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왕대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대비는 조선 시대 국왕의 조모로서, 국왕에게 친권을 행사하며 때로는 수렴청정을 통해 실권을 장악했다.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부터 고종의 법적 어머니 신정왕후까지 존재했으며, 주로 왕비가 대비나 왕대비로 있다가 장수를 누려 대왕대비가 되었다.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하거나, 방계 왕족을 왕위 계승자로 지명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순조 이후 자녀가 없는 국왕이 이어지면서, 대왕대비가 실권을 유지하기 위해 젊고 경험 없는 인물을 즉위시키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세도 정치로 이어져 조선의 근대화를 늦추는 결과를 낳았다.

2. 조선의 역대 대왕대비

(국왕과의 관계)대왕대비존호시호배우자본관재위 기간
(음력/양력)능묘성종할머니자성대왕대비[1]정희왕후세조파평 윤씨1469년 11월 28일(12월 31일) ~ 1483년 3월 30일(5월 6일)광릉연산군할머니인수대왕대비[2]소혜왕후덕종청주 한씨1494년 12월 29일(1495년 1월 25일) ~ 1504년 4월 27일(5월 11일)경릉선왕비
(작은 할머니)인혜대왕대비[3]안순왕후예종청주 한씨1494년 12월 29일(1495년 1월 25일) ~ 1498년 12월 23일(1499년 2월 3일)창릉명종어머니성렬대왕대비[4]문정왕후중종파평 윤씨1545년 7월 6일(8월 12일) ~ 1565년 4월 6일(5월 5일)태릉인조의붓 할머니소성대왕대비[5]인목왕후선조연안 김씨1624년 10월 7일(11월 17일) ~ 1632년 6월 28일(8월 13일)목릉현종의붓 할머니자의대왕대비[6]rowspan="2"|장렬왕후인조양주 조씨1659년 5월 9일(6월 28일) ~ 1688년 8월 26일(9월 20일)휘릉숙종의붓 증조할머니영조의붓 어머니혜순대왕대비[7]인원왕후숙종경주 김씨1724년 8월 30일(10월 16일) ~ 1757년 3월 26일(5월 13일)명릉순조의붓 증조할머니예순대왕대비[8]정순왕후영조경주 김씨1800년 7월 4일(8월 23일) ~ 1805년 1월 12일(2월 11일)원릉헌종할머니명경대왕대비[9]rowspan="2"|순원왕후순조안동 김씨1834년 11월 19일(12월 19일) ~ 1857년 8월 4일(9월 21일)인릉철종법적 어머니선왕비
(법적 형수)효유대왕대비[10]rowspan="2"|신정왕후문조풍양 조씨1857년 8월 10일(9월 27일) ~ 1890년 4월 17일(6월 4일)수릉고종법적 어머니



대왕대비는 국왕의 친권을 행사할 수 있었기 때문에, 때로는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하기도 했다. 정희왕후, 문정왕후, 정순왕후, 순원왕후 등이 대표적이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젊은 나이에 사망하거나 자녀가 없는 국왕이 많아지면서, 방계에서 왕위를 잇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때 대왕대비는 자신의 친족을 왕으로 세워 권력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세도 정치로 이어져 조선의 근대화를 늦추는 요인이 되었다. 안동 김씨경주 김씨 등이 대표적인 세도 정치 가문이다.

2. 1. 정희왕후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조선 세조의 왕비이자 성종의 할머니이다. 1469년(성종 즉위년) 음력 11월 28일부터 1483년 음력 3월 30일까지 대왕대비였다. 수렴청정을 통해 어린 왕을 대신하여 권력을 행사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다.[1]

2. 2. 소혜왕후 (덕종의 왕비)

1494년 12월 29일(1495년 1월 25일)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할머니로서 대왕대비가 되었으며, 인수대왕대비(仁粹大王大妃)로 불렸다.[2] 1504년 4월 27일(5월 11일) 사망할 때까지 대왕대비로 있었다. 청주 한씨이며, 덕종의 왕비이자 소혜왕후이다. 능은 경릉이다.

2. 3. 안순왕후 (예종의 왕비)

'''인혜대왕대비'''는 예종의 왕비인 안순왕후의 존호이다.[3] 청주 한씨이다. 1494년 12월 29일(1495년 1월 25일)부터 1498년 12월 23일(1499년 2월 3일)까지 대왕대비로 재위했다. 연산군에게는 작은 할머니가 된다. 능은 창릉이다.

2. 4. 문정왕후 (중종의 왕비)

명종의 어머니이자 중종의 왕비였다. 1545년 7월 6일(8월 12일)부터 1565년 4월 6일(5월 5일)까지 대왕대비로 재위하였다. 시호는 문정왕후(文定王后)이며, 존호는 성렬대왕대비(聖烈大王大妃)이다.[4] 본관은 파평 윤씨이다. 능묘는 태릉이다. 어린 명종을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행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2. 5. 인목왕후 (선조의 왕비)

인조의 의붓할머니인 인목왕후1624년 10월 7일(11월 17일)부터 1632년 6월 28일(8월 13일)까지 대왕대비로 있었다.[5] 선조의 왕비였던 인목왕후의 본관은 연안 김씨이며, 목릉에 묻혔다.

