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역대 고등학교 교과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역대 고등학교 교과목은 1955년 제1차 교육과정부터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각 교육과정은 시대적 요구와 교육 철학에 따라 교과목 구성과 학습 목표에 변화를 겪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거쳐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있다. 교과 구성은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나뉘며, 보통 교과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체육, 예술, 기술·가정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한다. 전문 교과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직업 교육을 위해 운영되며, 농생명, 공업, 상업 정보, 수산 해운, 가사 실업 등 계열별로 세분화되어 있다. 교육과정 개정 주기, 대입 제도와의 연계, 고교학점제 도입, 미래 사회 대비 등 다양한 쟁점과 과제를 안고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의 교육과정 관련 관점도 논의된다.

2. 대한민국 교육과정의 역사

2. 1. 제1차 교육과정 (1955년 ~)

1955년부터 제1차 교육과정이 실시되었다. 해방 이후 교수요목 시대를 거쳐 '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교과 중심 교육과정으로, 교육 내용과 교과서의 분량이 많아서 학습 부담이 과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2. 제2차 교육과정 (1964년 ~)

1964년부터 제2차 교육과정이 실시되었다. 경험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여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분리되었으며, 1969년부터 교련 과목이 실시되었다.

2. 3. 제3차 교육과정 (1977년 ~ 1983년)

3차 교육과정은 1977년 입학생부터 1983년 입학생까지 적용되었다. 학문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여 지식의 구조와 탐구 과정을 강조하였으며,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다시 통합되었다.

2. 4. 제4차 교육과정 (1984년 ~ 1989년)

1984년부터 1989년까지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인간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며 전인교육을 목표로 하였다. 이 시기에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과정별 선택 과목이 도입되었다. 1986년부터는 학도 호국단 활동이 폐지되고 학생회 활동이 부활하였다.

2. 5. 제5차 교육과정 (1990년 ~ 1995년)

5차 교육과정은 1990년 입학생부터 1995년 입학생까지 적용되었다. 학생 중심 교육과정으로,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함양을 강조하였으며,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과정별 선택 과목이 더욱 확대되었다.

2. 6. 제6차 교육과정 (1996년 ~ 2001년)

1996년부터 2001년까지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에 해당한다. 학교 중심 교육과정으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이 확대되었으며, 고등학교 2, 3학년에 선택 교과가 도입되었다.

2. 7. 제7차 교육과정 (2002년 ~ 2010년)

7차 교육과정부터 고등학교 2~3학년에 선택 교과가 도입되었으며, 2002년 입학생부터 2010년 입학생까지 적용되었다. 단, 국사 과목은 2006년 입학생부터 개정된 과정이 적용되었다.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학습자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 8. 2007 개정 교육과정 (수학, 영어, 과학, 보건: 2009년 ~)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수학과 영어에 한해 2009년 입학생부터 적용되었다. 나머지 교과목은 2011년 입학생부터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적용되기도 전에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이 발표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 또한 교양 과목 중 보건 과목도 2009년부터 실시하였다.

2. 9.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11년 ~ 2013년, 각론: 2013년 ~ 2017년)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고등학교에 적용되었다. 이 과정에서는 국민 기본 공통 교과목을 학교 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수학 및 영어 교과목 외 다른 교과목들도 개편되어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시험 부담을 줄이고자 단위 수가 낮은 과목을 한 학기에 집중적으로 이수하는 '교과 집중이수제'가 도입되어 모든 과목의 권장 단위 수가 5단위로 통일되었다. 다만, 한국사는 2012년부터 다시 필수 과목으로 지정되어 5단위로 편성되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연계도가 낮거나 선택률이 저조했던 일부 과목들은 다른 과목에 통합되거나 폐지되었고, '동아시아사'와 같은 새로운 과목이 추가되었다. 기존의 특별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개편되었으며,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각론) (일명 2011 개정 교육과정)은 2013년 영어 과목에 한해 우선 적용되었으며, 그 외 과목들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적용되었다. 수학은 익힘책, 영어는 활동책이 폐지되었다. 한국사는 모든 학교에서 필수 이수 과목이 되었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필수 과목으로 지정되었다. 집중이수제의 폐단으로 인해 예체능 과목은 집중이수제에서 제외되었다.

