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루마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루마니아는 20세기 초 루마니아의 민족주의적 이념으로, 루마니아인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을 통합하여 "대루마니아"를 건설하려는 목표를 담고 있다. 이 개념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트란실바니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 등 루마니아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루마니아 왕국의 영토 확장을 의미하며, "재통합된 루마니아"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1940년 이후에는 영토 회복과 민족 통일주의적 색채를 띠게 되었으며, 현재는 민족주의적 의미로 사용되거나, 대루마니아당과 같은 정치 세력에 의해 민족 통일주의를 주장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루마니아는 미하이 용감공의 통치, 1848년 루마니아 혁명, 1918년의 영토 통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기를 거치며 영토 상실과 공산주의 체제 하의 민족주의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현재는 몰도바와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영토 주장과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 왕국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 왕국의 국가
    루마니아 왕국의 국가는 1881년 루마니아 왕국 선포 이후 사용되었으며, 루마니아어 원문, 한국어 번역, 영어 번역으로 가사가 제공된다.
  • 루마니아-소련 관계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루마니아-소련 관계 - 루마니아 공산당
    루마니아 공산당은 볼셰비키 사상에 영향을 받은 극좌파가 창당한 정당으로, 코민테른의 영향 아래 어려움을 겪었으나 소련의 지원으로 권력을 장악, 사회민주당과 합병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스탈린주의적 숙청과 독자 노선, 개인 숭배, 억압적 통치를 거쳐 루마니아 혁명으로 몰락했다.
  • 루마니아의 역사 - 루마니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은 왈라키아 공국과 몰다비아 공국의 통합으로 성립된 루마니아 공국이 왕국으로 승격된 국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격변기를 겪고, 전후 소련의 영향력 아래 군주제가 폐지되며 멸망했다.
  • 루마니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대루마니아
지도
개요
대루마니아
대루마니아
설명민족 국가로서 모든 루마니아어 사용자를 위한 국가 개념
역사적 배경
목표모든 루마니아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
관련 사건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파리 강화 회의
트리아농 조약 (1920년)
베사라비아부코비나 합병
구성 영토 (최대 영역 시기)
주요 지역왈라키아
몰다비아
트란실바니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
바나트
크리샤나
마라무레슈
현재 국가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
불가리아 (일부 지역)
세르비아 (일부 지역)
관련 개념 및 주장
민족주의루마니아 민족주의의 발현
영토 주장루마니아 민족이 거주하는 모든 지역에 대한 영토 주장
이데올로기대루마니아주의
기타
관련 정치 단체대루마니아당
현재 상황현대 루마니아 정치에서는 주변부적인 개념으로 남아 있음

2. 이념

20세기 초 루마니아의 국가 이데올로기는 민족 중심주의적 민족주의의 전형적인 예였다.[22] 대루마니아 개념은 민족 국가 개념과 유사하며,[10] 루마니아의 영토 주장은 "'원초적인 인종적 방식'"에 근거했고, 그 본질적인 목표는 생물학적으로 정의된 루마니아인들을 통합하는 것이었다.[11] 프랑스식 단일 민족 국가 모델을 기반으로 한 국가 건설은 특히 전간기와 공산주의 시대에 항상 최우선 과제였다.[16]

"대루마니아"의 루마니아어 명칭은 “''România Marero''”이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왕국의 영토가 루마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모든 지역(트란실바니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 등)을 포함하게 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유사한 용어로 “''România Întregităro''”(대략 “재통합된 루마니아”)가 있으며, Tom Gallagher에 따르면 대루마니아는 “루마니아 민족주의의 성배”[51]로 여겨졌다.

1940년 위엔 협정과 독소 불가침 조약(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의해 루마니아 영토였던 트란실바니아 북부가 헝가리령이 되고,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가 소비에트 연방에 점령된 이후, 이 용어는 영토 회복과 민족 통일주의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

현재 이 용어는 대부분 민족주의적 의미로 사용된다. 정치 용어로서, 특히 대루마니아당을 의식하여 사용될 때는 민족 통일주의로서의 대루마니아주의를 의미하며, 대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소비에트 연방에 빼앗기고 그 후 몰도바우크라이나 영토가 된 베사라비아와 부코비나 지역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다.

