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 리그 우승 구단에 대한 문서는 1964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K리그가 출범하기 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의 기록과 K리그, K리그1의 우승팀, 준우승팀, MVP, 득점왕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1983년 슈퍼리그로 시작된 K리그는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K리그1으로 자리 잡았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
개요
종목축구
국가대한민국
한국 축구 리그 시스템
리그 레벨1
참가 클럽 수12
승격하위 리그로 강등 없음
강등하위 리그로 강등 없음
컵 대회대한민국 FA컵
국제 클럽 대회AFC 챔피언스리그
역대 우승 구단
최다 우승 구단성남 FC (7회)
최근 우승 구단울산 현대 (2023년)

2. 역사

1983년 대한축구협회의 '''수퍼리그''' 창설 합의로 한국 프로축구 리그의 역사가 시작되었다.[4] 1994년 한국프로축구연맹 출범, 1995년 타이틀 스폰서 도입 등 발전을 거듭했다.

1983년부터 1998년까지 리그 명칭은 '수퍼리그', '축구 선수권 대회', '한국 프로 축구 리그', '한국 리그', '프로 축구 리그'를 거쳐 1998년 K리그로 변경되었다.

2012년부터 승강제가 도입되어 2013년 1부 리그는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는 K리그 챌린지로, 2018년에는 각각 K리그1, K리그2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K리그1 12위 팀은 자동 강등, K리그2 1위 팀은 자동 승격되며, K리그1 11위 팀과 K리그2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는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성남 FC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그리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두 차례 3년 연속 우승으로 K리그 역사상 두 번의 왕조를 구축했다.

승강제 도입 후 K리그1에서는 포항 스틸러스,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 현대, FC 서울이 우승했다.

시즌우승팀준우승팀최우수 선수득점왕
1983할렐루야 (1)대우 로얄즈박성화한국어박윤기한국어 (9)
1984대우 로얄즈 (2)유공 코끼리박창선한국어백종철한국어 (16)
1985럭키금성 황소 (1)포항 아톰즈한문배한국어피야퐁 퓨온th (12)
1986포항 아톰즈 (4)럭키금성 황소이흥실한국어정해원한국어 (10)
1987대우 로얄즈 (3)포항 아톰즈정해원한국어최상국한국어 (15)
1988포항 아톰즈 (5)현대 호랑이박경훈한국어이기근한국어 (12)
1989유공 코끼리 (1)럭키금성 황소노수진한국어조긍연한국어 (20)
1990럭키금성 황소 (2)대우 로얄즈최진한한국어윤상철한국어 (12)
1991대우 로얄즈 (4)현대 호랑이정용환한국어이기근한국어 (16)
1992포항 아톰즈 (6)일화 천마홍명보한국어임근재한국어 (10)
1993일화 천마 (1)LG 치타스이상윤한국어차상해한국어 (10)
1994일화 천마 (2)유공 코끼리고정운한국어윤상철한국어 (21)
1995일화 천마 (3)포항 아톰즈신태용한국어노상래한국어 (15)
1996울산 현대 호랑이 (1)수원 삼성 블루윙즈김현석 (축구 선수)|김현석한국어신태용한국어 (18)
1997부산 대우 로얄즈 (5)전남 드래곤즈김주성한국어김현석 (축구 선수)|김현석한국어 (9)
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 (1)울산 현대 호랑이고종수한국어유상철한국어 (14)
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 (2)부산 대우 로얄즈안정환한국어사샤 드라쿨리치sr (18)
2000안양 LG 치타스 (3)부천 SK최용수한국어김도훈한국어 (12)
2001성남 일화 천마 (4)안양 LG 치타스신태용한국어산드로 카르도주|산드로pt (13)
2002성남 일화 천마 (5)울산 현대 호랑이김대의한국어에드미우송 지아스 지 루세나|에드미우송pt (14)
2003성남 일화 천마 (6)울산 현대 호랑이김도훈한국어김도훈한국어 (28)
2004수원 삼성 블루윙즈 (3)포항 스틸러스나드송pt모타pt (14)
2005울산 현대 호랑이 (2)인천 유나이티드이천수한국어레안드루 마샤두pt (13)
2006성남 일화 천마 (7)수원 삼성 블루윙즈김두현한국어우성용한국어 (16)
2007포항 스틸러스 (7)성남 일화 천마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pt카보레pt (17)
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 (4)FC 서울이운재한국어두두pt (15)
2009전북 현대 모터스 (1)성남 일화 천마이동국한국어이동국한국어 (20)
2010FC 서울 (4)제주 유나이티드김은중한국어유병수한국어 (22)
2011전북 현대 모터스 (2)울산 현대이동국한국어데얀 다먀노비치me (23)
2012FC 서울 (5)전북 현대 모터스데얀 다먀노비치me데얀 다먀노비치me (31)