2. 10. 2015 개정 교육과정 (2018년 ~ 2024년)

2. 11. 2022 개정 교육과정 (2025년 ~)

3. 교과 구성

3. 1. 보통 교과

(역사/도덕 포함)일반교과사회, 한국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 지리, 세계 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법과 정치, 사회·문화, 경제심화교과국제 정치, 국제 경제, 국제 관계와 국제 기구, 세계 문제, 비교 문화, 사회 과학 방법론, 한국의 사회와 문화, 국제법, 지역 이해, 인류의 미래 사회, 과제 연구과학과일반교과과학, 물리Ⅰ, 물리Ⅱ, 화학Ⅰ, 화학Ⅱ, 생명 과학Ⅰ, 생명 과학Ⅱ, 지구 과학Ⅰ, 지구 과학Ⅱ심화교과고급 물리, 물리 실험, 고급 화학, 화학 실험, 고급 생명과학, 생명과학 실험, 고급 지구과학, 지구과학 실험, 환경 과학, 과학사 및 과학 철학, 정보 과학, 과제 연구체육·예술과목군체육과일반교과운동과 건강 생활, 스포츠 문화, 스포츠 과학심화교과스포츠 개론, 체육과 진로 탐구, 육상 운동, 체조 운동, 수상 운동, 개인 및 대인 운동, 단체 운동, 체력 운동, 투기 운동, 빙상 및 설상 운동, 표현 및 창작 운동, 스포츠경기 체력, 스포츠경기 기술, 스포츠경기 실습, 코칭론, 스포츠경영·행정, 체육 전공 실기, 전공 지도 실습예술과
(음악/미술)일반교과음악과 생활, 음악과 진로, 미술 창작, 미술 문화심화교과음악 이론, 음악사, 시창·청음, 음악 전공 실기, 합창·합주, 공연 실습, 음악과 매체, 교양 실기, 드로잉, 미술 이론, 미술사, 평면 조형, 입체 조형, 디자인·공예, 영상 미술, 미술 전공 실기, 무용의 이해, 기초 한국 무용, 기초 발레, 기초 현대 무용,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무용 감상과 비평, 안무, 문학 개론, 문장론, 고전 문학 감상, 현대 문학 감상, 시 창작 입문, 소설 창작 입문, 문예 창작 전공 실기, 연극의 이해, 연기, 무대 기술, 연극 제작 실습, 연극 감상과 비평, 영화의 이해, 영화 기술, 영화 창작과 표현, 영화 제작 실습, 영화 감상과 비평생활·교양과목군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일반교과기술·가정, 독일어Ⅰ, 독일어Ⅱ, 스페인어Ⅰ, 스페인어Ⅱ, 일본어Ⅰ, 일본어Ⅱ, 중국어Ⅰ, 중국어Ⅱ, 아랍어Ⅰ, 아랍어Ⅱ, 러시아어Ⅰ, 러시아어Ⅱ, 베트남어Ⅰ, 베트남어Ⅱ, 한문Ⅰ, 한문Ⅱ,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종교학,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과 녹색성장, 실용 경제, 논술심화교과농업 생명 과학, 공학 기술, 가정 과학, 경영 일반, 해양 과학, 정보, 독일어 회화Ⅰ, 독일어 회화Ⅱ, 독일어 독해Ⅰ, 독일어 독해Ⅱ, 독일어 작문, 독일어권 문화, 프랑스어 회화Ⅰ, 프랑스어 회화Ⅱ, 프랑스어 독해Ⅰ, 프랑스어 독해Ⅱ, 프랑스어 작문, 프랑스어권 문화, 스페인어 회화Ⅰ, 스페인어 회화Ⅱ, 스페인어 독해Ⅰ, 스페인어 독해Ⅱ, 스페인어 작문, 스페인어권 문화, 중국어 회화Ⅰ, 중국어 회화Ⅱ, 중국어 독해Ⅰ, 중국어 독해Ⅱ, 중국어 작문, 중국 문화, 일본어 회화Ⅰ, 일본어 회화Ⅱ, 일본어 독해Ⅰ, 일본어 독해Ⅱ, 일본어 작문, 일본 문화, 러시아어 회화Ⅰ, 러시아어 회화Ⅱ, 러시아어 독해Ⅰ, 러시아어 독해Ⅱ, 러시아어 작문, 러시아 문화, 아랍어 회화Ⅰ, 아랍어 회화Ⅱ, 아랍어 독해Ⅰ, 아랍어 독해Ⅱ, 아랍어 작문, 아랍 문화, 베트남어 회화Ⅰ, 베트남어 회화Ⅱ, 베트남어 독해Ⅰ, 베트남어 독해Ⅱ, 베트남어 작문, 베트남 문화


