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딘은 불가리아 북서부에 위치한 다뉴브강 항구 도시이다. 고대 켈트족 정착지에서 유래되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요새가 건설되어 상부 모에시아의 중요한 중심지로 발전했다. 슬라브족은 이곳을 바딘 또는 브딘으로 불렀으며, 중세 시대에는 불가리아의 중요한 도시로 주교좌가 위치했다. 제1차 및 제2차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 놓이면서 자치 독립을 유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885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에서 세르비아 군에 점령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2021년 기준 약 3만 5천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바바 비다 요새, 칼레토 요새 등 유적과 루마니아의 칼라파트와 다뉴브 강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2. 명칭

비딘이라는 이름은 영어로 고풍스럽게 ''Widdin''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비딘 근교에는 '''두노니아'''(Dunoniacel)라고 불리는 오래된 켈트족의 정착지가 있었다. 이 오래된 형태인 ''Dunonia''는 켈트어로 "요새화된 언덕"을 의미하며, 켈트 지명에서 흔히 발견되는 ''dun''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2] 두노니아 자리에는 나중에 고대 로마인의 요새 도시 '''보노니아'''(Bononialat)가 건설되었다.

슬라브족이 이 지역에 정착하면서 이곳을 '''바딘'''(Badin) 혹은 '''브딘'''(Bdin)이라고 불렀는데, 현재 도시의 이름인 비딘은 여기서 유래되었다. 루마니아어로는 Diiuron로 알려져 있다.

3. 역사

비딘 근교에는 Dunonia|두노니아la라고 불리는 고대 켈트족의 정착지가 있었으며, 이후 로마인들은 이곳에 요새 도시 Bononia|보노니아la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상모에시아 지방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였다. 슬라브족이 정착하면서 도시 이름을 '바딘'(Badin) 또는 '브딘'(Bdin)이라고 불렀고, 이것이 오늘날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중세 시대 비딘은 불가리아의 중요한 도시로 부상했다. 특히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시기인 971년부터 976년까지는 사무일 황제 영토의 중심지였으나, 1003년 비잔틴 제국의 바실리우스 2세에게 정복되기도 했다. 제2차 불가리아 제국 시기에도 비딘은 중요한 도시였으며, 도시를 다스리는 데스포트(Деспот|데스포트bg)는 제국의 주요 인물로 여겨졌다. 13세기 중반부터는 시슈만 가문(Шишмановци|쉬쉬마노프치bg)이 비딘을 통치했다.

1356년, 불가리아 황제 이반 알렉산드르는 비딘을 불가리아 본국에서 분리하여 아들 이반 스라치미르(Иван Срацимир|이반 스라치미르bg)를 군주로 삼아 비딘 왕국(Видинско царство|비딘스코 차르스트보bg)을 세웠다. 그러나 1365년 헝가리 왕국의 십자군에게 점령되었고, 이후 불가리아가 잠시 회복했으나 1393년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 불가리아 대부분 지역이 정복되었다. 비딘은 1396년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이반 스라치미르가 오스만 군대에 패배하면서 바예지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 말기에는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든 오스만 파즈반토울루(Osman Pazvantoğlu|오스만 파즈반토글루tr)가 세운 독립적인 세력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1850년에는 유럽의 1848년 혁명 영향으로 농민 반란이 일어났으며, 1885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중에는 세르비아 군대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했다.

3. 1. 고대 및 중세

비딘은 Dunonia|두노니아la라고 알려진 고대 켈트족 정착지에서 기원했다. 로마인들은 이곳에 요새 도시인 Bononia|보노니아la를 건설했으며, 이 도시는 다뉴브강을 따라 구축된 다뉴브 리메스 국경 체계의 일부였다. 보노니아는 현재의 북서부 불가리아와 동부 세르비아 지역을 포괄하는 상부 모에시아 지방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했다.

슬라브족이 이 지역에 정착하면서 도시 이름을 '바딘'(Badin) 또는 '브딘'(Bdin)이라고 불렀고, 이것이 오늘날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비잔틴의 역사가 안나 콤네네는 알렉시아드에서 이곳을 Βιδύνη|비디네grc라고 언급했다. 비딘의 주요 랜드마크인 바바 비다 요새는 10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건설되었다.

바바 비다 요새


중세 시대 비딘은 제1차 불가리아 제국 (681–1018)의 중요한 도시이자 주교좌 소재지였으며, 광대한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특히 971년부터 976년까지는 훗날 불가리아 황제가 되는 사무일의 영토 중심지였고, 그의 형제들은 남쪽 지역을 다스렸다. 그러나 1003년, 지역 주교의 배신으로 인해 8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비잔티움 제국 황제 바실리우스 2세에게 점령되었다.

