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남아시아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남아시아 전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동남아시아 지역을 침략하고 점령하면서 벌어진 일련의 군사 작전을 의미한다. 일본은 1941년 12월 진주만 공격과 함께 말레이 반도, 필리핀, 홍콩, 태국 등을 공격하며 동남아시아 전역에서의 전쟁을 시작했다. 연합군은 초기에 패배를 겪었으나, 이후 동남아시아 사령부(SEAC)를 창설하여 반격에 나섰다. 이 지역은 영국, 미국, 중국 등 연합군의 지휘를 받았으며, 일본군은 남방군을 중심으로 지휘 체계를 구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1824년부터 1826년까지 영국과 미얀마 간에 아라칸 지역 분쟁, 미얀마의 아삼 침략, 영국의 제국주의적 팽창 등으로 인해 발발했으며 영국군의 승리로 얀다보 조약이 체결되어 미얀마가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등을 영국에 할양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었다.
  • 미얀마가 참전한 전쟁 - 영국-미얀마 전쟁
    영국-미얀마 전쟁은 19세기 영국 제국과 꼰바웅 왕조 미얀마 사이에서 세 차례에 걸쳐 벌어진 전쟁으로, 꼰바웅 왕조의 영토 확장으로 인한 영국령 인도와의 국경 분쟁이 원인이 되어 미얀마가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으며, 미얀마의 주권 훼손 및 사회 경제적 발전을 저해하는 등 현재까지도 미얀마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필리핀이 참전한 전쟁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필리핀이 참전한 전쟁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태국이 참전한 전쟁 - 라오스 내전
    라오스 내전은 1945년부터 1975년까지 프랑스 식민 지배 종식 후 독립 운동 세력 등장, 공산주의 세력과 왕정 지지 세력 간 대립, 베트남 전쟁 연관, 그리고 1975년 파테트 라오 승리로 이어진 복잡한 무장 분쟁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적 재앙을 초래했다.
  • 태국이 참전한 전쟁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말레이시아 비상사태는 1948년부터 1960년까지 영국령 말라야에서 말레이시아 공산당이 독립을 목표로 게릴라전을 일으킨 사건으로, 인권 유린과 환경 문제를 야기하며 말레이시아 역사에 깊은 상흔을 남겼다.
동남아시아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친디트 부대의 롱클로스 작전 장면
친디트 부대가 버마에서 강을 건너는 모습 (1943년)
분쟁 명칭동남아시아 전구
일부제2차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
기간1941년 12월 8일 – 1945년 9월 9일/12일
장소필리핀
태국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네덜란드령 동인도
버마 (미얀마)
인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실론)
홍콩
결과연합군의 승리
교전 세력
연합군미국
필리핀 연방
영국 및 영국 제국:
영국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해협 식민지
영국령 말라야
사라왁 왕국
북보르네오
브루나이
영국령 홍콩
영국령 싱가포르
영국령 버마
영국령 실론
길버트 및 엘리스 제도
영국령 솔로몬 제도
피지 식민지
통가
네덜란드 망명 정부
네덜란드령 동인도
자유 태국 운동
베트민
자유 프랑스
크메르 잇사락
포르투갈령 티모르
추축국일본 제국
필리핀 제2공화국
아자드 힌드
버마국
베트남 제국
캄푸치아 왕국 (1945년)
루앙프라방 왕국 (일본 괴뢰국)
인도네시아 국민당
태국 (1932-1973)
비시 프랑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지휘관 및 지도자
연합군더글러스 맥아더
조지프 스틸웰
루이 마운트배튼
아서 퍼시벌
아치볼드 웨이블
추축국데라우치 히사이치
수바스 찬드라 보스
병력 규모
연합군341,400명
33척의 군함
41척의 잠수함
492대의 항공기
20대의 전차
추축국582,700명
70척의 군함
18척의 잠수함
708대의 항공기
134대의 전차
피해 규모
연합군82,200명 사상
202,700명 포로
추축국222,000명 사상

2. 전쟁 발발 배경

1933년 일본 제국은 국제 연맹을 탈퇴하였고, 1936년에는 군비축소회의에서도 탈퇴하여[17] 국제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황이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1940년 독일,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었다. 일본은 미국의 철 수출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이어 나갔는데, 1941년 4월 소련과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여 철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이에 분개하여 일본에 석유 수출을 금지하였다. 일본이 이를 무효화해달라고 요구하자 미국은 만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의 일본군 철수, 독일-이탈리아와의 동맹 무효화를 주장했다. 1941년 10월 17일, 도조 히데키를 중심으로 내각이 수립되었고, 이들은 미국을 공격하기로 결정내렸다.