3. 1. 1. 공통 교과

국어는 8단위 또는 10단위로 짜여진다. 8단위의 경우 교과서는 학기별로 2권(상, 하)이 제시된다.[1] 10단위일 때도 2권의 교과서가 학기별로(상, 하) 제시된다.[1]

도덕은 2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1]

사회는 6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역사는 6단위로 짜여진다.

국사는 4단위 또는 6단위로 짜여진다. 4단위일 때는 1권, 6단위일 때는 2권의 교과서가 학기별로(상, 하) 제시된다.[1]

수학은 8단위로 짜여지며, 교과서 1권과 익힘책 1권이 제시되거나, 2권의 교과서가 학기별로(10-가, 10-나) 제시된다.

과학은 6단위 또는 8단위로 짜여진다. 6단위일 때는 1권의 교과서가, 8단위일때도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기술·가정은 6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체육은 4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음악은 2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미술은 2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영어는 8단위로 짜여지며, 교과서 1권과 활동책(Activities) 1권이 제시되거나,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윤리는 6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공통사회는 8단위로 짜여지며, 2권의 교과서가 학기별로(상, 하) 제시된다.[2]

공통수학은 8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3]

공통과학은 8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체육Ⅰ은 8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음악Ⅰ은 4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미술Ⅰ은 4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공통영어는 8단위로 짜여지며, 1권의 교과서가 제시된다.

사회과의 경우 일반사회, 도덕, 국사가 있었다.

과학과의 경우 1학년에서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 택 1을 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교련 과목이 있었다.

3. 1. 2. 선택 교과

(역사/도덕 포함)선택교과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법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 한국사, 도덕*,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과학과선택교과과학*, 물리Ⅰ, 물리Ⅱ, 화학Ⅰ, 화학Ⅱ, 생명 과학Ⅰ, 생명 과학Ⅱ, 지구 과학Ⅰ, 지구 과학Ⅱ체육·예술과목군체육과선택교과체육*, 운동과 건강 생활, 스포츠 문화, 스포츠 과학예술과
(음악/미술)선택교과음악*, 음악 실기, 음악과 사회, 음악과 생활, 음악과 진로, 음악과 이해, 미술*, 미술과 삶, 미술 감상, 미술 창작, 미술 문화생활·교양과목군기술·가정과선택교과기술·가정*, 농업 생명 과학, 공업 기술, 가정 과학, 창업과 경영, 해양 과학, 정보제2외국어과선택교과독일어Ⅰ, 독일어Ⅱ, 프랑스어Ⅰ, 프랑스어Ⅱ, 스페인어Ⅰ, 스페인어Ⅱ, 중국어Ⅰ, 중국어Ⅱ, 일본어Ⅰ, 일본어Ⅱ, 러시아어Ⅰ, 러시아어Ⅱ, 아랍어Ⅰ, 아랍어Ⅱ한문과선택교과한문Ⅰ, 한문Ⅱ교양과선택교과생활과 철학, 생활과 심리, 생활과 교육, 생활과 종교, 생활과 경제, 안전과 건강,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과 녹색성장


