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포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스포티스는 원래 그리스어 단어로 '주'를 의미하며, 비잔틴 제국에서 황제 다음의 최고위 칭호였다. 12세기부터 고위 귀족에게 사용되었으며, 1163년 헝가리 왕 벨러 3세에게 수여되면서 특정 궁정 칭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비잔틴 제국 멸망 시까지 황제 다음의 지위를 차지했으며, 황제의 아들, 사위에게도 수여되었다. 발칸 반도의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라틴 제국, 불가리아 제국, 세르비아 제국 등에서 사용되었다. 14세기 중반부터는 데스포테이트라 불리는 반자치 영지가 생겨났으며, 데스포테스는 화려한 의전을 갖춘 고위 귀족을 지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귀족 작위 - 보이보드
보이보드는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전쟁 지도자' 또는 '군벌'을 의미하는 칭호로, 비잔틴 제국, 중세 보헤미아, 폴란드, 왈라키아, 오스만 제국 속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등 다양한 국가와 시대에서 각기 다른 역할과 지위를 나타냈다.
데스포티스 | |
---|---|
개요 | |
칭호 | 데스포티스 |
사용 지역 | 동로마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 이피로스 전제공국 세르비아 데스포트 공국 기타 동유럽 국가 |
임명자 | 동로마 황제 |
역할 및 지위 | |
초기 의미 | '주인, 지배자' |
동로마 제국에서의 역할 | 황제의 아들이나 사위에게 수여되는 고위 작위, 후계자를 나타내는 칭호 |
위계 | 카이사르 다음으로 높은 작위 |
수여 대상 | 주로 황족 (황제의 아들, 사위) 또는 중요한 귀족 |
권한 | 특정 지역의 통치 권한 부여 (전제공) |
역사 | |
기원 | 고대 그리스어 '데스포테스(δεσπότης)'에서 유래 |
초기 사용 | 주인, 지배자, 가족의 가장 등을 지칭 |
동로마 제국에서의 변화 | 알렉시우스 1세 콤네누스 황제 시대에 작위로 사용되기 시작 |
작위 수여 | 처음에는 황제의 아들에게 수여 이후 황족 및 고위 귀족에게 확대 |
다른 국가로의 확산 | 트라페준타 제국, 이피로스 전제공국, 세르비아 데스포트 공국 등에서 사용 |
칭호 | |
남성형 | 데스포티스 (δεσπότης) |
여성형 | 데스포티사 (δεσπότισσα) 또는 데스포티카 (деспотица) |
기타 정보 |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δεσπότης(despótēs)' (주인, 지배자) |
파생어 | 영어: Despot (폭군) 기타 여러 언어에서 유사한 의미로 사용 |
2. 역사
원래 "데스포티스"는 고대 로마 제국의 동방 지역에서 일찍부터 황제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동방 지역을 계승한 동로마 제국에서도 황제의 별칭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1163년 콤네노스 왕조의 3대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가 후계자로 삼은 사위인 헝가리의 왕자 벨러(훗날 헝가리 국왕 벨러 3세)에게 "알렉시오스"라는 이름과 함께 데스포티스 작위를 수여하면서, 이 칭호는 발칸 반도의 다른 국가들로 확산되었다.
라틴 제국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엔리코 단돌로와 로도페 지역의 지역 통치자인 알렉시우스 슬라브를 기리기 위해 이 칭호를 사용했다. 1219년경 이후에는 베네치아의 지원이 제국의 생존에 결정적이었기 때문에 베네치아 공화국의 podestà가 콘스탄티노플에서 정기적으로 이 칭호를 사용했다(이 칭호가 황제에 의해 수여되었는지 아니면 찬탈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7] 1279/80년에 이 칭호는 불가리아에 도입되어 강력한 거물(그리고 나중에는 차르) 게오르기 테르테르를 달랬다. 세르비아 제국 시대에는 다양한 세르비아 거물들 사이에서 널리 수여되었으며, 요반 올리베르가 최초의 소유자였으며, 자칭 알바니아 아르타의 데스포테스를 포함한 작은 공국에서도 보유했다.[2][8] 15세기에는 코르푸의 베네치아 총독들도 데스포테스로 불렸다.[2] 데스포테스 칭호는 황제에 의해 수여되었고 일반적으로 수여자의 복종을 의미했기 때문에 팔레올로고스 황제들은 또한 비잔틴 제국의 칭호를 주장했던 트라페준타 황제에게 데스포테스 칭호를 받아들일 것을 오랫동안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트라페준타의 요한 2세와 그의 아들 트라페준타의 알렉시우스 2세만이 이 칭호를 받아들였고, 심지어 그들조차도 자신의 영토에서는 통상적인 황제 칭호인 바실레우스grc를 계속 사용했다.[9]
마지막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가 1453년 5월 29일에 사망하면서 데스포테스의 창설은 불규칙해졌다. 이 칭호는 1465년에 교황 바오로 2세에 의해 비잔틴 왕위 계승자인 안드레아스 팔레올로고스에게 수여되었고,[10] 헝가리 왕에 의해 세르비아 데스포테스의 상속자에게 수여되었다.