비딘의 중요성은 제2차 불가리아 제국 (1185–1422) 시대에 다시 부각되었다. 도시를 통치하는 데스포트들은 제국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일부는 황제로 선출되기도 했다. 13세기 중반부터는 쉬쉬만 왕조가 비딘을 통치했다.

1290년대 초, 세르비아 왕국이 브라니체보 지역의 불가리아 통치자들을 물리치고 비딘 인근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이에 위협을 느낀 비딘의 데스포트 비딘의 쉬쉬만은 세르비아군에 맞섰으나 격퇴하지 못하고 세르비아의 종주권을 인정해야 했다.[3] 하지만 쉬쉬만은 실질적으로 세르비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성을 유지하며 주로 불가리아와 관계를 맺었다.[4] 이러한 명목상의 세르비아 종주권은 세르비아 왕 스테판 밀루틴이 사망한 1321년까지 지속되었다. 밀루틴 사후 세르비아에서 내전이 발발하자, 당시 불가리아의 데스포트였던 불가리아의 미하일 쉬쉬만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세르비아의 종주권에서 완전히 벗어나 불가리아 세력권으로 복귀했고, 1323년에는 불가리아의 황제(차르)로 즉위했다.

1330년 벨바즈드 전투에서 미하일 쉬쉬만이 전사한 후, 비딘은 그의 형제인 벨라우르의 통치 아래 들어갔다. 벨라우르는 새로운 황제 불가리아의 이반 알렉산더 (1331–1371)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1336년에 패배했다. 1356년, 이반 알렉산더 황제는 비딘을 불가리아 본국에서 분리하여 자신의 아들 불가리아의 이반 스트라치미르 (1356–1396)를 통치자로 임명했다. 이로써 이반 스트라치미르는 도시와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비딘 차르국을 사실상 독립적인 군주로서 다스리게 되었다.

1365년, 비딘 차르국은 헝가리 왕국의 루이 1세가 이끄는 십자군에게 점령당했다. 헝가리 통치 하에서 도시는 Bodony|보도니hu로 불렸으나, 이 점령은 오래가지 못했다. 1369년, 이반 알렉산더가 이끄는 불가리아-왈라키아 연합군이 헝가리군을 몰아내고 이반 스트라치미르를 복위시켰다. 그러나 1393년,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의 수도 터르노보를 함락시키면서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은 사실상 멸망했다. 비딘은 잠시 독립을 유지했지만, 1396년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이반 스트라치미르가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우다 패배하면서 비딘 역시 바예지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이로써 중세 불가리아의 독립은 막을 내렸다.

3. 2. 헝가리 및 오스만 제국 지배

1365년, 비딘 차르국은 헝가리 십자군에게 점령되었다. 헝가리 왕국의 지배하에서 도시는 '보도니'(Bodonyhu)로 불렸으나, 이 점령은 오래가지 못했다. 1369년, 불가리아 제국은 헝가리 군대를 몰아내고 비딘을 되찾았다. 하지만 1396년 니코폴리스 전투 이후, 바예지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군대가 비딘을 다시 점령했다. 오스만 제국은 비딘을 산자크로 편입시켰다.[8]

이후 비딘은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대터키 전쟁 중인 1689년 10월에는 오스트리아 군대가 비딘을 점령하기도 했다. 이 포위 공격 과정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오스만군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오스트리아의 점령은 약 9개월간 지속되었고 1690년 8월에 끝났다. 비딘 함락 직후인 1689년 10월 19일, 비딘에 거주하던 무슬림 남성 2,500명과 여성 1,000명이 니코폴추방되었다. 오스트리아군은 비딘 요새 앞에 군사 시설을 건설하고 40개 이상의 대포를 배치했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무슬림 가옥과 상점이 파괴되었다. 약 3,000채의 건물 중 200~300채의 건물과 일부 상점, 두 개의 하맘, 다수의 모스크와 커피숍만이 남았다.[5]