인문사회군
국어과선택교과화법 (6), 독서 (6), 작문 (6), 문법 (6), 문학 (6), 매체언어 (6)
도덕과선택교과현대 생활과 윤리 (6), 윤리와 사상 (6), 전통 윤리 (6)
사회과선택교과한국 지리 (6), 경제 지리 (6), 세계 지리 (6), 한국 문화사 (6), 세계 역사의 이해 (8), 동아시아사 (6), 법과 사회 (6), 정치 (8), 경제 (6), 사회·문화 (6)
과학·기술과목군
수학과선택교과수학의 활용 (6), 수학Ⅰ (6), 미적분과 통계 기본 (6), 수학Ⅱ (6), 적분과 통계 (6), 기하와 벡터 (6)
과학과선택교과물리Ⅰ (6), 화학Ⅰ (6), 생명과학Ⅰ (6), 지구과학Ⅰ (6), 물리Ⅱ (6), 화학Ⅱ (6), 생명과학Ⅱ (6), 지구과학Ⅱ (6)
기술가정과선택교과농업 생명 과학 (6), 공학 기술 (6), 가정 과학 (6), 창업과 경영 (6), 해양 과학 (6), 정보 (4)
예체능과목군
체육과선택교과운동과 건강 생활 (4)
음악과선택교과음악 실기 (4), 음악과 사회 (4), 음악과 이해 (4)
미술과선택교과미술과 삶 (4), 미술 감상 (4), 미술 창작 (6)
외국어과목군
영어과선택교과영어Ⅰ (6), 영어Ⅱ (6), 실용 영어 회화 (6), 심화 영어 회화 (6), 영어 독해와 작문 (6), 심화 영어 독해와 작문 (6)
제2외국어과선택교과독일어Ⅰ (6), 독일어Ⅱ (6), 프랑스어Ⅰ (6), 프랑스어Ⅱ (6), 스페인어Ⅰ (6), 스페인어Ⅱ (6), 중국어Ⅰ (6), 중국어Ⅱ (6), 일본어Ⅰ (6), 일본어Ⅱ (6), 러시아어Ⅰ (6), 러시아어Ⅱ (6), 아랍어Ⅰ (6), 아랍어Ⅱ (6)
한문과목군
한문과선택교과한문Ⅰ (6), 한문Ⅱ (6)
교양과목군
교양과선택교과생활과 철학 (4), 생활과 논리 (4), 생활과 심리 (4), 생활과 교육 (4), 생활과 종교 (4), 생활 경제 (4), 안전과 건강 (4), 진로와 직업 (4), 환경 (4), 보건 (4)


3. 2. 전문 교과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전문 교과는 특성화 고등학교(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교과목이다.