2. 1. 기원과 비잔티움 제국에서의 사용
원래 그리스어 단어인 δεσπότης (데스포티스)는 '주(lord)'를 뜻하며, κύριος (키리오스)와 같은 의미였다. 이 단어는 라틴어 dominusla에 해당하며, 존경을 나타내는 호칭으로 처음 사용되었다.[1] 모든 계급의 사람들에게 적용되었지만, 특히 하느님, 주교, 총대주교, 그리고 로마와 비잔틴 황제에게 사용되었다. 때로는 동전(이사우리아 왕조 레오 3세 이후)이나 공식 문서와 같은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었다.[1][2] 8세기와 9세기 동안, 공동 황제들은 데스포티스라는 호칭으로 주화에 등장했지만, 이것은 공식적인 칭호라기보다는 존경의 표시였다.[1]
12세기 초부터 고위 귀족들에게 사용되었지만, 데스포테스 칭호는 1163년 마누엘 1세 콤네노스가 황제의 사위이자 알렉시우스 2세가 1169년에 태어나기 전까지 유력한 상속자였던 헝가리 왕 벨러 3세에게 수여하면서 특정 궁정 칭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비잔틴 역사가인 요한 키나모스에 따르면, 데스포테스 칭호는 벨라의 헝가리 칭호인 urum|우룸hu과 유사하거나 후계자였다.[2][3]
이때부터 비잔틴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데스포테스 칭호는 비잔틴의 최고 위엄이 되었으며, 이 칭호를 가진 자는 "황제 바로 다음"의 지위를 차지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콤네노스 왕조에서 팔레올로고스 왕조에 이르는 비잔틴 황제들, 그리고 그들의 계승을 주장하고 그들의 양식을 모방한 라틴 제국 황제들은 개인 인장과 황실 주화에서 '주'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데스포티스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했다.[3][4][5] 비슷한 방식으로, 세바스토크라토르|세바스토크라토르grc와 카이사르la의 두 칭호를 가진 자들도 데스포타(δεσπότα)로 불릴 수 있었다.[3]
비잔틴 제국 멸망의 마지막 몇 세기 동안, 이 칭호는 황제의 어린 아들들(장남은 일반적으로 바실레우스|바실레우스grc라는 칭호로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뿐만 아니라 황제의 사위들에게도 수여되었다. 이 칭호는 막대한 가문들을 부양하기 위해 광대한 토지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명예와 특권을 수반했다. 예를 들어, 미카일 8세 팔레올로고스의 형제인 요한 팔레올로고스의 영지에는 레스보스와 로도스 섬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세바스토크라토르|세바스토크라토르grc와 카이사르|카이사르la의 하위 칭호와 마찬가지로 데스포테스 칭호는 엄격히 궁정적 위엄이었으며, 군사적 또는 행정적 기능이나 권한과는 관련이 없었다.[6] 여성은 귀족 칭호를 가질 수 없었지만 남편의 칭호를 사용했다. 따라서 데스포테스의 배우자인 데스포티사(despotissa|데스포티사grc)는 그와 동일한 휘장을 사용할 권리가 있었다. 궁정의 여성들 중에서 데스포티사는 마찬가지로 황후 다음으로 첫 번째 자리를 차지했다.[6]
2. 2. 발칸반도로의 확산
1163년 콤네노스 왕조 3대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가 아직 친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후계자로 삼은 사위인 헝가리의 왕자 벨러(훗날 헝가리 국왕 벨러 3세)에게 할아버지의 이름인 "알렉시오스"라는 이름과 함께 데스포티스 작위를 수여한 것이 시작이라고 여겨지지만,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설도 있다.이후 동로마 제국이 4차 십자군에 의해 일시 멸망한 후 망명 정권인 에피루스 군주가 "황제"를 칭하기 전 단계로서 전제공 칭호를 채택했을 때, 처음으로 독립국의 군주 호칭으로 나타났다. 이후 니케아 제국의 황제 요한네스 3세 두카스 바타체스는 경쟁 관계에 있던 에피루스 전제공을 굴복시키고, 다시 전제공 칭호를 수여하여 이를 명목상의 속국으로 삼았다. 이를 계기로 지방의 군주 칭호로서 전제공 칭호가 발칸 각지에서 폭넓게 사용되게 되었다. 14세기 이후에는 모레아 전제공국 등 동로마 제국 내의 지방 행정 기구에서도 그 수장으로서 전제공 칭호를 가진 황족이 파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3. 데스포테이트(Despotates)
14세기 중반부터 다양한 영토가 데스포트 지위를 가진 황실의 왕자들에게 반자치적인 분봉 영지로 주어져 통치하게 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역사학에서 "데스포테이트"(단수 δεσποτάτον|데스포타톤grc)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비잔틴 세계에서는 주로 에피루스 데스포테이트와 모레아 데스포테이트가 있었다. 지위와 영토의 밀접한 연관성은 이미 13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었으며, 꾸준히 데스포트가 동일한 영토를 통치하게 되면서 14세기 중반부터 널리 퍼졌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스포테이트"라는 용어는 기술적으로 부정확하다. 데스포트의 지위는 다른 모든 비잔틴의 존칭과 마찬가지로 세습되지 않았고 특정 영토에 내재된 것도 아니었다. 소위 "데스포테이트"에서도 데스포트의 아들이 아버지의 영토를 계승할 수는 있었지만, 황제로부터 새롭게 수여받지 않는 한 그 지위를 가질 수도 없고 가질 수도 없었다.[1] 일반적인 비잔틴의 사용법에서 데스포트 개인의 존칭과 그 소유자의 다른 사무실 또는 속성은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요안니스 2세 오르시니는 황제이자 역사가인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에 의해 "아카르나니아의 통치자, 데스포트 요안니스"로 묘사되었지 "아카르나니아의 데스포트"로 묘사되지 않았다.[1]
원래 "데스포테스"는 고대 로마 제국의 동방 지역에서 일찍부터 황제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동방 지역을 계승한 동로마 제국에서도 황제의 별칭으로 계속 사용되었다.[1]
