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의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의용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부에서 통상, 공보, 대사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으며, 제17대 국회의원과 국가안보실장, 외교부 장관을 지냈다. 2018년에는 북한을 방문하여 북미정상회담 발표에 기여했고,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한중 관계 등 외교 현안에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네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수길 (1933년)
    박수길은 1933년 경상북도 경산군 출생으로 외교부에서 유엔 주재 대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세계유엔협회연맹 회장으로 활동했다.
  • 제네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상기 (외교관)
    박상기 외교관은 제물포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 세네갈 대한민국 대사관, 주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 등에서 근무했으며 외무부 북미통상과 과장, 주 EC 대표부 참사관, 주 OECD 대표부 공사, 외교통상부 지역통상국장, 주 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대사를 역임,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대테러대책반 의장과 황조근정훈장을 받았고 현재는 법무법인 화우 고문, UN 한국협회 부회장, 2025년 APEC 정상회의 인천시 유치추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 외교관이다.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 윤병세
    윤병세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외교부 장관, 외교부 차관보, NSC 정책조정실장, 대통령 외교통일안보수석비서관 등 주요 보직을 거치며 한국 외교·안보 전략 수립에 기여했고, 장관 재임 시절에는 한반도 및 주변 4국 외교, 한미 동맹 강화 등에 주력했으며, 현재는 서울국제법연구원 이사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 이스라엘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신각수
    신각수는 서울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고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 주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 외교통상부 제1차관 등을 역임했으며, 퇴임 후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발언과 함께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 이스라엘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유명환
    유명환은 서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외무부에 입부하여 이명박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딸의 채용 특혜 논란으로 사퇴했다.
정의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8년 정의용
이름정의용
한자 표기鄭義溶
로마자 표기Jeong Uiyong
출생일1946년 4월 14일
출생지미 군정 조선 서울
본관연일
학력서울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직책
제37대 외교부 장관대통령: 문재인
임기 시작: 2021년 2월 9일
임기 종료: 2022년 5월 12일
전임: 강경화
후임: 박진
대통령 외교안보 특별보좌관대통령: 문재인
임기 시작: 2020년 7월 3일
임기 종료: 2021년 1월 20일
후임: 김현종
제3대 국가안보실장대통령: 문재인
임기 시작: 2017년 5월 20일
임기 종료: 2020년 7월 2일
전임: 김관진
후임: 서훈
정치 활동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경력외무부 통상국 국장
주미국대사관 공사
주 이스라엘 대사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
주 제네바 대사
국제노동기구(ILO) 이사회 의장
제17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전임고문 겸 최고위원
국가안보실장
대통령 비서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
외교부 장관
기타
가족 관계5촌 조카: Andrew Kim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2. 학력

3. 경력

정의용은 1968년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1971년 제5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부에 들어갔다. 이후 외교관, 국회의원, 국가안보실장, 외교부 장관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정의용 주요 경력
직위기간
제5회 외무고시 합격1971년
국가안보실장2017년 5월 21일 ~ 2020년 7월 2일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2020년 7월 ~ 2021년 2월
외교부 장관2021년 2월 ~ 2022년 5월
제17대 국회의원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 비례대표)2004년 5월 ~ 2008년 5월



외교관, 정치 경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외교관 경력

정의용은 1971년 제5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무부(현재 외교부)에 들어갔다. 이후 외교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경력을 쌓았다.

직위기간
외무부 통상정책과 과장
주태국대사관 참사관
주미국대사관 참사관
외무부 정세분석관
외무부 공보관
주EC대표부 공사
외무부 통상국 국장
주미국대사관 공사
주이스라엘대사관 대사1997년 ~ 1998년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통상교섭조정관 (외무관리관.특2급)1998년 ~ 2001년
주제네바대표부 대사2001년 ~ 2004년
세계무역기구(WTO)산하 무역협상위원회(TNC) 지적재산권분야 협상그룹 의장
국제노동기구(ILO)이사회 부의장
국제노동기구(ILO) 의장
외교안보연구원 연구위원



2004년 국회에 입성하기 전까지 다국간 외교, 통상 협상, 국제 협력 등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13]