2. 1. 수퍼리그 창설 (1983)

1983년 2월 28일 대한축구협회는 '''수퍼리그''' 창설에 원칙적으로 합의하였고,[4] 같은 해 3월 3일 '수퍼리그 위원회'가 발족되어 본격적인 창설 준비에 들어갔다.[5] 그 후 3개월여의 준비 끝에 2개의 프로축구단 할렐루야, 유공과 3개의 실업축구단 포항제철, 대우, 국민은행을 원년 멤버로 하는 수퍼리그가 5월 8일 동대문운동장에서 할렐루야와 유공 간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공식 출범하였다.[6]

2. 2. 한국프로축구연맹 출범과 발전 (1994-2011)

1994 시즌 대한축구협회 산하의 프로리그위원회가 독립하여 한국프로축구연맹으로 새롭게 출범하였으며, 초대 회장은 당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었던 정몽준이 겸직하였다.[7] 1995 시즌부터는 최초로 타이틀 스폰서를 도입하였다.[8]

성남 FC박종환 감독 시절 1993년, 1994년, 1995년에 모두 우승하여 K리그 역대 최초로 왕조를 세워 1990년대 초반을 지배하였다. 이후 차경복 감독 시절 2001년, 2002년, 2003년에 모두 우승하여 K리그 역대 2번째로 왕조를 세워 2000년대 초반을 지배하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현재 전북 현대 모터스는 9회 우승으로 K리그1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 3. 승강제 도입과 K리그1/K리그2 출범 (2012-현재)

2012 시즌을 앞두고 승강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프로축구연맹은 2013 시즌부터 본격적인 승강제를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태스크포스팀을 신설하고 외부 컨설팅 업체에 '한국형 승강제' 모델의 수립을 의뢰하였다. 오랜 논의 끝에 1부 프로축구리그의 팀 수를 12개 팀으로 축소하는 동시에 4개의 팀을 신설하여 2부 프로축구리그로 강등시켜 승강제를 진행하는 안이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시민구단들의 반발로 가칭 프로 2부리그로 강등되는 K리그 팀의 숫자가 4팀에서 2팀으로 축소되었다. 결국 당해 시즌 K리그에 당시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리그 진행 방식을 본뜬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하여 강등 팀을 결정하였다. 2013 시즌에 1부 프로축구리그의 명칭이 K리그 클래식, 2부 프로축구리그의 명칭이 K리그 챌린지로 확정되어, 오늘날까지 본격적으로 승강제가 실시되고 있다. 2018 시즌에는 K리그 클래식이 K리그1으로, K리그 챌린지가 K리그2로 개칭되었다. K리그1의 12위 팀은 자동으로 강등되며, 특이사항이 없는 한 K리그2의 1위 팀은 자동으로 승격한다. 그 외에 K리그1의 11위 팀과 K리그2의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는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1・2차전을 치른다.[4][5][6]

승강제 도입 이후 승강 플레이오프를 경험하지 않은 1부 팀은 울산 현대, 포항스틸러스, 전북 현대 모터스, 인천 유나이티드가 유일하다.

#시즌우승 (횟수)준우승3위최다 득점자
312013포항 스틸러스 (5) ----울산 현대전북 현대 모터스데얀 (FC 서울, 19골)
322014전북 현대 모터스 (3) --수원 삼성 블루윙즈FC 서울산토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14골)
332015전북 현대 모터스 (4) --수원 삼성 블루윙즈포항 스틸러스김신욱 (전북 현대 모터스, 18골)
342016FC 서울 (6) --전북 현대 모터스 --제주 유나이티드정조국 (광주, 20골)
352017전북 현대 모터스 (5) --제주 유나이티드수원 삼성 블루윙즈조나탄 (수원 삼성 블루윙즈, 22골)
362018전북 현대 모터스 (6) --경남 FC울산 현대말컹 (경남 FC, 26골)
372019전북 현대 모터스 (7) --울산 현대FC 서울타가트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골)
382020전북 현대 모터스 (8) --울산 현대 --포항 스틸러스주니오 (울산 현대, 26골)
392021전북 현대 모터스 (9) --울산 현대대구 FC주민규 (제주 유나이티드, 22골)
402022울산 현대 (3) --전북 현대 모터스 --포항 스틸러스조규성 (전북 현대 모터스, 17골)
412023울산 현대 (4) --포항 스틸러스 --광주 FC주민규 (울산 현대, 17골)
422024울산 현대 (5) --강원 FC김천 상무스테판 무고샤 (인천 유나이티드, 15골)


3. 전국실업축구연맹전 (1964–1982)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은 K리그가 창설되기 전까지 한국 축구의 최상위 리그 역할을 했다. 여러 기업, 은행, 군 팀들이 참가하여 경쟁했다.

