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력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력 인자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병원체가 숙주에 감염을 일으키는 데 기여하는 분자 또는 생리적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자들은 숙주 조직 부착, 면역 회피 및 억제, 숙주 조직 손상 효소 생성, GTPase 조절, 독소 분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세균 독소는 내독소와 외독소로 나뉘며, 곰팡이의 독소는 마이코톡신이라고 불린다. 독력 인자를 억제하고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유전적, 생화학적, 면역학적 방법을 통해 독력 인자를 식별하고 분석하여 감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력인자 - 스트렙토라이신
    스트렙토라이신은 세균 독소로서, 세포막 투과성을 높여 세포를 손상시키며, 특히 스트렙토라이신 O는 콜레스테롤과 결합해 세포막에 구멍을 만들어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진단에 활용되는 항-스트렙토라이신 O 항체 생성 지표가 되며, 스트렙토라이신 S는 연조직 손상, 독성 유발, 신호 분자 역할로 세균의 피부 장벽 통과를 돕는다.
  • 독력인자 - M 단백질 (연쇄상구균)
    M 단백질은 A군 연쇄상구균의 주요 독성 인자이며, 항생제 내성 문제로 인해 백신 개발을 통해 연쇄상구균 감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독력인자
개요
정의병원체가 숙주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하는 분자
역할숙주 세포 부착
면역 체계 회피
숙주 세포 침투
상세 역할
숙주 세포 부착병원체가 숙주 세포에 달라붙어 감염을 시작하는 데 도움
면역 체계 회피숙주의 면역 반응을 방해하거나 회피하여 생존
숙주 세포 침투숙주 세포 안으로 침투하여 성장 및 번식
예시
세균협막: 식균 작용 억제
내독소: 염증 유발
외독소: 세포 손상 유발
편모: 운동성 및 침투 촉진
인베이신: 세포 침투 촉진
진균카탈라아제: 활성 산소 종으로부터 보호
멜라닌: 식균 작용 억제
바이러스캡시드: 세포 부착 및 침투
복제 효소: 바이러스 복제
추가 정보
손상 반응 프레임워크독성 인자는 숙주-병원체 상호 작용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함
유전자 획득독성 인자는 수평적 유전자 전달을 통해 획득 가능

2. 부착, 면역 회피 및 면역 억제

세균은 리포테이코산, 3량체 자가수송 단백질 부착 단백질을 포함한 다양한 부착소를 생성하여 숙주 조직에 부착한다.[12]

협막은 수막염균을 포함한 많은 세균의 표면 구조를 형성한다. 협막은 숙주 외부에서 식세포 작용으로부터 세균을 보호하며, 면역 회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화농성 연쇄상구균과 같은 많은 세균은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면역글로불린 (Ig)을 분해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은 숙주가 감염에 반응하여 발현·분비하는 항체로, 숙주에 의한 병원체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바이러스 또한 병원성 인자를 가지며, 틈새 특이적인 바이러스 유전자가 병원성 인자를 코딩한다. 이러한 유전자는 특정 시기 또는 환경에서 특정 역할을 한다. 전형적인 것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 많은 병원성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잠복기를 제어하는 유전자이다. 쥐 감마 헤르페스바이러스 68 (γHV68) 및 사람 헤르페스바이러스는 특정 환경 조건이 나타났을 때 재활성화되어 만성 감염을 유지하는 유전자군에 의존한다. 이 유전자군은 바이러스의 용해 단계에는 필수적이지 않지만, 만성 질환 및 증식 촉진에 중요하다.[12]

3. 숙주 조직 손상 효소

화농성 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등 일부 세균은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다양한 단백질 분해 효소와 지질 분해 효소, DNA를 분해하는 데옥시리보핵산 분해 효소(DNase), 적혈구를 포함한 다양한 숙주 세포를 파괴하는 용혈소 등 다양한 효소를 생성하여 숙주 조직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효소는 항원성 구조와 독성을 가지고 있다.

4. GTPase 조절

살모넬라속균의 SopE는 GEF처럼 작용하여 GTPase를 활성화시켜 숙주 세포 내 정착을 용이하게 한다. SopE는 GTPase를 직접 변형시키지 않고, 정상적인 세포 내재화 과정을 과도하게 작동시킨다.

예르시니아속균의 YopT (''Yersinia'' 외부 단백질 T)는 RhoA의 카르복실 말단을 단백질 분해 절단하여 RhoA를 막에서 방출시킨다. RhoA의 위치가 잘못되면 하위 이펙터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5. 독소

세균 독소는 주요 독력 인자이며, 내독소와 외독소 두 가지로 나뉜다.[6]

5. 1. 내독소

내독소는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리포다당류(LPS)의 한 성분이다. LPS의 지질 A 부분이 독성을 나타낸다.[6] 내독소는 단핵구 수용체에 결합하여 탈과립을 유도하고 염증 매개체를 방출시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면역 반응의 일부로 사이토카인이 방출되어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LPS가 다량 존재하면 패혈성 쇼크(내독소성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내독소는 당지질이므로 B 세포 또는 T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아 적응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13]

5. 2. 외독소

외독소는 세균이 분비하는 독성 물질로, 숙주 내 특정 생화학 경로를 억제하는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6] 알려진 가장 강력한 외독소 두 가지[6]는 파상풍균에서 분비되는 파상풍 독소(테타노스파스민)와 보툴리누스균에서 분비되는 보툴리누스 독소이다. 대장균, 콜레라균(콜레라의 원인균), 웰치균(식중독과 가스 괴저의 흔한 원인균),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위막성 대장염의 원인균), 탄저균(탄저병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탄저 독소 생성) 등 다양한 세균이 외독소를 생성한다. 외독소는 면역원성이 매우 높아 체액성 면역 반응(항체가 독소를 표적으로 함)을 유발한다.

