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곰바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곰바족은 가나 북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모시족에서 기원했으며 다그본 왕국을 건설했다. 그들의 역사는 그리오라고 불리는 전문 이야기꾼들의 구전을 통해 전해지며, 12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았다. 다곰바족은 부계 사회이며, 전통 축제와 이슬람교 축제를 기념한다. 주요 거주지는 타말레이이며, 다그본 왕국의 왕은 야-나이다. 다곰바족 출신 인물로는 알리우 마하마, 무바라크 와카소, 압둘 파타우 이사하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나의 민족 - 아칸족
    아칸족은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에 주로 거주하며 동부 아프리카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여러 왕국을 건설하고 금 거래와 노예 무역에 관여했으며, 식민지배에 저항한 후 가나 독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는 서아프리카 민족 집단이다.
  • 가나의 민족 - 모시족
    모시족은 부르키나파소에서 기원하여 서아프리카 지역에 널리 거주하는 민족으로, 뛰어난 기마술을 바탕으로 제국을 건설했으며, 가족과 국가 중심의 계층 구조, 모레어 사용, 조상 숭배 등의 문화적 가치를 공유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다곰바족
기본 정보
티붕 문화 전시 활동 18
다곰바족 문화 전시
토탈약 310만 명
거주 지역다본 왕국 (가나 북부)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언어다그바니어, 영어, 프랑스어
관련 민족모시족, 맘프루시족, 프라프라족, 구룬시족, 기타 구르어군 민족
현지어 명칭Dagbamba
민족 명칭
다곰바족Dagomba
다그바니어Dagbani
다본Dagbon
역사
기원다곰바족은 모시족과 관련이 있으며, 그들의 왕국은 15세기경에 설립되었다고 전해진다.
독일 식민지 시대19세기 말 독일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령 골드코스트의 일부가 되었다.
문화
언어다그바니어는 구르어군에 속하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되기도 한다.
음악과 춤룬시 (드러머)는 다곰바족의 역사와 전통을 음악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교전통적으로 창조신 우니를 숭배하며, 정령 숭배와 조상 숭배도 행해진다. 이슬람교의 영향도 강하게 나타난다.
사회 및 정치
정치 체제전통적인 추장 제도를 유지하며, 여성 추장도 존재한다.
옌디다본 왕국의 수도로, 정치 및 문화의 중심지이다.
주요 인물
여성수잔 알-하산: 가나 최초의 여성 장관
조심리 나
군도 나
전설옌넹가 공주: 모시족의 시조
기타
관련 링크다곰바족 소개 (터프츠 대학교)
다곰바족 역사

2. 역사

모시족과 다곰바족이 세운 나라들은 중세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위세를 떨쳤다. 12세기 초에 볼타강 일대의 분지 북부를 다스렸고, 15세기에는 오늘날의 말리 지역에 있었던 왕국들을 점령했다. 이들의 팽창은 15세기송가이 제국이 부흥하면서 끝이 났다.[57]

12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소닝케족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전파했고, 다곰바족의 문화는 이슬람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7세기 나 장기나 통치 시기에는 이슬람교국교로 지정했고, 이슬람교는 빠르게 퍼져나갔다.[57] 20세기 중반 유수프 소알리흐 아주라의 개혁주의 운동으로 다곰바족 사회는 이슬람교를 크게 받아들였다.

1888년 다그본 왕국은 중립 지대로 선언되었으나, 1896년 독일 제국대영 제국 간의 분쟁으로 다그본 왕국은 양분되었다.[57] 1899년 사모아 조약을 체결하여 독일령 토골란트와 영국령 골드코스트로 분할되었다. 1899년 11월 14일부터 다그본 왕국 서쪽 지역은 영국령 골드코스트에, 동쪽 지역은 독일령 토골란트에 편입되었다.[57]

2. 1. 기원

다곰바족의 기원은 모시족에서부터 시작한다. 다그본 왕국은 나 그베와가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곰바족은 이야기를 타악기 등의 악기구전하는 민족 가운데 하나로, 다곰바족의 역사는 그리오라고 부르는 전문 이야기꾼들이 전하는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왔다. 다곰바족의 구전에 따르면 다그본 왕국의 역사는 ''토하지에(Tohazie; 붉은 사냥꾼)''라는 영웅의 일대기에서부터 시작한다.[57]