#시즌우승 (횟수)준우승관련 자료
11964 춘계금성방직 (1), 제일모직 (1)
20x20픽셀
공동 우승
[3]
21964 추계금성방직 (2) 대한중석[4]
31965 춘계금성방직 (3), 대한중석 (1), 한국전력 (1) 공동 우승[5]
41965 추계대한중석 (2) 석탄공사[6]
51966 춘계서울시경 (1) 한국전력[7]
61966 추계대한중석 (3), 서울시경 (2) 공동 우승[8]
71967 춘계치안국 (3) 쌍용양회
81967 추계한국전력 (2) 제일모직
91968 춘계대한중석 (4) 한국전력
101968 추계제일모직 (2), 병참단 (1) 공동 우승
111969 춘계한국전력 (3) 대한중석
121969 추계확인불가확인불가
131970 춘계제일모직 (3) 확인불가대한중석 또는 육군
141970 추계조흥은행 (1) 신탁은행
151971 춘계신탁은행 (1) 외환은행, 주택은행 공동 준우승
161971 추계해병대 (1) 신탁은행, 조흥은행 공동 준우승
171972 춘계주택은행 (1) 해병대
181972 추계주택은행 (2) 해병대
191973 춘계해병대 (2) 국민은행
201973 추계신탁은행 (2) 육군
211974 춘계조흥은행 (2) 육군
221974 추계상업은행 (1), 육군 (2) 공동 우승
231975 춘계포항제철 (1) 육군
241975 추계중소기업은행 (1) 자동차보험
251976 춘계신탁은행 (3), 외환은행 (1) 공동 우승
261976 추계대회 중단
271977 통합육군 (3) 포항제철
281978 춘계서울시청 (1), 해군 (1) 공동 우승
291978 추계자동차보험 (1) 서울시청
301979 춘계중소기업은행 (2) 육군 충의
311979 추계대회 중단
321980 춘계육군 충의 (4), 서울시청 (2) 공동 우승
331980 추계자동차보험 (2), 공군 성무 (1) 공동 우승
341981 춘계대우 (1) 해군 해룡
351981 추계포항제철 (2) 육군 충의
361982 통합포항제철 (3) 국민은행


4. K리그 (1983–2012)

1983년 할렐루야 축구단이 초대 우승을 차지한 이후, 리그는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 1986년까지 프로와 세미프로 클럽이 함께 리그에 참가했으나, 1987년부터 프로 클럽만 참가하게 되었다.