이것이 작위가 된 것은 1163년 콤네노스 왕조 3대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가 아직 친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후계자로 삼은 사위인 헝가리의 왕자 벨러(훗날 헝가리 국왕 벨러 3세)에게 할아버지의 이름인 "알렉시오스"라는 이름과 함께 수여한 것이 시작이라고 여겨지지만,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설도 있다.[1]
이후 동로마 제국이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일시 멸망한 후 망명 정권인 에피루스 군주가 "황제"를 칭하기 전 단계로서 전제공의 칭호를 채택했을 때, 처음으로 독립국의 군주 호칭으로 나타났다. 이후 니케아 제국의 황제 요한네스 3세 두카스 바타체스는 경쟁 관계에 있던 에피루스 전제공을 굴복시키고, 다시 전제공의 칭호를 수여하여 이를 명목상의 속국으로 삼았다. 이를 계기로 지방의 군주 칭호로서 전제공 칭호가 발칸 각지에서 폭넓게 사용되게 되었다. 14세기 이후에는 모레아 전제공국 등 동로마 제국 내의 지방 행정 기구에서도 그 수장으로서 전제공 칭호를 가진 황족이 파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1]
4. 의전
14세기 중반 의전서와 역사가 게오르기오스 파키메레스의 묘사에 따르면, 비잔틴 궁정에서 데스포테스의 인장은 자주색과 흰색, 그리고 진주로 장식된 것이 특징이었다.[1]
- 모자: 진주가 박힌 skiadion|스키아디온grc이라고 불리는 챙 넓은 모자를 썼다. 금색으로 소유자의 이름이 수놓아져 있었고, "황제의 것과 유사한" 펜던트가 달린 목 보호대가 있었다. skiadion|스키아디온grc은 일상적인 머리 장식이었지만, 청소년기에 도달하지 못한 데스포테스는 실내에서 착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2] 의식과 축제에는 금속 세공, 보석 및 진주로 장식된 돔형 skaranikon|스카라니콘grc을 착용했다.[3]
- 의복: 황제의 것과 유사한 붉은색 튜닉을 입었다. rizai|리자이grc 스타일의 금색 자수가 있었지만 군사적 표시는 없었다. 붉은색 레깅스와 넓은 줄무늬가 있는 붉은색 망토(tamparion|탐파리온grc)를 착용했다.[4] 축제에는 길고 카프탄과 같은 kabbadion|카바디온grc을 착용했는데, 붉거나 자주색이며 진주로 장식되었다.[5]
- 신발: 자주색과 흰색의 부드러운 부츠 한 쌍을 신었다. 측면과 발등에는 진주로 만든 황실 독수리가 장식되어 있었다. 박차도 자주색과 흰색으로 두 가지 색상이었다.[6] 몇몇 경우에 황제는 아들에게 특별한 호의를 베풀고자 했으며(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 아래의 콘스탄티노스 팔레올로고스와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 아래의 마테오스 칸타쿠제노스), 황제의 것과 같은 붉은색 부츠가 대체되어 소지자를 "데스포테스 위"(ὑπὲρ δεσπότας|히페르 데스포타스grc)라는 임시적이고 준 황실적인 계급으로 격상시켰다.[7]
- 말 안장 및 장비: 데스포테스의 안장과 말 장비는 황제의 것과 유사했으며, 마찬가지로 자주색과 흰색이었고, 진주 독수리로 장식되었다. 안장 덮개와 데스포테스의 텐트는 작은 붉은 독수리가 있는 흰색이었다.[8]
데스포테스는 또한 어두운 붉은색 잉크로 편지에 서명할 권리가 있었다(황제의 잉크는 밝은 붉은색이었다).[9]
5. 한국어 번역
원래 그리스어 용어인 데스포티스(δεσπότης|데스포테스grc)는 '주(lord)'를 의미하며, κύριος(키리오스)와 같은 뜻이었다. 라틴어 dominusla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로서, 존경을 나타내는 호칭으로 처음 사용되었다. 이처럼 모든 계급의 사람들에게 적용되었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느님(예: 요한 계시록 6:10), 주교와 총대주교, 그리고 로마와 비잔틴 황제에게 적용되었다. 때때로 동전(이사우리아 왕조 레오 3세 이후)이나 공식 문서와 같은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었다. 8세기와 9세기 동안, 공동 황제들은 데스포티스라는 호칭으로 주화에 등장했지만, 이것은 공식적인 칭호라기보다는 존경의 표시였다.[1] 고위 황제들도 때때로 데스포티스로 불렸다. 12세기 이전에는 이 명예 칭호가 더 공식적인 칭호인 ''바실레우스''와 번갈아 사용되었다.
12세기 초부터 고위 귀족들에게 사용되었지만, 데스포테스 칭호는 1163년 황제의 사위이자 알렉시우스 2세가 1169년에 태어나기 전까지 유력한 상속자였던 헝가리 왕 벨러 3세에게 수여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에 의해 특정 궁정 칭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어 번역에서는 '''전제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전제"라는 단어가 번역어로 사용된 배경에는 원래 "데스포테스"(δεσπότηςel)가 로마 후기 제정에 있어서의 황제 칭호 (라틴어) 중 하나인 "도미누스"(dominusla)의 그리스어 번역으로 사용된 것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도미누스"를 받는 체제 "도미나투스"의 번역어는 "전제군주제").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후의 동로마 시대에 있어서도 "데스포테스"는 이른바 "전제군주"라는 의미로 황제 칭호의 하나로 이어졌지만, 1163년 이후에 작위가 되었기 때문에 "전제"라는 어원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번역어에 고위 작위를 나타내는 "공" 또는 "후"를 붙여 "전제공", "전제후"라는 번역어가 만들어졌다.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 시대에 마찬가지로 황제 칭호를 유용하여 창설된 "세바스토크라토르(세바스토크라토르)"(σεβαστοκράτωρel)의 번역어 "존엄공"에 대해서도, "존엄자"를 나타내는 아우구스투스(Augustusla)의 그리스어 번역 세바스토스(σεβαστόςel)와 "최고 사령관"을 나타내는 "임페라토르"(imperatorla)의 그리스어 번역 아우토크라토르 (αυτοκράτωρel)를 합성한 augustimperator|아우구스트임페라토르la = σεβαστοκράτωρel의 번역어로서 "존엄자"에 "공"을 붙여 만들어진 번역어이다. 다만 이러한 번역어는 반드시 일본 비잔틴 학계에 있어서의 작위의 번역어로서 정착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편의상 만들어진 것이다.