2. 6. 장렬왕후 (인조의 계비)

현종의 의붓 할머니이자, 숙종의 의붓 증조할머니이다. 인조의 계비였으며, 본관은 양주 조씨이다. 1659년 5월 9일(6월 28일)부터 1688년 8월 26일(9월 20일)까지 대왕대비로 있었다. 존호는 자의(慈懿)이며,[6] 능묘는 휘릉이다.

2. 7. 인원왕후 (숙종의 계비)

'''인원왕후'''(仁元王后)는 숙종의 계비(繼妃)였다. 영조는 인원왕후를 의붓어머니로 모시고 대왕대비로 하였다.[7] 인원왕후의 존호는 혜순(惠順)이다. 경주 김씨이며, 1724년 음력 8월 30일(10월 16일)부터 1757년 음력 3월 26일(5월 13일)까지 대왕대비로 있었다. 명릉에 묻혔다.

2. 8. 정순왕후 (영조의 계비)

영조가 승하하고 정조가 즉위하면서 왕대비가 되었으나, 순조가 즉위하면서 대왕대비가 되었다.[8] 본관은 경주 김씨이다.

정순왕후는 수렴청정을 행하며 권력을 잡았다.

2. 9. 순원왕후 (순조의 왕비)

헌종 즉위 당시 순원왕후는 할머니였으며, 철종에게는 법적 어머니였다. 1834년 11월 19일(12월 19일)부터 1857년 8월 4일(9월 21일)까지 대왕대비로 있었다. 시호는 순원왕후(純元王后)이며, 순조의 왕비이다. 본관은 안동 김씨이다.[9]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행하며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순원왕후의 친족인 안동 김씨는 세도 정치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여 조선의 근대화를 늦추는 요인이 되었다.

2. 10. 신정왕후 (효명세자의 왕비)

철종의 선왕비이자 고종의 법적 어머니는 신정왕후(효유대왕대비)[10]였다. 신정왕후는 문조의 왕비이며, 풍양 조씨이다. 1857년 8월 10일(9월 27일)부터 1890년 4월 17일(6월 4일)까지 대왕대비로 재위하였으며, 수릉에 안장되었다.

3. 대왕대비의 정치적 영향력

대왕대비는 국왕의 조모로서 국왕에게 친권을 행사할 수 있었기에, 때로는 국왕을 제치고 실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왕비대비왕대비까지만 하고 사망하여, 장수를 누려 대왕대비가 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 젊은 나이에 사망하거나 자녀가 없는 국왕이 늘어나면서, 방계에서 즉위하는 국왕 또한 증가했다.

방계 왕족을 왕위 계승자로 지명하는 것은 친권자인 대왕대비의 권한이었다. 특히 순조가 자녀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한 이후, 이와 마찬가지로 자녀가 없는 국왕이 이어지면서, 대왕대비가 젊고 정치 경험이 없는 인물을 차기 국왕으로 세워 실권을 유지하려는 사례가 잇따랐다.

3. 1. 수렴청정

정희왕후, 문정왕후, 정순왕후, 순원왕후 등은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행하며 명실상부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대왕대비의 권위를 배경으로, 과거 급제 관료나 왕족을 배척하고, 대왕대비의 친족이 권력을 잡는 세도 정치가 오래 지속되었고, 결국 조선의 근대화를 크게 늦추는 요인이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경주 김씨안동 김씨가 있다.

3. 2. 세도 정치와의 관계

대왕대비는 국왕의 조모로서 국왕에게 친권을 행사할 수 있었기에, 때로는 국왕을 제치고 실권을 장악한 대왕대비도 있었다. 정희왕후, 문정왕후, 정순왕후, 순원왕후 등은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수렴청정을 행하며 명실상부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대부분의 왕비대비왕대비까지만 하고 사망하여, 장수를 누려 대왕대비가 되는 왕비는 드물었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 젊은 나이에 사망하는 국왕이나 자녀가 없는 국왕이 늘어났고, 그 결과 방계에서 즉위하는 국왕 또한 증가했다.

방계 왕족을 왕위 계승자로 지명하는 것은 역시 친권자인 대왕대비였으며, 특히 순조가 자녀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한 이후, 이와 마찬가지로 자녀가 없는 국왕이 이어지면서, 대왕대비가 젊고 정치 경험이 없는 인물을 굳이 차기 국왕으로 세워 계속 실권을 잡으려는 사례가 잇따랐다.

대왕대비의 권위를 배경으로, 과거 급제 관료나 왕족을 배척하고, 대왕대비의 친족이 권력을 잡는 세도 정치가 오래 지속되었고, 결국 조선의 근대화를 크게 늦추는 요인이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경주 김씨안동 김씨가 있다.

참조

[1] 문서 자성흠인경덕선열명순원숙휘신혜의신헌대왕대비
[2] 문서 인수자숙대왕대비
[3] 문서 인혜명의대왕대비
[4] 문서 성렬인명대왕대비
[5] 문서 소성정의명렬대왕대비
[6] 문서 자의공신휘헌강인대왕대비
[7] 문서 혜순자경헌렬광선현익강성정덕수창영복융화대왕대비
[8] 문서 예순성철장희혜휘익렬명선수경광헌융인대왕대비
[9] 문서 명경문인광성융희정렬선휘영덕자헌대왕대비
[10] 문서 효유헌성선경정인자혜홍덕순화문광원성숙렬명수협천융목수령희강현정휘안흠륜홍경태운창복희상대왕대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