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 리그 우승 구단에 대한 문서는 1964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K리그가 출범하기 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의 기록과 K리그, K리그1의 우승팀, 준우승팀, MVP, 득점왕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1983년 슈퍼리그로 시작된 K리그는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K리그1으로 자리 잡았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 - 이탈리아의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
이탈리아 축구 최상위 리그 우승 구단은 1898년 시작된 이탈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팀을 의미하며, 유벤투스가 36회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고, 세리에 A로 명칭이 변경되기 전까지 총 16개 클럽이 우승을 경험했다. - K리그1 - K리그1 클럽별 통산 기록
- K리그1 - K리그1 감독별 기록
- 대한민국의 축구 우승 기록 - 대한민국 세미프로·아마추어 축구단의 우승 기록
- 대한민국의 축구 우승 기록 - 대한민국의 축구 2부리그 우승 구단
대한민국의 축구 2부 리그 우승 구단 문서는 K리그2의 역대 우승 팀과 관련 기록을 다루며, K리그2는 2013년 K리그 챌린지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어 단일 리그와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한다.
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 | |
---|---|
개요 | |
종목 | 축구 |
국가 | 대한민국 |
한국 축구 리그 시스템 | |
리그 레벨 | 1 |
참가 클럽 수 | 12 |
승격 | 하위 리그로 강등 없음 |
강등 | 하위 리그로 강등 없음 |
컵 대회 | 대한민국 FA컵 |
국제 클럽 대회 | AFC 챔피언스리그 |
역대 우승 구단 | |
최다 우승 구단 | 성남 FC (7회) |
최근 우승 구단 | 울산 현대 (2023년) |
2. 역사
1983년 대한축구협회의 '''수퍼리그''' 창설 합의로 한국 프로축구 리그의 역사가 시작되었다.[4] 1994년 한국프로축구연맹 출범, 1995년 타이틀 스폰서 도입 등 발전을 거듭했다.
1983년부터 1998년까지 리그 명칭은 '수퍼리그', '축구 선수권 대회', '한국 프로 축구 리그', '한국 리그', '프로 축구 리그'를 거쳐 1998년 K리그로 변경되었다.
2012년부터 승강제가 도입되어 2013년 1부 리그는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는 K리그 챌린지로, 2018년에는 각각 K리그1, K리그2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K리그1 12위 팀은 자동 강등, K리그2 1위 팀은 자동 승격되며, K리그1 11위 팀과 K리그2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는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성남 FC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그리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두 차례 3년 연속 우승으로 K리그 역사상 두 번의 왕조를 구축했다.
승강제 도입 후 K리그1에서는 포항 스틸러스,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 현대, FC 서울이 우승했다.
시즌 | 우승팀 | 준우승팀 | 최우수 선수 | 득점왕 |
---|---|---|---|---|
1983 | 할렐루야 (1) | 대우 로얄즈 | 박성화한국어 | 박윤기한국어 (9) |
1984 | 대우 로얄즈 (2) | 유공 코끼리 | 박창선한국어 | 백종철한국어 (16) |
1985 | 럭키금성 황소 (1) | 포항 아톰즈 | 한문배한국어 | 피야퐁 퓨온th (12) |
1986 | 포항 아톰즈 (4) | 럭키금성 황소 | 이흥실한국어 | 정해원한국어 (10) |
1987 | 대우 로얄즈 (3) | 포항 아톰즈 | 정해원한국어 | 최상국한국어 (15) |
1988 | 포항 아톰즈 (5) | 현대 호랑이 | 박경훈한국어 | 이기근한국어 (12) |
1989 | 유공 코끼리 (1) | 럭키금성 황소 | 노수진한국어 | 조긍연한국어 (20) |
1990 | 럭키금성 황소 (2) | 대우 로얄즈 | 최진한한국어 | 윤상철한국어 (12) |
1991 | 대우 로얄즈 (4) | 현대 호랑이 | 정용환한국어 | 이기근한국어 (16) |
1992 | 포항 아톰즈 (6) | 일화 천마 | 홍명보한국어 | 임근재한국어 (10) |
1993 | 일화 천마 (1) | LG 치타스 | 이상윤한국어 | 차상해한국어 (10) |
1994 | 일화 천마 (2) | 유공 코끼리 | 고정운한국어 | 윤상철한국어 (21) |
1995 | 일화 천마 (3) | 포항 아톰즈 | 신태용한국어 | 노상래한국어 (15) |
1996 | 울산 현대 호랑이 (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김현석 (축구 선수)|김현석한국어 | 신태용한국어 (18) |
