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재위 기간은 논란의 대상이며, 20년에서 42년 사이로 추정된다. 그의 이름은 "덴" 또는 "듀웬"으로, "물을 가져오는 자"를 의미하며, 그의 어머니는 왕비 메르네이트였다. 덴은 시나이 반도에서 암벽 부조가 확인된 최초의 이집트 왕이며, 상형 문자를 사용한 숫자 표기를 도입하는 등 통치 기간 동안 여러 혁신을 이루었다. 그의 무덤은 아비도스의 움 엘-카아브에 있는 "T 무덤"으로, 계단과 화강암 바닥을 갖춘 최초의 무덤이며, 136명의 인신공양 희생자의 매장지로 둘러싸여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0세기 통치자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통치자 - 카아
카아는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2916년경에 26년 동안 통치했으며, 왕위 쟁탈전 이후 호텝세켐위가 제2왕조를 시작했다는 가설이 있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왕조
이집트 제1왕조는 기원전 32세기부터 기원전 30세기까지 이집트를 통치하며 통일 국가를 형성하고 상형 문자, 건축, 예술 등을 발전시켰으며,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덴 등의 파라오들이 통치했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파라오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파라오 - 카아
카아는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2916년경에 26년 동안 통치했으며, 왕위 쟁탈전 이후 호텝세켐위가 제2왕조를 시작했다는 가설이 있다.
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역할 | 파라오 |
통치 기간 | 42년, 기원전 2970년경 시작 |
왕조 | 제1왕조 |
공동 통치 | 메르네이트 |
이전 통치자 | 제트, 메르네이트 |
다음 통치자 | 아네지브 |
이름 | |
즉위명 | 니수트-비티-카스티 (Nisut-Bity-Khasty) |
즉위명 (뜻) | 상, 하 이집트의 왕, 두 사막의 주인 |
즉위명 (히에로글리프) | |
호루스 이름 | 호르-덴 (Hor-Den) |
호루스 이름 (뜻) | 물을 가져오는 자 |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황금 호루스 이름 | 이아레트-네부-셴 (Iaret-nebu-shen) |
황금 호루스 이름 (뜻) | 황금 코브라 |
황금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아비도스 왕 목록 | 세파티 (Sepati) |
아비도스 왕 목록 (뜻) | 두 지역의 그 |
아비도스 왕 목록 (히에로글리프) | |
토리노 왕 목록 | 케넨티 (Qenenti) |
토리노 왕 목록 (히에로글리프) | |
가족 | |
배우자 | 세셰메트카, 세마트, 세레트호르, 나크트-네이트? 콰-네이트? |
자녀 | 아네지브? |
아버지 | 제트 |
어머니 | 메르네이트 |
생애 | |
매장지 | 움 엘 카압, 무덤 T |
기타 | |
![]() | |
![]() |
2. 재위 기간
고대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는 덴을 "우사파이도스"라고 불렀으며, 그의 재위 기간을 20년으로 기록했다.[1] 반면, 토리노 왕 목록은 손상되어 덴의 재위 기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2] 이집트학자들과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팔레르모 석의 금석문 기록을 근거로 덴이 42년 동안 재위했다고 본다.[3]
덴의 세레크 이름은 "덴(Den)" 또는 "듀웬(Dewen)"으로 추정되며, 이는 "물을 가져오는 자"라는 의미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출생명은 "카스티(Khasty)"로, "두 사막의 사람"을 뜻한다. 토비 윌킨슨과 프란체스코 티라드리티와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이 출생명이 이집트를 둘러싼 동부 사막과 서부 사막, 혹은 하 이집트와 상 이집트 모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한다.[7][8] 이러한 해석은 덴이 도입한 ''니수트-비티''(Nisut-Bity, 상하 이집트의 왕) 칭호와도 연결되는데, 이 왕실 칭호는 이집트 전체에 대한 통치자의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7][8] 덴의 이름은 아비도스, 사카라, 아부 라와시 등지에서 발견된 여러 유물과 후대의 베를린 의학 파피루스, 아니 파피루스 같은 문서를 통해 확인된다.[10][5][6]
