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은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조사를 통해 결정된 정치 분야 친일반민족행위자 383명의 명단을 담고 있다. 위원회는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399명의 조사 대상자를 선정, 심의를 거쳐 383명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최종 결정했다. 이 명단에는 귀족 139명, 중추원 244명이 포함되었으며, 3명의 인물은 심의 과정에서 기각되었다.

2.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현존하는 문헌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정치 부문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들의 행위를 심의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위원회는 정치 부문에서 귀족 분야와 중추원 분야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최종적으로 383명(귀족 분야 139명, 중추원 분야 244명)을 정치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하였다.

2. 1. 선정 과정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현존하는 문헌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정치 부문 인사 399명(귀족 분야 146명(매국·수작 분야 66명, 습작 분야 80명), 중추원 분야 253명)을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대상자로 결정했다.

조사 대상자 심의 결과, 388명(귀족 분야 142명(매국·수작 분야 65명, 습작 분야 77명), 중추원 분야 246명)이 정치 부문 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11명(귀족 분야 4명(매국·수작 분야 1명, 습작 분야 3명), 중추원 분야 7명)은 기각되었다.

조사 대상자 선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총 53건(귀족 분야 17건(매국·수작 분야 7건, 습작 분야 10건), 중추원 분야 36건)이 접수되었다. 심의 결과, 2건(귀족 분야 1건(습작 분야 1건), 중추원 분야 1건)이 인용(선정 취소)되었고, 51건(귀족 분야 16건(매국·수작 분야 7건, 습작 분야 9건), 중추원 분야 35건)은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위원회는 조사 대상자로 지정된 정치 부문 인사 386명(귀족 분야 141명(매국·수작 분야 65명, 습작 분야 76명), 중추원 분야 245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면서 친일반민족행위에 관한 결정을 심의했다. 심의 결과, 383명(귀족 분야 139명(매국·수작 분야 65명, 습작 분야 74명), 중추원 분야 244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으며, 3명(귀족 분야 2명(습작 분야 2명), 중추원 분야 1명)은 기각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총 33건(귀족 분야 9건(매국·수작 분야 6건, 습작 분야 3건), 중추원 분야 24건)이 접수되었으나, 모두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위원회의 최종 심의 결과, 383명(귀족 분야 139명(매국·수작 분야 65명, 습작 분야 74명), 중추원 분야 244명)이 정치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다.

2. 2. 정치 분야 목록 (383명)

(65명)강박원, 고영희, 권태환, 김병익, 김사철, 김석기, 김성근, 김영철, 김종한, 김춘희, 남정철, 민병석, 민상호, 민영규, 민영기, 민영린, 민영소, 민영욱, 민종묵, 민철훈, 박기양, 박영효, 박제빈, 박제순, 성기운, 윤덕영, 윤웅렬, 이강식, 이근명, 이근상, 이근택, 이기용, 이도재, 이병길, 이병무, 이봉의, 이완용, 이용태, 이윤용, 이재각, 이재곤, 이재극, 이재면, 이정로, 이종건, 이준용, 이지용, 이해국, 이해승, 이홍묵, 임선준, 장석주, 정낙용, 정두화, 정주영, 조경호, 조동윤, 조동희, 조민희, 조중응, 최석민, 한창수, 황병수, 황종진매국, 수작, 친일 행위습작
(74명)고중덕, 고흥겸, 권봉수, 김교신, 김덕한, 김병규, 김병덕, 김병수, 김병준, 김상현, 김세현, 김수, 김영수, 김용국, 김원, 김정, 김정석, 김종흡, 김창한, 김춘, 김태, 김학진, 김현철, 남규희, 남장희, 민규현, 민병삼, 민영욱, 박경원, 박기석, 박기순, 박기효, 박두양, 박서양, 박승원, 박정서, 박찬범, 성일용, 성주경, 윤기, 윤길, 윤의섭, 이강헌, 이경우, 이규원, 이규환, 이능호, 이달용, 이덕주, 이덕훈, 이병옥, 이병주, 이병철, 이병태, 이봉구, 이선호, 이승구, 이승우, 이원호, 이장우, 이재정, 이종승, 이창, 이창수, 이충, 이택, 이택규, 이택주, 이풍한, 이홍, 이홍재, 이희, 임낙호, 임선재, 임훈습작, 친일 행위



이 중 이완용은 을사늑약 체결을 주도하고 한일병합조약에 서명하는 등 적극적인 친일 행위로 민족에게 큰 피해를 준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이준용 또한 적극적인 친일행위를 한 인물중 하나이다.