3. 역사

'더 큰 루마니아 만세!', 1917년 디자인된 '다르니차 깃발'(Darnița Banner) 재구성;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서 배신한 루마니아 민족이 루마니아군 자원군단을 결성하여 처음으로 게양함


루마니아의 국가 정체성은 항상 루마니아 문화와 정치의 핵심 관심사였다.[9] 20세기 초 루마니아의 국가 이데올로기는 민족 중심주의적 민족주의의 전형이었다.[22] "대루마니아"는 민족 국가 개념과 유사하며,[10] 루마니아의 영토 주장은 "'원초적인 인종적 방식'"에 근거하여 생물학적으로 정의된 루마니아인들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1] 프랑스식 단일 민족 국가 모델을 기반으로 한 국가 건설은 특히 전간기와 공산주의 시대에 최우선 과제였다.[16]

루마니아어로는 “''România Marero''”라고 하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왕국의 영토가 루마니아인이 다수인 모든 지역을 포함하게 된 것을 나타낸다. 과거 트란실바니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는 루마니아 영토가 아니었다. “''România Întregităro''”(재통합된 루마니아)라는 유사한 용어도 있으며, 대루마니아는 루마니아의 본래 영토로 여겨졌고, 톰 갤러거(Tom Gallagher)는 “루마니아 민족주의의 성배”[51]라고 표현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트란실바니아, 부코비나, 베사라비아루마니아 왕국에 통합되어 대루마니아가 탄생했지만, 전체 인구의 4분의 1은 소수민족이었다.

독소 불가침 조약(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으로 루마니아 영토였던 트란실바니아 북부가 헝가리령이 되고,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가 소비에트 연방에 점령된 1940년 이후, 이 용어는 영토 회복과 민족 통일주의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

현재는 주로 민족주의적 의미로 사용되며, 특히 대루마니아당을 의식하여 사용될 때는 민족 통일주의로서의 대루마니아주의를 의미하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소비에트 연방에 빼앗기고 몰도바우크라이나 영토가 된 베사라비아와 부코비나 지역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다.

전후 루마니아에서는 국가 공산주의 이념이 등장하여 민족주의적 요소가 강조되었다.[39]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대루마니아 건설이 국가 형성 과정의 종결이라고 보았다.[23]

3. 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미하이 용감한(Michael the Brave)이 왈라키아(Wallachia), 트란실바니아(Transylvania), 몰다비아(Moldavia)와 같이 루마니아인이 살던 세 공국을 짧은 기간 동안 통일한 사건[13]은 훗날 현대 루마니아의 전조로 여겨졌으며, 니콜라에 벌체스쿠(Nicolae Bălcescu)가 이 주장을 펼쳤다. 이 이론은 민족주의자에게 중요한 기준이 되었고, 단일 루마니아 국가를 달성하려는 다양한 루마니아 세력에게 촉매제가 되었다.[12]

1848년 루마니아 혁명은 이미 통합되고 단결된 루마니아라는 국가적 꿈의 씨앗을 품고 있었지만,[15] "통합의 사상"은 나움 람니체아누(Naum Ramniceanu, 1802년)와 이온 부다이-델레아누(Ion Budai-Deleanu)](1804년)의 초기 작품에서 알려져 있었다.[13]

3. 2. 제1차 세계 대전과 영토 통합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루마니아는 베사라비아, 부코비나, 트란실바니아를 통합하여 대루마니아를 형성했다.

부코비나 의회는 루마니아와의 통일에 관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루마니아인, 독일인, 유대인 의원들은 찬성했지만, 당시 부코비나 전체 인구의 38%를 차지하고 있던 우크라이나인 의원들은 반대했다.[54]

러시아 혁명의 여파로, 베사라비아 국가 의회는 1918년 1월 24일에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루마니아 군대는 볼셰비키의 침공을 저지하기 위해 베사라비아를 점령했다.[55][56][57] 베사라비아 국가 의회는 1918년 4월 9일에 루마니아와의 통일 결의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86, 반대 3, 기권 36, 불참 13으로 통과시켰다. 당시 베사라비아 전체 인구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던 소수 민족 출신 의원들이 있었지만, 루마니아인이 우위를 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58]

트란실바니아에서는 1918년 12월 알바이울리아에서 소집된 트란실바니아 의회에 참석한 루마니아계 의원들이 루마니아와의 통일 선언문을 발표했다. 1919년 1월에는 트란실바니아 작센인 의원들이 루마니아와의 통일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트란실바니아 전체 인구의 약 32%를 차지하고 있던 헝가리어 화자(헝가리인 공동체, 유대계 헝가리어 화자 공동체 포함)와 바나트의 독일계 주민들은 헝가리 부다페스트 정부를 자신들을 대표하는 정부로 인식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이후 실시된 루마니아 총선거에 불참했다.