덴의 통치 시기에 해당하는 아부 라와시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을 대상으로 한 최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덴의 즉위 시기를 기원전 3011년에서 2921년 사이(1σ)로 추정한다.[4]
3. 이름과 정체성
3. 1. 가족 관계
덴의 어머니는 왕비 메르네이트이다. 이는 동시대의 봉인 인상과 팔레르모 석의 비문을 통해 확인된다.[10][11] 덴의 아내는 왕비 ''세마트'', ''세셰메트-카'', ''세레토르''였으며, ''카이니트''도 아내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많은 아들딸을 두었으며, 그의 잠재적인 계승자로는 왕 아네지브와 왕 세메르케트가 있다.[10][11]
3. 2. 왕실
덴의 세레크 이름은 "덴" 또는 "듀웬"으로 추정되며, 이는 "물을 가져오는 자"라는 의미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출생명은 "카스티"로 "두 사막의 사람"을 뜻하는데, 이집트학자 토비 윌킨슨과 프란체스코 티라드리티 등은 이것이 이집트를 둘러싼 동부와 서부 사막, 혹은 하 이집트와 상 이집트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은 덴이 도입한 ''니수트-비티''(Nisut-Bity, 상하 이집트의 왕) 칭호와도 연결된다. 이 왕실 칭호는 이집트 전체에 대한 통치자의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7][8]
덴의 가족 관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그의 어머니는 왕비 메르네이트로, 이는 동시대의 봉인 인장과 팔레르모 석비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덴의 아내로는 왕비 세마트, 세셰메트-카, 세레토르가 있었으며, 카이니트 역시 그의 아내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덴은 여러 아들과 딸을 두었으며, 그의 잠재적 계승자로는 왕 아네지브와 왕 세메르케트가 언급된다.[10][11]
덴 시대의 왕실을 구성했던 고위 관리들에 대한 정보도 남아있다. 사카라에 있는 웅장한 마스타바 무덤들은 이프카, 안크-카, 헤마카, 네비트카, 암카, 인이-카, 카-자와 같은 인물들의 것이었다. 또한 덴의 네크로폴리스에 있는 부속 무덤에서는 당시 관리였던 난쟁이 세르-인푸의 희귀한 석비가 발견되기도 했다.[3]
3. 3. 이름 표기 논란
덴의 세레크 이름은 흙 봉인, 상아 라벨, 편암, 섬록암, 대리석 용기 등에 새겨진 비문을 통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유물들은 아비도스, 사카라, 아부 라와시 등지에서 발견되었다.[10] 덴의 세레크 이름은 "덴(Den)" 또는 "듀웬(Dewen)"으로, "물을 가져오는 자"라는 의미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그의 출생명인 "카스티(Khasty)"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카스티"는 "두 사막의 사람"을 의미한다. 토비 윌킨슨과 프란체스코 티라드리티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이 이름이 이집트를 둘러싼 동부 사막과 서부 사막, 혹은 하 이집트와 상 이집트 모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는 덴이 도입한 ''니수트-비티'' (상·하 이집트의 왕) 칭호와도 연결되는데, 이 왕실 칭호는 이집트 전역에 대한 통치자의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었다.[7][8]
덴의 이름은 후대 문서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람세스 2세 시대의 베를린 의학 파피루스에는 덴의 시대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치료법이 언급되지만, 이는 단순히 해당 처방에 권위를 부여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5] 마찬가지로 람세스 시대의 아니 파피루스 64장에서도 덴이 언급된다.[6]
그러나 후대의 왕 목록에서는 덴의 이름이 잘못 기록되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아비도스 왕 목록에는 덴의 이름이 "세파트주(Sepatju)"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덴이 원래 사용했던 두 개의 사막 상형 문자를 "구역"을 의미하는 기호로 잘못 읽은 결과이다. 토리노 왕 목록에는 "케넨티(Qenenti)"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나, 이 이름은 번역하기 어렵고 사용된 상형 문자의 기원도 불분명하다. 한편, 사카라 석판에서는 덴의 이름이 완전히 누락되어 있어 그 이유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9]
4. 통치