이름주요 행적
강경희 (姜敬熙)중추원 참의 역임
강동희 (姜東曦)중추원 참의 역임
강리황 (姜利璜, 강이황(姜利璜))중추원 참의 역임
강번 (姜藩)중추원 참의 역임
강병옥 (康秉鈺)중추원 참의 역임
고원식 (高源植)중추원 참의 역임
고원훈 (高元勳)중추원 참의, 일진회 회원
고일청 (高一淸)중추원 참의 역임
권봉수 (權鳳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갑순 (金甲淳)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자문기관에서 활동
김경수 (金景壽)중추원 참의 역임
김경진 (金慶鎭)중추원 참의 역임
김관현 (金寬鉉)중추원 참의 역임
김교성 (金敎聲)중추원 참의 역임
김기수 (金基秀)중추원 참의 역임
김기태 (金琪邰)중추원 참의 역임
김기홍 (金基鴻)중추원 참의 역임
김돈희 (金暾熙)중추원 참의 역임
김동준 (金東準)중추원 참의 역임
김두찬 (金斗贊)중추원 참의 역임
김명규 (金命圭)중추원 참의 역임
김명수 (金明秀)중추원 참의 역임
김명준 (金明濬)중추원 참의, 각종 친일 단체 간부
김병규 (金炳奎)중추원 참의 역임
김병욱 (金秉旭)중추원 참의 역임
김병원 (金炳鵷)중추원 참의 역임
김상설 (金相卨)중추원 참의 역임
김상섭 (金商燮)중추원 참의 역임
김상형 (金相亨)중추원 참의 역임
김성규 (金成圭)중추원 참의 역임
김신석 (金信錫)중추원 참의 역임
김연상 (金然尙)중추원 참의 역임
김영무 (金英武)중추원 참의 역임
김영진 (金英鎭)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회장
김영한 (金榮漢)중추원 참의 역임
김원근 (金元根)중추원 참의 역임
김윤정 (金潤晶)중추원 참의 역임
김재환 (金在煥)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
김정석 (金定錫)중추원 참의 역임
김정태 (金禎泰)중추원 참의 역임
김정호 (金正浩)중추원 참의 역임
김제하 (金濟河)중추원 참의 역임
김종흡 (金鍾翕)중추원 참의 역임
김준용 (金準用)중추원 참의 역임
김진수 (金晋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창수 (金昌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창한 (金彰漢)중추원 참의 역임
김태집 (金泰潗)중추원 참의 역임
김필희 (金弼熙)중추원 참의 역임
김하섭 (金夏渉)중추원 참의 역임
김한목 (金漢睦)중추원 참의 역임
김한승 (金漢昇)중추원 참의 역임
김현수 (金顯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화준 (金化俊)중추원 참의 역임
김희작 (金熙綽)중추원 참의 역임
나수연 (羅壽淵)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
남궁영 (南宮營)중추원 참의 역임
남규희 (南奎熙)중추원 참의 역임
남백우 (南百祐)중추원 참의 역임
노영환 (盧泳奐)중추원 참의 역임
노준영 (盧俊泳)중추원 참의 역임
노창안 (盧蒼顔)중추원 참의 역임
문종구 (文鍾龜)중추원 참의 역임
민병덕 (閔丙德)중추원 참의 역임
민영은 (閔泳殷)중추원 참의 역임
민영찬 (閔泳瓚)중추원 참의 역임
민재기 (閔載祺)중추원 참의 역임
박경양 (朴慶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기동 (朴起東)중추원 참의 역임
박기석 (朴箕錫)중추원 참의 역임
박보양 (朴普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봉주 (朴鳳柱)중추원 참의 역임
박봉진 (朴鳳鎭)중추원 참의 역임
박상준 (朴相駿)중추원 참의, 대동동지회 회장
박승봉 (朴勝鳳)중추원 참의 역임
박영철 (朴榮喆)중추원 참의 역임
박용구 (朴容九)중추원 참의 역임
박의병 (朴義秉)중추원 참의 역임
박이양 (朴彛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제환 (朴齊瓛)중추원 참의 역임
박종렬 (朴宗烈)중추원 참의 역임
박중양 (朴重陽)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감사
박지근 (朴智根)중추원 참의 역임
박철희 (朴喆熙)중추원 참의 역임
박필병 (朴弼秉)중추원 참의 역임
박흥규 (朴興奎)중추원 참의 역임
박희양 (朴熙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희옥 (朴禧沃)중추원 참의 역임
방인혁 (龐寅赫)중추원 참의 역임
상호 (尙灝)중추원 참의 역임
서병조 (徐丙朝)중추원 참의 역임
서병주 (徐炳柱)중추원 참의 역임
서상훈 (徐相勛)중추원 참의 역임
서회보 (徐晦輔)중추원 참의 역임
석명선 (石明瑄)중추원 참의 역임
성원경 (成元慶)중추원 참의 역임
성하국 (成夏國)중추원 참의 역임
손재하 (孫在廈)중추원 참의 역임
손조봉 (孫祚鳳)중추원 참의 역임
송문화 (宋文華)중추원 참의, 조선유도연합회 참여
송지헌 (宋之憲)중추원 참의 역임
송헌빈 (宋憲斌)중추원 참의 역임
신석린 (申錫麟)중추원 참의 역임
신석우 (申錫雨)중추원 참의 역임
신응희 (申應熙)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시정 25주년 기념표창 수상
신창휴 (申昌休)중추원 참의 역임
신태유 (申泰游)중추원 참의 역임
신현구 (申鉉求)중추원 참의 역임
신희련 (申熙璉)중추원 참의 역임
심선택 (沈璿澤)중추원 참의 역임
심환진 (沈晥鎭)중추원 참의 역임
안병길 (安炳吉)중추원 참의 역임
안종철 (安鍾哲)중추원 참의 역임
양재홍 (梁在鴻)중추원 참의 역임
엄준원 (嚴俊源)중추원 참의,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이사
엄태영 (嚴台永)중추원 참의 역임
염중모 (廉仲模)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도 참여관 역임
오세호 (吳世皡)중추원 참의 역임
오재풍 (吳在豊)중추원 참의 역임
오제영 (吳悌泳)중추원 참의 역임
오태환 (吳台煥)중추원 참의 역임
원덕상 (元悳常)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원병희 (元炳喜)중추원 참의 역임
원응상 (元應常)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위기철 (韋基喆)중추원 참의 역임
위정학 (魏楨鶴)중추원 참의 역임
유기호 (柳基浩)중추원 참의 역임
유빈겸 (兪斌兼)중추원 참의 역임