1997 | 부산 대우 로얄즈 (5) | 전남 드래곤즈 | 김주성한국어 | 김현석 (축구 선수)|김현석한국어 (9) |
1998 | 수원 삼성 블루윙즈 (1) | 울산 현대 호랑이 | 고종수한국어 | 유상철한국어 (14) |
1999 |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 부산 대우 로얄즈 | 안정환한국어 | 사샤 드라쿨리치sr (18) |
2000 | 안양 LG 치타스 (3) | 부천 SK | 최용수한국어 | 김도훈한국어 (12) |
2001 | 성남 일화 천마 (4) | 안양 LG 치타스 | 신태용한국어 | 산드로 카르도주|산드로pt (13) |
2002 | 성남 일화 천마 (5) | 울산 현대 호랑이 | 김대의한국어 | 에드미우송 지아스 지 루세나|에드미우송pt (14) |
2003 | 성남 일화 천마 (6) | 울산 현대 호랑이 | 김도훈한국어 | 김도훈한국어 (28) |
200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3) | 포항 스틸러스 | 나드송pt | 모타pt (14) |
2005 | 울산 현대 호랑이 (2) | 인천 유나이티드 | 이천수한국어 | 레안드루 마샤두pt (13) |
2006 | 성남 일화 천마 (7)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김두현한국어 | 우성용한국어 (16) |
2007 | 포항 스틸러스 (7) | 성남 일화 천마 |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pt | 카보레pt (17) |
2008 | 수원 삼성 블루윙즈 (4) | FC 서울 | 이운재한국어 | 두두pt (15) |
2009 | 전북 현대 모터스 (1) | 성남 일화 천마 | 이동국한국어 | 이동국한국어 (20) |
2010 | FC 서울 (4) | 제주 유나이티드 | 김은중한국어 | 유병수한국어 (22) |
2011 | 전북 현대 모터스 (2) | 울산 현대 | 이동국한국어 | 데얀 다먀노비치me (23) |
2012 | FC 서울 (5) | 전북 현대 모터스 | 데얀 다먀노비치me | 데얀 다먀노비치me (31) |
2. 1. 수퍼리그 창설 (1983)
1983년 2월 28일 대한축구협회는 '''수퍼리그''' 창설에 원칙적으로 합의하였고,[4] 같은 해 3월 3일 '수퍼리그 위원회'가 발족되어 본격적인 창설 준비에 들어갔다.[5] 그 후 3개월여의 준비 끝에 2개의 프로축구단 할렐루야, 유공과 3개의 실업축구단 포항제철, 대우, 국민은행을 원년 멤버로 하는 수퍼리그가 5월 8일 동대문운동장에서 할렐루야와 유공 간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공식 출범하였다.[6]2. 2. 한국프로축구연맹 출범과 발전 (1994-2011)
1994 시즌 대한축구협회 산하의 프로리그위원회가 독립하여 한국프로축구연맹으로 새롭게 출범하였으며, 초대 회장은 당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었던 정몽준이 겸직하였다.[7] 1995 시즌부터는 최초로 타이틀 스폰서를 도입하였다.[8]성남 FC는 박종환 감독 시절 1993년, 1994년, 1995년에 모두 우승하여 K리그 역대 최초로 왕조를 세워 1990년대 초반을 지배하였다. 이후 차경복 감독 시절 2001년, 2002년, 2003년에 모두 우승하여 K리그 역대 2번째로 왕조를 세워 2000년대 초반을 지배하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현재 전북 현대 모터스는 9회 우승으로 K리그1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 3. 승강제 도입과 K리그1/K리그2 출범 (2012-현재)
2012 시즌을 앞두고 승강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프로축구연맹은 2013 시즌부터 본격적인 승강제를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태스크포스팀을 신설하고 외부 컨설팅 업체에 '한국형 승강제' 모델의 수립을 의뢰하였다. 오랜 논의 끝에 1부 프로축구리그의 팀 수를 12개 팀으로 축소하는 동시에 4개의 팀을 신설하여 2부 프로축구리그로 강등시켜 승강제를 진행하는 안이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시민구단들의 반발로 가칭 프로 2부리그로 강등되는 K리그 팀의 숫자가 4팀에서 2팀으로 축소되었다. 결국 당해 시즌 K리그에 당시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리그 진행 방식을 본뜬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하여 강등 팀을 결정하였다. 2013 시즌에 1부 프로축구리그의 명칭이 K리그 클래식, 2부 프로축구리그의 명칭이 K리그 챌린지로 확정되어, 오늘날까지 본격적으로 승강제가 실시되고 있다. 2018 시즌에는 K리그 클래식이 K리그1으로, K리그 챌린지가 K리그2로 개칭되었다. K리그1의 12위 팀은 자동으로 강등되며, 특이사항이 없는 한 K리그2의 1위 팀은 자동으로 승격한다. 그 외에 K리그1의 11위 팀과 K리그2의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는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1・2차전을 치른다.[4][5][6]승강제 도입 이후 승강 플레이오프를 경험하지 않은 1부 팀은 울산 현대, 포항스틸러스, 전북 현대 모터스, 인천 유나이티드가 유일하다.