베르사유 조약과 트리아농 조약을 통해 루마니아의 영토 통합이 국제적으로 승인되었다.

3. 3. 전간기 (1918-1940)

대루마니아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 트란실바니아를 통합하며 형성되었으며, 1940년까지 그 국경이 유지되었다. 이 국가는 "루마니아 마레(România Mare)" 또는 "루마니아 인트레지타(România Întregită)"(România Întregită|로므니아 인트레지터ro)로 불렸으며, 톰 갤러거(Tom Gallagher)의 표현대로 루마니아 민족주의의 "성배"로 여겨졌다.[20] 그러나 1923년 헌법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를 포괄하는 대루마니아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21]

루마니아는 다양한 민족, 문화, 사회적 변화를 겪었지만, 정부는 단일 민족 국가 모델을 추구했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열망은 다민족, 다문화적인 대루마니아의 현실과 충돌했다.[5] 리베제아누(Livezeanu)에 따르면, 대통합은 100년간의 정치적 분열로 인해 국민 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심각하게 분열된" 전간기 루마니아를 만들었다.[23] 정부의 트란실바니아 통합 문제 해결 실패와 세계적 및 국가적 경제 대공황의 영향으로 인해 국민들은 대루마니아의 민주적 개념에 대한 믿음을 점차 잃게 되었다.[24]

1929년 루마니아 대공황은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1930년대 초, 사회 불안, 높은 실업률, 파업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루마니아 정부는 1929년 발레아 지울루이(Valea Jiului) 광부 파업과 그리비차 철도 공장 파업 등을 폭력적으로 진압했다.[25] 1930년대 중반 루마니아 경제가 회복되고 산업이 성장했지만, 인구의 약 80%는 여전히 농업에 종사했다. 1920년대 초 프랑스의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이 우세했지만, 1930년대에는 독일의 영향력이 강해졌다.[25]

3. 4. 제2차 세계 대전과 영토 상실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0년, 소련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에 따라 베사라비아와 부코비나 북부를 획득했다.[51]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은 제2차 비엔나 중재를 통해 루마니아의 지배를 받고 있던 트란실바니아 북부를 헝가리에 양도했다. 불가리아 왕국은 크라이오바 조약에 따라 루마니아로부터 도브루자 남부를 획득했다.

1940년, 루마니아는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에 따라 베사라비아를 소련에 할양하고, 조약에 언급되지 않은 북부 부코비나와 허르차 지역도 소련에 넘겨주었다. 또한 제2차 비엔나 중재를 통해 헝가리에 트란실바니아 북부를, 크라이오바 조약에 따라 불가리아에 남부 도브루자를 상실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과 동맹을 맺었던 루마니아는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를 일시적으로 다시 합병하고, 트란스니스트리아 총독부를 설립하여 드니스터 강 동쪽 지역을 통제했다. 그러나 1941년 인구 조사에서 우크라이나인이 다수였음에도, 루마니아 정부는 헝가리에 빼앗긴 트란실바니아 북부에 대한 "보상"으로 이 지역을 합병하려 했다.

전쟁 후, 루마니아는 헝가리에 빼앗겼던 트란실바니아 지역을 되찾았지만, 불가리아나 소련에 빼앗긴 영토는 되찾지 못했다. 1948년 소련과 공산 루마니아 간의 조약으로 뱀섬을 포함한 4개의 무인도가 소련에 이전되었다.

3.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0년 루마니아는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따라 베사라비아소련에 할양해야 했고, 제2차 비엔나 중재를 통해 헝가리에 트란실바니아 북부를, 크라이오바 조약에 따라 불가리아에 남부 도브루자를 상실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과 동맹을 맺은 루마니아는 일시적으로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를 되찾고, 트란스니스트리아 총독부를 설치하여 드니스터 강 동쪽 지역을 통치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쟁 후 루마니아는 북트란실바니아를 회복했지만, 불가리아와 소련에 할양했던 다른 영토는 되찾지 못했다. 1948년 소련과 공산 루마니아 간 조약에 따라 도나우 삼각주와 뱀섬(흑해)의 일부 섬들이 소련에 할양되었다.