3. 2. 정치 경력

정의용은 1971년 외무부에 들어가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외무부 통상정책과장, 주태국대사관 참사관, 주미국대사관 참사관, 외무부 정세분석관 및 공보관, 주EC대표부 공사, 외무부 통상국장, 주미국대사관 공사 등을 역임했다.[13] [16] [17]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주이스라엘 대사를, 1998년부터 2001년까지는 통상차관보를,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주제네바 대표부 대사를 역임했다. 또한 세계무역기구(WTO) 무역협상위원회(TNC) 지적재산권분야 협상그룹 의장, 국제노동기구(ILO) 이사회 부의장 및 의장을 맡기도 했다.[3] [4]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한미 자유무역협정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함에 따라 당적도 변경되었다. 국회에서는 정보위원회 위원, 전·후반기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2013년 12월 1일 민주통합당을 탈당했고, 2016년 5월 31일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가 2017년 1월 3일 탈당했다.[5] [6]

2017년 5월 21일,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제3대 국가안보실장에 임명되었다. 2020년 7월 2일 서훈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2020년 6월 8일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여 전임고문 겸 최고위원을 지냈다.[18]

2021년 2월, 강경화의 후임으로 제39대 외교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외교부 장관 재임 중에는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 녹색성장위원회 당연직위원, 대통령 직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당연직 위원을 겸임했다. 2022년 5월 박진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외교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19]

정의용(왼쪽)과 김정은

3. 3. 문재인 정부 경력

2017년 5월 21일부터 2020년 7월 2일까지 제3대 국가안보실장을 역임하였다.[3][4] 2020년 7월, 서훈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문재인 대통령의 외교·안보 특별보좌관으로 자리를 옮겼다.[5]

2021년 1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후임으로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며,[6] 2021년 2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제39대 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2022년 5월 12일에 박진이 후임으로 임명되면서 외교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18]

문재인 정부에서, 정의용은 2021년 2월부터 2021년 4월까지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정부), 2021년 2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녹색성장위원회 당연직위원, 2021년 2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대통령 직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당연직 위원을 역임했다.

4. 외교 정책 및 활동

정의용은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안보 분야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북핵 문제, 한미 관계, 한일 관계, 한중 관계 등 주요 외교 현안을 다루었다.

2018년 3월, 대한민국 특별대표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하여 북한 비핵화를 위한 조치들을 논의했다.[7]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발표했다.[8]

2019년 11월 4일, 방콕 인근에서 열린 ASEAN+3 정상회의 대기실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과 11분간 대화를 나누는 동안 정의용은 사진을 촬영했고, 이 사진들은 일본 측의 승인 없이 공개되었다.[9]

2021년 1월 20일, 청와대에서 차기 외교부 장관으로 임명될 것이 발표되었고,[30] 2월 9일에 취임했다.[31]

2021년 3월 31일, 한국 정부는 4월 3일부터 중국 샤먼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을 한다고 발표했으며,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1년 9월 23일, 미국 외교 문제 협의회 주최 회의에서 미국, 호주, 일본과 함께 "대중(對中) 블록"을 형성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중국의 "늑대 전사 외교"를 옹호하는 발언을 해 한국 내(야당 "국민의힘")에서 비판 여론이 일었다.[34]

4. 1. 북핵 문제 및 남북 관계

2018년 3월, 정의용은 대한민국 특별대표 자격으로 북한 평양을 방문하여 북한 비핵화를 위한 조치들을 논의했다.[7] 이후 미국으로 이동하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발표했다.[8]

2018년 3월 5일, 대한민국 대통령府 특사단 대표로 특별기를 타고 북한에 파견되어 김정은(조선로동당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과 면담하여 2018년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20] 최고지도자 취임 후 김정은이 외국 정부 요인과 면담한 것은 중국과 4회, 쿠바와 2회, 시리아와 1회, 총 7회밖에 없었기 때문에 매우 이례적인 일로 여겨졌다.[21]

