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전통적으로 사도 바울에게 저작이 귀속되었으나, 1세기 후반 또는 2세기 전반에 익명의 기독교인에 의해 쓰여졌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편지는 바울이 디모데에게 보낸 것으로, 교회 조직, 의식, 올바른 신앙 유지, 거짓 교사 경고 등 교회 운영 전반에 걸친 실질적인 지침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바울의 인사, 그릇된 가르침 경고, 예배와 기도, 교회 지도자의 자격,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와 신앙생활, 재물, 노예, 믿음의 싸움 등이 포함된다. 특히 2장 12절은 여성의 역할에 대한 논란을 야기하며, 삼위일체와 관련된 구절에 대한 해석 또한 논쟁의 대상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회서신 -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는 사도 바울로가 디모데에게 보낸 서신으로, 바울의 죽음을 앞두고 디모데에게 거짓 가르침에 맞서 싸우고 믿음을 굳건히 지킬 것을 당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초기 기독교의 교리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목회서신 - 디도에게 보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는 사도 바울이 제자 디도에게 크레타 교회 장로와 감독자 임명 기준과 이교 및 이단에 대한 경고를 담아 보낸 신약성경으로, 바울 서신으로 분류되나, 내용과 문체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바울의 직접 저작이 아니라는 견해와 위경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전통적으로는 바울이 크레타 방문 시 작성했다는 주장과 대필 가능성이 제기되고, "크레타 사람은 항상 거짓말쟁이"라는 인용문은 자기 언급의 역설로 인용된다. - 2세기 문서 - 요한의 복음서
요한의 복음서는 익명의 저자가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서기 90-110년경에 완성한 신약성경의 복음서로, 공관복음서와 달리 예수와 하나님의 관계, 헬라 철학적 개념, 그리스도로서의 표징 제시 등을 통해 기독교 신학에 영향을 미치고 로고스 개념 등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 2세기 문서 - 페시타
페시타는 시리아어로 기록된 성경의 표준 본문으로, 구약은 히브리어 원문에서, 신약은 디아테사론과 고 시리아어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어 시리아 기독교 종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아시아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쳐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현재까지도 시리아 전통 교회에서 표준 성경으로 사용된다. - 2세기 기독교 - 요한의 복음서
요한의 복음서는 익명의 저자가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서기 90-110년경에 완성한 신약성경의 복음서로, 공관복음서와 달리 예수와 하나님의 관계, 헬라 철학적 개념, 그리스도로서의 표징 제시 등을 통해 기독교 신학에 영향을 미치고 로고스 개념 등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 2세기 기독교 - 케린투스
케린투스는 1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인물로, 초기 기독교 작가들에 의해 이단으로 묘사되었으며, 이집트 영지주의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기독론, 창조론, 종말론적 사상을 가졌다.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
---|---|
성경 정보 | |
구분 | 신약성경 |
분류 | 바울로 서간 |
기록 시기 | 62년 - 67년 사이 |
기록 장소 | 로마 |
저자 | 사도 바울로 |
수신자 | 디모테오 |
다른 이름 | 디모데전서 |
내용 | |
주제 | 교회의 질서와 목회자의 자격 |
강조점 | 건전한 교리, 경건한 삶, 교회의 지도력 |
특징 | 목회 서신 중 하나로, 교회 지도자를 위한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함 |
주요 내용 | 교회 내의 잘못된 가르침에 대한 경고 교회의 직분자 (감독, 집사)의 자격 요건 기도와 예배에 대한 지침 부자와 가난한 자에 대한 권면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 디모테오의 개인적인 헌신에 대한 권면 |
주요 인물 | 디모테오 바울로 |
관련 인물 | 알렉산더 후메내오 빌레도 |
장 수 | 6장 |
언어별 명칭 | |
영어 | First Epistle to Timothy |
독일어 | Erster Brief des Paulus an Timotheus |
일본어 | テモテへの手紙一 |
2. 저자와 연대
현대의 학자들은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가 1세기 후반이나 2세기 전반에 구성된 것으로 보고 있으나, 구체적인 연도를 설정하지는 못하고 있다.[37] 그노시스(Gnosis, "지식")라는 용어는 디모데전서 6장 20절에 등장한다.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이 디모테오전서를 참고했다는 견해가 일반적인데,[37] 이 관점에 따르면 서기 130년에서 155년 이전에 쓰여진 것으로 이해된다. 안티오케이아의 이냐시오와 본 서신 1장 14절 사이의 유사성을 근거로 작성 연대를 앞당길 수도 있다.[38] 그러나 이레네오가 서기 180년경에 본 서신을 처음 분명하게 묘사하고 있어 여러 이론이 함께 존재한다.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사본은 2017년에 발견된 서기 3세기의 사본이다.