전후 루마니아에서는 국가 공산주의 이념이 등장했으며, 민족주의적 요소가 강조되었다.[39]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대루마니아의 건설이 국가 형성 과정의 종결이라고 보았다.[23]

4. 현대의 발전

동유럽과 소련의 공산주의 정권 붕괴 및 경제 침체는 이 지역 민족주의 부활로 이어졌다. 루마니아와 몰도바우크라이나 영토(체르니우치오데사 지역 일부)에 대한 영토 주장을 발표했다.[40] 불가리아는 대루마니아 개념이 몰도바에 대한 루마니아 외교 정책 배경에 있다고 추측하며 도브루자에서의 가능한 발전에 우려를 표명했다.[42]

1992년 몰도바와 루마니아의 통일 문제는 양국 정부 간 협상되었고, 연말까지 통일을 달성하고자 했다.[41] 그러나 "통일주의자들"은 그해 중반 몰도바에서 지배력을 상실했다.[41] 부쿠레슈티는 두 루마니아 국가(루마니아와 몰도바)의 존재를 인정하고, "공동 문화 공간 조성, 경제적 통합 지역 조성, 점진적 정치 통합"을 우선 순위로 정의했다.[42] 몰도바 스네구르 정부는 실용적 태도를 취하며, 부쿠레슈티의 민족주의적 선전이 "소련이 병합한 베사라비아" 문제 등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깨달았다.[42] 루마니아 단체들은 몰도바 독립 국민투표 결과를 무시했는데, 국민투표에서 루마니아인들에게 묻지 않았기 때문이다.[42] 루마니아 정치인들은 통일이 비현실적이 된 것에 대해 러시아와 몰도바 정권을 비난했다.[42] 러시아 연방평의회 분석센터 에드워드 오지가노프는 몰도바 무력 충돌이 루마니아 민족주의, 즉 "다민족 사회에서 민족주의자들의 권력 집중 시도" 때문이라고 보았다.[42] 부쿠레슈티의 우크라이나 태도는 1997년까지 변하지 않았는데, 루마니아 정치인들은 국경 분쟁 해결이 NATO 가입 전제 조건임을 깨달았다.[43]

현재 루마니아 영토 확장주의자들(예: PRM 회원)은 북부 부코비나와 베사라비아 영토(현재 우크라이나와 몰도바)를 점령하려 한다.[45][44] 러시아의 존재와 몰도바의 긴장된 정치 상황은 그들의 요구를 부추긴다.[45] 급진주의자들은 헝가리에 대해서도 영토적 요구를 한다.[45] 대루마니아당(PRM)은 이 개념의 상징적 대표자이며, 신우익 조직(누아 드레프타) 등 다른 우익 단체들도 조장한다.[45][46] 오늘날 "베사라비아, 루마니아 땅"(Basarabia, pământ românescro)이라는 문구는 루마니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베사라비아 지역에 대한 영토적 주장을 제기한다.[47] 몰도바에서도 사용된다.[48]

몰도바 브리체니 근처에 그려진 대루마니아 형태의 낙서


2024년 현재 루마니아인 통합을 위한 동맹(AUR)은 몰도바와 루마니아의 통일을 지지한다. S.O.S. 루마니아 지도자 디아나 이오바노비치 쇼쇼아카는 2023년 루마니아 의회에 제출된 법안을 통해 루마니아가 우크라이나의 북부 부코비나, 헤르차 지역, 부자크, 북부 마라무레슈 및 스네이크 섬을 합병하는 프로젝트를 제안했는데, 이는 법안에 명시된 대로 루마니아에 속하는 "역사적 영토"이기 때문이다.[49] 우크라이나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이오바노비치 쇼쇼아카에게 제재를 가하고 우크라이나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했다.[50]