#시즌우승 (횟수)준우승3위최다 득점자
11983할렐루야 (1)대우 로얄즈유공 코끼리박윤기 (유공 코끼리, 9골)
21984대우 로얄즈 (1)유공 코끼리현대 호랑이백종철 (현대 호랑이, 16골)
31985럭키금성 황소 (1)포항제철 아톰즈대우 로얄즈삐야퐁 피우온|피아퐁th (럭키금성 황소, 12골)
41986포항제철 아톰즈 (1)럭키금성 황소현대 호랑이정해원 (대우 로얄즈, 10골)
51987대우 로얄즈 (2)포항제철 아톰즈유공 코끼리최상국 (포항제철 아톰즈, 15골)
61988포항제철 아톰즈 (2)현대 호랑이유공 코끼리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2골)
71989유공 코끼리 (1)럭키금성 황소대우 로얄즈조긍연 (포항제철 아톰즈, 20골)
81990럭키금성 황소 (2)대우 로얄즈포항제철 아톰즈윤상철 (럭키금성 황소, 12골)
91991대우 로얄즈 (3)현대 호랑이포항제철 아톰즈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6골)
101992포항제철 아톰즈 (3)일화 천마현대 호랑이임근재 (LG 치타스, 10골)
111993일화 천마 (1)LG 치타스현대 호랑이차상해 (포항제철 아톰즈, 10골)
121994일화 천마 (2)유공 코끼리포항제철 아톰즈윤상철 (LG 치타스, 21골)
131995일화 천마 (3)포항 아톰즈현대 호랑이노상래 (전남 드래곤즈, 15골)
141996울산 현대 호랑이 (1)수원 삼성 블루윙즈포항 아톰즈신태용 (천안 일화 천마, 18골)
151997부산 대우 로얄즈 (4)전남 드래곤즈울산 현대 호랑이김현석 (울산 현대 호랑이, 9골)
16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 (1)울산 현대 호랑이포항 스틸러스유상철 (울산 현대 호랑이, 14골)
17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 (2)부산 대우 로얄즈부천 SK사샤 드라쿨리치|샤샤sr (수원 삼성 블루윙즈, 18골)
182000안양 LG 치타스 (3)부천 SK성남 일화 천마김도훈 (전북 현대 모터스, 12골)
192001성남 일화 천마 (4)안양 LG 치타스수원 삼성 블루윙즈산드루 카르도주 두스 산투스|산드로pt (수원 삼성 블루윙즈, 13골)
202002성남 일화 천마 (5)울산 현대 호랑이수원 삼성 블루윙즈에드미우송 디아스 지 루세나|에드밀손pt (전북 현대 모터스, 14골)
212003성남 일화 천마 (6)울산 현대 호랑이수원 삼성 블루윙즈김도훈 (성남 일화 천마, 28골)
222004수원 삼성 블루윙즈 (3)포항 스틸러스울산 현대 호랑이조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모따pt (전남 드래곤즈, 14골)
232005울산 현대 호랑이 (2)인천 유나이티드성남 일화 천마레안드루 마샤두|마차도pt (울산 현대 호랑이, 13골)
242006성남 일화 천마 (7)수원 삼성 블루윙즈포항 스틸러스우성용 (성남 일화 천마, 16골)
252007포항 스틸러스 (4)성남 일화 천마수원 삼성 블루윙즈이베라우두 지 제수스 페헤이라|까보레pt (경남, 17골)
26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 (4)FC 서울울산 현대에두아르두 프란시스쿠 지 시우바 네투|두두pt (성남 일화 천마, 15골)
272009전북 현대 모터스 (1)성남 일화 천마포항 스틸러스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20골)
282010FC 서울 (4)제주 유나이티드전북 현대 모터스유병수 (인천 유나이티드, 22골)
292011전북 현대 모터스 (2)울산 현대포항 스틸러스데얀 다먀노비치|데얀me (FC 서울, 23골)
302012FC 서울 (5)전북 현대 모터스포항 스틸러스데얀 다먀노비치|데얀me (FC 서울, 31골)



FC 서울(1985, 1990, 2000, 2010, 2012), 포항 스틸러스(1986, 1988, 1992, 2007), 부산 아이파크(1984, 1987, 1991, 1997) 등 여러 클럽들이 K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5. K리그1 (2013–현재)

K리그는 2013년에 승강제를 도입하면서 두 개의 리그로 분리되었는데, 그 중 최상위 리그가 K리그1이다. K리그1은 2018년 이전까지 K리그 클래식으로 불렸다.

2013 시즌에는 포항 스틸러스가 울산 현대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FA컵까지 우승하여 '''더블'''을 달성했다. 이후 전북 현대 모터스가 2014, 2015 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2016 시즌에는 FC 서울전북 현대 모터스를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는 전북 현대 모터스가 5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K리그1 최다 우승팀이 되었다. 2022 시즌과 2023 시즌에는 울산 HD가 연속 우승을 하였다.

시즌우승준우승최우수 선수득점왕
2013포항 스틸러스 (5)울산 현대 김신욱 데얀 (19)
2014전북 현대 모터스 (3)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동국 산토스 (14)
2015전북 현대 모터스 (4)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동국 김신욱 (18)
2016FC 서울 (6)전북 현대 모터스 정조국 정조국 (20)
2017전북 현대 모터스 (5)제주 유나이티드 이재성 조나탄 (22)
2018전북 현대 모터스 (6)경남 FC 말컹 말컹 (26)
2019전북 현대 모터스 (7)울산 현대 김보경 타가트 (20)
2020전북 현대 모터스 (8)울산 현대 손준호 주니오 (26)
2021전북 현대 모터스 (9)울산 현대 홍정호 주민규 (22)
2022울산 현대 (3)전북 현대 모터스 이청용 조규성 (17)
2023울산 현대 (4)포항 스틸러스 김영권 주민규 (17)
2024울산 HD (5)강원 FC 조현우 무고사 (15)


6. 통계

K리그 출범 이후 현재까지 구단별 우승 및 준우승 횟수와 연도별 통계는 다음과 같다.