유성준 (兪星濬)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유승흠 (柳承欽)중추원 참의 역임
유익환 (柳翼煥)중추원 참의 역임
유진순 (劉鎭淳)중추원 참의 역임
유태설 (劉泰卨)중추원 참의 역임
유혁로 (柳赫魯)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도 참여관 역임
유흥세 (柳興世)중추원 참의 역임
윤갑병 (尹甲炳)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회장
윤정현 (尹定鉉)중추원 참의 역임
윤치오 (尹致旿)중추원 참의 역임
윤치호 (尹致昊)중추원 참의, 흥아보국단 준비위원
이갑용 (李甲用)중추원 참의 역임
이강원 (李康元)중추원 참의 역임
이건춘 (李建春)중추원 참의 역임
이겸제 (李謙濟)중추원 참의 역임
이교식 (李敎植)중추원 참의 역임
이근수 (李瑾洙)중추원 참의 역임
이근우 (李根宇)중추원 참의 역임
이기승 (李基升)중추원 참의 역임
이기찬 (李基燦)중추원 참의 역임
이도익 (李度翼)중추원 참의 역임
이동우 (李東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만규 (李晩奎)중추원 참의 역임
이명구 (李明求)중추원 참의 역임
이병렬 (李炳烈)중추원 참의 역임
이병학 (李柄學)중추원 참의 역임
이봉로 (李鳳魯)중추원 참의 역임
이선호 (李宣鎬)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이승구 (李承九)중추원 참의 역임
이승우 (李升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영찬 (李泳贊)중추원 참의 역임
이은우 (李恩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익화 (李翊華)중추원 참의 역임
이장우 (李章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재정 (李在正)중추원 참의 역임
이종덕 (李鍾悳)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도 참여관 역임
이종섭 (李鍾燮)중추원 참의 역임
이준상 (李濬相)중추원 참의 역임
이충건 (李忠健)중추원 참의 역임
이택규 (李宅珪)중추원 참의 역임
이택현 (李澤鉉)중추원 참의 역임
이항직 (李恒稙)중추원 참의 역임
이흥재 (李興載)중추원 참의 역임
이희적 (李熙迪)중추원 참의 역임
인창환 (印昌桓)중추원 참의 역임
임창수 (林昌洙)중추원 참의 역임
임창하 (林昌夏)중추원 참의 역임
장대익 (張大翼)중추원 참의 역임
장상철 (張相轍)중추원 참의 역임
장석원 (張錫元)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장용관 (張龍官)중추원 참의 역임
장응상 (張鷹相)중추원 참의 역임
장준영 (張俊英)중추원 참의 역임
장헌식 (張憲植)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사무국장
전덕룡 (田德龍)중추원 참의 역임
전석영 (全錫泳)중추원 참의 역임
전승수 (全承洙)중추원 참의 역임
정건유 (鄭健裕)중추원 참의 역임
정관조 (鄭觀朝)중추원 참의 역임
정난교 (鄭蘭敎)중추원 참의,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발기인
정대현 (鄭大鉉)중추원 참의 역임
정동식 (鄭東植)중추원 참의 역임
정병조 (鄭丙朝)중추원 참의 역임
정석모 (鄭碩謨)중추원 참의 역임
정석용 (鄭錫溶)중추원 참의 역임
정순현 (鄭淳賢)중추원 참의 역임
정인흥 (鄭寅興)중추원 참의 역임
정재학 (鄭在學)중추원 참의 역임
정진홍 (鄭鎭弘)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이사
정태균 (鄭泰均)중추원 참의 역임
정해붕 (鄭海鵬)중추원 참의 역임
정호봉 (鄭鎬鳳)중추원 참의 역임
조병건 (趙秉健)중추원 참의 역임
조상옥 (趙尙鈺)중추원 참의 역임
조영희 (趙英熙)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
조원성 (趙源誠)중추원 참의 역임
조재영 (趙在榮)중추원 참의 역임
조희문 (趙羲聞)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주영환 (朱榮煥)중추원 참의 역임
지희열 (池喜烈)중추원 참의 역임
진희규 (秦喜葵)중추원 참의 역임
차남진 (車南鎭)중추원 참의 역임
천장욱 (千章郁)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최상돈 (崔相敦)중추원 참의 역임
최석하 (崔錫夏)중추원 참의 역임
최양호 (崔養浩)중추원 참의 역임
최연국 (崔演國)중추원 참의 역임
최윤 (崔潤)중추원 참의 역임
최재엽 (崔在燁)중추원 참의 역임
최정묵 (崔鼎默)중추원 참의 역임
최준집 (崔準集)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
최지환 (崔志煥)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
최창조 (崔昌朝)중추원 참의 역임
최창호 (崔昌鎬)중추원 참의 역임
최형직 (崔馨稷)중추원 참의 역임
피성호 (皮性鎬)중추원 참의 역임
하준석 (河駿錫)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
한규복 (韓圭復)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한상봉 (韓相鳳)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한영원 (韓永源)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상담역
한익교 (韓翼敎)중추원 참의 역임
한진창 (韓鎭昌)중추원 참의, 대정친목회 회원
한창동 (韓昌東)중추원 참의 역임
허진 (許璡)중추원 참의 역임
현기봉 (玄基奉)중추원 참의 역임
현은 (玄檃)중추원 참의 역임
현준호 (玄俊鎬)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자문기관에서 활동
홍성연 (洪聖淵)중추원 참의 역임
홍승목 (洪承穆)중추원 참의 역임
홍우석 (洪祐晳)중추원 참의 역임
홍운표 (洪運杓)중추원 참의 역임
홍재하 (洪在夏)중추원 참의 역임
홍종국 (洪鍾國)중추원 참의,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이사
홍종철 (洪鍾轍)중추원 참의 역임
홍치업 (洪致業)중추원 참의 역임
황종국 (黃鍾國)중추원 참의 역임