3월 8일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의 2018년 북미정상회담 수용도 발표했지만, 북한의 공식적인 반응은 없었다.[22] 이 때문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는 정의용이 전달한 메시지에 의문을 품고 정의용을 "거짓말쟁이"라고 부른 것으로 보도되었다.[23]

3월 12일에는 중국을 방문하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중국공산당 총서기)과 회담했다.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협상에서 시진핑(중국 국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 수행한 중요한 역할에 감사를 표했지만,[24] 이때의 좌석 배치가 한국전쟁 휴전협정 협의에서 유엔군 대표에게 낮은 의자를 제공했던 중국을 연상시키는 "황제식 접견"으로 한국에서 논란이 되었다.[25]

3월 13일, 러시아를 방문하여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평화적인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26] 3월 30일, 양제츠(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가 김정은에게 최고지도자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이었던 북중정상회담 보고차 방한했을 때 면담하여 남북정상회담·2018년 북미정상회담 개최 성공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27]

4. 2. 한미 관계

정의용은 2018년 3월 대한민국 특별대표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 북한 비핵화를 위한 조치들을 논의했다.[7]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2018년 북미정상회담(트럼프-김 정상회담)을 발표했다.[8]

2018년 3월 8일, 미국을 방문하여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미북정상회담을 수용했다고 발표했지만, 북한의 공식적인 반응은 없었다.[22] 이 때문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정의용이 전달한 메시지에 의문을 품고 그를 "거짓말쟁이"라고 불렀다는 보도가 있었다.[23]

2021년 9월 22일, 뉴욕에서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대신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북한 미사일 문제, 한국전쟁 종전 선언 등을 논의했다.[32]

2022년 2월 12일, 3개국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미국 하와이주를 방문했다.[35]

4. 3. 한일 관계

2018년 11월 6일, 강제징용 판결에 항의하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대해 "일본 정부가 강경한 대응을 계속하면 우리 정부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의견을 표명했다.[28]

2019년 11월 4일, ASEAN+3 정상회의 대기실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열렸다. 회담은 한국 측이 준비한 비공식적인 것이었지만, 나중에 대통령실은 일방적으로 "환담" 내용과 현장 사진을 발표했다. 사진을 촬영했다고 알려진 정의용을 비롯한 한국 측 담당자들의 태도는 신의칙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일본 측 담당자들로부터 비난이 쏟아졌다.[29] 당시 정의용은 일본과의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양자 정보 공유 협정을 담당하고 있었다.[10]

2021년 9월 22일, 뉴욕 방문 중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대신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가졌지만, 위안부와 강제징용 소송 문제에 대한 논의는 평행선을 달렸다.[33]

2022년 2월 12일, 3개국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미국 하와이주를 방문했다. 호놀룰루에서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외무대신과 첫 회담을 가졌지만,[35] 현안에 대한 협의는 평행선을 달렸다.

4. 4. 한중 관계

2018년 3월 12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중국공산당 총서기)과 회담했다. 미북정상회담을 위한 협상에서 시진핑 주석이 수행한 중요한 역할에 감사를 표했지만,[24] 이때의 좌석 배치가 한국전쟁 휴전협정 협의에서 유엔군 대표에게 낮은 의자를 제공했던 중국을 연상시키는 "황제식 접견"으로 한국에서 논란이 되었다.[25]

2018년 3월 30일, 중국의 양제츠(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가 김정은에게 최고지도자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이었던 중조정상회담 보고차 방한했을 때 면담하여 남북정상회담·미북정상회담 개최 성공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27]

2021년 3월 31일, 한국 정부는 4월 3일부터 중국 샤먼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을 한다고 발표했으며,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의 보수 언론은 "한국 외교부 장관이 미국보다 먼저 중국을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이다"라며 "미중 양국의 균형을 맞추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2021년 9월 23일, 미국 외교 문제 협의회 주최 회의에서 미국, 호주, 일본과 함께 "대중(對中) 블록"을 형성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중국의 "늑대 전사 외교"를 옹호하는 발언을 해 한국 내(야당 "국민의힘")에서도 비판 여론이 일었다.[34]