다곰바족은 수천 년 동안 북부에 거주해 왔다. 통치 계급의 일부 구성원은 13세기 말 가나 제국 붕괴 후 차드호 주변 지역에서 이주한 나아 그베와의 후손이다.[48][49] 그베와는 다곰바족을 통일하여 왕국으로 만들었다. 그베와의 후손인 족장들은 나니마(단수형: 나아)이고, 토착 족장들은 틴다암바(단수형: 틴다나)이다.[50] 톨론, 쿰분구, 굴크페그(타말레)의 족장과 같은 다른 중요한 족장들은 그베와의 후손이 아닐 수 있다.[51]

2. 2. 다그본 왕국

나 그베와가 다곰바족을 통일하여 다그본 왕국을 세웠다. 다곰바족은 타악기 등의 악기구전하는 민족으로, 다곰바족의 역사는 그리오라는 전문 이야기꾼들이 전하는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왔다. 다곰바족의 구전에 따르면 다그본 왕국의 역사는 ''토하지에(Tohazie; 붉은 사냥꾼)''라는 영웅의 일대기에서부터 시작한다.

모시족과 다곰바족이 세운 나라들은 중세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위세를 떨쳤다. 이들은 12세기 초에 볼타강 일대의 분지 북부를 다스렸다. 15세기에는 오늘날의 말리 지역에 있었던 왕국들을 점령했다. 이들의 팽창은 15세기 말에 송가이 제국이 부흥하며 끝이 났다.

12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소닝케족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전파했고, 다곰바족의 문화는 이슬람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7세기에 나 장기나가 다스릴 때에는 이슬람교국교로 지정했고, 이슬람교는 빠르게 퍼져나갔다.[57] 20세기 중반에 유수프 소알리흐 아주라가 펼친 개혁주의 운동으로 다곰바족 사회가 이슬람교를 크게 받아들였다.

다곰바족의 고향은 다그본(Dagbon)이라고 불리며, 면적은 약 20000km2에 달한다. 다그본의 영토는 나니마(Nanima)에 의한 대통합 이전까지 분산되어 있었다. 다곰바족은 그들의 땅이 통합된 관련 민족들과 밀접한 유대감을 공유한다.

관련 민족
맘푸루시, 난움바, 곤자, 모시, 구룬시 (특히 프라프라와 쿠사시), 왈라족과 리그비



이 지역은 현재 가나에서 14개의 행정 구역을 구성한다.

가나 행정 구역
타말레 광역 자치구, 옌디, 사벨루구 및 사네리구 자치구, 톨론, 쿰붕구, 난톤, 구세구, 카라가, 자브주구, 사보바, 상, 타탈레 및 체리포니 구



다그본 전통 왕국의 왕은 야-나(Ya-Na)이며, 그의 궁정과 행정 수도는 옌디에 있다. 다그본은 왕국으로서 골드 코스트 정부의 영토로 편입되기 전까지 정복된 적이 없었다. 다그본 왕국은 이전에 족장 사회가 아니었던 콩콤바, 비모바, 체코시, 바사리, 챔바, 왈라, 구루시, 잔타시와 같은 집단에 전통적인 행정 책임을 가지고 있다. 다곰바족은 이러한 집단들과 우호적이고 존경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다그본의 '야아 나'(Yaa Naa) 또는 왕 (문자 그대로 "절대 권력의 왕"으로 번역됨)의 자리는 사자와 소의 가죽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다그본 또는 그 정치 시스템은 종종 옌디 스킨(왕좌나 왕관 또는 의자가 아님)이라고 불린다. 다곰바족의 또 다른 특징은 그들의 집이 특정한 순서로 배치되어 있으며, 족장이나 연장자가 중앙에 자신의 오두막을 짓는다는 것이다.