참조

[1] 서적 Racist Extremism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2] 서적 Russia First: Breaking with the West https://books.google[...] I.B.Tauris
[3] 웹사이트 Moldova's Political self and the energy Conundrum in the Context of the European neighbourhood Policy http://kms2.isn.ethz[...] ISN ETH Zurich 2014-05-23
[4] 웹사이트 The Romanian Holocaust in Memory and Commemoration, The Jewish fate during World War II in postwar commemoration http://dare.uva.nl/d[...] University of Amsterdam 2014-05-21
[5] 서적 Cultural Politics in Greater Romania: Regionalism, Nation Building & Ethnic Struggle, 1918-1930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6]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in Post-Communist Roman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Less than Nations: Central-Eastern European Minorities after WWI, Volume 1 http://www.cambridg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8] 서적 Region,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ism in Southeastern Europe, Part 1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9] 서적 Envisioning Eastern Europe: Postcommunist Cultural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 서적 National, Cultural, and Ethnic Identities: Harmony Beyond Conflict https://books.google[...] CRVP
[11] 서적 Genocide and Fascism: The Eliminationist Drive in Fascist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서적 Istoria Românilor Editura All
[13] 서적 The Bloody Flag: Post-Communist Nationalism in Eastern Europe : Spotlight on Romania https://archive.org/[...] Transaction Publishers
[14] 서적 Manager-Subordinate Trust in Different Cultur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서적 History Derailed: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Long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서적 Divided Nations and European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7] 서적 Istoria războiului pentru întregirea României: 1916-1919
[18] 웹사이트 Primary Documents - King Ferdinand's Proclamation to the Romanian People, 28 August 1916 http://www.firstworl[...] 2018-03-22
[19] 서적 Romania: Borderlands of Europe Reaktion Books Publishing
[20] 서적 Modern Romania: the end of communism, the failure of democratic reform, and the theft of a nation New York University Press
[2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Roman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Ideas And Ideology In Interwar Romania http://www.icr.ro/bu[...] www.icr.ro 2014-05-11
[23] 서적 Conflicted Memories: Europeanizing Contemporary Historie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4] 웹사이트 Siebenbürgen ohne Siebenbürger? http://othes.univie.[...] University of Vienna 2014-05-11
[25] 간행물 The Struggle for Economic Influence in Southeastern Europe: The French Failure in Romania, 1940
[26] 서적 Istoria Basarabiei Cernăuți
[27] 서적 Bessarabia: Russia and Roumania on the Black Sea http://depts.washing[...]
[28] 서적 Testament pentru urmași Hyperion
[29] 웹사이트 Results of the 1897 Russian Census at demoscope.ru http://demoscope.ru/[...]
[30] 웹사이트 Bukovyna http://encyclopediao[...]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31] 서적 Rumania at the Paris Peace Conference: A Study of the Diplomacy of Ioan I. C. Brătianu Bookman Associates
[32] 서적 Linguistic Minorit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Multilingual Matters
[33] 서적 Cultural Politics in Greater Romania: Regionalism, Nation Building, and Ethnic Struggle, 1918–1930 Cornell University Press
[34] 서적 Conflict and chaos in Eastern Europ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35] 웹사이트 Text of the Treaty of Trianon http://wwi.lib.byu.e[...] World War I Document Archive 2008-08-31
[36] 서적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Volume 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7] 간행물 The Paris Peace Treaty of 1947 http://www.bv.ipzs.i[...]
[38] 서적 In Marx's Shadow: Knowledge, Power, and Intellectuals in Eastern Europe and Russi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39] 서적 Ethnic Violence and the Societal Security Dilemma https://books.google[...] Routledge
[40] 서적 The Ukrainian Resurgence https://archive.org/[...] C. Hurst & Co. Publishers
[41] 웹사이트 Ideas And Ideology In Interwar Romania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4-05-19
[42] 서적 Managing Conflict in the Former Soviet Union: Russian and American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MIT Press
[43] 서적 Ukraine: Movement Without Change, Change Without Move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44] 웹사이트 THE EXTREME RIGHT IN CONTEMPORARY ROMANIA http://library.fes.d[...] Bibliothek der Friedrich-Ebert-Stiftung 2014-05-11
[45] 웹사이트 The Extreme Right in Eastern Europe and Territorial Issues https://web.archive.[...] www.cepsr.com 2014-05-11
[46] 서적 The Extreme Right in Europe: Current Trend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47] 학술지 The ideological work of the daily visual representations of nations
[48] 뉴스 Elevă din Rep. Moldova a Școlii de Poliție din Câmpina: "Basarabia e pământ românesc" https://infoprut.ro/[...] 2017-11-27
[49] 웹사이트 Șoșoacă vrea ca România să invadeze Ucraina. A depus un proiect de lege pentru anexarea mai multor teritorii https://www.digi24.r[...] 2023-03-21
[50] 웹사이트 Ucraina anunță sancțiuni împotriva Dianei Șoșoacă. Reacția senatoarei: "Cum își permite?" https://www.digi24.r[...] 2023-03-30
[51] 서적 Modern Romania: the end of communism, the failure of democratic reform, and the theft of a nation New York University Press
[52] 백과사전 Bukovyna http://encyclopediao[...]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53] 서적 Rumania at the Paris Peace Conference: A Study of the Diplomacy of Ioan I. C. Brătianu Bookman Associates
[54] 서적 Linguistic Minorit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Multilingual Matters
[55] 서적 Eastern Europe: A Geography of the Comecon Countries Macmillan
[56] 서적 Twenty Years' Armistice, 1918-1938 Farrar & Rinehart
[57] 서적 Ukraine: A Concise Encyclopaedi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8] 웹사이트 Results of the 1897 Russian Census http://demoscope.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