2. 2. 1. 귀족 (139명)

(65명)강박원, 고영희, 권태환, 김병익, 김사철, 김석기, 김성근, 김영철, 김종한, 김춘희, 남정철, 민병석, 민상호, 민영규, 민영기, 민영린, 민영소, 민영욱, 민종묵, 민철훈, 박기양, 박영효, 박제빈, 박제순, 성기운, 윤덕영, 윤웅렬, 이강식, 이근명, 이근상, 이근택, 이기용, 이도재, 이병길, 이병무, 이봉의, 이완용, 이용태, 이윤용, 이재각, 이재곤, 이재극, 이재면, 이정로, 이종건, 이준용, 이지용, 이해국, 이해승, 이홍묵, 임선준, 장석주, 정낙용, 정두화, 정주영, 조경호, 조동윤, 조동희, 조민희, 조중응, 최석민, 한창수, 황병수, 황종진매국, 수작, 친일 행위습작
(74명)고중덕, 고흥겸, 권봉수, 김교신, 김덕한, 김병규, 김병덕, 김병수, 김병준, 김상현, 김세현, 김수, 김영수, 김용국, 김원, 김정, 김정석, 김종흡, 김창한, 김춘, 김태, 김학진, 김현철, 남규희, 남장희, 민규현, 민병삼, 민영욱, 박경원, 박기석, 박기순, 박기효, 박두양, 박서양, 박승원, 박정서, 박찬범, 성일용, 성주경, 윤기, 윤길, 윤의섭, 이강헌, 이경우, 이규원, 이규환, 이능호, 이달용, 이덕주, 이덕훈, 이병옥, 이병주, 이병철, 이병태, 이봉구, 이선호, 이승구, 이승우, 이원호, 이장우, 이재정, 이종승, 이창, 이창수, 이충, 이택, 이택규, 이택주, 이풍한, 이홍, 이홍재, 이희, 임낙호, 임선재, 임훈습작, 친일 행위