K리그에 공식 지역 연고제가 시행된 1987시즌부터의 연고지별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


6. 1. 역대 (1964–현재)

1964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축구 최상위 리그의 역대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 주요 시즌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굵은 글씨는 현재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구단을 의미한다.
  • ''기울임 글씨''는 공동 우승 또는 공동 준우승으로 시상된 시즌을 의미한다.
  • 's'는 춘계 대회, 'a'는 추계 대회를 의미한다.


시즌우승준우승최우수 선수득점왕
2013포항 스틸러스 (8)울산 현대 김신욱 데얀 다먀노비치 (19)
2014전북 현대 모터스 (3)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동국 주니오 (14)
2015전북 현대 모터스 (4)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동국 김신욱 (18)
2016FC 서울 (6)전북 현대 모터스 정조국 정조국 (20)
2017전북 현대 모터스 (5)제주 유나이티드 이재성 조나탄 (22)
2018전북 현대 모터스 (6)경남 FC 마르카 마르카 (26)
2019전북 현대 모터스 (7)울산 현대 김보경 아담 타가트 (20)
2020전북 현대 모터스 (8)울산 현대 손준호 주니오 네그라오 (26)
2021전북 현대 모터스 (9)울산 현대 홍정호 주민규 (22)
2022울산 현대 (3)전북 현대 모터스 이청용 조규성 (17)
2023울산 현대 (4)포항 스틸러스 김영권 주민규 (17)
2024울산 HD (5)강원 FC 조현우 스테판 무고사 (15)


  • 대한민국에서는 프로 시대 기록을 일반적으로 인정한다.


클럽단일 리그춘계 시즌추계 시즌합계
전북 현대 모터스99
포항 스틸러스6118
성남 FC77
FC 서울66
울산 HD55
부산 아이파크415
수원 삼성 블루윙즈44
코리아 텅스텐224
육군1113
금성방직213
치안국213
한국전력213
제일모직213
한국신탁은행213
해군213
한국주택은행112
조흥은행112
한국산업은행112
서울시청22
대한자동차보험22
할렐루야 FC11
제주 유나이티드11
육군 병참11
상업은행11
한국외환은행11
공군11

[3]

6. 1. 1. 구단별 우승 횟수

(육군 병참단 축구단 기록 포함)
4
5
1968a, 1974a, 1977, 1980s1973a, 1974s, 1975s, 1979s, 1981a수원 삼성 블루윙즈
4
4
1998, 1999, 2004, 20081996, 2006, 2014, 2015대한중석 축구단
4
3
1965s, 1965a, 1966a, 1968s1964a, 1969s, 1970s한국전력 축구단
3
2
1965s, 1967a, 1969s1966s, 1968s서울신탁은행 축구단
(한국신탁은행 축구단 기록 포함)
3
2
1971s, 1973a, 1976s1970a, 1971a제일모직 축구단
3
1
1964s, 1968a, 1970s1967a금성방직 축구단
3
0
1964s, 1964a, 1965s경찰 축구단
(서울시경 축구단과 치안국 축구단 기록 포함)
3
0
1966s, 1966a, 1967s해병대 축구단
2
2
1971a, 1973s1972s, 1972a한국주택은행 축구단
2
1
1972s, 1972a1971s조흥은행 축구단
2
1
1970a, 1974s1971a서울시청 축구단
2
1
1978s, 1980s1978a한국자동차보험 축구단
2
1
1978a, 1980a1975a한국산업은행 축구단
2
0
1975a, 1979s제주 유나이티드
1
5
19891984, 1994, 2000, 2010, 2017한국외환은행 축구단
1
1
1976s1971s해군 축구단
1
1
1978s1981s한국상업은행 축구단
1
0
1974a공군 축구단
1
0
1980a할렐루야 축구단
1
0
1983국민은행 축구단
0
2
1973s, 1982대한석탄공사 축구단
0
1
1965a쌍용양회 축구단
0
1
1967s전남 드래곤즈
0
1
1997인천 유나이티드
0
1
2005경남 FC
0
1
2018강원 FC
0
1
2024

참조

[1] 뉴스 https://newslibrary.[...] Kyunghyang 1969-08-16
[2] 뉴스 http://dna.naver.com[...] Kyunghyang 1979-11-01
[3] 뉴스 The Official K League Annual Report K League editorial division
[4] 뉴스 축구 슈퍼리그創設(창설) 합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2-28
[5] 뉴스 슈퍼리그委(위) 구성 대한축구협회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3-04
[6] 뉴스 축구 수퍼리그 5월 7일 출항 http://dna.naver.com[...] 매일경제신문 1983-04-12
[7] 뉴스 프로축구聯,30일 출범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1994-07-30
[8] 뉴스 하이트배 코리안리그 프로축구 이름 바꾼다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4-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