오스만 제국 통치 말기에는 오스만 반란군 오스만 파즈반토글루(Osman Pazvantoğlu|오스만 파즈반토글루tr)가 세운 분리주의 국가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1850년에는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친 1848년 혁명의 여파로, 지주들의 억압에 반발한 농민들이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1853년 런던의 《타임스》는 비딘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인구가 약 26,000명이고 8,000~10,000명의 수비대가 있는 상당한 규모의 도시이다. 비딘은 다뉴브강의 군사적 요충지 중 하나이다. 이 도시는 세르비아로의 접근을 막고, 올테니아, 트란실바니아 협곡을 통제하며, 무엇보다도 니시와 소피아를 거쳐 아드리아노플(현 에디르네)로 이어지는 길목을 장악하고 있다. 불규칙한 오각형 형태의 강력한 보루를 갖추고 있으며, 섬에 두 개의 요새가 있는 성채를 보유하고 있고, 광대한 늪지가 방어 체계를 완성한다.[6]

1859년, 영국의 여행가 사무엘 베이커는 비딘을 방문했다가 당시 14세였던 플로렌스 바바라 마리아 폰 사스를 만났다. 그녀는 트란실바니아(당시 헝가리 영토, 현 루마니아) 출신으로, 비딘의 파샤에게 팔려가던 중이었다고 전해진다. 베이커는 그녀의 경호원에게 뇌물을 주고 그녀를 데려왔으며, 그녀는 훗날 그의 아내이자 아프리카 탐험의 동반자가 되었다.[7][8]

1862년에는 세르비아로부터 무슬림이 추방되면서 베오그라드, 클라도보, 스메데레보 출신의 일부 무슬림들이 비딘에 정착하기도 했다.[9]

3. 3. 근현대

오스만 불가리아 역사 말기에 비딘은 오스만 반란군 오스만 파즈반토글루의 분리주의 국가 중심지였다.

1853년 런던의 《타임스》는 비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인구가 약 26,000명이고 8,000~10,000명의 수비대가 있는 상당한 규모의 도시이다. 비딘은 다뉴브강의 군사적 요충지 중 하나이다. 이 도시는 세르비아 접근을 막고, 올테니아, 트란실바니아 협곡을 지배하며, 무엇보다도 니시와 소피아를 거쳐 아드리아노플로 이어지는 길의 입구를 지배한다. 불규칙한 오각형 형태로, 강력한 보루가 있고, 섬에 두 개의 요새가 있는 요새화된 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방어는 광대한 늪지로 완성된다."[6]

1859년 영국 여행가 사무엘 베이커는 우연히 비딘을 방문하여 당시 헝가리(현재 루마니아)에 있던 트란실바니아 출신 14세 소녀 플로렌스 바바라 마리아 폰 사스를 발견했다. 일부 설명에 따르면 그녀는 비딘의 파샤 소유가 되기 위해 노예로 팔리고 있었다. 베이커는 그녀의 경호원에게 뇌물을 주고 그녀를 데려갔고, 결국 그녀는 그의 아내이자 아프리카 탐험의 동반자인 플로렌스 베이커가 되었다.[7][8]

1862년 세르비아로부터의 추방으로 인해 베오그라드, 클라도보, 스메데레보 출신의 일부 무슬림이 비딘에 정착했다.[9]

1878년 불가리아 해방 이후 비딘은 재건된 불가리아 국가인 불가리아 공국에 포함되었다. 이 도시는 1885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과 1913년 제2차 발칸 전쟁 동안 세르비아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으나 함락되지 않았다.

4. 지리

비딘은 불가리아 북서쪽 끝, 다뉴브강 남쪽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불가리아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중요한 다뉴브강 항구 도시이기도 하다.[1] 강 건너편에는 루마니아의 도시 칼라파트가 있으며, 두 도시는 약 2km 떨어져 있다.

비딘-칼라파트 다리


2013년 6월 14일에 신 유럽 다리(정식 명칭: 비딘-칼라파트 다리)가 개통되어 비딘과 칼라파트를 직접 연결한다.[1] 이 다리가 건설되기 전에는 도시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서 운행하는 페리가 두 도시를 잇는 주요 교통 수단이었다.[1] 다뉴브 강을 통해 루마니아로 가는 국경 검문소가 비딘에 위치한다.

도시 북서쪽 몇 킬로미터 지점에는 지역 공항인 비딘 공항(ICAO 코드: LBVD)이 있다. 2000년 기준으로 정기 여객 서비스는 없었으며 시설은 노후화된 상태였으나, 공항 기능을 복원하고 활동을 재개하기 위한 국가 개발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20][21]

5. 기후

비딘은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온대 대륙성 기후에 가까우나,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점점 더 멀어지고 있다. 겨울철에는 기온 역전 현상이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연평균 기온은 11.8°C이다.