공통 계열성공적인 직업생활
농생명 산업 계열농업 이해, 농업 기초 기술, 농업 정보 관리, 농업 경영, 생명 공학 기술, 농업 영어, 친환경 농업, 재배, 작물 생산 기술, 원예, 생활 원예, 생산 자재, 원예 기술, 원예 전문 생산, 동물 자원, 중소 가축 관리, 대 가축 관리, 반려 동물 관리, 숲과 인간, 산림 자원 기술, 조경, 조경 설계, 조경 시공 관리, 농업과 물, 농촌과 농지 개발, 농업 토목 제도·설계, 농업 토목 시공·측량, 농업 기계, 농업 기계 공작, 농업 기계 운전·작업, 농업 기계 정비, 식품 과학, 식품 위생, 농산 식품 가공, 축산·수산 식품 가공, 농산물 유통, 농산물 유통 관리, 농산물 유통 실무, 환경 보전, 환경 관리, 관광 농업
공업 계열공업 일반, 기초 제도, 정보기술과 활용, 공업 영어, 전문 제도, 기계 일반, 전기와 생활, 기계 구조와 기능, 기계 공작법, 유체 기계, 공기 조화 설비, 기계 기초 공작, 공작 기계, 산업 설비, 금형 제작, 전자 기계 이론, 전자 기계 회로, 전자 기계 공작, 전자 기계 제어, 로봇 기초, 로봇 제작, 재료 일반, 금속 제조, 재료 가공, 주조, 금속 처리, 전기 회로, 전기 기기, 전력 설비, 전기·전자 측정, 전기 응용, 자동화 설비, 전자 회로, 전자 기기, 전자·전산 응용, 통신 일반, 정보 통신, 통신 시스템, 컴퓨터 구조, 시스템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디지털 논리 회로, 측량, 역학, 토목 설계, 토목 재료·시공, 수리·토질, 지적 전산, 지적 실무, 공간 정보, 건축 구조, 건축 계획, 건축 목공, 건축 구조체 시공, 건축 마감 시공, 디자인 일반, 색채 관리, 조형, 제품 디자인, 공예, 시각 디자인, 컴퓨터 그래픽, 공업 화학, 단위 조작·공정 제어, 제조 화학, 분석 화학, 파인 세라믹, 세라믹 재료, 세라믹 원리·공정, 스마트 세라믹, 발효 공업, 식품 분석, 식품 공업 기술, 섬유 재료, 방적·방사, 제포·봉제, 염색·가공, 인쇄의 이해, 인쇄 재료, 아날로그 인쇄, 제판 실제, 사진, 디지털 인쇄, 자동차 기관, 자동차 섀시, 자동차 전기·전자 제어, 건설 기계 구조·정비, 자동차 차체 수리, 선박 이론, 선박 구조, 선박 건조, 항공기 일반, 항공기 기체, 항공기 기관, 항공기 장비, 항공기 전자 장치, 인간과 환경, 수질 관리, 대기·소음 방지, 폐기물 처리, 컴퓨터 게임 기획, 컴퓨터 게임 프로그래밍, 컴퓨터 게임 그래픽, 만화·애니메이션 기초, 애니메이션 제작, 만화 창작, 영화·방송 제작, 촬영·조명, 방송 시스템
상업 정보 계열상업 경제, 회계 원리, 마케팅, 기업과 경영, 기업 자원 통합 관리, 재무회계, 원가 관리 회계, 세무 회계, 회계 정보 시스템, 글로벌 경영, 비즈니스 영어, 국제 상무, 자료 구조, 모바일 콘텐츠, 사무 관리 실무, 상업 디자인 일반, 상업 디자인 실무, 유통 관리, 물류 관리, 전자 상거리 일반, 전자 상거래 실무, 미디어 콘텐츠 일반, 미디어 콘텐츠 실무, 웹 프로그래밍, 금융 일반, 금융 실무, 커뮤니케이션 실무, 창업 일반, 컴퓨터 일반