# | 시즌 | 우승 (횟수) | 준우승 | 3위 | 최다 득점자 |
---|---|---|---|---|---|
31 | 2013 | 포항 스틸러스 (5) ---- | 울산 현대 | 전북 현대 모터스 | 데얀 (FC 서울, 19골) |
32 | 2014 | 전북 현대 모터스 (3)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FC 서울 | 산토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14골) |
33 | 2015 | 전북 현대 모터스 (4)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포항 스틸러스 | 김신욱 (전북 현대 모터스, 18골) |
34 | 2016 | FC 서울 (6) -- | 전북 현대 모터스 -- | 제주 유나이티드 | 정조국 (광주, 20골) |
35 | 2017 | 전북 현대 모터스 (5) -- | 제주 유나이티드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조나탄 (수원 삼성 블루윙즈, 22골) |
36 | 2018 | 전북 현대 모터스 (6) -- | 경남 FC | 울산 현대 | 말컹 (경남 FC, 26골) |
37 | 2019 | 전북 현대 모터스 (7) -- | 울산 현대 | FC 서울 | 타가트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골) |
38 | 2020 | 전북 현대 모터스 (8) -- | 울산 현대 -- | 포항 스틸러스 | 주니오 (울산 현대, 26골) |
39 | 2021 | 전북 현대 모터스 (9) -- | 울산 현대 | 대구 FC | 주민규 (제주 유나이티드, 22골) |
40 | 2022 | 울산 현대 (3) -- | 전북 현대 모터스 -- | 포항 스틸러스 | 조규성 (전북 현대 모터스, 17골) |
41 | 2023 | 울산 현대 (4) -- | 포항 스틸러스 -- | 광주 FC | 주민규 (울산 현대, 17골) |
42 | 2024 | 울산 현대 (5) -- | 강원 FC | 김천 상무 | 스테판 무고샤 (인천 유나이티드, 15골) |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은 K리그가 창설되기 전까지 한국 축구의 최상위 리그 역할을 했다. 여러 기업, 은행, 군 팀들이 참가하여 경쟁했다.
1983년 할렐루야 축구단이 초대 우승을 차지한 이후, 리그는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 1986년까지 프로와 세미프로 클럽이 함께 리그에 참가했으나, 1987년부터 프로 클럽만 참가하게 되었다.
K리그는 2013년에 승강제를 도입하면서 두 개의 리그로 분리되었는데, 그 중 최상위 리그가 K리그1이다. K리그1은 2018년 이전까지 K리그 클래식으로 불렸다.
K리그 출범 이후 현재까지 구단별 우승 및 준우승 횟수와 연도별 통계는 다음과 같다.