3. 동남아시아 전역의 전개

제2차 세계 대전동남아시아 전구는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버마, 실론, 인도, 태국, 인도차이나, 말라야, 싱가포르,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 인도네시아)에서 벌어진 전투를 포함한다.

3. 1. 일본군의 초기 공세 (1941년 12월 ~ 1942년 상반기)

1941년 12월 7일, 일본군은 말레이 반도 침공을 개시하고, 55분 뒤 진주만 공격을 감행하여 미국 태평양 함대를 기습하며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다. 같은 날, 일본군은 필리핀, 홍콩, 태국, 싱가포르, 말라야를 동시에 공격했다.[17] 크라 지협 동쪽 송클라 (구 싱고라)에 대한 상륙은 진주만 공격보다 몇 시간 앞서 이루어졌다.

미국 및 대영 제국에 대한 일본의 선전 포고는 공격이 시작된 이후에 전달되었다. 12월 8일, 영국,[1] 미국,[2] 캐나다,[3] 네덜란드[4]가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고, 다음 날에는 중국[5]과 호주[6]가 뒤따랐다.

전쟁 초기, 연합군은 많은 패배를 겪었다. 1941년 12월 10일, 영국 해군 군함 프린스 오브 웨일스리펄스는 일본군의 공습으로 말라야 해역에서 침몰했다. 침공 이후, 태국 정부는 12월 21일에 일본과 동맹을 맺었다. 일본군은 12월 8일 홍콩을 침공하여 12월 25일에 항복을 받아냈다. 1942년 1월, 일본군은 버마와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침공하고, 마닐라쿠알라룸푸르를 점령했다.

말라야 전투에서 일본군은 영국령 인도군의 제3군단, 호주 제8사단, 그리고 영국 부대로부터 완강한 저항을 받았지만, 일본의 우세한 공군력, 전차, 보병 전술에 밀려 연합군은 후퇴했다. 1942년 1월 말까지 말라야에서 쫓겨난 후, 싱가포르의 연합군은 아서 퍼시벌 중장의 지휘 아래 1942년 2월 15일 일본에 항복했다. 약 13만 명의 연합군이 포로가 되었으며, 싱가포르 함락은 영국 군사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항복이었다.

1942년 3월 31일부터 4월 10일까지, 일본군은 인도양 습격을 감행하여 인도양의 연합국 선박과 기지를 공격했다. 일본 제국 해군의 급강하 폭격 부대가 공격을 주도했으며, 2월과 3월에 자바섬 주변 해전에서 ABDACOM 부대가 괴멸된 후, 일본군은 인도양의 영국 해군력을 파괴하고 버마 전역 침공을 지원하고자 했다. 이 습격은 부분적인 성공에 그쳤다. 인도양에서 연합국 해군력을 완전히 파괴하지는 못했지만, 영국 함대는 영국 실론에서 케냐몸바사에 있는 킬린디니로 이동해야 했다. 이후 인도양의 함대는 호송 함대 수준으로 축소되었다.

1942년, 마드라스 시는 항공모함에서 운용되던 미쓰비시 루페 (제로의 수상기 버전)의 공격을 받아 세인트 조지 요새 근처에 폭탄 한 발이 떨어졌다.[7][8] 피해는 미미했지만,[9] 일본의 폭격과 침공에 대한 두려움으로 도시가 대피하는 등 큰 혼란이 발생했다. 많은 마드라스 가족들이 언덕 역으로 피난을 가기도 했다.[10]

같은 해, 일본의 인도 침공 가능성에 대비하여 영국은 코다이카날-무나르 로드를 개선하여 코다이카날에서 팔라니 언덕의 남쪽 능선을 따라 탑 스테이션까지의 대피 경로로 활용했다.[11] 이 도로는 무나르를 거쳐 코친까지 이어져 영국 선박을 이용한 탈출을 가능하게 했다.[12][13]

3. 2. 일본의 점령 통치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는 벵골 만에 위치한 섬 무리로, 139개의 섬(8,293km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섬들은 콜카타(당시 캘커타)에서 약 약 1255.29km, 첸나이(당시 마드라스)에서 약 1190.91km, 영국령 버마의 케이프 나르기스에서 약 193.12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1942년 3월 23일, 일본군은 이 섬들을 점령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점령했다.[14]

1943년 12월 29일, 이 섬들에 대한 정치적 통제권은 이론적으로 수바스 찬드라 보스의 아자드 힌드 정부로 넘어갔다. 보스는 포트 블레어를 방문하여 인도 국민군의 삼색기를 게양했다. 보스가 떠난 후에도 일본군은 안다만 제도를 계속 실질적으로 통제했으며, ''Arzi Hukumat-e Hind''(아자드 힌드)의 주권은 대체로 허구였다.[14] 섬 자체는 각각 "순교자"와 "자율 통치"를 의미하는 "샤히드"와 "스와라지"로 이름이 바뀌었다. 보스는 A. D. 로가나탄 중령을 이 섬들의 통치자로 임명했지만, 로가나탄 중령은 지역 행정에 제한적으로만 관여할 수 있었다.[14]

4. 버마 전역

제20 인도 보병 사단이 1945년 5월 3일 버마 프로메에서 일본군을 수색하고 있다.