4. 5. 기타 국제 관계

2018년 3월 5일, 대통령실 특사단 대표로 특별기를 타고 북한에 파견되어 김정은과 면담하여 2018년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20] 3월 8일에는 미국을 방문하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018년 북미정상회담 수용도 발표했지만, 북한의 공식적인 반응은 없었다.[22] 이 때문에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정의용이 전달한 메시지에 의문을 품고 그를 "거짓말쟁이"라고 부른 것으로 보도되었다.[23]

3월 12일에는 중국을 방문하여 시진핑 주석과 회담했다.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협상에서 시진핑 주석이 수행한 중요한 역할에 감사를 표했지만,[24] 이때의 좌석 배치가 한국전쟁 휴전협정 협의에서 유엔군 대표에게 낮은 의자를 제공했던 중국을 연상시키는 "황제식 접견"으로 한국에서 논란이 되었다.[25] 3월 13일, 러시아를 방문하여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평화적인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26] 3월 30일, 양제츠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김정은에게 최고지도자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이었던 북중정상회담 보고차 방한했을 때 면담하여 남북정상회담·북미정상회담 개최 성공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27]

2018년 11월 6일, 강제징용 판결에 항의하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대해 "일본 정부가 강경한 대응을 계속하면 우리 정부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의견을 표명했다.[28]

2019년 11월 4일, ASEAN+3 정상회의 대기실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열렸다. 회담은 한국 측이 준비한 비공식적인 것이었지만, 나중에 대통령실은 일방적으로 "환담" 내용과 현장 사진을 발표했다. 사진을 촬영했다고 알려진 정의용을 비롯한 한국 측 담당자들의 태도는 신의칙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일본 측 담당자들로부터 비난이 쏟아졌다.[29]

2021년 3월 31일, 한국 정부는 4월 3일부터 중국 샤먼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을 한다고 발표했으며, 양국 관계와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의 보수 언론은 "한국 외교부 장관이 미국보다 먼저 중국을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이다"라며 "미중 양국의 균형을 맞추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2021년 9월 22일, 방문지 뉴욕에서 앤터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대신과의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가졌으며, 북한의 미사일 문제, 한국전쟁 종전 선언 등을 논의했다.[32] 이어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대신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가졌지만, 위안부와 강제징용 소송 문제에 대한 논의는 평행선을 달렸다.[33] 다음 날인 23일, 미국 외교 문제 협의회 주최 회의에서 미국, 호주, 일본과 함께 "대중(對中) 블록"을 형성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중국의 "늑대전사 외교"를 옹호하는 발언을 해 한국 내(야당 "국민의힘")에서도 비판 여론이 일었다.[34]

2022년 2월 12일, 3개국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미국 하와이주를 방문했다. 호놀룰루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대신과 첫 회담을 가졌지만,[35] 현안에 대한 협의는 평행선을 달렸다.

5. 가족 관계

앤드루 김 미국 중앙정보국 코리아임무센터장의 5촌 외종숙(어머니의 친사촌 남자 형제)으로, 앤드루 김은 사석에서 그를 아저씨라고 부른다고 알려졌다.[36] 이병기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는 이종사촌 관계이다.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4년총선열린우리당8,145,824표 (38.26%)당선비례대표 10번