6. 주요 데스포테스 목록
데스포티스(Δεσπότης)는 원래 '주(lord)'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로, 비잔티움 제국에서 황제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2세기부터는 황제가 임명하는 고위 귀족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비잔티움 제국 외 발칸반도의 여러 국가에서도 통치자나 귀족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다음은 주요 데스포테스 목록이다.
국가 | 이름 | 재임 기간 | 수여/주장 | 비고 |
---|---|---|---|---|
비잔티움 제국 | 헝가리의 벨러 3세 | 1163년–1169년 | 마누엘 1세 콤네노스 | 1169년까지 마누엘 1세의 사위이자 추정 상속자 |
에피루스 전제공국 | 미카엘 2세 콤네노스 두카스 | 1246년 이전–1267/1268년 | 요한네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 | 에페이로스 통치자 |
라틴 제국 | 엔리코 단돌로 | 1204년–1205년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발두인 1세 | 베네치아 공화국 도제 |
불가리아 제국 | 야코프 스베토슬라프 | 1261년 이전–1275/1277년 | 콘스탄틴 티흐 | 소피아의 유력자 |
세르비아 제국 | 요반 올리베르 | 1334년–1356년 |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 | 세르비아 유력자 |
세르비아 데스포테이트 | 스테판 라자레비치 | 1402년–1427년 |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 세르비아 통치자 |
- 참고: 위에 나열된 인물 외에도 비잔티움 제국, 모레아 데스포테이트, 에피루스 데스포테이트, 라틴 제국, 불가리아 제국, 세르비아 제국 및 후계 국가 등에서 데스포테스 칭호를 수여받거나 자칭한 인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국가별 데스포테스 목록을 참고할 수 있다.
6. 1. 비잔티움 제국
1163년 콤네노스 왕조의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가 자신의 사위이자 후계자로 삼은 헝가리의 왕자 벨러(훗날 헝가리의 벨러 3세)에게 "알렉시오스"라는 이름과 함께 데스포티스 작위를 수여한 것이 그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7] 그러나 이 이전부터 데스포티스 칭호가 존재했다는 설도 있다.제4차 십자군으로 동로마 제국이 일시 멸망한 후, 망명 정권인 니케아 제국과 에피루스 전제공국 등에서 데스포티스 칭호가 사용되었다. 특히 에피루스 군주는 "황제"를 칭하기 전 단계로서 데스포티스 칭호를 사용했다. 이후 니케아 제국의 황제 요한네스 3세 두카스 바타체스는 에피루스 전제공을 굴복시키고 데스포티스 칭호를 다시 수여하여 명목상 속국으로 삼았다. 이를 계기로 데스포티스 칭호는 발칸 각지에서 지방 군주 칭호로 널리 사용되었다.
14세기 이후, 모레아 전제공국과 같이 동로마 제국 내 지방 행정 기구의 수장으로서 데스포티스 칭호를 가진 황족이 파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다음은 비잔티움 제국에서 데스포티스 칭호를 수여받거나 주장한 인물들의 목록이다.
이름 | 재임 기간 | 수여 | 비고 | 참고 문헌 |
---|---|---|---|---|
헝가리의 벨러 3세 | 1163년–1169년 | 마누엘 1세 콤네노스 | 1169년까지 마누엘 1세의 사위이자 추정 상속자였으며, 이후 카이사르로 강등됨 | |
테오도르 바타체스 | 미상 | 마누엘 1세 콤네노스 | 마누엘 1세의 여동생 에우도키아와 결혼. 그의 칭호 소지는 아들의 인장으로만 증명됨 | [7] |
알렉시우스 팔레올로고스 | 1200년–1203년 | 알렉시우스 3세 앙겔로스 | 알렉시우스 3세의 사위이자 상속자, 이레네 안젤리나의 두 번째 남편. 미하일 8세의 외할아버지 | [8] |
테오도르 1세 라스카리스 | 1203년–1208년 | 알렉시우스 3세 앙겔로스 | 알렉시우스 3세의 사위, 알렉시우스 팔레올로고스가 죽은 후 데스포티스 칭호를 받음. 니케아 제국을 건국했으며 1205년에 황제로 선포되었지만 1208년이 되어서야 즉위했고 그 전까지는 형식적으로 데스포티스였음. | |
레오 스구로스 | 1203년/1204년–1208년 | 알렉시우스 3세 앙겔로스 | 그리스 남부 대부분을 통치했으며, 제4차 십자군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쫓겨난 후 알렉시우스 3세를 만났음. 스구로스는 에우도키아 안젤리나와 결혼했고 망명한 황제에 의해 데스포티스와 상속자로 지명됨. | |
요한네스 카마레토스 | 1208년 – 미상 | 알렉시우스 3세 앙겔로스 | 라코니아의 영주, 1222년의 편지에서 데스포티스로 언급됨. 레오 스구로스의 죽음 후 알렉시우스 3세에 의해 칭호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음 | |
안드로니코스 팔레올로고스 | 1216년 – 미상 | 테오도르 1세 라스카리스 | 테오도르 1세의 사위이자 상속자. 그에 대해 확실히 알려진 것은 거의 없음. 그는 이레네 라스카리나와 결혼하여 데스포티스로 승진했지만, 그 직후 사망함. | |
마누엘 콤네노스 두카스 | 1225년/1227년–1230년 | 테오도르 콤네노스 두카스 | 테오도르의 형제, 테오도르가 스스로 황제를 칭한 후 데스포티스 계급으로 승진했음. 테오도르의 상속자이자 테살로니카의 통치자로서 마누엘은 1230년 이후 황제 (바실레우스) 칭호를 가짐 | |
콘스탄티노스 콤네노스 두카스 | 1225년/1227년 – 미상 | 테오도르 콤네노스 두카스 | 테오도르의 형제, 테오도르가 스스로 황제를 칭한 후 데스포티스 계급으로 승진했음. | |
