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COCOM)는 냉전 시기 서방 국가들이 소련 및 바르샤바 조약 기구 등 공산주의 국가로의 전략 물자 및 기술 수출을 통제하기 위해 1949년에 설립된 기구이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 일본, 호주 등 17개국이 참여했으며, 군사 균형을 해칠 수 있는 품목의 수출을 금지하거나 제한했다. 코콤은 동서 관계 변화에 따라 규제 품목을 조정했고, 수출 통제를 둘러싼 회원국 간의 갈등도 있었다.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로 인해 1994년 해체되었으며, 무기 수출 규제는 바세나르 체제로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엠바고 - 1973년 석유 파동
    1973년 석유 파동은 욤키푸르 전쟁 이후 OPEC의 석유 생산량 감축과 가격 인상으로 촉발된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로, 원유 가격 급등,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를 야기하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세계 경제 질서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엠바고 - 경제 제재
    경제 제재는 국가 간 외교 수단으로, 특정 국가의 정책 변화를 유도하거나 국제 규범 위반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 금융, 여행 금지 등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며, 대상 국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시민에게 부수적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비판과 함께 효과 및 인도적 영향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 군축 - 무기 밀매
    무기 밀매는 개인이나 단체가 화기 및 탄약을 불법적으로 거래하는 국제적인 문제로, 분쟁 지역 갈등 심화, 테러 및 범죄 조직 강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국제 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억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군축 - 우가키 군축
    우가키 군축은 1925년 우가키 가즈시게 육군대신이 주도하여 4개 사단 폐지, 병력 감축 등을 포함한 일본 육군의 군비 축소 정책으로, 근대화를 시도했으나 내부 갈등을 심화시켰다.
  • 무역사 - 조공
    조공은 종속국이 상위 국가에 바치는 공물이나 예물을 의미하며, 정치적, 경제적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아즈텍 제국, 중국, 이슬람 칼리파국 등 다양한 국가와 제국에서 운영되었다.
  • 무역사 - 상업 혁명
    상업 혁명은 11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일어난 경제 변화로,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을 중심으로 상업 경제가 발전하고 인구 증가, 도시화, 농업 혁명, 금융 시스템 발달, 대항해시대, 식민주의, 중상주의 등장으로 특징지어진다.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
개요
명칭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
영어 명칭Coordinating Committee for Multilateral Export Controls (COCOM)
설립 배경냉전 시대 동구권 국가에 대한 전략 물자 수출 통제
존속 기간1949년 ~ 1994년
목적서방 진영에서 공산 진영으로의 전략 물자 및 기술 유출 방지
역사
설립1949년 파리
해체1994년
배경냉전 심화
공산권의 군사력 강화 우려
주요 활동전략 물자 수출 금지 품목 목록 작성 및 관리
회원국 간 수출 통제 정책 조율
공산권 국가로의 기술 이전 감시
조직 및 운영
회원국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서독
그리스
이탈리아
일본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
튀르키예
영국
미국
운영 방식회원국 간 합의에 의한 정책 결정
영향
긍정적 영향공산권의 군사력 증강 억제
부정적 영향공산권 국가의 경제 발전 저해
서방 기업의 수출 기회 제한
해체 이후
해체 이유냉전 종식 및 국제 정세 변화
후신바세나르 체제 (Wassenaar Arrangement)
바세나르 체제1996년 설립, 재래식 무기 및 이중 용도 품목의 수출 통제

2. 설립 배경 및 목적

냉전 시기 자본주의 국가들은 소련이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고, 공산권과의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1949년 가을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코콤)를 창설했다.[10] 1950년 1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코콤은 공산주의 국가로의 하이테크 물자 수출을 규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맹국과 일본, 오스트레일리아가 코콤에 참여했다.

코콤은 동서 간 군사 균형을 훼손할 수 있는 품목의 수출을 방지하기 위해 수출 관리, 기술적 사용 확인, 수출 금지 조치 등을 시행했다.[10] 규제 대상 품목과 기술은 동서 관계 및 기술 수준 변화에 따라 조정되었으며, 수출 통제 목록을 둘러싼 회원국 간 대립도 있었다.

2. 1. 냉전과 안보 위협

냉전 시기 소련이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침략 및 침공이라는 안보 위협에 대응하고, 공산주의 국가와의 기술 격차를 확립하기 위해 자본주의 국가들은 공산주의 국가로의 하이테크 물자 수출을 규제할 필요가 있었다.[10] 이러한 배경에서 1949년 가을에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코콤)가 창설되었고, 1950년 1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맹국과 일본, 오스트레일리아가 참여했다.