디모테오전서는 전통적으로 사도 바울이 쓴 것으로 여겨졌지만, 니케아 이전의 기독교에서는 이러한 귀속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4] 바울은 편지의 저자로 본문에 명시되어 있다.(1:1) 19세기와 20세기 학계는 이 편지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많은 학자들이 디모테오전서가 디모데후서, 디도서와 함께 바울의 작품이 아니라 1세기 말에서 2세기 중반 사이에 익명의 기독교인이 쓴 작품이라고 주장했다.[5]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견해를 긍정한다.[6][7]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다음이 제시되었다.[8]
- 목회 서신이 바울이 그의 확실한 서신에서 사용하지 않은 306개의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
- 글쓰기 스타일이 바울의 확실한 서신과 다르다.
- 바울 시대에는 없었던 조건과 교회 조직을 반영하고 있다.
- 바울의 정경 작품의 초기 목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의 저작을 지지하는 현대 학자들은 진정성 문제와 관련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한다. I. H. 마셜과 P. H. 타우너는 "핵심 증인은 폴리캅인데, 디모테오전서와 디모테후서를 그가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고 썼다.[9] 마찬가지로 M. W. 홈스는 폴리캅이 디모테오전서와 디모테후서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거의 확실하거나 매우 높다"라고 주장했다.[18] 학자 로버트 그랜트, I. 하워드 마셜, 한스 폰 캠펜하우젠은 폴리캅이 디모테오전서의 실제 저자라고 믿고 있으며, 그 작성을 140년경으로 추정한다.[4]
마르키온은 140년경에 누가복음과 10개의 정경 바울 서신(디모테오전서, 디모테후서, 디도서는 제외)을 중심으로 한 초기 정경을 형성했다. 이러한 제외의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아 추측이 난무하며, 마르키온 시대 이후에 쓰여졌거나, 그가 그것들을 알았지만 진정성이 없다고 여겼다는 가설이 포함된다. 바울 저작의 지지자들은 그가 목회 서신을 거부할 신학적 근거, 즉 창조의 선함에 대한 가르침(참조. 디모테오전서 4:1 이하)을 제시한다.[10] 마르키온이 이 세 서신을 알고 테르툴리아누스가 말하는 것처럼 거부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는데, 디모테오전서 6:20에서 "거짓 반대 주장"이 언급되었고, "반대 주장"이라는 단어는 마르키온의 작품 이름인 "반론"이며, 마르키온의 이단에 대한 미묘한 힌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정된 교회의 구조는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110년경에 저술)가 가정하는 것보다 덜 발전되어 있으며, "반론" 자체가 단순히 "반대 주장"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일 뿐만 아니라, 지적했듯이 이단에 대한 공격은 세 서신의 중심이 아니다.[11]
2세기 후반에 이르러 이레니우스의 작품 ''이단 반박''에서 세 목회 서신 모두에서 인용구가 나타난다.[12] 이레니우스는 또한 그의 책에서 디모테를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바울이 쓴 것으로 귀속시킨다.[13] ''무라토리 정경''(170–180년경)은 신약성경의 책들을 열거하고 세 목회 서신 모두를 바울에게 귀속시킨다.[14] 유세비우스(330년경)는 다른 13개의 정경 바울 서신과 함께 그것을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부른다.[15] 이러한 긍정적인 증언에 대한 예외에는 타티아누스,[16] 뿐만 아니라 영지주의 바실리데스가 있다.[17] 가능한 초기 암시는 로마의 클레멘트가 고린도인에게 보낸 편지(95년경), 이그나티우스가 에베소인에게 보낸 편지(110년경), 폴리캅이 빌립보인에게 보낸 편지(130년경)에서 발견되지만,[18][19] 이러한 문학적 관계의 성격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현대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편지의 저작 시기를 서기 1세기 후반 또는 2세기 전반으로 추정하며, 불확실성은 크다. "지식"을 의미하는 영지주의(`Gnosis`)라는 용어는 디모테전서 6:20에 등장한다. 만약 폴리캅의 서신이 디모테오전서에 문학적으로 의존했다는 점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19] 이는 서기 50-65년을 종착점la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안티오크의 이그나티우스와 디모테오전서 1장의 14개 절에 걸쳐 일련의 언어적 일치가 나타난다. 만약 이그나티우스와 디모테오전서 사이의 이러한 유사성이 이그나티우스의 문학적 의존성을 나타낸다면, 디모테오전서의 작성 시기는 더욱 앞당겨질 수 있다. 그러나 이레니우스(서기 180년경 저술)는 디모테에게 보내는 서신을 명확하고 분명하게 묘사하고 바울에게 귀속시키는 가장 초기의 저자이다.[20]
3. 내용
이 서신은 바울로가 디모테오에게 보낸 것으로, 바울은 디모테에게 에베소에 머물면서 율법에 대한 그릇된 가르침을 막도록 요청했음을 상기시킨다. 바울은 율법이 반역자, 살인자, 성적으로 부도덕한 자와 같은 죄인들에게 적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25] 율법 위반자 목록에는 ἀρσενοκοίτηςgrc라는 그리스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때때로 "남성 동성애자"를 의미하도록 번역되지만, 이에 대한 논쟁이 있다.[26]