수산·해운 계열수산 일반, 해사 일반, 해양의 이해, 수산·해운 산업 기초, 수산 생물, 수산 경영 일반, 해양 생산 기술, 수산 양식, 양식 생물 질병, 수산 가공, 수산물 유통, 해양 오염·방제, 냉동 일반, 냉동 공조 기기, 냉동 공조 실무, 열기관, 선박 보조 기계, 선박 전기·전자, 기계 설계·공작, 잠수 기술, 항해, 선박 운용, 해사 법규, 해사 영어, 선화 운송, 전자 통신 기초, 전자 통신 기기, 전자 통신 운용, 생선회 실무, 해양 레저 관광, 해양 물류 일반, 해양 정보 관리, 해양 플랜트 일반
가사·실업 계열인간 발달,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식품과 영양, 급식 관리, 한국 조리, 동양 조리, 서양 조리, 제과·제빵, 의복 재료·관리, 패션 디자인, 한국 의복 구성, 서양 의복 구성, 자수와 편물, 주거, 실내 디자인, 가구 디자인, 디스플레이, 보육 원리와 뵤육 교사, 보육 과정, 놀이 지도, 아동 생활 지도, 관광 일반, 관광 경영 실무, 관광 서비스 실무, 관광 외식·조리, 관광 영어, 관광 일본어, 관광 중국어, 간호의 기초, 보건 간호, 기초 간호 임상 실무, 복지 서비스의 기초, 노인 생활 지원, 헤어 미용, 피부 미용, 메이크업, 공중 보건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문 교과의 필수 과목을 지역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농생명 산업 계열농업 이해, 농업 기초 기술, 농업 정보 관리, 농업 경영, 생물 공학 기초, 재배, 작물 생산 기술, 숲과 인간, 산림 자원 기술, 원예, 생활 원예, 생산 자재, 원예 기술Ⅰ, 원예 기술Ⅱ, 동물 자원, 사육 기술Ⅰ, 사육 기술Ⅱ, 누에와 비단, 조경 기술Ⅰ, 조경 기술Ⅱ, 농업과 물, 농촌과 농지 개발, 농업 토목 기술Ⅰ, 농업 토목 기술Ⅱ, 농업 기계, 농업 기계공작, 농업 기계 기술Ⅰ, 농업 기계 기술Ⅱ, 식품 과학, 식품 위생, 식품 가공 기술Ⅱ, 농산물 유통, 농산물 유통 관리Ⅰ, 농산물 유통 관리Ⅱ, 환경 보전, 환경 관리Ⅰ, 환경 관리Ⅱ, 농업과 관광
공업 계열공업 입문, 기초 제도, 정보 기술 기초, 전문 제도, 기계 일반, 전기 일반, 공업 영어, 기계 설계, 기계공작법, 원동기, 유체 기기, 공기 조화 설비, 기계 기초 공작, 공작 기계Ⅰ, 공작 기계Ⅱ, 산업 설비, 금형 제작, 전자 기계 이론, 전자 기계 회로, 전자 기계공작, 전자 기계 제어, 로봇 기초, 로봇 제작, 재료 일반, 금속 제조, 재료 가공, 주조, 금속 처리, 전기 응용, 전기 회로, 전기 기기, 전력 설비Ⅰ, 전력 설비Ⅱ, 전기·전자 측정, 자동화 설비, 전자 기기, 전자·전산 응용, 전자 회로, 계측 제어, 통신 일반, 정보 통신, 통신 시스템, 컴퓨터 구조, 시스템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디지털 논리 회로, 측량, 역학, 토목 설계, 토목 일반, 토목 재료·시공, 수리·토질, 지적 전산, 지적 실무, 건축 구조, 건축 계획 일반, 건축 목공, 건축 시공Ⅰ, 건축 시공Ⅱ, 디자인 일반, 색채 관리, 조형, 제품 디자인, 공예, 시각 디자인, 컴퓨터 그래픽, 공업 화학, 단위 조작·공정 제어, 제조 화학, 분석 화학, 기능성 세라믹, 세라믹 원리·공정, 구조 세라믹, 세라믹 디자인, 발효 공업, 식품 제조 기계, 식품 분석, 식품 공업 기술, 섬유 재료, 방적·방사, 제포·봉제, 염색·가공, 인쇄 일반, 인쇄·사진 재료, 평판 인쇄, 특수 인쇄, 사진·전자 제판, 사진, 자동차·건설 기계, 자동차 기관, 자동차 섀시, 자동차 전기·전자 제어, 건설 기계 구조·정비, 자동차 차체 수리, 선박 이론, 선박 구조, 선박 건조, 항공기 일반, 항공기 기체, 항공기 기관, 항공기 장비, 항공기 전자 장치, 환경 공업 일반, 수질 관리, 대기·소음 방지, 폐기물 처리, 컴퓨터 게임 기획, 컴퓨터 게임 프로그램, 컴퓨터 게임 그래픽, 만화·애니메이션 기초, 애니메이션 제작, 만화 창작, 영화·방송 제작, 촬영·조명, 방송 시스템