코콤에서는 동서 간의 군사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는 품목을 공산주의 국가에 수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출 관리 당국에서 목적지와 수출 품목의 기술적인 사용에 대해 확인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대상 품목의 공산주의 국가로의 이전을 막기 위해 원칙적으로 수출 금지 조치가 취해졌다. 동서 관계와 기술 수준의 변화에 따라 규제 대상이 되는 화물과 기술도 변화했다. 또한, 물자와 기술의 수출은 외화 획득의 수단으로 기대할 수 있었기에, 수출 통제 대상 목록을 두고 가맹국 간에 종종 대립이 발생했다.

2. 2. 기술 격차 유지

냉전 시기 자본주의 국가들은 소련이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침략 위협에 대응하고, 공산주의 국가와의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첨단 기술 물자 수출을 규제했다.[10] 이러한 기술 통제는 공산주의 국가로 군사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는 품목이 수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수출 관리 당국은 목적지와 수출 품목의 기술적 사용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대상 품목이 공산주의 국가로 이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원칙적으로 수출 금지 조치를 취했다.[10]

동서 관계와 기술 수준의 변화에 따라 규제 대상 품목과 기술도 변화했다.[10] 물자와 기술 수출은 외화 획득 수단으로 기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수출 통제 대상 목록을 두고 회원국 간에 종종 대립이 발생하기도 했다.

3. 회원국

코콤은 1949년 창설 당시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들과 일본,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17개국으로 구성되었다.



중립국이었던 스위스도 코콤의 제재에 참여했다.[2]

4. 작동 방식 및 규제 대상

냉전 시기 소련이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고, 공산주의 국가와의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코콤이 창설되었다. 코콤은 공산주의 국가로의 하이테크 물자 수출을 규제하기 위해 1950년 1월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며,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맹국과 일본, 오스트레일리아가 참여했다.[10] 코콤은 동서 간의 군사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는 품목의 수출을 막기 위해 수출 관리 당국에서 목적지와 수출 품목의 기술적 사용을 확인하고, 원칙적으로 수출 금지 조치를 취했다.[10]

4. 1. 수출 통제 목록

코콤은 공산주의 국가로의 수출이 금지되거나 제한되는 품목 목록을 작성하여 관리했다. 이 목록에는 군사 장비뿐만 아니라,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될 수 있는 민간 기술 및 제품도 포함되었다.[10] 규제 대상 품목은 동서 관계와 기술 수준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조정되었다.[10] 또한, 물자와 기술의 수출은 외화 획득 수단으로 기대할 수 있었기에, 수출 통제 대상 목록을 두고 가맹국 간에 종종 대립이 발생했다.

4. 2. 수출 심사 및 승인

코콤은 동서 간의 군사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는 품목을 공산주의 국가에 수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출 관리 당국에서 목적지와 수출 품목의 기술적 사용에 대해 확인했다. 그리고 대상 품목의 공산주의 국가로의 이전을 막기 위해 원칙적으로 수출 금지 조치를 취했다[10]。동서 관계와 기술 수준의 변화에 따라 규제 대상이 되는 화물과 기술도 변화했다[10]。물자와 기술의 수출은 외화 획득의 수단으로 기대할 수 있었기에, 수출 통제 대상 목록을 두고 가맹국 간에 종종 대립이 발생하기도 했다.

5. 위반 사례

일본도시바(Toshiba Machine Company)와 노르웨이의 콩스버그 그룹(Kongsberg Group)이 소련CNC 프로펠러 밀링 머신을 공급하고, 프랑스의 포레스트-리네(Forest-Liné)(이후 파이브스 그룹(Fives Group)에 인수됨)가 소련에 고성능 제트 엔진 부품 제작 기계를 수출한 사건은 코콤 규정을 위반한 대표적인 사례이다.[5][6]

5. 1. 도시바-콩스버그 스캔들

일본도시바(Toshiba Machine Company)와 노르웨이의 콩스버그 그룹(Kongsberg Group)이 1982년부터 1984년 사이에 8대의 CNC 프로펠러 밀링 머신을 소련에 공급한 것은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 규정을 위반한 행위였다. 미국은 이로 인해 소련 잠수함의 탐지 회피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보았다. 미국 의회는 도시바에 제재를 가하고 미국 내 도시바 제품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5]