고고학적 기록에 따르면, 덴은 통치 초기에 어머니 메리트네이트와 함께 왕위를 공유해야 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덴이 스스로 통치하기에는 너무 어렸기 때문에, 메리트네이트가 섭정이나 사실상의 파라오로서 일정 기간 통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여성의 통치 참여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드문 일이 아니었으며, 메리트네이트는 왕실 규모의 무덤과 자신만의 장례 의식을 통해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덴의 통치 기간에는 중요한 혁신과 활동이 있었다. 상형 문자를 사용한 숫자 표기가 도입되어 세금 징수 계산 및 연간 행사 기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으며[18], 시나이 반도에서는 그의 활동을 기록한 암벽 부조가 발견되어, 이 지역에서 확인된 최초의 이집트 왕이 되었다.[12] 또한, 그는 시나이 반도와 동부 사막으로 여러 차례 군대를 파견하여 'jwntj.w'("활을 든 사람들")로 불리던 유목민과 충돌하기도 했다. 이들은 이집트의 오랜 적대 세력이었다.[3][13][14]
덴의 통치 기간 동안의 다양한 종교적, 정치적 사건들은 수많은 상아 명판과 팔레르모 석 비문을 통해 자세히 알려져 있다. 이 기록들은 당시의 전염병 발생, 군사 활동, 헤브세드 축제 거행 등 통치의 구체적인 연대기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이다.[3][15][16][18][19][20] 이러한 기록들은 타이포그래피와 예술 면에서도 중요한 발전을 보여준다.[3]
4. 1. 주요 사건

고고학 기록에 따르면, 덴은 통치 초기에 어머니 메리트네이트와 왕위를 공유해야 했다. 당시 덴이 스스로 통치하기에는 너무 어렸기 때문에, 메리트네이트가 섭정 또는 사실상의 파라오로서 일정 기간 통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여성의 통치 참여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드문 일은 아니었다. 네이트호테프 여왕이 메리트네이트 이전에 비슷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소베크네페루와 하트셉수트 같은 여왕들도 후대에 이집트를 통치했다. 덴의 어머니 메리트네이트는 왕족 수준의 무덤과 자신만의 장례 의식을 갖는 것으로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덴의 통치 기간 중 중요한 혁신은 상형 문자를 사용한 숫자 표기의 도입이었다. 이전에는 중요한 연례행사를 기호나 작은 그림으로 묘사하고, 때로는 '연도'를 의미하는 상형 문자인 대머리 야자 꽃차례 모양의 'rnpt' 기호를 앞에 붙였다. 덴의 통치 이후 이집트인들은 세금 징수 계산이나 연례행사 기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숫자 상형 문자를 사용하게 되었다.[18]
덴은 시나이 반도에서 암벽 부조가 확인된 최초의 이집트 왕이기도 하다. 발견된 두세 개의 부조에는 서 있는 왕과 그의 관리 일부가 묘사되어 있다.[12]
덴 통치 시기의 종교적, 정치적 사건 대부분은 수많은 상아 명판과 팔레르모 석 비문을 통해 알려졌다. 이 명판들은 타이포그래피와 예술 면에서 중요한 발전을 보여준다. 표면을 예술적으로 구획하여 각 구획에 개별 사건을 묘사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한 명판에는 당시 이집트에 퍼졌던 전염병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는 발치에 정체불명의 용기나 단지를 둔 샤먼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근처에는 "Henu..."로 시작하는 비문이 있는데 이것이 "보급품"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고위 관리 "Henu-Ka"의 이름 일부인지는 불분명하다.[3]
"매크로거 라벨"로 알려진 또 다른 상아 명판에는 소위 네메스 머리 장식을 한 이집트 왕의 모습이 처음으로 완전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림은 덴이 한 손에는 철퇴를, 다른 한 손에는 적의 머리카락을 잡고 "적을 물리치는" 전통적인 자세를 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땋은 머리와 원뿔 모양 수염으로 보아 이 적은 아시아 출신으로 추정된다. 오른쪽에 있는 상형 문자는 "동쪽을 처음으로 공격함"이라고 적혀 있으며, 왼쪽에는 고위 관리 'Iny-Ka'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해 덴이 시나이 반도와 동부 사막으로 여러 차례 군대를 파견했음을 알 수 있다. 초기 이집트인들이 'jwntj.w'("활을 든 사람들")라고 부르던 유목민들은 이집트의 주요 적대 세력이었으며 종종 문제를 일으켰다. 이들은 덴의 후계자 중 한 명인 세메르케트 시대의 시나이 반도 암석 비문에도 다시 언급된다.[3][13][14]

더 많은 사건들이 팔레르모 석 조각들에 기록되어 있다.
