에 기근이나 오랫동안 지속된 가뭄과 같은 경제적 재앙이 이집트에 영향을 미쳤다고 믿는다. 따라서 이집트 인구를 먹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니네체르는 왕국을 둘로 나누었고, 그의 후계자들은 기근이 끝날 때까지 두 개의 독립 국가를 통치했다. 벨은 팔레르모 석의 비문을 지적하며, 그녀의 의견으로는 나일강 연례 홍수의 기록이 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고 한다.
벨의 이론은 현재 스테판 자이드마이어와 같은 이집트 학자들에 의해 반박되었는데, 자이드마이어는 벨의 계산을 수정했다. 자이드마이어는 연례 나일강 홍수가 니네체르 시대부터 구왕국 시대까지 평소 수준이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벨은 팔레르모 석 비문에 나타난 나일강 홍수의 높이가 멤피스 주변의 닐로미터 측정만 고려하고 강을 따라 다른 곳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을 간과했다. 따라서 오랫동안 지속된 가뭄은 설명이 될 가능성이 낮다.
니네체르의 후계자가 이미 다른 통치자와 왕위를 공유했는지, 아니면 그의 죽음 당시 이집트 국가가 분열되었는지도 불분명하다. 사카라 목록, 토리노 정경 및 아비도스 표와 같은 모든 알려진 왕 목록은 와제네스 왕을 니네체르의 직계 후계자이자 세네드라는 왕의 전임자로 기록하고 있다. 세네드 이후, 왕 목록은 후계자에 관해 서로 다르다. 사카라 목록과 토리노 정경은 네페르카(라) 1세, 네페르카소카르, 후제파 1세를 직계 후계자로 언급하는 반면, 아비도스 목록은 그들을 건너뛰고 ''자자이''(카세켐위) 왕과 동일한 왕을 기록한다. 세네드가 왕위를 얻었을 때 이집트가 이미 분열되었다면, 세케밈과 페리브센과 같은 왕들이 상이집트를 통치했을 것이고, 세네드와 그의 후계자 네페르카(라)와 후제파 1세가 하이집트를 통치했을 것이다. 이집트의 분열은 카세켐위에 의해 끝났다.
4. 통치
니네체르의 이름은 누비아의 아부 한달 근처 암석 비문에도 나타난다. 이 비문은 왕의 세레크 안에 "N" 기호만 표시하지만, 세레크 위에 일반적으로 호루스 매가 차지하는 위치에 "신"을 의미하는 "네체르" 기호가 있어, "신 N"으로 묘사된다. 호루스가 없는 것은 페리브센 왕이 세레크 위에 호루스 대신 세트를 선택하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파라오 카세켐위가 그의 위에 두 신을 서로 마주하게 한 것에서처럼 종교적 혼란을 암시할 수 있다.[2] 이 비문은 니네체르가 이 지역에 군사 원정을 보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3]
4. 1. 주요 사건
니네체르는 제2왕조 초기의 왕들 중 고고학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이다.[2] 그의 이름은 사카라의 묘에서 발견된 석조 용기와 점토 봉인 비문에 새겨져 있으며, 아비도스에 있는 왕 페리브센의 묘와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 아래 갤러리에서도 그의 이름을 새긴 유물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일부 검은색 잉크 비문의 연대는 카세켐위와 조세르 왕 시대로 추정되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2]누비아의 아부 한달 근처 암석 비문에는 니네체르의 이름이 "신"을 의미하는 기호와 함께 묘사되어 있다. 이는 당시의 종교적 혼란을 암시할 수 있으며, 이 비문은 니네체르가 이 지역에 군사 원정을 보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3]
팔레르모 석비는 니네체르의 통치 7년차부터 21년차까지의 주요 사건과 나일강 홍수 수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은 니네체르의 통치 기간을 추정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증거로 간주된다.[4] 토리노 왕 목록은 96년, 마네토는 47년의 통치 기간을 제시하지만, 이집트학자들은 이를 오해나 과장으로 간주하고 43년 또는 45년의 통치를 추정한다.