이 중 이완용은 을사늑약 체결을 주도하고 한일병합조약에 서명하는 등 적극적인 친일 행위로 민족에게 큰 피해를 준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이준용 또한 적극적인 친일행위를 한 인물중 하나이다.

2. 2. 2. 중추원 (244명)

이름주요 행적
강경희 (姜敬熙)중추원 참의 역임
강동희 (姜東曦)중추원 참의 역임
강리황 (姜利璜, 강이황(姜利璜))중추원 참의 역임
강번 (姜藩)중추원 참의 역임
강병옥 (康秉鈺)중추원 참의 역임
고원식 (高源植)중추원 참의 역임
고원훈 (高元勳)중추원 참의, 일진회 회원
고일청 (高一淸)중추원 참의 역임
권봉수 (權鳳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갑순 (金甲淳)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자문기관에서 활동
김경수 (金景壽)중추원 참의 역임
김경진 (金慶鎭)중추원 참의 역임
김관현 (金寬鉉)중추원 참의 역임
김교성 (金敎聲)중추원 참의 역임
김기수 (金基秀)중추원 참의 역임
김기태 (金琪邰)중추원 참의 역임
김기홍 (金基鴻)중추원 참의 역임
김돈희 (金暾熙)중추원 참의 역임
김동준 (金東準)중추원 참의 역임
김두찬 (金斗贊)중추원 참의 역임
김명규 (金命圭)중추원 참의 역임
김명수 (金明秀)중추원 참의 역임
김명준 (金明濬)중추원 참의, 각종 친일 단체 간부
김병규 (金炳奎)중추원 참의 역임
김병욱 (金秉旭)중추원 참의 역임
김병원 (金炳鵷)중추원 참의 역임
김상설 (金相卨)중추원 참의 역임
김상섭 (金商燮)중추원 참의 역임
김상형 (金相亨)중추원 참의 역임
김성규 (金成圭)중추원 참의 역임
김신석 (金信錫)중추원 참의 역임
김연상 (金然尙)중추원 참의 역임
김영무 (金英武)중추원 참의 역임
김영진 (金英鎭)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회장
김영한 (金榮漢)중추원 참의 역임
김원근 (金元根)중추원 참의 역임
김윤정 (金潤晶)중추원 참의 역임
김재환 (金在煥)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
김정석 (金定錫)중추원 참의 역임
김정태 (金禎泰)중추원 참의 역임
김정호 (金正浩)중추원 참의 역임
김제하 (金濟河)중추원 참의 역임
김종흡 (金鍾翕)중추원 참의 역임
김준용 (金準用)중추원 참의 역임
김진수 (金晋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창수 (金昌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창한 (金彰漢)중추원 참의 역임
김태집 (金泰潗)중추원 참의 역임
김필희 (金弼熙)중추원 참의 역임
김하섭 (金夏渉)중추원 참의 역임
김한목 (金漢睦)중추원 참의 역임
김한승 (金漢昇)중추원 참의 역임
김현수 (金顯洙)중추원 참의 역임
김화준 (金化俊)중추원 참의 역임
김희작 (金熙綽)중추원 참의 역임
나수연 (羅壽淵)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
남궁영 (南宮營)중추원 참의 역임
남규희 (南奎熙)중추원 참의 역임
남백우 (南百祐)중추원 참의 역임
노영환 (盧泳奐)중추원 참의 역임
노준영 (盧俊泳)중추원 참의 역임
노창안 (盧蒼顔)중추원 참의 역임
문종구 (文鍾龜)중추원 참의 역임
민병덕 (閔丙德)중추원 참의 역임
민영은 (閔泳殷)중추원 참의 역임
민영찬 (閔泳瓚)중추원 참의 역임
민재기 (閔載祺)중추원 참의 역임
박경양 (朴慶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기동 (朴起東)중추원 참의 역임
박기석 (朴箕錫)중추원 참의 역임
박보양 (朴普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봉주 (朴鳳柱)중추원 참의 역임
박봉진 (朴鳳鎭)중추원 참의 역임
박상준 (朴相駿)중추원 참의, 대동동지회 회장
박승봉 (朴勝鳳)중추원 참의 역임
박영철 (朴榮喆)중추원 참의 역임
박용구 (朴容九)중추원 참의 역임
박의병 (朴義秉)중추원 참의 역임
박이양 (朴彛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제환 (朴齊瓛)중추원 참의 역임
박종렬 (朴宗烈)중추원 참의 역임
박중양 (朴重陽)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감사