2. 3. 중세 서아프리카에서의 위세

모시족과 다곰바족이 세운 나라들은 중세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위세를 떨쳤다. 이들은 12세기 초에 볼타강 일대의 분지 북부를 다스렸고, 15세기에는 오늘날의 말리 지역에 있었던 왕국들을 점령했다. 이들의 팽창은 15세기송가이 제국이 부흥하면서 끝이 났다.[57]

2. 4. 영국령 골드코스트 편입

1888년 다그본 왕국은 중립 지대로 선언되었으나, 1896년 독일 제국대영 제국 간의 분쟁이 발생하면서 다그본 왕국은 양분되었다.[57] 1899년 두 제국은 사모아 조약을 체결하여 다그본 왕국을 독일령 토골란트와 영국령 골드코스트로 분할했다. 이 조약으로 1899년 11월 14일부터 다그본 왕국은 서쪽 지역은 영국령 골드코스트에, 동쪽 지역은 독일령 토골란트에 편입되었다.[57]

3. 사회

다곰바족은 부계 사회이며, 가옥은 특정한 순서에 따라 배치되고 족장이나 남성 연장자의 집은 가운데에 위치한다.[56] 이슬람교 축제와 담바, 부굼 추구와 같은 전통 축제를 기념한다.[57] 주요 거주지는 가나 북부주의 주도인 타말레다.

다그본 왕국의 지배자는 야나(Ya-Na)이며, 행정 수도는 북부주의 옌디에 있다. 야나의 어좌가죽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영국령 골드코스트로 편입되기 전까지는 다른 나라에 종속된 적이 없었다.

3. 1. 사회 구조

다곰바족은 부계 사회이다. 다곰바족의 집은 특정한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족장이나 남성 연장자의 집은 가운데에 위치한다.[56]

다곰바 사회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추장 제도이다. 추장 제도는 매우 위계적인 구조로, 최고 통치자인 야 나가 수장이며, 그 아래에는 여러 계층의 통치자들이 존재한다. 다고본에서 추장들은 전통적으로 가죽을 쌓아놓은 곳에 앉는다.[52] 다그본 왕국의 지배자는 야나(Ya-Na)이며, 그의 어좌가죽으로 만들어져 있다.

3. 2. 문화

다곰바족은 담바, 부굼 추구와 같은 전통 축제와 이슬람교 축제를 기념한다.[57] 이들은 타악기 등의 악기를 통해 구전으로 역사를 전승하며, 그리오라고 부르는 전문 이야기꾼들이 역사를 전한다.[57] 다곰바족의 주요 거주지는 가나 북부주의 주도인 타말레다.

4. 다곰바 왕국

다곰바족의 고향은 다그본(Dagbon)이라고 불리며, 면적은 약 20000km2이다. 다그본의 영토는 나니마(Nanima)에 의한 대통합 이전까지 분산되어 있었다. 다곰바족은 맘푸루시, 난움바, 곤자, 모시, 구룬시 (특히 프라프라와 쿠사시), 왈라족과 리그비 등 통합된 땅에서 가까운 민족들과 밀접한 유대감을 공유한다. 이 지역은 현재 가나에서 14개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구역은 타말레 광역 자치구, 옌디, 사벨루구 및 사네리구 자치구, 그리고 톨론, 쿰붕구, 난톤, 구세구, 카라가, 자브주구, 사보바, 상, 타탈레 및 체리포니 구이다. 다그본은 영국령 골드코스트 정부의 영토로 편입되기 전까지 정복된 적이 없었다.

4. 1. 야나 (Ya-Na)

다그본 왕국의 지배자는 야나(Ya-Na)이며, 행정 수도는 북부주의 옌디이다.[56] 야나의 어좌가죽으로 만들어져 있으며,.[56]이는 "절대 권력의 왕"을 의미한다.[56] 다그본 또는 그 정치 시스템은 종종 옌디 스킨(왕좌나 왕관 또는 의자가 아님)이라고 불린다.[56] 다그본 왕국은 영국령 골드코스트로 편입되기 전까지는 다른 나라에 종속된 적이 없었다.[56]

4. 2. 행정 수도

다그본 왕국의 지배자는 야나(Ya-Na)이며, 행정 수도는 북부주의 옌디에 있다.[56] 야나의 어좌가죽으로 만들어져 있다. 다그본 왕국은 영국령 골드코스트로 편입되기 전까지는 다른 나라에 종속된 적이 없었다. 다그본 전통 왕국의 왕은 야-나(Ya-Na)이며, 그의 궁정과 행정 수도는 옌디에 있다. 다그본 왕국은 이전에 족장 사회가 아니었던 콩콤바, 비모바, 체코시, 바사리, 챔바, 왈라, 구루시, 잔타시와 같은 집단에 전통적인 행정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다곰바족은 이러한 집단들과 우호적이고 존경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다그본의 '야아 나'(Yaa Naa) 또는 왕 (문자 그대로 "절대 권력의 왕"으로 번역됨)의 자리는 사자와 소의 가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그본 또는 그 정치 시스템은 종종 옌디 스킨(왕좌나 왕관 또는 의자가 아님)이라고 불린다.

