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의회는 대구광역시의 입법, 예산 심의, 행정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 의회이다. 의장 1명,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과 6개의 상임위원회, 2개의 특별위원회로 조직되어 있다. 역대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와 정당별 의석수, 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중구 소재의 관공서 -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은 대구광역시 동구, 중구, 수성구의 교육을 관할하는 기관으로, 1985년 개청 후 명칭 변경을 거쳐 2010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관할 구역 내에 다양한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있다.
  • 대구 중구 소재의 관공서 - 대구중부소방서
    대구중부소방서는 1945년 대구소방서에서 시작되어 1984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와 남구 일부 지역의 소방 업무를 담당하며, 소방행정과, 예방안전과, 기동지휘단으로 구성되어 8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통해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재난에 대응하고 대구 지역의 주요 사건사고 현장에서 활동해왔다.
  • 대구광역시의 정치 - 대구시 을
    대구시 을은 1950년 신설되어 1963년 구제 실시로 중구와 서구로 분리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박성하, 조병옥, 이병하, 서상일이 당선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정치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의회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선거는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중구의 지역구별 선거와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의원을 선출했으며, 민주자유당이 지역구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고 무소속 후보가 약진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대구광역시의회
기본 정보
지방의회 휘장
휘장
이름대구광역시의회
원어 이름대구광역시의회
로마자 표기Daegu Gwang-yeoksi Uihoe
의회제9대 대구광역시의회
설치일1991년 7월 8일
정치 체제단원제
의장이만규
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이영애
부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하병문
부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의석수32석
임기4년
선거 제도병립식 비례대표제
* 소선거구제 (27석)
* 비례대표제 (3석)
최근 선거2022년 6월 1일
웹사이트대구광역시의회
의회 구성
제9대 대구광역시의회 의석 분포
제9대 대구광역시의회 의석 분포
정당별 의석국민의힘 (31)
더불어민주당 (1)
위치 정보
의사당 위치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동인동1가)

2. 조직

대구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되며, 의회 운영을 위해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 상임위원회에는 운영위원회, 전략행정위원회, 문화복지위원회, 경제환경위원회, 건설교통위원회, 교육위원회가 있으며, 특별위원회에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가 있다.

2. 1. 의장단

대구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을 두고 있다.

2. 1. 1. 역대 의장단

대수이름정당임기부의장/정당
초대전반기김홍식민주자유당1991년 7월 10일 - 1993년 7월 7일조경제/민주자유당박승국/민주자유당
후반기김상연1993년 7월 8일 - 1995년 6월 30일곽열규/민주자유당윤상웅/민주자유당
2대전반기최백영무소속1995년 7월 10일 - 1996년 12월 29일박흥식/자유민주연합조순제/민주자유당
후반기김상연자유민주연합1996년 12월 30일 - 1998년 6월 30일박삼술/한나라당정재택/자유민주연합
3대전반기이성수한나라당1998년 7월 2일 - 2000년 7월 2일윤혁주/한나라당백명희/한나라당
후반기이수가2000년 7월 3일 - 2002년 6월 30일이덕천/한나라당강황/한나라당
4대전반기강황2002년 7월 3일 - 2004년 7월 1일손병윤/한나라당김화자/한나라당
이덕천2004년 7월 2일 - 2005년 11월 7일이상기/한나라당박성태/한나라당
후반기강황2005년 11월 8일 - 2006년 6월 30일
5대전반기장경훈2006년 7월 5일 - 2008년 7월 4일최문찬/한나라당김충환/한나라당
후반기최문찬2008년 7월 4일 - 2010년 4월 8일류규하/한나라당도이환/한나라당
2010년 4월 9일 - 2010년 6월 30일류병노/한나라당
6대전반기도이환2010년 7월 5일 - 2012년 1월 9일이동희/한나라당이재술/한나라당
김화자2012년 1월 10일 - 2012년 7월 4일이윤원/한나라당
후반기이재술새누리당2012년 7월 4일 - 2014년 3월 17일도재준/새누리당송세달/새누리당
이윤원2014년 3월 18일 - 2014년 6월 30일
7대전반기이동희2014년 7월 2일 - 2016년 7월 1일김의식/새누리당정순천/새누리당
이경애/새누리당
후반기류규하2016년 7월 8일 - 2018년 4월 11일최길영/새누리당박상태/새누리당
도재준2018년 4월 17일 - 2018년 6월 30일
8대전반기배지숙자유한국당2018년 7월 1일 - 2020년 6월 30일장상수/자유한국당김혜정/더불어민주당
후반기장상수미래통합당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김대현/미래통합당강민구/더불어민주당
9대전반기이만규국민의힘2022년 7월 1일 - 2024년 6월 30일이영애/국민의힘하병문/국민의힘
후반기2024년 7월 1일 -이재화/국민의힘김원규/국민의힘


2. 2. 위원회

대구광역시의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의장
  • 부의장 2명
  • 상임위원회
  • * 운영위원회
  • * 전략행정위원회
  • * 문화복지위원회
  • * 경제환경위원회
  • * 건설교통위원회
  •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 윤리특별위원회
  • 사무처[3]
  • * 의정정책관실[4]
  • * 홍보담당관실[4]
  • * 입법담당관실[4]
  • * 전문위원