요한네스 콤네노스 두카스 | 1242년–1244년 | 요한네스 3세 바타체스 | 테살로니카의 통치자, 1242년에 제국의 칭호를 포기하고 니케아의 종주권을 인정받아 데스포티스 칭호를 받음. | |
데메트리오스 안젤로스 두카스 | 1244년–1246년 | 요한네스 3세 바타체스 | 형 요한네스로부터 테살로니카 통치를 물려받았으며 그와 마찬가지로 데스포티스 칭호를 받음. 1246년 요한네스 3세에 의해 폐위됨. |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 1258년–1259년 | 요한네스 4세 라스카리스 | 귀족들의 지도자, 게오르기오스 무잘론의 살해 후 섭정으로 선포되었으며, 처음에는 메가스 두크스로, 몇 주 안에 데스포티스로 승진했음. 1259년 1월 1일에 황제로 즉위함. | |
요한네스 팔레올로고스 | 1259년 – c. 1273년/1275년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 미하일 8세의 동생, 펠라고니아 전투에서 승리한 후 데스포티스 계급으로 승진했음. 1273년/1275년 네오파트라스 전투에서 패배한 후 데스포티스의 휘장과 특권을 포기했지만, 칭호 자체는 포기하지 않았으며, 그 직후 사망함. | |
데메트리오스 두카스 콤네노스 쿠트룰레스 | 미상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 에피루스의 미하일 2세의 셋째 아들, 미하일 8세의 딸 안나와 결혼하여 데스포티스로 지명됨. | |
콘스탄티노스 팔레올로고스 | 미상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 미하일 8세의 셋째 아들, 인장에서 데스포티스로 증명됨. | |
트라페준타의 요한네스 2세 | 1282년–1297년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 트라페준타의 황제, 스스로 "로마 황제"임을 주장하는 것을 포기하고 데스포티스 칭호와 미하일 8세의 딸 에우도키아의 손을 잡도록 설득되었음. 요한네스는 1282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문하여 칭호를 수여받고 에우도키아와 결혼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변경된 형태로 제국 칭호를 유지했음. | |
콘스탄티노스 팔레올로고스 | 1292년–1320년대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안드로니코스 2세의 둘째 아들, 테오도르 무잘론의 딸과 결혼하면서 데스포티스로 지명됨 | |
요한네스 팔레올로고스 | 1294년 – 미상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안드로니코스 2세의 셋째 아들, 1294년 5월 22일에 데스포티스로 지명됨 | |
트라페준타의 알렉시우스 2세 | c. 1297년–1330년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트라페준타의 요한네스 2세의 아들이자 후계자 | |
데메트리오스 팔레올로고스 | 1306년 – 1343년 이후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안드로니코스 2세의 다섯째 아들, 1306년에 데스포티스로 지명됨 | |
테오도레 팔레올로고스 | 미상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안드로니코스 2세의 넷째 아들, 미상의 날짜에 데스포티스로 지명되었으며, 1305년부터 몬페라토 후작이었음 | |
마누엘 팔레올로고스 | 미상 – 1320년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미하일 9세 팔레올로고스의 둘째 아들, 미상의 날짜에 데스포티스로 지명되었으며, 실수로 형제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에 의해 살해됨 | |
미하일 팔레올로고스 | 1341년 이전 – 미상 |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 | 안드로니코스 3세의 둘째 아들, 아주 어린 나이에 데스포티스로 지명됨 | |
몸칠 | 1343년/44년–1345년 | 사보이의 안나 | 로도페 산맥의 불가리아 통치자, 1341-1347년 비잔틴 내전 동안 여제 섭정에 의해 칭호를 수여받았으며, 그를 세바스토크라토르로 칭했던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로부터 떨어뜨리기 위함이었음. 칸타쿠제노스의 군대에 의해 패배하고 살해될 때까지 사실상 독립적이었음. | |
마누엘 콤네노스 라울 아사네스 | 1358년 이전 – 미상 |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 |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의 매형, 그에 의해 처음으로 로 지명되었고, 미상의 날짜에 데스포티스로 지명됨 | |
요한네스 칸타쿠제노스 | 1357년 – 미상 | 요한네스 5세 팔레올로고스 | 마테오 칸타쿠제노스의 맏아들, 아버지의 제국 칭호 포기 후 데스포티스로 지명됨 | |
미하일 팔레올로고스 | 미상 | 요한네스 5세 팔레올로고스 | 요한네스 5세의 셋째 아들, 메셈브리아의 통치자, 1376년/7년에 살해됨 | |
안드로니코스 팔레올로고스 | 1409년 – c. 1424년 |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 마누엘 2세의 셋째 아들, 1409년부터 1423년까지 테살로니카의 데스포티스 (두카스에 의해 "테살리아의 데스포티스"로 불림), 그 직후 수도원에 들어감 | |
요한네스 팔레올로고스 | 미상 |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 안드로니코스의 아들, 테살로니카의 데스포티스. 1419년에 칭호를 보유한 것으로 언급됨. |
6. 2. 모레아 데스포테이트