관련 사건으로, 프랑스의 공작 기계 회사인 포레스트-리네(Forest-Liné)(후에 파이브스 그룹(Fives Group)에 인수됨)는 고성능 제트 엔진용 항공기 동체 및 터빈 블레이드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대의 기계를 수출했다. 이 정보는 노르웨이 경찰의 도시바-콩스버그 스캔들 조사 과정에서 밝혀졌다.[6]

5. 2. 기타 위반 사례

프랑스의 공작 기계 회사인 포레스트-리네(Forest-Liné)(이후 파이브스 그룹(Fives Group)에 인수됨)는 소련에 고성능 제트 엔진용 항공기 동체 및 터빈 블레이드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대의 기계를 수출했다. 이 정보는 노르웨이 경찰의 도시바-콩스버그 스캔들 조사 과정에서 밝혀졌다.[6]

6. 해체 및 유산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로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코콤)의 존재 의의는 퇴색되었다. 이에 1991년 말 대폭적인 규제 완화가 이루어졌고, 1994년 3월에 해체되었다.[10] 코콤의 무기 수출 규제 협정은 후신인 바세나르 체제로 계승되었다.[10] 코콤의 유산 중 하나는 GPS 기술에 적용되는 "CoCom 제한"이 있다.

6. 1. 냉전 종식과 코콤의 역할 변화

냉전이 종식되고 소련이 붕괴되면서 코콤의 의의가 퇴색되어, 1991년 말에 대폭적인 규제 완화가 이루어졌고, 1994년 3월에 해산되었다[10]。 무기 수출 규제 협정은 후신인 바세나르 체제로 계승되었다[10]

6. 2. 바세나르 체제

1994년 3월 코콤이 해산된 후, 무기 수출 규제 협정은 후신인 바세나르 체제로 계승되었다.[10]

6. 3. GPS 제한

코콤의 유산 중 하나는 GPS 기술에 적용되는 "CoCom 제한"이다. 이는 GPS 수신기가 1000kn 이상의 속도 또는 12000m 이상의 고도에서 작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다.[7] 이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과 같은 군사적 용도로 GPS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였다.

일부 제조업체는 속도 및 고도 제한이 모두 충족될 때만 이 제한을 적용하는 반면, 다른 제조업체는 두 제한 중 하나라도 충족되면 GPS 추적 기능을 비활성화한다. 후자의 경우, 일부 장치가 매우 높은 고도의 풍선에서 작동을 거부하게 된다.[8]

미사일 기술 통제 체제의 기술 부속서 조항 11.A.3에는 GNSS 수신기에 대한 속도 제한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600m/s로 설정되어 있다.[9]

7. 한국과의 관계

(입력하신 이전 결과물이 없으므로, 이전 출력을 기반으로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 요약 등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공산권 수출 통제 위원회' 문서의 '한국과의 관계' 섹션은 빈칸으로 유지됩니다.)

참조

[1] 논문 The Myth of Free Trade: The Origins of COCOM 1945–1950 http://wwwsoc.nii.ac[...]
[2] 웹사이트 Hotz-Linder-Agreement https://hls-dhs-dss.[...] Historical Dictionary of Switzerland 2006-11-17
[3] 간행물 Export Controls—International Coordination: Issues for Congress https://crsreports.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3
[4] 간행물 Export Controls—International Coordination: Issues for Congress https://crsreports.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3
[5] 뉴스 Toshiba Case—CoCom - Foreign Exchange and Foreign Trade Control Revision http://japanlaw.info[...] The Japan Lawletter 1987-04
[6] 뉴스 4 in France Arrested in Soviet Sale https://www.nytimes.[...] 2023-01-22
[7] 웹사이트 COCOM GPS Tracking Limits http://ravtrack.com/[...] RAVTrack.com 2010-10-06
[8] 웹사이트 GAGA-1: CoCom limit for GPS http://blog.jgc.org/[...] jgc.org
[9] 웹사이트 Current situation with CoCom regulations and GPS receivers for balloons and cubesats https://space.stacke[...]
[10] 뉴스 米中新冷戦でアメリカに勝ち目はない https://www.newsweek[...] 2020-09-08
[11] 저널 The Myth of Free Trade: The Origins of COCOM 1945–1950 http://wwwsoc.nii.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