비딘의 기후 (1991년~2020년) [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21.7°C24.4°C28°C32.4°C35.4°C41.2°C43.6°C40.2°C36.4°C31.2°C26.4°C21.4°C43.6°C
평균 최고 기온 (°C)4.4°C7.2°C13.3°C19.2°C24.4°C28.6°C30.9°C31°C25.2°C18.2°C10.4°C5°C18.1°C
일평균 기온 (°C)-0.2°C1.7°C6.6°C12.4°C17.7°C21.8°C23.7°C23°C17.4°C11.4°C5.7°C0.8°C11.8°C
평균 최저 기온 (°C)-3.9°C-2.6°C1.3°C5.8°C11.1°C14.8°C16.4°C15.9°C11.5°C6.5°C2°C-2.7°C6.3°C
역대 최저 기온 (°C)-24°C-28.6°C-13.6°C-5°C-0.4°C2.8°C9.2°C7°C-1.2°C-6.6°C-16.4°C-21.4°C-28.6°C
강수량 (mm)41mm40mm43mm44mm56mm51mm55mm44mm44mm51mm46mm50mm565mm
평균 강수일수 (≥ 1.0 mm)66678664677776
월평균 일조시간8211216820925629232530621815379692269


6. 인구

2021년 기준으로 비딘의 인구는 35,784명으로, 불가리아에서 20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23]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심각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 도시 인구는 1988년에서 1991년 사이에 65,000명 이상으로 정점을 찍었으나[10],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1년에는 48,071명[11], 2021년에는 35,784명을 기록했다.

'''연도별 인구 변화'''[23][12][13][14]
연도인구
188714,772
191016,450
193418,465
194618,481
195623,932
196536,835
197553,091
198562,693
199262,691
200157,395
201148,071
202135,784



2011년 인구 조사 당시 민족 정체성을 밝힌 사람들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5][16]


  • 불가리아인: 40,550명 (91.8%)
  • 로마인: 3,335명 (7.5%)
  • 투르크인: 60명 (0.1%)
  • 기타: 199명 (0.4%)
  • 불분명: 280명 (0.6%)
  • 미신고: 3,647명 (7.6%)


비딘과 그 북쪽 지역에는 블라흐인도 거주하고 있다.

7. 문화

비딘은 오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형성해 온 도시이다. 중세 시대에 건설된 견고한 요새를 비롯하여 여러 시대에 걸쳐 지어진 정교회 성당, 유대교 회당,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받은 이슬람교 건축물 등이 도시 곳곳에 남아 있다. 이러한 유적들은 비딘이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교류했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도시 건축물 외에도 인근에는 벨로그라치크 암석과 같은 독특한 자연 경관과 선사 시대의 벽화가 발견된 마구라 동굴 등 풍부한 볼거리가 있어, 비딘의 문화적 중요성을 더한다.

7. 1. 주요 유적 및 관광지

성 디미타르 대성당


비딘에는 중세 시대에 지어진 바바 비다와 칼레토(Kaleto)라는 두 개의 요새가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여러 오래된 정교회 성당들이 남아 있는데, 17세기에 지어진 성 판텔레이몬 성당과 성 페트카 성당, 19세기에 세워진 성 디미타르 대성당(테살로니키의 데메트리우스) 등이 대표적이다.

유대교 유적으로는 1894년에 건설된 비딘 시나고그가 있다. 이 회당은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아 2021년에는 건물의 외형만 남아 있었으나, 이후 종교 간 문화 센터로 개조될 계획이 세워졌다. 현재 비딘에 거주하는 유대인은 약 12명 정도이다.[18] 2023년 기준으로 회당은 개조가 완료되었다.

이슬람교 유적으로는 오스만 파즈반토글루가 세운 모스크도서관이 있다. 그는 18세기 후반 비딘 지역을 다스렸던 오스만 제국의 통치자였다. 또한 1798년에 지어진 십자 형태의 병영 건물인 크라스타타 카자르마도 남아 있으며, 이 외에도 많은 오래된 르네상스 시대 건물들이 복원되어 있다. 1891년에 지어진 극장 건물도 주목할 만한데, 이는 "유럽 모델"을 따라 지어진 불가리아 최초의 극장 중 하나였다.

비딘 인근 지역의 관광 명소로는 독특하고 인상적인 암석 지형으로 유명한 벨로그라치크 암석과 중세 시대에 지어진 벨로그라치크 요새가 있는 벨로그라치크 마을이 있다. 또한 근처의 마구라 동굴에서는 선사 시대의 동굴 벽화를 볼 수 있다.