일부 곰팡이는 경쟁 자원으로 외독소를 생성하기도 한다. 마이코톡신이라고 불리는 이 독소는 다른 유기체가 곰팡이가 식민지화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막는다. 세균 독소와 마찬가지로 곰팡이 독소도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가장 위험한 마이코톡신 중 하나는 아스페르길루스 속, 특히 A. 플라부스가 생성하는 아플라톡신이다. 이 독소를 반복적으로 섭취하면 심각한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6. 병원성 인자 예시

황색포도상구균의 독력 인자로는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프로테아제, 응고 효소, 리파아제, 데옥시리보핵산 분해 효소, 장독소가 있다. 화농성 연쇄상구균의 독력 인자로는 M 단백질, 리포테이코산, 히알루론산 캡슐, 스트렙토키나아제, 스트렙토도르나아제,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스트렙토라이신 등이 있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Internalin A, Internalin B, 리스테리오라이신 O, ActA 등을 생성한다. 페스트균은 변형된 형태의 지질다당류, 제3형 분비 시스템, YopE, YopJ 등을 생성한다. 칸디다 알비칸스는 균사 형성 동안 세포 용해 펩타이드인 칸디달라이신을 생성하는데, 이는 곰팡이 독력 인자의 한 예이다. 이 외에도 생물막 형성에 필요한 소르타제, 인테그린 (베타-1, 베타-3 등)과 같은 독력 인자들이 있다.[14]

7. 병원성 인자 억제 및 제어 연구

독력 인자를 표적으로 삼아 이를 억제하는 전략이 제안되었다.[8] 알칼로이드,[9] 플라보노이드,[10]펩타이드[11]와 같은 저분자는 독력 인자와 그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어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15]

특정 세균 병원체를 특성화하고 특정 독력 인자를 식별하기 위한 실험 연구가 수행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독력 인자를 식별하고 분석하여 감염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새로운 진단 기술, 항균 화합물, 백신, 톡소이드 개발을 통해 감염을 치료하고 예방하고자 한다.

독력 인자를 식별하는 데는 생화학적, 면역학적, 유전학적 방법이 사용된다. 유전적 접근 방식은 세균 독력 인자를 식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세균 DNA에 무작위 돌연변이를 도입하여 병원성에서 비병원성으로 변경하거나, 막 또는 분비 산물을 암호화하는 특정 유전자를 식별 및 돌연변이시키거나, 독력 유전자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식별할 수 있다.

가성결핵균(''Yersinia pseudotuberculosis'') 연구는 비병원성 박테리아가 유전자 수평 이동을 통해 병원성으로 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Yersinia''의 DNA 클론을 비병원성 ''대장균''(E. coli)으로 전달하여 병원성 독력 인자를 발현시킬 수 있었다.

전이인자 돌연변이 유발은 과학자들이 사용하는 실험 기술이다. 전이인자는 DNA 내에서 식별 가능한 마커를 가지며, 무작위로 배치될 때 독력 인자 유전자 옆이나 중간에 위치하여 독력 인자 발현을 중단시킬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독력 인자를 유발하는 유전자를 찾는다.

참조

[1] 논문 Virulence factors and their mechanisms of action: the view from a damage –response framework 2009
[2] 웹사이트 What are Virulence Factors? https://www.news-med[...] News-Medical.Net 2021-06-03
[3] 논문 What is a virulence factor? 2008
[4] 논문 Flagella and bacterial pathogenicity. 2013-01
[5] 서적 Fields Virology, 6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 서적 Review of Medic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McGraw-Hill
[7] 논문 Characterization of Virulence Fac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Novel Function of Known Virulence Factors That Are Implicated in Activation of Airway Epithelial Proinflammatory Response 2018-05-21
[8] 논문 Paradigms of pathogenesis: Targeting the mobile genetic elements of disease 2012-12
[9] 논문 Small-molecule inhibitor of Vibrio cholerae virulence and intestinal colonization
[10] 논문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flavonoids https://zenodo.org/r[...]
[11] 논문 RNAIII-inhibiting peptide affects biofilm formation in a rat model of staphylococcal ureteral stent infection
[12] 서적 Fields Virology, 6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 서적 Review of Medic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McGraw-Hill
[14] 논문 Characterization of Virulence Fac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Novel Function of Known Virulence Factors That Are Implicated in Activation of Airway Epithelial Proinflammatory Response https://www.hindawi.[...] 2011
[15] 논문 Paradigms of pathogenesis: Targeting the mobile genetic elements of disease 2012-12
[16] 논문 Small-molecule inhibitor of Vibrio cholerae virulence and intestinal colonization
[17] 논문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flavonoids
[18] 논문 RNAIII-inhibiting peptide affects biofilm formation in a rat model of staphylococcal ureteral stent infection
[19] 논문 Virulence factors and their mechanisms of action: the view from a damage –response framework 2009
[20] 웹인용 What are Virulence Factors? https://www.news-med[...] News-Medical.Net 2021-06-03
[21] 논문 What is a virulence factor? 2008
[22] 서적 Review of Medical Microbiology and Immun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