5. 축제

다곰바족은 부굼 추구, 담바와 같은 축제와 이슬람교의 축제도 기념한다.[56] 다그본 왕국 사람들은 부검 축제, 담바, 크피니(기니 파울 축제), 침시 축제, 코뉴리 추구(단식 종료 축제)를 기념한다.[53]

5. 1. 부검 축제 (불 축제)

부검 축제(Bugum Festival)는 불 축제라고도 불리며, 가족들이 조상에게 경의를 표하고, 축복을 기원하며, 악령을 쫓기 위해 공동 축하, 의식, 기쁨을 나누는 행사이다.[54] 가나 북부의 여러 민족들이 이 축제를 기념한다. 축제 참석자 대부분은 무슬림과 비무슬림이다. 무슬림들은 부검으로 알려진 불 축제를 누후의 방주가 도착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축하한다. 밤에는 짚단을 횃불로 사용한다. 이 축제는 새해를 맞이하기 때문에 일부 비무슬림들은 이 시간을 하느님과 조상에게 제물을 바치는 데 사용한다.[55]

5. 2. 담바 축제

다곰바족은 부굼 추구와 담바 축제 이외에 이슬람교의 축제도 기념한다.[53] 다그본 왕국 사람들은 부검 축제(불 축제), 담바, 크피니(기니 파울 축제), 침시 축제, 코뉴리 추구(단식 종료 축제)를 기념한다.[53]

5. 3. 크피니 (기니 파울 축제)

가나의 다그본 왕국 사람들은 여러 축제를 기념하는데, 다그본에서 열리는 축제에는 부검 축제(불 축제), 담바, 크피니(기니 파울 축제)가 있다. 또한 침시 축제와 코뉴리 추구(단식 종료 축제)도 있다.[53]

5. 4. 침시 축제 (이드 알 아드하)

다그본 왕국 사람들은 부검 축제(불 축제), 담바, 크피니(기니 파울 축제), 침시 축제, 코뉴리 추구(단식 종료 축제)를 기념한다.[53]

5. 5. 코뉴리 추구 (이드 알 피트르)

عيد الفطر|이드 알 피트르ar는 이슬람교의 주요 명절 중 하나로, 라마단이라는 금식 기간이 끝난 것을 기념하는 축제이다. 다곰바족은 이슬람교의 축제인 عيد الفطر|이드 알 피트르ar를 "코뉴리 추구"라고 부르며 기념한다.[53]

6. 주요 인물

다곰바족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야쿠부 2세 : 전 다곰 왕.
  • 알리우 마하마 :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가나의 부통령 역임.
  • 하루나 야쿠부 : 개발학 대학교의 전 부총장.
  • 하루나 이드리수 : 가나 정치인.
  • 무바라크 와카소 : 가나 축구 선수.
  • 압둘 파타우 이사하쿠 : 가나 축구 선수.
  • 아파 아주라 : 가나 아흘루스 순나 왈 자마아 이슬람교 종파 창립자이자 지도자.
  • 압둘 라자크 알하산 : 종합격투기 선수.
  • 파와즈 알리우
  • 아비바타 샤니 마하마
  • 모하메드 아민 아담
  • 하산 템풀리
  • 이브라힘 무르탈라 모하메드
  • 하비브 이드리수
  • 알하산 수후이니
  • 파루크 알리우 마하마
  • 압둘-아지즈 아야바 무사


사마타 엔젤


압둘 마지드 와리스

6. 1. 야쿠부 2세

야쿠부 2세 - 전 다곰 왕.

6. 2. 알리우 마하마

알리우 마하마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가나의 부통령을 역임했다.

6. 3. 하루나 야쿠부


  • 하루나 야쿠부 - 개발학 대학교의 전 부총장.

6. 4. 하루나 이드리수

가나의 정치인이다.[1] --

6. 5. 무바라크 와카소

6. 6. 압둘 파타우 이사하쿠

압둘 파타우 이사하쿠는 가나의 축구 선수이다.