요한 6세 칸타쿠제노스의 차남 마누엘 칸타쿠제노스는 1341년–1347년 비잔틴 내전 이후 데스포테스 칭호를 받았으며, 1349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최초의 모레아의 데스포테스였다.[1] 요한 5세 팔레올로고스의 셋째 아들 테오도르 1세 팔레올로고스는 138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라케다이몬의 데스포테스였다.[2]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의 차남 테오도르 2세 팔레올로고스는 1407년부터 모레아의 데스포테스였으며, 144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셀림브리아의 데스포테스였다.[3] 마누엘 2세의 넷째 아들이자 마지막 비잔틴 황제였던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43년까지 셀림브리아의 데스포테스였으며, 그 후 1449년 비잔틴 제위 계승 시까지 모레아의 공동 데스포테스였다.[4]
마누엘 2세의 다섯째 아들 데메트리오스 팔레올로고스는 1425년부터 1449년까지 렘노스의 데스포테스였으며, 1440년부터 메셈브리아의 데스포테스였고, 1449년부터 1460년 오스만 제국 정복까지 모레아의 공동 데스포테스였다.[5] 마누엘 2세의 여섯째 아들 토마스 팔레올로고스는 1428년부터 1460년 오스만 제국 정복까지 모레아의 공동 데스포테스였다. 스프란체스에 따르면, 그의 형제 콘스탄티노스가 황제가 된 1449년이 되어서야 데스포테스 칭호를 받았다.[6]
데메트리오스 1세 칸타쿠제노스의 손자인 마누엘 칸타쿠제노스는 1453년–1454년 모레아 반란 동안 현지 알바니아인과 그리스인들에 의해 모레아의 지도자이자 데스포테스로 추대되었다. 그는 곧 조반니 아센 자카리아에게 가려졌다.[7]
6. 3. 에피루스 데스포테이트
이름 | 재임 기간 | 수여자 | 비고 |
---|---|---|---|
미카엘 2세 콤네노스 두카스 | 1246년 이전–1267/1268년 | 요한네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 | 에페이로스 통치자 마누엘 콤네노스 두카스의 조카[1] |
니케포로스 1세 콤네노스 두카스 | 1248/1250년 이전–1297년 | 요한네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 | 에페이로스 미카엘 2세의 아들이자 상속자, 요한네스 3세의 손녀 마리아와 결혼하며 칭호 획득. 1267/1268년 부친 사망 후 에페이로스 통치[2] |
토마스 1세 콤네노스 두카스 | 1297–1318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에페이로스 니케포로스 1세의 외아들이자 상속자[3] |
니콜라스 오르시니 | 1319/20–1323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케팔로니아 백작, 자킨토스 백작, 1318년 삼촌 토마스 1세 암살 후 찬탈. 1319/20년 이오안니나 합병 인정 대가로 칭호 획득[4] |
니케포로스 2세 오르시니 | 1347–1359 |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 | 요한네스 6세의 사위, 1341–1347년 비잔틴 내전 이후 임명, 1335–1338년, 1356–1359년 에페이로스 통치[5] |
토마스 2세 프렐류보비치 | 1382–1384 | 요한네스 5세 팔레올로고스 | 그레고리 프렐류브의 아들, 1367년 장인 시메온 우로쉬에게서 이오안니나 통치 임명. 1382년 비잔틴 황제에게서 공식 칭호 수여[6] |
에사우 드 부온델몬티 | 1385년경 – 1411 | 요한네스 5세 팔레올로고스 (?) | 이탈리아 출신, 토마스 프렐류보비치 살해 연루 가능성, 마리아 안젤리나 두카이나 팔레올로기나와 결혼, 이오안니나 통치[7] |
카를로 1세 토코 | 1415–1429 |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 케팔로니아 백작, 자킨토스 백작, 1411년 이오안니나 획득. 1415년 형제 레오나르도 2세 토코 통해 황제 승인. 1416년 아르타 점령, 에페이로스 재통일[8] |
망명 중 명목상 지위 계승자 | |||
카를로 2세 토코 | 1429–1448 | 카를로 1세 후계자, 케팔로니아 백작, 자킨토스 백작, 에페이로스 통치자. 비잔틴 황제에게 공식 수여받지 않음[9] | |
레오나르도 3세 토코 | 1448–1503 | 카를로 2세 후계자, 케팔로니아 백작, 자킨토스 백작, 에페이로스 명목상 데스포티스. 오스만 제국 정복(1479) 전까지 통치, 이후 이탈리아 망명[10] | |
카를로 3세 토코 | 1503–1518 | 레오나르도 3세와 밀리차 브란코비치(토마스 팔레올로고스 손녀)의 아들. "로마니아와 아르타의 데스포티스" 상속 주장 |
6. 4. 라틴 제국
이름 | 재임 기간 | 수여 | 비고 |
---|---|---|---|
엔리코 단돌로 | 1204년–1205년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발두인 1세 | 베네치아 공화국 도제이자 제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점령에 기여했으며, 몽페라토의 보니파스 대신 라틴 제국 황제로 선출되는데 기여했다. 라틴 제국의 주요 봉신으로서 데스포테스(Despot)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세르반 마린은 그리스 자료에서 단돌로가 데스포테스로 언급된 것은 법정 직위가 아니라, 이전 비잔틴 제국의 3/8에 대한 그의 영주권을 나타내는 dominus의 그리스어 번역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 |
알렉시우스 슬라브 | 1208/9년 – 1222년 이후 | 플랑드르의 앙리 | 로도페 산맥의 자치 불가리아 통치자였다. 황제 앙리의 사생아 딸과 결혼하여 라틴 봉신이 되면서 데스포테스(Despot)로 임명되었다.[3] |