  • 버마 군단의 퇴각
  • 영국 제14군 ("잊혀진 군대")의 창설
  • 아라칸 전역
  • 일본군의 인도 공격
  • 연합군의 반격
  • 양곤으로 가는 길
  • 오드 윙게이트 준장과 친디트

4. 1. 중국-버마-인도 전구 미군

북부 전투 지역 사령부(NCAC), 플라잉 타이거즈, 제14 항공군, 제10 항공군, 제20 항공군(매터호른 작전), 메릴의 약탈자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국-버마-인도 전구에서 활동한 미군 부대였다. 연합군은 병참 공수 작전으로 인도로부터 중국으로 험프를 넘어가는 작전을 펼쳤다. 전쟁의 주요 병참 노력 중 하나는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험프 비행"과 버마 로드를 대체하기 위한 인도로부터 중국까지의 레도 로드 건설이었다.

5. 항공전

영국 공군은 1942년 4월 일본군의 공격 당시 실론에 주둔한 비행대의 일본 항공기 및 해군 부대에 대한 작전을 펼쳤으며, '실론 1942' 전투 서훈을 받았다.[1] 영국 공군은 1944년 8월부터 1945년 8월까지 제14군이 임팔에서 양곤까지 진격하는 동안의 작전, 해안 상륙 공격, 페구 요마스 전투에 참여하였고, '버마 1944-1945' 전투 서훈을 받았다.[1]

6. 해상 전역

초기에는 기뢰 부설과 잠수함 작전으로 성과를 거두었다. 일본의 기뢰 제거 능력은 뛰어나지 않았고, 새로운 유형의 기뢰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했다. 일본 선박은 이러한 전술로 인해 버마 해안에서 밀려났다. 영국 실론에 주둔한 영국 잠수함은 일본 선박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했다.

유럽에서의 전쟁이 끝나갈 무렵, 대규모 영국군이 다시 인도양으로 파견되었다. 1943년 말과 1944년 초에 독일 함대가 무력화된 후, 본국 함대의 병력이 풀려났고, 1944년 6월 오버로드 작전의 성공으로 더 많은 함선, 특히 상륙 작전에 필요한 수송선이 파견될 수 있었다.

1944년 말, 더 많은 영국 항공모함이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수마트라의 유류 시설에 대한 일련의 공격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메리디안 작전으로 대표된다. 미국의 지원을 받아 최초 공격에 참여했다. 유류 시설은 공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이는 미국의 봉쇄로 인한 일본의 연료 부족을 더욱 심화시켰다. 마지막 공격은 항공모함이 영국 태평양 함대가 되기 위해 시드니로 향할 때 이루어졌다.

주력 함대가 떠난 후, 인도양에는 호위 항공모함과 구형 전함이 해군력의 중심을 이루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간 동안 람리 상륙과 아키아브, 랑군 인근 지역을 포함한 버마 재탈환 작전이 수행되었다.

7. 연합군 및 일본군 지휘 구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이 지역의 영국군은 인도 사령부, 동인도 함대, 극동 사령부 등 최소 3개의 분산된 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1941년 12월, 연합국은 미국-영국-네덜란드-호주(ABDA) 사령부를 창설하고 아치볼드 웨이벌 장군을 최고 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했으나, 1942년 2월 일본의 진격으로 해체되었다. 웨이벌은 버마 방어를 포함하게 된 인도 사령관 직으로 복귀했다.[15] 1943년 8월, 연합군은 동남아시아 사령부(SEAC)를 창설하고 루이 마운트배튼 경을 최고 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15] 1944년 11월, 제11군단은 연합 육군 동남아시아(ALFSEA)로 재편되었다.[15]

일본 제국 육군의 남방군은 동남아시아 및 남서 태평양의 모든 육군 및 공군 부대를 통제했으며, 사령부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공에 있었다.[17]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남방군 사령관은 데라우치 히사이치 백작이었다. 남방군의 주요 야전 사령부는 제14군, 제15군, 제16군, 제25군이었다. 일본군은 광대한 지역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자전거 보병을 널리 사용했다.