6. 7. 아파 아주라

아파 아주라는 가나의 아흘루스 순나 왈 자마아 이슬람교 종파 창립자이자 지도자이다.

6. 8. 압둘 라자크 알하산



종합격투기 선수이다.[1]

6. 9. 기타 인물


  • 파와즈 알리우
  • 아비바타 샤니 마하마 자카리아
  • 모하메드 아민 아담
  • 하산 템풀리
  • 이브라힘 무르탈라 무하메드
  • 하비브 이드리수
  • 알하산 수후이니
  • 파루크 알리우 마하마
  • 압둘-아지즈 아야바 무사

참조

[1] 웹사이트 Ghana Population 2019 http://worldpopulati[...]
[2] 웹사이트 Dagomba {{!}} people https://www.britanni[...] 2020-05-24
[3] 서적 The country and the peopl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4] 논문 A Dagara Rebellion against Dagomba Rule? Contested Stories of Origin in North-Western Ghana https://www.jstor.or[...] 1994
[5] 웹사이트 About the Dagomba https://sites.tufts.[...]
[6] 웹사이트 The Dagomba history: the Dagbon kingdom https://www.explorin[...] 2023-10-22
[7] 웹사이트 Refworld {{!}} Ghana: 1) Information on chieftaincy succession among the Dagomba tribe and whether chieftancy is transferred paternally or maternally; 2) Information on the death of the king/chief of the Dagomba in the northern region of Kandiga Sarigu and on his successor https://www.refworld[...] 2023-10-12
[8] 웹사이트 2-11: Naa Zanjina http://www.adrummers[...] 2023-10-12
[9] 웹사이트 SCIENCE AND TECHNOLOGY IN 18TH CENTURY MOLIYILI (DAGOMBA) AND THE TIMBUKTU INTELLECTUAL TRADITION https://www.research[...]
[10] 웹사이트 Depreciating African Political Culture https://journals.sag[...]
[11] 웹사이트 Yendi’s German Cemetery: Resting place for fallen soldiers in Dagbon battle https://www.graphic.[...]
[12] 웹사이트 German Colonialism in West Africa: Implications for German-West African Partnership in Development {{!}} H-Soz-Kult. Kommunikation und Fachinformation für die Geschichtswissenschaften {{!}} Geschichte im Netz {{!}} History in the web http://www.hsozkult.[...] 2023-10-12
[13] 논문 Female Chiefs in Dagbon Traditional Area: Role and Challenges in the Northern Region of Ghana https://www.eajourna[...]
[14] 논문 Female Chiefs in Dagbon Traditional Area: Role and Challenges in the Northern Region of Ghana https://www.eajourna[...] 2022
[15] 웹사이트 Role of Female Chiefs in Dagbon Traditional Area https://artandfemini[...] 2023-09-18
[16] 웹사이트 Female Chiefs in Dagbon; Gundo Naa holds their authority and influence https://www.sanatuza[...] 2023-09-18
[17] 웹사이트 January 17, 1997: Ghana's first woman minister, Mrs Susanna Al-Hassan passes away https://www.eaumf.or[...] 2023-09-18
[18] 웹사이트 Meet Susan Alhassan, the first Ghanaian woman to be appointed minister https://www.ghanaweb[...] 2023-09-18
[19] 웹사이트 Meet Susanna Al-Hassan, Africa’s first female cabinet minister https://myinfo.com.g[...] 2023-09-18
[20] 웹사이트 January 17, 1997: Ghana's first woman minister, Mrs Susanna Al-Hassan passes away https://www.eaumf.or[...] 2023-09-18
[21] 웹사이트 Yennenga: Ancestor of Burkina Faso’s Mossi people – DW – 05/12/2021 https://www.dw.com/e[...] 2023-09-18
[22] 웹사이트 YENENGA, The Dagomba Princess https://africaaccess[...] 2023-09-18
[23] 웹사이트 Princess Yennenga {{!}} Mother of the Mossi http://www.ontheshou[...] 2023-09-18
[24] 웹사이트 Sister Cities Tamale calls on Gulkpe Naa to investigate Zosomli Naa's auctioned medical supplies case https://www.radiotam[...] 2023-10-17
[25] 웹사이트 Cultivating Empowerment and Leadership in women and girls has always been my focus, Zosimli Naa II https://zaaradio.com[...] 2023-10-17
[26] 웹사이트 Dagbanli Ajami and Arabic Manuscripts of Northern Ghana https://open.bu.edu/[...] 2023-10-12