참조

[1] 뉴스 FM Kang leaves office after years of daunting diplomatic tasks https://en.yna.co.kr[...] 2021-02-08
[2] 뉴스 Moon appoints new foreign minister http://www.koreahera[...] 2021-02-08
[3] 웹사이트 Impact Player: Chung Eui-yong https://www.csis.org[...]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7-05-23
[4] 뉴스 [프로필] 정의용, 외교관 출신의 靑국가안보실장...다자외교 통상전문가 http://biz.chosun.co[...] 2017-05-21
[5] 웹사이트 Moon names new spy chief, unification minister, national security advisor https://koreajoongan[...]
[6] 웹사이트 South Korea to replace Kang Kyung-wha, the nation's first woman foreign minister | NK News https://www.nknews.o[...]
[7] 웹사이트 Seoul to send special delegation to Pyongyang next week http://english.donga[...]
[8] 뉴스 Seeking 'Peaceful Resolution': Transcript of South Korean Adviser's Remarks https://www.nytimes.[...] 2018-03-09
[9] 뉴스 Japanese Officials Irked by South Korea's 'Photo Ambush' of Prime Minister Abe at ASEAN Meeting https://japan-forwar[...] 2019-11-11
[10] 뉴스 Top South Korean official accuses Japan of distorting facts in intel-pact negotiations https://www.japantim[...] 2019-11-24
[11] 웹사이트 佐渡金山に「強い懸念」 ユネスコへ伝達=韓国 https://japanese.kor[...] 문화体育観光部
[12] 웹사이트 日韓外相電話会談 https://www.mofa.go.[...] 2022-03-25
[1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14] 웹사이트 [Who Is ?]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 https://www.business[...] 2021-02-01
[15] 웹사이트 정의용의 확실한 '미국 끈'… 폼페이오 귀 잡고 있는 앤드루 김이 5촌 https://www.chosun.c[...] 2018-03-15
[16] 웹사이트 외교부 좋은 시절 다 갔다? ‘군기반장’ 정의용 복귀에 술렁 https://www.chosun.c[...] 2021-01-24
[17] 웹사이트 ‘대선배 수장’ 맞는 외교부… 기대 속 바짝 긴장 https://m.seoul.co.k[...] 2021-02-08
[18] 뉴스 韓国の尹大統領 新外相に朴振氏任命(5月12日) https://jp.yna.co.kr[...] 2022-05-12
[19] 뉴스 「北朝鮮船員を強制送還」韓国検察、文政権時の閣僚ら4人を在宅起訴 https://www.asahi.co[...] 2023-02-28
[20] 웹사이트 南北首脳会談、4月実施で合意=韓国特使団 正恩氏は非核化の意向も http://www.bbc.com/j[...] BBC 2018-03-06
[21] 뉴스 海外要人と滅多に会わない金正恩氏が特使面談受け入れ…文在寅政権取り込みに強い意志 https://www.sankei.c[...] 2018-03-05
[22] 뉴스 米朝首脳会談 北朝鮮からの「回答なし」=韓国政府 http://www.bbc.com/j[...] 2018-03-13
[23] 웹사이트 ポンペオ氏、「金正恩と鄭義溶は嘘つき」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9-04-26
[24] 웹사이트 韓国特使、習主席の「大きな役割」に謝意 米朝首脳会談に向けた交渉で https://www.afpbb.co[...] AFPBB 2018-03-12
[25] 웹사이트 習近平の皇帝さながらの接見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8-03-14
[26] 웹사이트 韓国の国家安全室長 「北朝鮮問題の解決策は露韓が共に模索」 https://sputniknews.[...] Sputnik 2018-03-14
[27] 웹사이트 韓国安保室長-中国特別代表「南北・米朝首脳会談の成功開催に協力」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3-30
[28] 웹사이트 強制徴用判決に対する日本の反発 「事態解決に役立たない」=韓国高官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8-11-07
[29] 웹사이트 日韓首脳対話 無断で撮影 韓国が周到に準備、不意打ち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11-08
[30] 뉴스 韓国外相、鄭義溶氏に交代 https://www.nikkei.c[...] 2021-01-20
[31] 뉴스 韓国大統領府、鄭義溶外交長官任命を強行…人権、北核めぐり韓米亀裂の可視化も https://japanese.joi[...] 2021-02-09
[32] 웹사이트 日米韓外相が会談 北朝鮮の非核化に向け「抑止力強化へ連携」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9-23
[33] 웹사이트 日韓外相、慰安婦・徴用工問題でかみ合わ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9-24
[34] 웹사이트 정의용 '중국 대변인' 논란 확산…국민의힘 "鄭, 한국 외교장관 아니야" http://www.newdaily.[...] 2021-09-24
[35] 웹사이트 韓日外相が会談 主要懸案を協議=林氏就任以来初めて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2-02-13
[36] 뉴스 정의용의 확실한 '미국 끈'… 폼페이오 귀 잡고 있는 앤드루 김이 5촌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