7. 1. 연합군 지휘 구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이 지역의 영국군은 최소 3개의 분산된 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인도 사령부는 인도와 버마의 영국군 및 인도군을, 동인도 함대는 영국 해군과 로열 인도 해군을 지휘했다. 1940년 11월, 영국 극동 사령부가 설립되어 홍콩, 말라야, 싱가포르 및 기타 영국의 극동 식민지에 대한 책임을 맡았고, 이후 버마에 대한 책임도 인수했다. 극동 사령부는 해군을 제외한 육군 및 공군에 대한 책임을 담당했다.[15]

1941년 12월, 일본과의 전쟁 발발 한 달 후, 연합국은 미국-영국-네덜란드-호주(ABDA) 사령부를 창설하고, 아치볼드 웨이벌 장군을 최고 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1942년 2월, 일본의 진격으로 ABDA 사령부는 해체되었고, 웨이벌은 버마 방어를 포함하게 된 인도 사령관 직으로 복귀했다.[15]

1942년 3월, 태평양 전역은 태평양 해역, 남서 태평양 지역, 동남 태평양 지역의 세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1943년 8월, 연합군은 동남아시아 사령부(SEAC)를 창설하여 이 지역의 전략적 책임을 인수했다. 윈스턴 처칠은 루이 마운트배튼 경(제독)을 SEAC의 최고 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15] 초기 SEAC는 인도, 버마, 실론 및 말라야를 포함한 지역을 담당했다.

1944년 11월, 제11군단은 연합 육군 동남아시아(ALFSEA)로 재편되었다.[15]

1945년 8월 15일,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나머지 지역에 대한 책임이 남서 태평양 지역에서 SEAC로 이전되었다. SEAC는 1946년 11월 30일에 해산되었다.

7. 2. 일본군 지휘 구조

일본 제국 육군의 동남아시아 및 남서 태평양의 모든 육군 및 공군 부대를 통제하는 부대는 남방군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이공에 사령부를 두었다.[17]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남방군 사령관은 데라우치 히사이치 백작이었다. 일본군은 육군과 특별 해군 육전대 병력의 연합 부대인 남해 부대도 배치했다. 남방군의 주요 야전 사령부는 제14군, 제15군, 제16군, 제25군이었다. 이 부대들은 11개 보병 사단, 6개 독립 보병 여단, 6개 전차 연대, 포병과 지원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일본군은 광대한 지역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자전거 보병을 널리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rime Minister's Declaration https://api.parliame[...] 1941-12-08
[2] 웹사이트 Declaration of War with Japan http://www.hbci.com/[...] United States Congress 1941-12-08
[3] 간행물 Canada Declares War on Japan http://www.ibiblio.o[...] 1941-12-15
[4] 간행물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Declares War with Japan http://www.ibiblio.o[...] 1941-12-15
[5] 간행물 China's Declaration of War Against Japan, Germany and Italy https://www.jewishvi[...] jewishvirtuallibrary.org 1941-12-15
[6] 간행물 Australia Declares War on Japan http://www.ibiblio.o[...] 1941-12-15
[7] 웹사이트 World War 2 Plus 55 http://usswashington[...] 2013-09-18
[8] 웹사이트 Chennai Daily Photo: Forgotten escape http://chennaimadras[...] 2010-03-04
[9] 웹사이트 CRIME-WRITER'S CASE-BOOK: VIZIANAGARAM RAJA'S CASE http://tamil.galatta[...] Gallata Community 2009-09-28
[10] 서적 Forgotten armies: the fall of British Asia, 1941–1945 Penguin Books Ltd.
[11] 서적 European impressions of the New England coast https://books.google[...]
[12] 뉴스 On the Escape Route http://www.hindu.com[...] The Hindu 2009-09-10
[13] 간행물 Kodai, Some History And Geography http://media.radiosa[...] Radio Sai 2006-07
[14] 서적 Forgotten Armies. The Fall of British Asia 1941-5 London
[15] 서적 The War Against Japan: Volume 3, The Decisive Battles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United Kingdom Military Series)
[16] 문서 영국군의 싱가포르 탈환 작전인 [[조석 작전]]은 1945년 9월 12일에 끝났다.
[17] 문서 "[[제1차 세계 대전]] 뒤에 각국이 협력하여 군비를 제한ㆍ축소하고자 연 회의이며 막대한 군사비의 지출로 말미암아 산업의 유지와 발전이 저해됨을 방지하고, 나아가 세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1921년 [[워싱턴]], 1927년에 [[제네바]], 1930년에 [[런던]]에서 열린 회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