[27] 웹사이트 Language resources Dagbani - Language Links Database https://universeofme[...] 2023-10-17
[28] 웹사이트 Dagbani language and alphabet https://www.omniglot[...] 2023-10-17
[29] 웹사이트 Female Chiefs of Dagbon by Eric Gyamfi https://documentingg[...] 2023-10-12
[30] 웹사이트 Gendered Language as an Obscured Causal Factor of the Dagbon Chieftaincy Conflict in Northern Ghana https://icermediatio[...]
[31] 웹사이트 Spiritual Foundations of Dagbamba Religion and Culture http://www.johnchern[...]
[32] 웹사이트 2-19: The Dagbamba Belief in God http://www.adrummers[...] 2023-10-12
[33] 웹사이트 WUNI - the Dagomba God of Creation (African mythology) https://www.godcheck[...] 2023-10-12
[34] 웹사이트 EXPLORING LOCAL BELIEF SYSTEMS FOR THE BENEFIT OF LAND RESTORATION: A CASE STUDY OF THE JAAGBO SHRINE RESTORATION IN THE TOLON/KUMBUNGU DISTRICT OF NORTHERN REGION, GHANA https://www.grocentr[...]
[35] 웹사이트 Jachie and Jaagbo Groves of Ghana https://sacredland.o[...] 2023-10-12
[36] 웹사이트 Spiritual Foundations of Dagbamba Religion and Culture http://www.johnchern[...]
[37]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Folk Islam of the Dagbani-Speaking People: a https://digitalcommo[...]
[38] 웹사이트 THE BEGINNINGS OF CATHOLIC EVANGELIZATION IN TAMALE ARCHDIOCESE https://archtamale.o[...] 2023-10-12
[39] 웹사이트 ISLAM, POLITICS AND DEVELOPMENT: NEGOTIATING THE FUTURE OF DAGBON https://www.research[...]
[40] 간행물 The Mosque and the Marketplace: An Eighteenth Century Islamic Renaissance in West Africa https://www.jstor.or[...] 1996
[41] 웹사이트 German Colonialism in West Africa: Implications for German-West African Partnership in Development. https://www.h-net.or[...]
[42] 서적 Dagomba divided and united, 1899–193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0-12
[43] 웹사이트 About the Dagomba – Dagomba Dance Drumming https://sites.tufts.[...] 2023-10-12
[44] 웹사이트 Bouna {{!}} African kingdom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12
[45] 간행물 The Lunsi (drummers) of Dagbon: tradition and change https://www.africabi[...] 2010
[46] 문서 Legends of Northern Ghana Longmans 1968
[47] 서적 An Ethnographic Study of Northern Ghanaian Conflicts: Towards a Sustainable Peace Sub-Saharan Publishers; revised edition 2010-10-20
[48] 웹사이트 Migrant Chiefs in Urban Ghana: The Case of the Dagomba Chiefs in Accra http://197.255.68.20[...]
[49] 웹사이트 Virtual Kollage: The pre-colonial political organization of the Mole-Dagbani ethnic group of Ghana https://www.virtualk[...] 2019-10-18
[50] 웹사이트 2-5: The Yaa-Naa and the Yendi Elders http://www.adrummers[...] 2023-10-22
[51] 웹사이트 ENSKINMENT OF "TENDAMBA" AND ITS IMPLICATIONS http://udsspace.uds.[...]
[52] 웹사이트 dagomba {{!}} About the Dagomba https://sites.tufts.[...] 2020-05-24
[53] 웹사이트 Dagomba Festivals • Dagbon Kingdom: Your Gateway to the Best of Culture, History & Tourism https://dagbonkingdo[...] 2024-04-14
[54] 웹사이트 Bugum Festival: History of the Fire Festival & How It is Celebrated https://dagbonkingdo[...] 2024-04-14
[5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ire (Bugum) Festival « PAMBE Ghana https://pambeghana.o[...] 2024-04-14
[56] 웹인용 Dagomba https://joshuaprojec[...] Joshua Project 2019-09-01
[57] 서적 An Ethnographic Study of Northern Ghanaian Conflicts: Towards a Sustainable Peace Sub-Saharan Publisher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