3. 전국실업축구연맹전 (1964–1982)
# 시즌 우승 (횟수) 준우승 관련 자료 1 1964 춘계 금성방직 (1), 제일모직 (1) [3] 2 1964 추계 금성방직 (2) 대한중석 [4] 3 1965 춘계 금성방직 (3), 대한중석 (1), 한국전력 (1) 공동 우승 [5] 4 1965 추계 대한중석 (2) 석탄공사 [6] 5 1966 춘계 서울시경 (1) 한국전력 [7] 6 1966 추계 대한중석 (3), 서울시경 (2) 공동 우승 [8] 7 1967 춘계 치안국 (3) 쌍용양회 8 1967 추계 한국전력 (2) 제일모직 9 1968 춘계 대한중석 (4) 한국전력 10 1968 추계 제일모직 (2), 병참단 (1) 공동 우승 11 1969 춘계 한국전력 (3) 대한중석 12 1969 추계 확인불가 확인불가 – 13 1970 춘계 제일모직 (3) 확인불가 – 대한중석 또는 육군 14 1970 추계 조흥은행 (1) 신탁은행 15 1971 춘계 신탁은행 (1) 외환은행, 주택은행 공동 준우승 16 1971 추계 해병대 (1) 신탁은행, 조흥은행 공동 준우승 17 1972 춘계 주택은행 (1) 해병대 18 1972 추계 주택은행 (2) 해병대 19 1973 춘계 해병대 (2) 국민은행 20 1973 추계 신탁은행 (2) 육군 21 1974 춘계 조흥은행 (2) 육군 22 1974 추계 상업은행 (1), 육군 (2) 공동 우승 23 1975 춘계 포항제철 (1) 육군 24 1975 추계 중소기업은행 (1) 자동차보험 25 1976 춘계 신탁은행 (3), 외환은행 (1) 공동 우승 26 1976 추계 대회 중단 27 1977 통합 육군 (3) 포항제철 28 1978 춘계 서울시청 (1), 해군 (1) 공동 우승 29 1978 추계 자동차보험 (1) 서울시청 30 1979 춘계 중소기업은행 (2) 육군 충의 31 1979 추계 대회 중단 32 1980 춘계 육군 충의 (4), 서울시청 (2) 공동 우승 33 1980 추계 자동차보험 (2), 공군 성무 (1) 공동 우승 34 1981 춘계 대우 (1) 해군 해룡 35 1981 추계 포항제철 (2) 육군 충의 36 1982 통합 포항제철 (3) 국민은행
4. K리그 (1983–2012)
# 시즌 우승 (횟수) 준우승 3위 최다 득점자 1 1983 할렐루야 (1) 대우 로얄즈 유공 코끼리 박윤기 (유공 코끼리, 9골) 2 1984 대우 로얄즈 (1) 유공 코끼리 현대 호랑이 백종철 (현대 호랑이, 16골) 3 1985 럭키금성 황소 (1) 포항제철 아톰즈 대우 로얄즈 삐야퐁 피우온|피아퐁th (럭키금성 황소, 12골) 4 1986 포항제철 아톰즈 (1) 럭키금성 황소 현대 호랑이 정해원 (대우 로얄즈, 10골) 5 1987 대우 로얄즈 (2) 포항제철 아톰즈 유공 코끼리 최상국 (포항제철 아톰즈, 15골) 6 1988 포항제철 아톰즈 (2) 현대 호랑이 유공 코끼리 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2골) 7 1989 유공 코끼리 (1) 럭키금성 황소 대우 로얄즈 조긍연 (포항제철 아톰즈, 20골) 8 1990 럭키금성 황소 (2) 대우 로얄즈 포항제철 아톰즈 윤상철 (럭키금성 황소, 12골) 9 1991 대우 로얄즈 (3) 현대 호랑이 포항제철 아톰즈 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6골) 10 1992 포항제철 아톰즈 (3) 일화 천마 현대 호랑이 임근재 (LG 치타스, 10골) 11 1993 일화 천마 (1) LG 치타스 현대 호랑이 차상해 (포항제철 아톰즈, 10골) 12 1994 일화 천마 (2) 유공 코끼리 포항제철 아톰즈 윤상철 (LG 치타스, 21골) 13 1995 일화 천마 (3) 포항 아톰즈 현대 호랑이 노상래 (전남 드래곤즈, 15골) 14 1996 울산 현대 호랑이 (1) 수원 삼성 블루윙즈 포항 아톰즈 신태용 (천안 일화 천마, 18골) 15 1997 부산 대우 로얄즈 (4) 전남 드래곤즈 울산 현대 호랑이 김현석 (울산 현대 호랑이, 9골) 16 1998 수원 삼성 블루윙즈 (1) 울산 현대 호랑이 포항 스틸러스 유상철 (울산 현대 호랑이, 14골) 17 1999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부산 대우 로얄즈 부천 SK 사샤 드라쿨리치|샤샤sr (수원 삼성 블루윙즈, 18골) 18 2000 안양 LG 치타스 (3) 부천 SK 성남 일화 천마 김도훈 (전북 현대 모터스, 12골) 19 2001 성남 일화 천마 (4) 안양 LG 치타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산드루 카르도주 두스 산투스|산드로pt (수원 삼성 블루윙즈, 13골) 20 2002 성남 일화 천마 (5) 울산 현대 호랑이 수원 삼성 블루윙즈 에드미우송 디아스 지 루세나|에드밀손pt (전북 현대 모터스, 14골) 21 2003 성남 일화 천마 (6) 울산 현대 호랑이 수원 삼성 블루윙즈 김도훈 (성남 일화 천마, 28골) 22 2004 수원 삼성 블루윙즈 (3) 포항 스틸러스 울산 현대 호랑이 조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모따pt (전남 드래곤즈, 14골) 23 2005 울산 현대 호랑이 (2) 인천 유나이티드 성남 일화 천마 레안드루 마샤두|마차도pt (울산 현대 호랑이, 13골) 24 2006 성남 일화 천마 (7) 수원 삼성 블루윙즈 포항 스틸러스 우성용 (성남 일화 천마, 16골) 25 2007 포항 스틸러스 (4) 성남 일화 천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베라우두 지 제수스 페헤이라|까보레pt (경남, 17골) 26 2008 수원 삼성 블루윙즈 (4) FC 서울 울산 현대 에두아르두 프란시스쿠 지 시우바 네투|두두pt (성남 일화 천마, 15골) 27 2009 전북 현대 모터스 (1) 성남 일화 천마 포항 스틸러스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20골) 28 2010 FC 서울 (4) 제주 유나이티드 전북 현대 모터스 유병수 (인천 유나이티드, 22골) 29 2011 전북 현대 모터스 (2) 울산 현대 포항 스틸러스 데얀 다먀노비치|데얀me (FC 서울, 23골) 30 2012 FC 서울 (5) 전북 현대 모터스 포항 스틸러스 데얀 다먀노비치|데얀me (FC 서울, 31골)
FC 서울(1985, 1990, 2000, 2010, 2012), 포항 스틸러스(1986, 1988, 1992, 2007), 부산 아이파크(1984, 1987, 1991, 1997) 등 여러 클럽들이 K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5. K리그1 (2013–현재)
2013 시즌에는 포항 스틸러스가 울산 현대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FA컵까지 우승하여 '''더블'''을 달성했다. 이후 전북 현대 모터스가 2014, 2015 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2016 시즌에는 FC 서울이 전북 현대 모터스를 누르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는 전북 현대 모터스가 5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K리그1 최다 우승팀이 되었다. 2022 시즌과 2023 시즌에는 울산 HD가 연속 우승을 하였다.시즌 우승 준우승 최우수 선수 득점왕 2013 포항 스틸러스 (5) 울산 현대 김신욱 데얀 (19) 2014 전북 현대 모터스 (3)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동국 산토스 (14) 2015 전북 현대 모터스 (4)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동국 김신욱 (18) 2016 FC 서울 (6) 전북 현대 모터스 정조국 정조국 (20) 2017 전북 현대 모터스 (5) 제주 유나이티드 이재성 조나탄 (22) 2018 전북 현대 모터스 (6) 경남 FC 말컹 말컹 (26) 2019 전북 현대 모터스 (7) 울산 현대 김보경 타가트 (20) 2020 전북 현대 모터스 (8) 울산 현대 손준호 주니오 (26) 2021 전북 현대 모터스 (9) 울산 현대 홍정호 주민규 (22) 2022 울산 현대 (3) 전북 현대 모터스 이청용 조규성 (17) 2023 울산 현대 (4) 포항 스틸러스 김영권 주민규 (17) 2024 울산 HD (5) 강원 FC 조현우 무고사 (15)
6. 통계
구단 우승 준우승 우승 연도 준우승 연도 전북 현대 모터스 9 3 2009, 2011,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2021 2012, 2016, 2022 성남 FC 7 3 1993, 1994, 1995, 2001, 2002, 2003, 2006 1992, 2007, 2009 FC 서울 6 5 1985, 1990, 2000, 2010, 2012, 2016 1986, 1989, 1993, 2001, 2008 울산 HD 5 10 1996, 2005, 2022, 2023, 2024 1988, 1991, 1998, 2002, 2003, 2011, 2013, 2019, 2020, 2021 포항 스틸러스 5 5 1986, 1988, 1992, 2007, 2013 1985, 1987, 1995, 2004, 2023 수원 삼성 블루윙즈 4 4 1998, 1999, 2004, 2008 1996, 2006, 2014, 2015 부산 아이파크 4 3 1984, 1987, 1991, 1997 1983, 1990, 1999 제주 유나이티드 1 5 1989 1984, 1994, 2000, 2010, 2017 할렐루야 1 0 1983 — 전남 드래곤즈 0 1 — 1997 인천 유나이티드 0 1 — 2005 경남 FC 0 1 — 2018 강원 FC 0 1 — 2024