자코포 티에폴로 | 1219년–1221년 | 플랑드르의 욜란다 (?) | 베네치아 콘스탄티노폴리스 포데스타였다. 베네치아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황후 섭정 욜란다로부터 "로마니아 제국 데스포테스"(despotes imperii Romaniaela)라는 칭호를 받았거나, 스스로 칭호를 사용했을 수 있다.[4] |
마리노 스톨라토 | 1222년–1223년 | 쿠르트네의 로베르 | 베네치아 콘스탄티노폴리스 포데스타[5] |
알베르티노 모로시니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발두인 2세 | 베네치아 콘스탄티노폴리스 포데스타[6] | |
타란토의 필리포 1세 | 1294/97년–1315년, 1330년–1332년 | 나폴리의 카를로 2세 | 타마르 앙젤리나 콤네네의 남편. 니케포로스 1세의 딸 타마르는 니케포로스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아내를 대신하여, 그리고 안주 왕가 또는 알바니아의 모든 영토(알바니아 왕국)와 그리스 북부 코린토스 만 (타마르의 지참금인 아이톨리아, 그리고 안주 봉신으로서의 에피루스 국가의 나머지 부분)의 통치자로서 "로마니아 데스포테스"라는 칭호를 받았다.[7] |
로마니아의 필리포 | 1315년–1330년 | 타란토의 필리포 1세 | 타란토의 필리포 1세의 장남으로, 1315년에 "로마니아 데스포테이트"라는 칭호와 권리를 부여받아 사망할 때까지 유지했다.[8] |
마르티노 자카리아 | 1325년–1345년 | 타란토의 필리포 1세 | 키오스, 사모스, 코스의 영주.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하려는 노력에 그를 참여시키기 위해 필리포로부터 "소아시아의 왕이자 데스포테스"라는 칭호를 받았다.[9] |
타란토의 로베르 | 1332년–1346년 | 발루아의 카트린 | 타란토의 필리포 1세와 명목상 라틴 황후 발루아의 카트린의 장남. 타란토와 아카이아 공자였으며, 1346년 이후 스스로 명목상 라틴 황제가 되었다.[10] |
6. 5. 불가리아 제국
이름 | 재임 기간 | 수여 | 비고 | 참조 |
---|---|---|---|---|
야코프 스베토슬라프 | 1261년 이전–1275/1277년 | 아마도 불가리아 차르 콘스탄틴 티흐 | 소피아의 강력한 거물이자 자치 영주였으며, 니케아 황제가 아닌 불가리아 통치자에 의해 데스포트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 |
게오르기 1세 테르테르 | 1278/1279–1292년 | 차르 이반 아센 3세 | 강력한 거물로, 이바일로의 반란에 맞서 그를 회유하기 위해 차르 이반 아센 3세의 여동생과 함께 데스포트 칭호를 받았다. 게오르기는 후에 이반 아센을 폐위하고 스스로 차르가 되었다.[2] | |
시슈만 | 1270년대/1280년대 — 1308/1313년 이전 | 차르 게오르기 1세 테르테르 | 시슈만 왕조의 창시자이자 비딘의 초대 반자치 데스포트[3] | |
알디미르 | 1280년대–1305년 | 아마도 차르 게오르기 1세 테르테르 | 게오르기 1세의 동생으로 그에 의해 데스포트가 되었으며, (아마도 1298년 이후) 크란 지역을 분봉령 ("크란 데스포테이트")으로 받았다. | |
미하일 시슈만 | 1313년 이전–1322/1323년 | 차르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 | 비딘의 자치 영주로, 아버지 시슈만이 사망한 직후 또는 직후 데스포트로 임명되었다. 1322/1333년에 불가리아 차르가 되었다.[4] | |
벨라우르 | 1323년 – c. 1331년 | 차르 미하일 시슈만 | 미하일 시슈만의 이복 동생으로, 데스포트의 지위로 비딘의 자치 영주로 그를 계승했다. 이반 알렉산데르의 통치에 저항하여 망명해야 했다.[5] | |
스라치미르 | 불명 | 불명 | 스라치미르는 데스포트의 칭호로 크란 영토를 보유한 거물이었다. 그는 스라치미르 왕조의 이름의 시조였다. | |
이반 알렉산데르 | 1330년까지 – 1371년 | 차르 미하일 시슈만 | 1330년까지 도시의 중요성으로 인해 아센 가문은 요한을 로베치를 통치하도록 임명하여 로베치 데스포테이트를 형성했다.[9] | |
미하일 시슈만 (비딘) | 불명 | 차르 이반 알렉산데르 | 차르 미하일 시슈만의 아들로, 벨라우르를 이어 데스포트의 지위로 비딘의 자치 영주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 |
도브로티차 | 1347년 이후 – 1386년 | 차르 이반 알렉산데르 | 도브루자 데스포테이트의 통치자 |
6. 6. 세르비아 제국 및 후계 국가
세르비아 제국과 그 후계 국가들에는 여러 명의 데스포티스가 존재했다.이름 | 재임 기간 | 수여한 사람 | 비고 |
---|---|---|---|
요반 올리베르 | 1334년–1356년 |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 | 자치 세르비아의 유력자, 1334년 비잔틴-세르비아 평화 협정 이후 데스포트로 임명됨.[10] |
시메온 우로시 | 1345년/1346년–1363년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스테판 두샨의 이복 형제, 황제 즉위 이후 데스포트로 임명된 것으로 추정. 에피루스의 지사, 1356년 스스로 차르를 칭하고 세르비아를 장악하려 했으나 실패. 1359년부터 1370년 사망할 때까지 테살리아와 대부분의 에피루스 통치.[10] |
요한 코메노스 아센 | 1345년/1346년–1363년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스테판 두샨의 매형, 황제 즉위 이후 데스포트로 임명된 것으로 추정. 사망할 때까지 발로나 공국 통치.[10] |
