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제곱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섯제곱수는 정수를 다섯 번 곱한 값이다.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n⁵의 마지막 십진 자릿수는 n의 마지막 자릿수와 같으며, n이 홀수일 때 n⁵ - n은 240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다섯제곱수는 아벨-루피니 정리에 따라 5차 이상의 일반적인 다항 방정식의 해를 거듭제곱근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다섯제곱은 다른 k-1개의 k제곱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두 개의 거듭제곱 k 중 하나이며, 오일러 거듭제곱 합 추측에 대한 반례를 제공한다. 자연수의 다섯제곱은 기하학적으로 5차원 초입방체의 부피로 해석될 수 있으며, 0, 1, 32, 243, 1024, 3125 등의 수열을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항 연산 - 1의 보수
1의 보수는 이진수에서 양수는 일반적인 이진수로, 음수는 양수의 각 비트를 반전시켜 표현하며, 덧셈 시 자리올림수가 발생하면 결과값에 더해야 하고, 0을 중복 표현하는 단점으로 현대에는 2의 보수가 주로 사용된다. - 단항 연산 - 제곱근
제곱근은 x² = a를 만족하는 x 값으로, a가 양수일 때 두 개의 제곱근을 가지며, 수학, 물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고, 무리수와도 관련되어 행렬이나 연산자에도 확장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다섯제곱수 | |
---|---|
다섯제곱수 | |
정의 | |
정의 | 어떤 수 n을 다섯 번 곱한 값, 즉 n5을 의미함. |
수식 | n5 = n × n × n × n × n |
특징 | |
마지막 자릿수 | n의 마지막 자릿수와 n5의 마지막 자릿수는 같음. |
부호 | n의 부호와 n5의 부호는 같음. |
분수 | (a/b)5 = a5/b5 |
예시 | |
0의 다섯제곱 | '0' |
1의 다섯제곱 | '1' |
2의 다섯제곱 | '32' |
3의 다섯제곱 | '243' |
4의 다섯제곱 | '1024' |
5의 다섯제곱 | '3125' |
6의 다섯제곱 | '7776' |
7의 다섯제곱 | '16807' |
8의 다섯제곱 | '32768' |
9의 다섯제곱 | '59049' |
10의 다섯제곱 | '100000' |
2. 성질
(내용 없음)
2. 1. 수론적 성질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n''5의 마지막 십진법 자릿수는 ''n''의 마지막 자릿수와 같다. 즉, ''n'' ≡ ''n''5 (mod 10) 이다.또한, ''n''이 홀수일 때, ''n''5 - ''n''은 240으로 나누어 떨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다섯 제곱수의 열은 5계 등차수열이다. 제4계차수열은 공차가 120인 등차수열이며, 제5계차수열은 상수 120이다.
아벨-루피니 정리에 따르면, 미지수의 5제곱을 최고차항으로 갖는 일반적인 오차 방정식의 해를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대수 공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섯제곱은 이러한 성질이 성립하는 가장 낮은 차수이다. (육차 방정식, 칠차 방정식도 마찬가지이다.)
다섯제곱은 네제곱과 함께, ''k'' − 1개의 ''k''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두 거듭제곱 ''k'' 중 하나이다. 이는 오일러 거듭제곱 합 추측에 대한 반례가 된다.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275 + 845 + 1105 + 1335 = 1445 (Lander & Parkin, 1966)[2][3]
2. 2. 대수적 성질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n''5의 마지막 십진 자릿수는 ''n''의 마지막 자릿수와 같다. 이를 합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n''이 홀수일 때 ''n''5 − ''n''은 항상 240으로 나누어 떨어진다는 성질이 있다.
다섯제곱수로 이루어진 수열 {''n''5}의 계차수열을 살펴보면, 제4계차수열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 되고, 제5계차수열은 모든 항이 인 상수 수열이 된다. 이는 다섯제곱수의 열이 5계 등차수열임을 의미한다.
아벨-루피니 정리에 따르면, 미지수의 다섯제곱을 최고차항으로 가지는 일반적인 오차 방정식의 해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거듭제곱근(근호 표현)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다. 즉, 오차 이상의 방정식에 대해서는 사차 방정식까지 존재했던 것과 같은 일반적인 대수적 해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섯제곱은 이러한 성질이 성립하는 가장 낮은 차수이다.
다섯제곱은 네제곱과 함께, ''k'' > 2 일 때 ''k''개의 ''k''제곱수의 합이 또 다른 ''k''제곱수가 될 수 없다는 오일러 거듭제곱 합 추측의 반례가 존재하는 두 거듭제곱 중 하나이다. 오일러의 추측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는데, 다섯제곱의 경우 다음과 같이 4개의 다섯제곱수의 합이 또 다른 다섯제곱수가 되는 반례가 발견되었다. (Lander & Parkin, 1966)[2]
:
3. 자연수의 5제곱
자연수의 5제곱을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0, 1, 32, 243, 1024, 3125, 7776, 16807, 32768, 59049, 100000, 161051, 248832, 371293, 537824, 759375, 1048576, 1419857, 1889568, 2476099, 3200000, 4084101, 5153632, 6436343, 7962624, 9765625, ...
참조
[1]
웹사이트
Webster's 1913
https://www.websters[...]
[2]
논문
Counterexample to Euler's conjecture on sums of like powers
[3]
논문
Counterexample to Euler's conjecture on sums of like pow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