상업 정보 계열상업 경제, 컴퓨터 일반, 회계 원리, 기업과 경영, 경영과 법, 마케팅과 광고, 경영 정보 시스템, 기업 자원 관리, 커뮤니케이션 실무, 원가 회계, 기업 회계, 전산 회계, 세무 회계, 금융과 생활, 국제화와 기업 경영, 무역 영어, 전자 무역과 국제 상무, 유통 정보 관리, 물류 관리, 자료 처리, 프로그래밍 실무, 소프트웨어 개발, 사무 관리 실무, 멀티미디어 일반, 멀티미디어 기획, 멀티미디어 실무, 웹 프로그래밍, 전자 상거래 일반, 인터넷 쇼핑몰 관리, 전자 상거래 실무, 인터넷 마케팅, 창업 일반
수산·해운 계열수산 일반, 해사 일반, 해양 일반, 수산·해운 정보 처리, 수산 생물, 수산 경영 일반, 해양 생산 기술, 수산 양식, 양식 생물 질병, 수산 가공, 수산물 유통, 해양 환경, 해양 오염, 냉동 일반, 냉동 기계, 냉동 공조 실무, 열기관, 선박 보조 기계, 선박 전기·전자, 기계 설계·공작, 잠수 기술, 항해, 선박 운용, 해사 법규, 해사 영어, 선화 운송, 전자 통신 공학, 전자 통신 기기, 전자 통신 운용, 생선회 실무, 해양 레저·관광, 항만 물류 일반, 해양 정보 관리
가사·실업 계열인간 발달, 식품과 영양, 급식 관리, 한국 조리, 동양 조리, 서양 조리, 제과 제빵, 의복 재료·관리, 패션 디자인, 한국 의복 구성, 서양 의복 구성, 자수와 편물, 주거, 실내 디자인, 가구 디자인, 디스플레이, 영·유아 교육 원리,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 영·유아 놀이 교육, 영·유아 생활 지도, 관광 일반, 관광 경영 실무, 관광 서비스 실무, 관광 외식·조리, 관광 영어, 관광 일본어, 관광 중국어, 간호의 기초, 보건 간호, 기초 간호 임상 실무, 기초 복지 서비스, 노인 생활 지원, 헤어 미용, 피부 관리, 메이크업, 공중 보건
과학 계열물리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 과학사, 전자 과학, 정보 과학Ⅰ, 정보 과학Ⅱ, 고급 수학, 고급 물리,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과제 연구Ⅰ, 과제 연구Ⅱ, 환경 과학, 현대 과학과 기술, 원서 강독, 워크숍, 과학 철학
체육 계열스포츠 개론, 스포츠 경기 과학, 체육과 진로 탐구, 육상 운동, 체조 운동, 수상 운동, 개인·대인 운동, 단체 운동, 투기 운동, 빙상·설상 운동, 표현·창작 운동, 체력 운동, 전문 스포츠 경기 체력, 전문 스포츠 경기 초급, 전문 스포츠 경기 중급, 전문 스포츠 경기 고급, 전문 스포츠 경기 실습, 스포츠 교육, 코칭론, 건강 관리, 스포츠 행정·경영, 전공 실기, 전공 실습