니네체르의 좌상은 왕의 갱신 축제인 세드 축제의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 축제는 왕이 30년 이상 통치한 후에 기념되는 것이었다.[5]
팔레르모 석은 다음의 연대기를 기록하고 있다.[4]
연도 | 사건 | 홍수 수위 |
---|---|---|
7년 | 호루스의 추종...(나머지 유실) | |
8년 | 왕의 현현; "호르-렌"을 위한 "줄을 늘이는 것" (기초 의식[4]) | 1.57m |
9년 | 호루스의 추종 | 1.09m |
10년 | 상, 하 이집트 왕의 현현; "아피스 황소 경주" | 1.09m |
11년 | 호루스의 추종 | 1.98m |
12년 | 하이집트 왕의 현현; 소카르 축제 두 번째 기념 | 1.92m |
13년 | 호루스의 추종 | 0.52m |
14년 | "호르-세바-펫"(하늘의 별 호루스) 첫 기념; "솀-레"와 "하"의 파괴/건설(북쪽 도시[4]) | 2.15m |
15년 | 호루스의 추종 | 2.15m |
16년 | 하이집트 왕의 현현; 두 번째 "아피스 황소 경주" | 1.92m |
17년 | 호루스의 추종 | 2.4m |
18년 | 하이집트 왕의 현현; 소카르 축제 세 번째 기념 | 2.21m |
19년 | 호루스의 추종 | 2.25m |
20년 | 하이집트 왕의 현현; 왕의 어머니를 위한 공물; "영원의 축제"(장례 의식[4]) 기념 | 1.92m |
21년 | 호루스의 추종...(나머지 유실) |
카이로 석은 36~44년을 기록하고 있지만, 대부분 판독 불가능하며, 아누비스 부적 "탄생"과 "상, 하 이집트 왕의 현현" 일부만 판독 가능하다.[4]
마네토는 니네체르를 ''비노트리스''라 칭하며, 이 통치 기간 동안 여성들이 왕위를 얻을 권리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는 1왕조의 여왕 메리트네이트와 네이토테프에 대한 언급으로 추정된다.[5]
"호루스의 수행"은 2년에 한 번 열리는 행사로, 왕과 왕실의 이집트 전역 여행, 과세, 인구 조사, 상품 수집 및 분배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니네체르는 세 개의 행정 기관과 식량 관리 부서를 도입하여 인구 조사와 관련된 업무를 강화했을 수도 있다.
5. 현대적 응용
니네체르의 현대적 응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된 원본 자료에 나타나 있지 않다.
5. 1. 무덤
니네체르의 무덤은 사카라 북쪽에 있으며, 현재 갤러리 무덤 B로 알려져 있다. 원래 이름은 "호루스의 간호사" 또는 "신의 간호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덤은 멤피스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자연적인 와디(wadi, 건천 계곡) 옆에 있다. 이 와디는 계곡에서 지역 고원까지 이어지는 길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며, 건설 자재 운반 통로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와디는 무덤을 나일 계곡에서 숨겨 왕이 극복할 죽음을 상징하는 사막 배경 속에 자리 잡도록 했다.니네체르의 무덤은 호텝세켐위와 라네브의 무덤 근처에 있으며, 현재 제5왕조 말에 우나스가 건설한 참도 아래에 있다. 당시 무덤의 원래 입구는 이미 조세르의 피라미드 주변에 파 놓은 도랑으로 막혀 있었다. 니네체르의 무덤과 관련된 지상 구조물은 우나스의 통치 기간 또는 조세르 시대에 대부분 파괴되었다.
무덤 남쪽과 동쪽에는 고위 관료들의 갤러리 무덤을 포함하는 제2왕조의 더 넓은 묘역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에릭 호눙에 따르면, 제1왕조의 아비도스 매장지 대신 사카라를 선택한 것은 멤피스를 선호하면서 고대 상 이집트 권력 중심지를 다소 소홀히 한 것으로, 니네체르 통치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상 이집트의 반발을 초래했을 수 있다.