박지근 (朴智根)중추원 참의 역임
박철희 (朴喆熙)중추원 참의 역임
박필병 (朴弼秉)중추원 참의 역임
박흥규 (朴興奎)중추원 참의 역임
박희양 (朴熙陽)중추원 참의 역임
박희옥 (朴禧沃)중추원 참의 역임
방인혁 (龐寅赫)중추원 참의 역임
상호 (尙灝)중추원 참의 역임
서병조 (徐丙朝)중추원 참의 역임
서병주 (徐炳柱)중추원 참의 역임
서상훈 (徐相勛)중추원 참의 역임
서회보 (徐晦輔)중추원 참의 역임
석명선 (石明瑄)중추원 참의 역임
성원경 (成元慶)중추원 참의 역임
성하국 (成夏國)중추원 참의 역임
손재하 (孫在廈)중추원 참의 역임
손조봉 (孫祚鳳)중추원 참의 역임
송문화 (宋文華)중추원 참의, 조선유도연합회 참여
송지헌 (宋之憲)중추원 참의 역임
송헌빈 (宋憲斌)중추원 참의 역임
신석린 (申錫麟)중추원 참의 역임
신석우 (申錫雨)중추원 참의 역임
신응희 (申應熙)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시정 25주년 기념표창 수상
신창휴 (申昌休)중추원 참의 역임
신태유 (申泰游)중추원 참의 역임
신현구 (申鉉求)중추원 참의 역임
신희련 (申熙璉)중추원 참의 역임
심선택 (沈璿澤)중추원 참의 역임
심환진 (沈晥鎭)중추원 참의 역임
안병길 (安炳吉)중추원 참의 역임
안종철 (安鍾哲)중추원 참의 역임
양재홍 (梁在鴻)중추원 참의 역임
엄준원 (嚴俊源)중추원 참의,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이사
엄태영 (嚴台永)중추원 참의 역임
염중모 (廉仲模)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도 참여관 역임
오세호 (吳世皡)중추원 참의 역임
오재풍 (吳在豊)중추원 참의 역임
오제영 (吳悌泳)중추원 참의 역임
오태환 (吳台煥)중추원 참의 역임
원덕상 (元悳常)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원병희 (元炳喜)중추원 참의 역임
원응상 (元應常)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위기철 (韋基喆)중추원 참의 역임
위정학 (魏楨鶴)중추원 참의 역임
유기호 (柳基浩)중추원 참의 역임
유빈겸 (兪斌兼)중추원 참의 역임
유성준 (兪星濬)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유승흠 (柳承欽)중추원 참의 역임
유익환 (柳翼煥)중추원 참의 역임
유진순 (劉鎭淳)중추원 참의 역임
유태설 (劉泰卨)중추원 참의 역임
유혁로 (柳赫魯)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도 참여관 역임
유흥세 (柳興世)중추원 참의 역임
윤갑병 (尹甲炳)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회장
윤정현 (尹定鉉)중추원 참의 역임
윤치오 (尹致旿)중추원 참의 역임
윤치호 (尹致昊)중추원 참의, 흥아보국단 준비위원
이갑용 (李甲用)중추원 참의 역임
이강원 (李康元)중추원 참의 역임
이건춘 (李建春)중추원 참의 역임
이겸제 (李謙濟)중추원 참의 역임
이교식 (李敎植)중추원 참의 역임
이근수 (李瑾洙)중추원 참의 역임
이근우 (李根宇)중추원 참의 역임
이기승 (李基升)중추원 참의 역임
이기찬 (李基燦)중추원 참의 역임
이도익 (李度翼)중추원 참의 역임
이동우 (李東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만규 (李晩奎)중추원 참의 역임
이명구 (李明求)중추원 참의 역임
이병렬 (李炳烈)중추원 참의 역임
이병학 (李柄學)중추원 참의 역임
이봉로 (李鳳魯)중추원 참의 역임
이선호 (李宣鎬)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이승구 (李承九)중추원 참의 역임
이승우 (李升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영찬 (李泳贊)중추원 참의 역임
이은우 (李恩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익화 (李翊華)중추원 참의 역임
이장우 (李章雨)중추원 참의 역임
이재정 (李在正)중추원 참의 역임
이종덕 (李鍾悳)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도 참여관 역임