비딘 근처에서는 고대 유물도 발견되었다. 조각난 대리석 구조물 중 하나는 프리지아 모자와 로마 갑옷을 착용하고 벼락을 든 수염 난 남자를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유피테르 돌리케누스로 추정된다. 아마도 양날 도끼를 들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조각은 서기 2세기 말 또는 3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유사한 신의 묘사와 일치하여 당시 공통적인 도상학적 주제가 있었음을 시사한다.[19]

'''기타 유적 및 건물 사진'''

8. 교통

비딘은 불가리아 서쪽 끝에 위치한 중요한 다뉴브강 항구 도시이며, 강을 통해 이웃 나라인 루마니아로 가는 국경 검문소가 있다.

과거에는 비딘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서 출발하는 페리가 다뉴브강 건너편 루마니아칼라파트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수단이었다. 2013년 6월 14일 비딘-칼라파트 다리(신 유럽 다리)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이 페리만 운행되었다. 페리는 30분마다 운행되었으며, 한 번에 트럭 5대만 수송할 수 있었다. 당시 요금은 트럭 한 대당 50EUR, 승용차 한 대당 12EUR였다. 2013년 다리 개통 이후 육로를 통한 이동이 가능해졌다.

또한 비딘 북서쪽 몇 킬로미터 지점에는 지역 공항인 비딘 공항(ICAO 코드: LBVD)이 있다. 그러나 2000년 기준으로 정기 여객 노선은 운행되지 않고 있으며, 공항 건물도 노후화된 상태이다. 현재 비딘 공항의 기능을 되살리기 위한 국가 차원의 개발 계획이 추진 중이다.[20][21]

9. 국제 관계

(내용 없음)

9. 1. 자매 도시

비딘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2]

9. 2. 협력 도시

[22]

9. 3. 영사관

참조

[1]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КЪМ 31.12.2022 Г. ПО ОБЛАСТИ, ОБЩИНИ, МЕСТОЖИВЕЕНЕ И ПОЛ https://nsi.bg/bg/co[...]
[2] 서적 Bulgaria Nagel's encyclopedia-guide Nagel
[3]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https://books.google[...]
[4] 서적 Кой кой е в 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Петър Берон
[5] 문서 An episode from the History of Vidin (1689/1690): Some reflections on Hristo Gandev's theory of the so-called "Bulgarization" of towns
[6] 뉴스 "The Seat of War on the Danube," http://www.thetimes.[...] The Times 1853-12-29
[7] 간행물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9-05
[8] 뉴스 Science historian chronicles true story of Lady Florence Baker http://news.psu.edu/[...] Penn State University 2004-02-03
[9] 논문 The Expulsion of Muslims from Serbia after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Kanlıca and Withdrawal of the Ottoman Empire from Serbia (1862-1867) https://dergipark.or[...] 2011-01
[10] 웹사이트 CDS/ISIS on the Web - Navigator http://statlib.nsi.b[...] 2022-03-08
[11] 웹사이트 ПРЕБРОЯВАНЕ 2011 http://www.nsi.bg/EP[...] 2017-10-15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eography[...] 2010-02-14
[13] 웹사이트 Cities of Bulgaria http://pop-stat.mash[...] 2024-04-03
[14] 웹사이트 S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https://www.nsi.bg/b[...] 2024-10-31
[15] 웹사이트 Population on 01.02.2011 by provinces, municipalities, settlements and age http://www.nsi.bg/OR[...] Bulgarian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2017-10-15
[16] 웹사이트 Population by province, municipality, settlement and ethnic identification http://www.nsi.bg/OR[...] Bulgarian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2017-10-15
[17]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Vidin https://www.nodc.noa[...] 2024-01-04
[18] 웹사이트 Abandoned Bulgarian synagogue to become cultural center and interfaith hub https://www.timesofi[...]
[19] 서적 Ex Asia et Syria: Oriental Religions in the Roman Central Balkans https://www.jstor.or[...] Archaeopress 2021
[20] 뉴스 Vidin airport near the village of Inovo will be rebuilt https://darik.bg/ste[...] Darik 2023-02-21
[21] 뉴스 Northwest Bulgaria's Authorities Seek Investors to Revive Vidin Airport http://www.novinite.[...] Novinite.com 2023-02-21
[22] 웹사이트 Международно сътрудничество http://vidin.bg/wps/[...] Vidin 2019-10-31
[23] 웹인용 Cities of Bulgaria http://pop-stat.mash[...] 2024-04-03
[24]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stringmet[...] 2012-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