2. 3. 사무기구

대구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

  • 상임위원회
  • * 운영위원회
  • * 전략행정위원회
  • * 문화복지위원회
  • * 경제환경위원회
  • * 건설교통위원회
  •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 윤리특별위원회

3. 역대 대구광역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총 30명의 대구광역시의회 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27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2]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의회 정당별 의석 및 득표 결과[2]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의석 수증감
자유한국당520,73047.62528,80646.1425▼4
더불어민주당394,27736.05410,08135.785▲4
바른미래당61,6025.64123,59210.780신규
정의당14,2021.3149,7364.3400
대한애국당7,0570.6615,2111.320신규
녹색당--7,5350.6500
민중당9,7910.915,5590.480신규
노동당--5,3800.460신규
무소속85,3547.81--00
합계1,094,013100.001,145,900100.0030-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총 32명의 대구광역시의회 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2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의회 정당별 의석 및 득표 결과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의석 수증감
국민의힘--666,51076.80%31▲6
더불어민주당--166,92819.23%1▼4
정의당--25,1472.89%00
기본소득당--3,3980.39%0신규
진보당--3,0560.35%00
녹색당--2,7680.31%00
합계--867,807100.0032▲2


3. 1. 제1대 대구직할시의회 (1991년)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31명의 제1대 대구직할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자유당27
무소속4


3. 2. 제2대 대구광역시의회 (1995년)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1명의 제2대 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7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자유당8210
자유민주연합718
민주당011
무소속22-22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자유당317,97631.2%2
민주당75,0427.4%1
자유민주연합113,05511.1%1
무소속513,26650.4%-


3. 3. 제3대 대구광역시의회 (1998년)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9명의 제3대 대구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2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26228
자유민주연합011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한나라당462,84659.4%2
새정치국민회의28,5273.7%0
자유민주연합160,85120.6%1
무소속127,10716.3%-


3. 4. 제4대 대구광역시의회 (2002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7명의 제4대 대구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24226
한국미래연합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558,49876.23%2
한국미래연합60,4838.25%1
새천년민주당56,3247.68%0
민주노동당37,8905.17%0
녹색평화당12,0381.64%0
사회당7,3281.00%0


3. 5. 제5대 대구광역시의회 (2006년)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9명의 제5대 대구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2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26228
열린우리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700,79077.61%2
열린우리당113,54312.57%1
민주노동당80,7558.94%0
국민중심당7,7800.86%0


3. 6. 제6대 대구광역시의회 (2010년)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4명의 제6대 대구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6명, 비례대표 의원 3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25227
친박연합011
무소속1-1
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482,02355.52%2
친박연합124,21914.30%1
민주당99,27111.43%0
국민참여당48,5745.59%0
민주노동당41,3364.76%0
자유선진당30,6963.53%0
진보신당24,3972.81%0
미래연합15,8571.82%0
사회당1,7530.20%0


3. 7. 제7대 대구광역시의회 (2014년)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0명의 제7대 대구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7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27229
새정치민주연합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누리당717,28969.92%2
새정치민주연합244,23323.80%1
정의당29,1202.83%0
통합진보당24,1572.35%0
녹색당11,0241.07%0


3. 8. 제8대 대구광역시의회 (2018년)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제8대 대구광역시의원 30명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27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자유한국당23225
더불어민주당41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자유한국당528,80646.14%2
더불어민주당410,08135.78%1
바른미래당123,59210.78%0
정의당49,7364.34%0
대한애국당15,2111.32%0
녹색당7,5350.65%0
민중당5,5590.48%0
노동당5,3800.46%0



2018년 6월 13일 대구광역시의회 선거 결과 요약[2]
정당지역구비례대표총 의석 수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의석 수증감
자유한국당520,73047.62528,80646.1425-4
더불어민주당394,27736.05410,08135.785+4
바른미래당61,6025.64123,59210.780신규
정의당14,2021.3149,7364.3400
대한애국당7,0570.6615,2111.320신규
녹색당--7,5350.6500
민중당9,7910.915,5590.480신규
노동당--5,3800.460신규
무소속85,3547.81--00
합계1,094,013100.001,145,900100.0030-


3. 9. 제9대 대구광역시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2명의 제9대 대구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2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29231
더불어민주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국민의힘666,51076.80%2
더불어민주당166,92819.23%1
정의당25,1472.89%0
기본소득당3,3980.39%0
진보당3,0560.35%0
녹색당2,7680.31%0


4. 정당별 의석 수

정당의석 수
국민의힘31
더불어민주당1
무소속1
총합32



대구광역시의회는 교섭단체에 대한 규정이 없다.

4. 1. 교섭단체

대구광역시의회는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5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5]

정당의석 수
국민의힘31
더불어민주당1
총합32



대구광역시의회는 교섭단체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대구시의회, 8대 의회 슬로건 제정 http://www.newsis.co[...] 2018-08-18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South Korea)
[3]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4]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5] 웹인용 대구광역시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https://www.law.go.k[...] 대한민국 법제처 2022-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