이종섭 (李鍾燮)중추원 참의 역임
이준상 (李濬相)중추원 참의 역임
이충건 (李忠健)중추원 참의 역임
이택규 (李宅珪)중추원 참의 역임
이택현 (李澤鉉)중추원 참의 역임
이항직 (李恒稙)중추원 참의 역임
이흥재 (李興載)중추원 참의 역임
이희적 (李熙迪)중추원 참의 역임
인창환 (印昌桓)중추원 참의 역임
임창수 (林昌洙)중추원 참의 역임
임창하 (林昌夏)중추원 참의 역임
장대익 (張大翼)중추원 참의 역임
장상철 (張相轍)중추원 참의 역임
장석원 (張錫元)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장용관 (張龍官)중추원 참의 역임
장응상 (張鷹相)중추원 참의 역임
장준영 (張俊英)중추원 참의 역임
장헌식 (張憲植)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사무국장
전덕룡 (田德龍)중추원 참의 역임
전석영 (全錫泳)중추원 참의 역임
전승수 (全承洙)중추원 참의 역임
정건유 (鄭健裕)중추원 참의 역임
정관조 (鄭觀朝)중추원 참의 역임
정난교 (鄭蘭敎)중추원 참의,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발기인
정대현 (鄭大鉉)중추원 참의 역임
정동식 (鄭東植)중추원 참의 역임
정병조 (鄭丙朝)중추원 참의 역임
정석모 (鄭碩謨)중추원 참의 역임
정석용 (鄭錫溶)중추원 참의 역임
정순현 (鄭淳賢)중추원 참의 역임
정인흥 (鄭寅興)중추원 참의 역임
정재학 (鄭在學)중추원 참의 역임
정진홍 (鄭鎭弘)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이사
정태균 (鄭泰均)중추원 참의 역임
정해붕 (鄭海鵬)중추원 참의 역임
정호봉 (鄭鎬鳳)중추원 참의 역임
조병건 (趙秉健)중추원 참의 역임
조상옥 (趙尙鈺)중추원 참의 역임
조영희 (趙英熙)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
조원성 (趙源誠)중추원 참의 역임
조재영 (趙在榮)중추원 참의 역임
조희문 (趙羲聞)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주영환 (朱榮煥)중추원 참의 역임
지희열 (池喜烈)중추원 참의 역임
진희규 (秦喜葵)중추원 참의 역임
차남진 (車南鎭)중추원 참의 역임
천장욱 (千章郁)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최상돈 (崔相敦)중추원 참의 역임
최석하 (崔錫夏)중추원 참의 역임
최양호 (崔養浩)중추원 참의 역임
최연국 (崔演國)중추원 참의 역임
최윤 (崔潤)중추원 참의 역임
최재엽 (崔在燁)중추원 참의 역임
최정묵 (崔鼎默)중추원 참의 역임
최준집 (崔準集)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
최지환 (崔志煥)중추원 참의,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
최창조 (崔昌朝)중추원 참의 역임
최창호 (崔昌鎬)중추원 참의 역임
최형직 (崔馨稷)중추원 참의 역임
피성호 (皮性鎬)중추원 참의 역임
하준석 (河駿錫)중추원 참의,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
한규복 (韓圭復)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한상봉 (韓相鳳)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군수 역임
한영원 (韓永源)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상담역
한익교 (韓翼敎)중추원 참의 역임
한진창 (韓鎭昌)중추원 참의, 대정친목회 회원
한창동 (韓昌東)중추원 참의 역임
허진 (許璡)중추원 참의 역임
현기봉 (玄基奉)중추원 참의 역임
현은 (玄檃)중추원 참의 역임
현준호 (玄俊鎬)중추원 참의, 조선총독부 자문기관에서 활동
홍성연 (洪聖淵)중추원 참의 역임
홍승목 (洪承穆)중추원 참의 역임
홍우석 (洪祐晳)중추원 참의 역임
홍운표 (洪運杓)중추원 참의 역임
홍재하 (洪在夏)중추원 참의 역임
홍종국 (洪鍾國)중추원 참의,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이사
홍종철 (洪鍾轍)중추원 참의 역임
홍치업 (洪致業)중추원 참의 역임
황종국 (黃鍾國)중추원 참의 역임