고고학 발굴 조사에 따르면, 원래 니네체르의 무덤과 관련된 지상 구조물이 존재했으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없다.[2] 고고학적 유물만으로는 구조물의 배치나 진흙 벽돌 또는 석회암으로 만들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다.[2] 이 구조물들은 아마도 가짜 문과 틈새 석비가 있는 제단, 장례 사원, 그리고 세르다브를 포함했을 것이다. 이 상부 구조물의 높이는 8m에서 10m에 달했을 수 있으며, 마스타바와 유사했을 수 있다. 돌로 지어진 별도의 담장도 거의 확실하게 건설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구조물은 제1왕조부터 왕족 무덤을 따랐지만, 여기서는 훨씬 더 큰 규모였을 것이다. 인근의 기스 엘-무디르와 L자형 구획은 호텝세켐위와 니네체르의 소유일 수 있다.
무덤은 현지 암반을 깎아 만든 두 개의 거대한 지하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단지는 지면에서 5m에서 6m 깊이로 파여 있으며,[2] 2.1m 높이의 방 157개가 77x 면적에 걸쳐 있다.[2] 두 번째 단지는 3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덤은 원래 두 개의 쇠창살에 막혀 있고 대략 동서축을 따라 세 개의 갤러리로 이어지는 25m 길이의 경사로를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이들은 두 개의 뚜렷한 건설 단계를 거쳐 지어진 문, 현관, 복도의 미로와 같은 시스템으로 확장된다.[2] Lacher-Raschdorff는 무덤 방과 갤러리가 90명의 팀이 2년 동안 작업하여 파냈을 것으로 추정한다. 구리 도구 자국은 작업자들이 여러 그룹으로 조직되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암반을 깎았음을 보여준다.
무덤은 많은 저장실을 통합한 확장된 레이아웃을 통해 기념비적인 왕실 장례 건축의 중요한 발전을 보여주며, 무덤 자체가 갱신 장례 의식의 중심이 되었다. 무덤 남쪽 끝에는 왕궁의 모형처럼 보이는 일련의 방이 있다. 무덤의 일부 방은 거의 손상되지 않은 채 발견되었으며, 닌예르의 원래 매장품 일부를 보존하고 있었다. 그러한 방 중 하나에는 와인 560병이 있었는데, 일부는 여전히 왕의 이름이 적힌 봉인으로 봉해져 있었고 식물 섬유로 만든 두꺼운 그물로 덮여 있었다. 또 다른 방에서는 420개의 미완성되고 봉인되지 않은 와인 항아리 파편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매장 시 의식적으로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추가 용기에는 대추 열매를 담았던 붉은 줄무늬가 있는 일련의 용기와 10개 미만의 맥주 항아리가 포함되어 있다. 무덤 발굴 과정에서 손잡이가 있거나 없는 칼, 돌 낫, 칼날, 스크레이퍼, 도끼, 그리고 더 많은 돌 도구 파편을 포함하는 144개에서 151개의 석기도 발견되었다. 또한, 사후 세계에서 더 많은 용기를 생산하기 위해 남겨진 수많은 돌 용기와 가공되지 않은 돌 조각들도 있었다. 석기 세밀 검사 결과, 약간의 사용 흔적과 붉은 갈색 액체의 잔류물이 발견되었지만, 집중적인 사용으로 인한 눈에 띄는 마모나 도구 재연마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Lacher-Raschdorff는 이 도구들이 왕의 매장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동물을 도살하고 음식을 준비하는 의식에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또한 일부 조각된 나무 조각은 왕의 장례 장비에 텐트나 천개와 같은 것이 있었음을 시사하며, 이는 후기 헤테페레스 1세 여왕 (c. 기원전 2600년경)의 무덤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하다.