이 서신은 2장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특히 디모데전서 2:12절을 언급한다. NIV 번역본에서 이 구절은 "나는 여자가 가르치거나 남자를 다스리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그녀는 잠잠해야 합니다."라고 번역된다.[27] 이 서신은 아담이 이브보다 먼저 지음을 받았고, 이브가 뱀에게 속았다고 말하며 이를 정당화한다.[28]
교회 지도자들은 존경받을 만한 방식으로 처신해야 하며, 술에 과도하게 빠지는 것을 피하고 자신의 일을 잘 관리해야 한다.[29] 디모테는 거짓 가르침을 피하고 진실에 집중하라는 권고를 받는다.[30]
교회에서 지원받을 과부 목록에 대해서는 재혼하지 않고 가족을 우선시하는 나이 많은 과부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제한을 둔다. 예순 살 미만의 과부는 재혼을 유발할 수 있는 감각적인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한다.[31]
노예는 주인을 존경해야 하며, 특히 주인이 신자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32] 또한, 시기를 피하고 부자가 되려는 유혹을 피해야 하는데, "돈에 대한 사랑은 모든 종류의 악의 근원"이기 때문이다.[33]
결론적으로, 디모테는 다른 사람들이 덕을 쌓도록 돕고 교회를 잘 운영함으로써 "믿음의 선한 싸움을 싸워야" 한다고 말한다.[34]
3. 1. 인사 및 거짓 가르침에 대한 경고 (1장)
바울이 디모테에게 보내는 편지의 서두에는 발신자는 바울로, 수신자는 디모테로 되어 있다.[36]이 책은 디모테라는 인물에게 교회에서의 의식 진행 방식, 교회의 조직, 공동체의 책임자인 "감독"(주교의 어원)과 "집사"(부제의 어원)에 대한 권면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류 없는 올바른 신앙을 유지하도록 격려하고 거짓 교사에 대한 경고도 기록되어 있다.
- 인사 (1:1-2)
- 부정적인 지침: 거짓 교사들을 멈추게 하라 (1:3-20)
- *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 (1:3-11)
- ** 디모데에게 주어진 명령 (1:3)
- ** 그들의 잘못된 율법 사용 (1:4-7)
- ** 율법의 올바른 사용 (1:8-11)
- * 바울로의 은혜의 경험 (1:12-17)
- * 디모데에게 반복되는 명령 (1:18-20)
3. 2. 예배와 기도 (2장)
2장에서는 모든 사람을 위한 기도와 올바른 예배 자세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36]3. 3. 교회 지도자의 자격 (3장)
교회 지도력에 대한 지침으로, 감독(장로)의 자격(3:1-7)과 집사의 자격(3:8-13)에 대해 이야기한다.[36] 감독과 집사는 교회 공동체의 책임자이며, 각각 주교, 부제의 어원이 된다.3. 4.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와 신앙생활 (4-5장)
4장에는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와 그리스도의 훌륭한 일꾼이 되기 위한 지침이 나타나 있다.[36] 5장에서는 신자들을 대하는 자세, 과부와 원로들에 관한 지침이 이어진다.[36]3. 5. 재물, 노예, 믿음의 싸움 (6장)
6장은 종들에 관한 지침으로 시작한다. 이단과 탐욕에 대한 경고와, 믿음을 위한 싸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부자들에 관한 지침을 이야기하고, 마지막 권고와 인사를 한다.[1]내용 |
---|
노예 (6:1-2)[1] |
거짓 교사 (6:3-10)[1] |
선한 싸움을 싸우라 (6:11-16)[1] |
부자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말 (6:17-19)[1] |
위탁받은 것을 지키라 (6:20-21)[1] |
4. 논란
디모데전서 2장 12절은 성 평등과 관련하여 상당한 논란이 되어 왔다. 일부 교파는 이를 여성 안수를 거부하는 근거로 사용한다.[1]
아이작 뉴턴은 사후 출판된 ''두 가지 주목할 만한 성경 구절의 변조에 대한 역사적 고찰''에서 3장 16절의 초기 그리스어 버전의 작은 변화가 삼위일체에 대한 문헌적 지지를 증가시켰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뉴턴이 동의하지 않은 교리이다.[3]
고등 비평에서는 디모데전서를 "가짜 바울 서신"이라고 칭하며 진정성을 부정한다. 이들은 문맥의 혼란과 연결 부재를 근거로 자유주의 신학 연구자들이 후대의 삽입을 의심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6장 20-21절은 시노페의 마르키온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여 후대에 추가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이에 대해 6장 20-21절에서 "반대론"을 처음 사용한 인물이 마르키온이라는 증거가 없으며, 거짓 교사들이 자신들의 가르침을 "지식"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2세기 영지주의만의 특징이 아니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4. 1. 여성의 역할
디모데전서 2:12는 성 평등과 관련하여 상당한 논란의 원인이 되어 왔다. 일부 교파는 이를 여성 안수를 거부하는 근거로 사용한다.[1] 일부 신학자들은 이 구절을 모든 여성이 모든 남성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의미로, 또 다른 이들은 여성이 공개적으로 가르치거나 기도하거나 말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해석해 왔다.[1]4. 2. 삼위일체