K리그에 공식 지역 연고제가 시행된 1987시즌부터의 연고지별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연고지 횟수 구단 전북 9 전북 현대 모터스 (2009, 2011,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2021) 서울 7 FC 서울 (1990, 2010, 2012, 2016) 일화 천마 (1993, 1994, 1995) 포항 4 포항 스틸러스 (1988, 1992, 2007, 2013) 수원 4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8, 1999, 2004, 2008) 성남 4 성남 일화 천마 (2001, 2002, 2003, 2006) 울산 5 울산 HD (1996, 2005, 2022, 2023, 2024) 부산 2 대우 로얄즈 (1991, 1997) 안양 1 안양 LG 치타스 (2000) 부산 & 경남 1 대우 로얄즈 (1987) 인천 & 경기 1 유공 코끼리 (1989)
6. 1. 역대 (1964–현재)
1964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축구 최상위 리그의 역대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 주요 시즌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우승 | 준우승 | 최우수 선수 | 득점왕 |
---|---|---|---|---|
2013 | 포항 스틸러스 (8) | 울산 현대 | 김신욱 | 데얀 다먀노비치 (19) |
2014 | 전북 현대 모터스 (3)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이동국 | 주니오 (14) |
2015 | 전북 현대 모터스 (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이동국 | 김신욱 (18) |
2016 | FC 서울 (6) | 전북 현대 모터스 | 정조국 | 정조국 (20) |
2017 | 전북 현대 모터스 (5) | 제주 유나이티드 | 이재성 | 조나탄 (22) |
2018 | 전북 현대 모터스 (6) | 경남 FC | 마르카 | 마르카 (26) |
2019 | 전북 현대 모터스 (7) | 울산 현대 | 김보경 | 아담 타가트 (20) |
2020 | 전북 현대 모터스 (8) | 울산 현대 | 손준호 | 주니오 네그라오 (26) |
2021 | 전북 현대 모터스 (9) | 울산 현대 | 홍정호 | 주민규 (22) |
2022 | 울산 현대 (3) | 전북 현대 모터스 | 이청용 | 조규성 (17) |
2023 | 울산 현대 (4) | 포항 스틸러스 | 김영권 | 주민규 (17) |
2024 | 울산 HD (5) | 강원 FC | 조현우 | 스테판 무고사 (15) |
- 대한민국에서는 프로 시대 기록을 일반적으로 인정한다.
클럽 | 단일 리그 | 춘계 시즌 | 추계 시즌 | 합계 |
---|---|---|---|---|
전북 현대 모터스 | 9 | — | — | 9 |
포항 스틸러스 | 6 | 1 | 1 | 8 |
성남 FC | 7 | — | — | 7 |
FC 서울 | 6 | — | — | 6 |
울산 HD | 5 | — | — | 5 |
부산 아이파크 | 4 | 1 | — | 5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 | — | 4 |
코리아 텅스텐 | — | 2 | 2 | 4 |
육군 | 1 | 1 | 1 | 3 |
금성방직 | — | 2 | 1 | 3 |
치안국 | — | 2 | 1 | 3 |
한국전력 | — | 2 | 1 | 3 |
제일모직 | — | 2 | 1 | 3 |
한국신탁은행 | — | 2 | 1 | 3 |
해군 | — | 2 | 1 | 3 |
한국주택은행 | — | 1 | 1 | 2 |
조흥은행 | — | 1 | 1 | 2 |
한국산업은행 | — | 1 | 1 | 2 |
서울시청 | — | 2 | — | 2 |
대한자동차보험 | — | — | 2 | 2 |
할렐루야 FC | 1 | — | — | 1 |
제주 유나이티드 | 1 | — | — | 1 |
육군 병참 | — | — | 1 | 1 |
상업은행 | — | — | 1 | 1 |
한국외환은행 | — | 1 | — | 1 |
공군 | — | — | 1 | 1 |
6. 1. 1. 구단별 우승 횟수
(육군 병참단 축구단 기록 포함)(한국신탁은행 축구단 기록 포함)
(서울시경 축구단과 치안국 축구단 기록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