3.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13명)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문헌 자료를 통해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정치 부문 인사 399명에 대한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를 진행하여 388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고 11명을 기각했다. 이후 이의 신청 과정에서 2건이 추가로 기각되어 최종적으로 386명이 조사 대상자로 확정되었다.

조사 결과, 383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고 3명이 기각되었다. 이의 신청은 모두 기각되어 최종적으로 383명이 정치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다.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과정과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은 총 13명(귀족 5명, 중추원 8명)이며,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분야인원
귀족5명
중추원8명


3. 1. 귀족 (5명)

이름작위기각 사유
민태곤남작1941년 12월 일본 도쿄에서 독립 운동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된 사실이 인정됨.
민태윤남작태평양 전쟁 당시 강제 징병으로 일본에 연행된 상태였기 때문에 본인 의사와는 무관하게 남작 작위를 승계받은 사실이 인정됨.
이종건남작1919년 3·1 운동 직후에 조선총독부에 남작 작위 반납을 요청하고 은사공채를 반환한 사실이 인정됨.
이해국자작작위 승계 당시와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에 미성년자였음.
이홍재남작작위 승계 당시와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에 미성년자였음.


3. 2. 중추원 (8명)

이름한자상세
김만수金晩秀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역임했으나 임명된 지 2개월 만에 스스로 사임함.
김사묵金思默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역임했으나 임명된 지 2개월 만에 스스로 사임함.
박해령朴海齡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임명된 지 2개월 만에 사망함.
이원용李源鎔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역임했으나 임명된 지 2년 4개월 만에 사임함. 조선총독부 군수로 부임한 지 3개월 만에 사임함.
장도張燾대한제국 시대 의병 재판 판사로 근무했고,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대정친목회·동민회 등 각종 친일 단체 주요 인사로 참여했으나, 105인 사건 공판 및 독립 운동에 참여한 사회주의 계열 인사 공판에서 변호인으로 참여한 사실이 인정됨.
조제환趙齊桓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역임했으나 임명된 지 4개월 만에 사임함. 조선총독부 군수로 부임한 지 8개월 만에 면직됨.
한동리韓東履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역임했으나 임명된 지 2개월 만에 스스로 사임함. 변호사 등록 후 독립군 자금 모집 관련 공판에서 피고인으로 나섰던 독립운동가의 변호인으로 참여한 사실이 인정됨.
허명훈許命勳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했으나, 역임 전후의 경력이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명시된 기준에 미달함.


4.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3명)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최종 심의 결과, 정치 부문에서 383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고 3명은 기각되었다. 기각된 인물과 사유는 다음과 같다.

분야이름기각 사유
귀족민형식민영휘에게서 자작 작위를 물려받았으나, 무정부주의 운동과 독립 운동 자금을 지원한 사실이 확인됨.
귀족민병억1949년 8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송치되었다는 경향신문 기사가 존재하나, 민건식에게서 남작 작위를 물려받은 시점이 불분명하여 습작 여부 판단이 어렵다고 판단함.
중추원구희서10년 동안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지냈으나, 재임 기간 동안 조선총독부의 옛 관습 및 제도 조사위원으로 활동한 것은 친일반민족행위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함.


4. 1. 귀족 (2명)

민형식(閔衡植): 민영휘가 받았던 자작 작위를 승계받았으나 무정부주의 운동, 독립 운동 자금을 지원한 사실이 인정됨.

민병억(閔丙億): 광복 이후인 1949년 8월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송치되었다는 《경향신문》 기사가 있으나 민건식이 받았던 남작 작위를 승계받은 시기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신문 기사만 가지고는 습작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함.

4. 2. 중추원 (1명)

구희서 (具羲書): 10년 동안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역임했으나, 재임 기간 동안 조선총독부에서 추진한 옛 관습 및 제도 조사위원으로 활동했던 사실은 친일반민족행위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