아이작 뉴턴은 사후인 1754년에 출판된 ''두 가지 주목할 만한 성경 구절의 변조에 대한 역사적 고찰''에서, 3장 16절의 초기 그리스어 버전의 작은 변화가 삼위일체에 대한 문헌적 지지를 증가시켰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뉴턴이 동의하지 않은 교리이다.[3]참조
[1]
서적
ESV Pew Bible
https://books.google[...]
Crossway
[2]
웹사이트
Bible Book Abbreviations
https://www.logos.co[...]
2022-04-21
[3]
간행물
73. The Pastoral Epistles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https://www.religion[...]
Harper and Row
[5]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6]
서적
1 & 2 Timothy and Titus: A Commenta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
[7]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the New Testament
Wiley-Blackwell
2010
[8]
서적
The New Testament: A Student's Introduction
McGraw-Hill
2002
[9]
서적
The Pastoral Epistles
T&T Clark
1999
[10]
서적
The Message of 1 Timothy and Titus
IVP
1996
[11]
서적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ET
1968
[12]
웹사이트
Philip Schaff: ANF01. The Apostolic Fathers with Justin Martyr and Irenaeu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13]
웹사이트
Philip Schaff: ANF01. The Apostolic Fathers with Justin Martyr and Irenaeu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14]
웹사이트
Ante-Nicene Fathers/Volume V/Caius/Fragments of Caius/Canon Muratorianus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https://en.wikisourc[...]
[15]
문서
Ecclesiastical History
[1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the New Testament
1911
[17]
문서
[18]
간행물
Polycarp's 'Letter to the Philippians' and the Writings that later formed the NT
OUP
[19]
학술지
Polycarp of Smyrna's View of the Authorship of 1 and 2 Timothy
[20]
웹사이트
Philip Schaff: ANF01. The Apostolic Fathers with Justin Martyr and Irenaeu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1]
웹사이트
5259. 1 Timothy 3:13–4:8
https://pastoralepis[...]
[22]
문서
P.Oxy. 81.5259: 1 Timothy 3:13–4:8 / GA P133 in G. Smith
https://www.academia[...]
[23]
웹사이트
Two New Greek New Testament Papyri from Oxyrhynchus
http://www.bricecjon[...]
2017-04-21
[24]
문서
Neue neutestamentliche Fragmente der Berliner Papyrussammlung
[25]
성경
[26]
서적
Invitation to Christian Ethics: Moral Reasoning and Contemporary Issues
https://books.google[...]
Kregel Publications
[27]
성경
[28]
성경
[29]
성경
[30]
성경
[31]
성경
[32]
성경
[33]
성경
[34]
성경
[35]
서적
聖書の概説
羊群社
[36]
문서
テモテヘの第一の手紙(口語訳)#1:1-2
s:テモテヘの第一の手紙(口語訳)#1:[...]
[37]
저널
Polycarp of Smyrna's View of the Authorship of 1 and 2 Timothy
[38]
문서
Ignatius' Letter to the Magnesians ch. 11, shares the phrase "Jesus, who is our hope" with 1 Tim 1:1. Ignatius' Letter to Polycarp ch. 3 shares the phrase "teach strange doctrines" with 1 Tim. 1:3 as a description of theological opponents. Ignatius' Letter to the Ephesians ch. 14 has the phrase "faith and love toward Christ Jesus," which parallels "faith and love which are in Christ Jesus" from 1 Tim. 1:14. This same passage of Ignatius goes on to say "the end is love," which parallels 1 Tim. 1:5, "The end of our instruction is lo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