연도 | 조각 출처 | 주요 사건 |
---|---|---|
4년 | 옥스퍼드 조각 | 금을 세는 첫 번째 행사. |
5년 | 옥스퍼드 조각 | 호루스의 호위; 소 개수를 세는 2차 인구 조사. |
6년 | 옥스퍼드 조각 | ...(Rehyt 관련 내용 일부 손상)... |
7년 | 옥스퍼드 조각 | 호루스의 호위; 소 개수를 세는 3차 인구 조사.[15] |
18년 | 카이로 석 조각 C5 | Wer-Wadjet을 위한 조각상 제작. |
19년 | 카이로 석 조각 C5 | Setjet 민족 공격. |
20년 | 카이로 석 조각 C5 | 마프데트-페티쉬 창조; Sentj 기둥 세우기. |
21년 | 카이로 석 조각 C5 | Tjesem 민족 공격. |
22년 | 카이로 석 조각 C5 | Semer-Netjeru 왕실 영지 방문; 첫 번째 헵세드 축제 거행.[16] |
28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프타 신전 방문...(나머지 기록 없음). |
29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Iuntju 민족 공격. |
30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상·하 이집트 왕으로 즉위; 두 번째 헵세드 축제 거행. |
31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Rehyts 지역을 통과하는 동부 및 서부 운하 건설 계획 수립. |
32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두 번째 Djet 축제 거행. |
33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신성한 요새 Isut-Netjeru ("신의 왕좌") 건설 시작 (기초 의식[17]). |
34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세샤트의 대사제가 신성한 요새 Isut-Netjeru의 왕궁 건설 시작. |
35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신성한 요새 Isut-Netjeru에 신성한 호수 개통; 왕실 하마 사냥. |
36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Nenj-nesw(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와 신 헤리샤프의 호수에 머무름. |
37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Sah-Setni로 항해; 도시 Wer-Ka 건설 또는 파괴. |
38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Sed 신을 위한 조각상 제작. |
39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상·하 이집트 왕으로 즉위; 첫 번째 아피스 황소 경주 거행. |
40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여신 세샤트와 마프데트를 위한 조각상 제작. |
41년 | 팔레르모 석 주요 조각 | 하 이집트 왕으로 즉위...(나머지 기록 없음).[18][19] |
덴의 통치 30년에 거행된 두 번째 헵세드 축제(왕위 갱신 축제)는 그의 묘지에서 나온 여러 석조 용기 비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20]
4. 2. 헤브세드 축제
덴의 통치 기간 동안 헤브세드 축제는 최소 두 차례 거행되었다. 카이로 석 조각 ''C5''의 기록에 따르면, 첫 번째 헤브세드 축제는 덴의 통치 22년에 열렸다.[16] 이후 팔레르모 석의 주요 조각 기록에는 통치 30년에 두 번째 헤브세드 축제가 축하되었다고 나타난다.[18][19] 이 두 번째 축제는 덴의 아비도스 묘지에서 발견된 여러 석조 선박 비문에서도 확인된다.[20]5. 무덤
덴은 아비도스의 움 엘-카아브 지역에 위치한 "T 무덤"에 묻혔다.[21] 이 무덤은 이집트 제1왕조의 다른 왕들과 함께 있으며, 당시 무덤 중 가장 크고 정교하게 지어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계단과 화강암 바닥, 석재 건축 요소를 도입한 최초의 무덤 중 하나로 중요한 건축사적 의미를 지닌다.[22][23] 무덤 내부에서는 왕의 인장과 상아, 흑단으로 만든 라벨 등이 발견되었으며, 주변에서는 인신 공양의 흔적으로 보이는 다수의 순장 무덤이 확인되었다.[23][22]
5. 1. 무덤의 특징

덴은 제1왕조의 다른 왕들과 마찬가지로 아비도스의 움 엘-카아브 지역에 있는 "T 무덤"에 묻혔다.[21] 이 T 무덤은 해당 지역의 무덤들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정교하게 지어졌으며, 계단과 화강암 바닥을 갖춘 최초의 무덤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22]
이전 왕들의 무덤은 지붕을 통해 직접 내부를 채우는 방식이었으나, 덴의 무덤은 계단이 연결된 최초의 사례였다. 이는 왕이 살아있는 동안 남는 농산물을 보관하는 창고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동시에 덴이 사후 세계에서 사용할 물품들을 추가하기 용이하게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3]
T 무덤은 또한 진흙 벽돌이 아닌 석재로 만들어진 건축 요소를 포함한 최초의 무덤이기도 하다.[23] 무덤의 원래 구조에는 계단 중간 지점에 나무 문이 있었고, 매장실 앞에는 도굴을 막기 위한 방책문이 설치되어 있었다.[24] 무덤 바닥은 아스완에서 가져온 붉은색과 검은색 화강암으로 포장되었는데, 이는 이집트 역사상 단단한 석재를 건축에 대규모로 사용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된다.