이바니시 | 1348년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스테판 두샨의 가까운 친척. 토플리차 지역 통치자.[10] |
데얀 | 1355년 8월 이후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또는 스테판 우로시 5세 | 스테판 두샨의 매형. 쿠마노보 지역 통치자.[10] |
지인 부아 슈파타 | c. 1360년/1365년 – c. 1399년/1400년 | 시메온 우로시 팔레올로고스 | 알바니아 씨족 지도자, 1360년대 초반 시메온 우로시로부터 아에톨리아 ( "앙겔로카스트론 데스포테이트")의 데스포트이자 통치자로 인정받음. 실질적으로 독립적이었으며, 1374년 아르타 데스포테이트를 병합하고 요안니나에 대한 여러 차례의 실패한 공격을 감행.[10] |
피터 로샤 | c. 1360년/1365년–1374년 | 시메온 우로시 팔레올로고스 | 알바니아 씨족 지도자, 1360년대 초반 시메온 우로시로부터 아카르나니아 ( "아르타 데스포테이트")의 데스포트이자 통치자로 인정받음. 실질적으로 독립적이었으나 요안니나에서 토마스 프렐류보비치를 공격한 후 그와 합의. 1373년/1374년 페스트로 사망.[10] |
부카신 므르냐브체비치 | 1364년–1365년 | 스테판 우로시 5세 | 스테판 두샨 치하의 가장 강력한 세르비아 유력자 중 한 명으로, 1364년 데스포트로 임명된 후, 황제 스테판 우로시 5세에 의해 왕이자 공동 통치자로 임명. 1368년까지 실질적으로 독립했으며, 1371년 마리차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에 의해 사망.[10] |
요반 우글레샤 | 1365년–1371년 | 스테판 우로시 5세 | 부카신 므르냐브체비치의 형제, 형제의 뒤를 이어 데스포트로 임명되었고, 두샨의 미망인 헬레나와 함께 세레스 통치. c. 1368년부터 마리차 전투에서 사망할 때까지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통치자.[10] |
요반 드라가시 | 1365년 – c. 1378년 | 스테판 우로시 5세 | 스테판 우로시 5세의 사촌이자 스테판 4세 두샨의 조카, 그의 형제 콘스탄틴 드라가시와 함께 쿠마노보에서 벨부즈드까지의 동부 영지 통치. 마리차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의 봉신.[10] |
세르비아 데스포테이트 | |||
스테판 라자레비치 | 1402년–1427년 |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 오스만 제국의 봉신으로서 세르비아 통치자. 1402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방문 중에 데스포트 칭호 수여받았으며, 1427년 사망할 때까지 "세르비아 데스포테이트" 통치.[10] |
주라지 브란코비치 | 1429년–1456년 |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 1427년부터 세르비아 통치자로서 스테판 라자레비치의 후계자, 1429년 데스포트 칭호 받음. 1428년부터 오스만 제국의 봉신.[10] |
라자르 브란코비치 | 1440년대–1458년 | 마누엘 2세 팔레올로고스 | 주라지 브란코비치의 아들이자 후계자, 아버지의 재위 기간 동안 데스포트 칭호 받음.[10] |
스테판 브란코비치 | 1458년–1459년 | 미상 | 주라지 브란코비치의 아들, 세르비아 통치자. 스테판 토마셰비치를 위해 폐위됨. |
스테판 토마셰비치 | 1459년 4월–6월 | 미상 | 보스니아의 공작, 헬레나-마리아와 결혼한 후 마지막 독립 세르비아 통치자. 데스포트 칭호를 사용했으며 (혹은 라자르의 미망인인 헬레나 팔레올로기나에 의해 수여되었을 수 있음). 몇 달 후 수도인 스메데레보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됨.[10] |
헝가리의 종주권 하에 망명한 명목상 데스포트 | |||
부크 그르구레비치 | 1471년–1485년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주라지 브란코비치의 손자 |
조르제 브란코비치 | 1486년–1496년 | 마차시 코르비누스 | 스테판 브란코비치의 아들 |
요반 브란코비치 | 1486년–1502년 | 블라디슬라우스 2세 | 스테판 브란코비치의 아들 |
이바니시 베를라비치 | 1504년–1514년 | 블라디슬라우스 2세 | 요반 브란코비치의 미망인인 옐레나 약시치와 결혼 |
스테판 베를라비치 | 1514년–1521년 | 블라디슬라우스 2세 | 이바니시 베를라비치의 아들 |
라디치 보지치 | 1527년–1528년 | 야노슈 자폴러이 | |
파블레 바키치 | 1537년 | 페르디난트 1세 |
참조
[1]
LSJ
δεσπότης
[2]
OEtymD
despot
[3]
LSJ
πόσις
[4]
웹사이트
do-po-ta
http://minoan.deadit[...]
Deaditerranean
2014-03-19
[5]
서적
The Mycenaean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harvnb
[7]
웹사이트
Theodoros Batatzes, husband of Eudokia, daughter of Ioannes II
http://db.pbw.kcl.ac[...]
2013-10-14
[8]
웹사이트
Alexios Komnenos Palaiologos, sebastos
http://db.pbw.kcl.ac[...]
2013-10-14
[9]
간행물
Before the Throne: Early Years of Tsar Ivan Alexander Asen (1331–1371)
https://journals.uni[...]
[10]
서적
Nemanjići i Lazarevići i srpska srednjovekovna državnost
https://books.google[...]
Zavod za udžbenike i nastavna sredstv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