닌예르의 무덤은 라네브 또는 호텝세케므위의 매장지로 추정되는 ''갤러리 무덤 A''와 건축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이로 인해 독일 고고학 연구소(DAI)는 닌예르가 그의 선임자의 무덤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일부 와인 항아리는 늦은 제1왕조 무덤에서 유래되었다.
주요 매장실은 무덤의 남서쪽 끝에 위치해 있었지만, 전체 매장지는 매우 불안정하며 붕괴 위험에 놓여 있다.
5. 2. 후대의 사용
고고학적으로 니네체르는 제2왕조 초기의 왕들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2] 그의 이름은 사카라에 있는 그의 묘에서 발견된 다수의 석조 용기와 점토 봉인 비문에 나타나 있다. 그의 이름을 새긴 많은 유물이 아비도스에 있는 페리브센 왕의 묘와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 아래 갤러리에서도 발견되었다. 그러나 일부 비문의 연대, 특히 검은색 잉크로 만들어진 비문의 연대는 약간의 문제를 야기한다. 일로나 레굴스키와 같은 문헌 전문가와 고고학자들은 잉크 비문이 석조 및 봉인 비문보다 다소 늦은 시기에 속한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잉크 표시를 카세켐위와 조세르와 같은 왕들의 통치 시기로 추정하며 유물이 아비도스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실제로 니네체르의 이름을 보여주는 매우 유사한 글꼴 디자인의 검은색 잉크 비문이 있는 알라바스터 용기와 흙 항아리가 페리브센의 묘에서 발견되었다.[2]니네체르의 이름은 누비아의 아부 한달 근처의 암석 비문에도 나타난다. 이 비문은 왕의 세레크 안에 "N" 기호만 표시하지만, 세레크 위에 일반적으로 호루스 매가 차지하는 위치에 "신"을 의미하는 "네체르" 기호가 놓여 있다. 따라서 니네체르의 이름은 "신 N"으로 묘사된다. 호루스가 없는 것은 종교적 혼란을 암시할 수 있는데, 이는 페리브센 왕이 세레크 위에 호루스 대신 세트를 선택하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인 파라오 카세켐위가 그의 위에 두 신을 서로 마주하게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이 비문 자체는 니네체르가 이 지역에 군사적 원정을 보냈다는 단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그의 통치 20년 이후일 가능성이 높은데, 니네체르의 통치 처음 20년을 다루는 현존하는 왕실 연대기에는 그러한 원정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니네체르의 갤러리 무덤 지역 북쪽 부분은 제5왕조 말기에 우나스 피라미드와 관련된 묘역으로 덮였다. 무덤에서 발견된 미라 미라 마스크와 람세스 시대의 여성 관은 이 무덤이 신왕국 시대에 부분적으로 재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시기에 광범위한 개인 묘역이 무덤 전체 지역에 걸쳐 확장되었다. 이 묘역은 후기 시대까지, 그리고 더욱 드문드문하게는 초기 기독교 시대까지 사용되었으며, 이때 인근 예레미야 수도원이 건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wee faraobeeltjes
https://www.rmo.nl/c[...]
2024-04-21
[2]
간행물
Second Dynasty Ink Inscriptions from Saqqara
Peeters Publishers
2004
[3]
서적
Manetho (The Loeb Classical Library, Volume 350)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4]
웹사이트
Ninetjer (nswt-bity Nynetjer)
http://xoomer.virgil[...]
[5]
서적
Ägypten - Geschichte und Kultur der Frühzeit
Fourier-Verlag Wiesbaden
1964
[6]
서적
Ägypten - Geschichte und Kultur der Frühzeit
Fourier-Verlag
1964
[7]
서적
Early Dynastic Egypt: Strategies, Society and Security
Routledge
2001
[8]
간행물
The royal cemetery of Early Dynasty Period at Saqqara and the Second Dynasty Royal Tombs
Peeters Publishers
2004
[9]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and Hudson Ltd
2006
[10]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