덴의 무덤에서는 상아와 흑단으로 만들어진 라벨 20개가 발견되었다. 이 중 18개는 에밀 아멜리노가 발굴 후 남긴 폐기물 더미에서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발견된 것이다.[23] 이 라벨들 중에는 이집트의 이중 왕관을 쓴 파라오의 모습을 담은 가장 오래된 그림과, 세드 축제의 일부로 의식용 석비 사이를 달리는 덴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23] 또한, 현재까지 확인된 가장 오래된 왕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덴의 인장도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T 무덤 주변에는 왕과 함께 묻힌 것으로 보이는 136명의 남녀 유골이 발견되었다.[22] 이들 중 일부 유골을 조사한 결과 목이 졸려 살해된 흔적이 나타났는데, 이는 제1왕조 시대에 행해졌던 인신 공양의 한 사례로 여겨진다. 이러한 순장 풍습은 왕조 말기에 이르러 점차 사라지고, 사후 세계에서 파라오를 섬기는 역할을 우샤브티라는 작은 인형들이 대신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24]
5. 2. 인신 공양
덴의 무덤인 T 무덤 주변에는 왕과 함께 묻힌 136명의 남녀 매장지가 있다.[22] 왕의 측근으로 여겨지는 일부 해골을 조사한 결과, 그들이 목 졸려 죽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제1왕조 파라오들에게 흔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인신 공양의 한 예이다. 이 관습은 왕조 말기에 중단된 것으로 보이며, 사후 세계에서 파라오가 해야 할 일을 돕기 위해 실제 사람들의 시신을 대신하여 우샤브티(shabti)라는 인형을 묻게 되었다.[24]참조
[1]
서적
Manetho (The Loeb Classical Library, Volume 350)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2004
[2]
서적
The Royal Canon of Turin
Griffith Institute of Oxford, Oxford (UK)
1997
[3]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Harrassowitz, Wiesbaden
1987
[4]
간행물
RADIOCARBON-BASED MODELING OF THE REIGN OF KING DEN (1ST DYNASTY, EGYPT) AND THE START OF THE OLD KINGDOM
https://www.cambridg[...]
2023
[5]
문서
Die Rolle ägyptischer Könige im Bewusstsein ihrer Nachwelt
[6]
서적
Ägypten, Geschichte und Kultur der Frühzeit 3200-2800 v. Chr
Fourier, München
1964
[7]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980
[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Weinheim
1994
[9]
서적
Die Rolle ägyptischer Könige im Bewußtsein ihrer Nachwelt
Dt. Kunstverlag, Munich-Berlin
1969
[10]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New York
1999
[11]
서적
Die Königsmütter des Alten Ägypten
Wiesbaden
2001
[12]
서적
Zone Miniere Pharaonique du Sud Sinai, I, Catalogue complémentaire des inscriptions du Sinaï
Kairo
2012
[13]
서적
Cracking Codes: the Rosetta Stone and Decipherment
California Press, New York
1999
[14]
서적
Early Dynastic Objects, Catalogue of the Egyptian Antiquities in the British Museum
London
1980
[15]
서적
Royal Annals of Ancient Egypt: The Palermo Stone and its Associated Fragments
Taylor and Francis, London
2000
[16]
서적
Royal Annals of Ancient Egypt: The Palermo Stone and its Associated Fragments
Taylor and Francis, London
2000
[17]
문서
Altägyptische Festdaten
Verlag d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und der Literatur, Mainz/Wiesbaden
1950
[18]
문서
Altägyptische Festdaten
Verlag d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und der Literatur, Mainz
1950
[19]
서적
Royal Annals of Ancient Egypt: The Palermo Stone and its Associated Fragments
Taylor and Francis, London
2000
[20]
간행물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Kairo (MDAIK)
1990
[21]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6
[22]
서적
Protodynastic Egypt.
Shire Egyptology
1988
[23]
서적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Harry N. Abrams, Inc.
1995
[2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5]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26]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1
[27]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28]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29]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30]
문서
Sumerian King List
Per
[31]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