예술 계열음악 이론, 음악사·감상, 시창·청음, 음악 전공 실기, 합창, 합주, 연주, 컴퓨터와 음악, 교양 실기, 미술 이론, 미술사, 소묘, 기초 회화, 기초 조소, 기초 디자인·공예, 미술 전공 실기, 영상 매체와 미술, 미술 감상과 비평, 무용의 이해, 기초 한국 무용, 기초 발레, 기초 현대 무용, 무용 전공 실기, 무용 음악, 안무, 무용 감상과 비평, 문학의 이해, 문장론, 고전 문학의 감상과 비평, 현대 문학의 감상과 비평, 시 창작, 소설 창작, 희곡 창작, 매체와 문학, 연극의 이해, 무대 기술, 연기, 연극 제작 실습, 연극의 감상과 비평, 영화의 이해, 영화 기술, 영화 창작과 표현, 영화 제작 실습, 영화 감상과 비평, 사진의 이해, 기초 촬영, 중급 촬영, 암실 실기, 사진 편집, 디지털 사진 촬영, 디지털 사진 표현 기법, 사진 감상과 비평
외국어 계열심화 영어, 영어 청해, 영어 회화Ⅰ, 영어 회화Ⅱ, 영어 독해, 영어 작문, 영어권 문화Ⅰ, 영어권 문화Ⅱ, 영어 문법, 기초 독일어, 독일어 청해, 독일어 회화Ⅰ, 독일어 회화Ⅱ, 독일어 독해, 독일어 작문, 독일어권 문화Ⅰ, 독일어권 문화Ⅱ, 독일어 문법, 기초 프랑스어, 프랑스어 청해, 프랑스어 회화Ⅰ, 프랑스어 회화Ⅱ, 프랑스어 독해, 프랑스어 작문, 프랑스어권 문화Ⅰ, 프랑스어권 문화Ⅱ, 프랑스어 문법, 기초 스페인어, 스페인어 청해, 스페인어 회화Ⅰ, 스페인어 회화Ⅱ, 스페인어 독해, 스페인어 작문, 스페인어권 문화Ⅰ, 스페인어권 문화Ⅱ, 스페인어 문법, 기초 중국어, 중국어 청해, 중국어 회화Ⅰ, 중국어 회화Ⅱ, 중국어 독해, 중국어 작문, 중국 문화Ⅰ, 중국 문화Ⅱ, 중국어 문법, 기초 일본어, 일본어 청해, 일본어 회화Ⅰ, 일본어 회화Ⅱ, 일본어 독해, 일본어 작문, 일본 문화Ⅰ, 일본 문화Ⅱ, 일본어 문법, 기초 러시아어, 러시아어 청해, 러시아어 회화Ⅰ, 러시아어 회화Ⅱ, 러시아어 독해, 러시아어 작문, 러시아 문화Ⅰ, 러시아 문화Ⅱ, 러시아어 문법, 기초 아랍어, 아랍어 청해, 아랍어 회화Ⅰ, 아랍어 회화Ⅱ, 아랍어 독해, 아랍어 작문, 아랍 문화Ⅰ, 아랍 문화Ⅱ, 아랍어 문법
국제 계열영어 강독, 독일어 강독, 프랑스어 강독, 스페인어 강독, 중국어 강독, 일본어 강독, 러시아어 강독, 아랍어 강독, 국제 정치Ⅰ, 국제 정치Ⅱ, 국제 경제Ⅰ, 국제 경제Ⅱ, 세계 문제, 비교 문화Ⅰ, 비교 문화Ⅱ, 정보 과학, 국제법, 지역 이해, 인류의 미래 사회, 한국의 전통 문화, 한국의 현대 사회, 한국어, 과제 연구Ⅰ, 과제 연구Ⅱ, 예능 실습

4. 주요 쟁점 및 과제

4. 1. 교육과정 개정 주기

4. 2. 대입 제도와의 연계

4. 3. 고교학점제

4. 4. 미래 사회 대비

5.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교육과정

6. 결론

참조

[1] 문서 국정 교과서로 배부되었다.
[2] 문서 공통사회 상은 일반사회, 공통사회 하는 한국지리 영역이었다.
[3] 문서 당시 공통수학에는 현재 수학Ⅰ에 들어가 있는 지수, 로그가 들어가 있었다.
[4] 문서 교련 과목이 신설되기 전에는 24단위로 이수하였다.
[5] 문서 교련 과목이 신설되기 전에는 12단위로 이수하였다.
[6] 법령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사범학교교육과정시간배당기준령 http://www.law.go.kr[...] 문교부령 제76호 1958-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