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가 1998-9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리가 1998-99 시즌은 1998년 8월에 시작하여 1999년 5월에 종료되었다. 알라베스, 엑스트레마두라, 비야레알이 승격되었고, 바르셀로나가 우승을 차지했다. 라울 곤잘레스는 25골로 피치치 상을, 카를로스 로아는 0.83의 실점률로 사모라 상을 수상했다. 페어플레이상은 엑스트레마두라가, 페드로 사바야 상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발렌시아 CF의 팬들이 받았다. 라요 바예카노와 세비야 FC는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프리메라리가로 진출했고, 엑스트레마두라와 비야레알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축구 -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남미 축구 연맹이 주관한 39번째 대회로, 바스쿠 다 가마가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멕시코와 베네수엘라 클럽들이 예선에 참가했다. - 1998년 축구 - 1998년 FIFA 월드컵
1998년 FIFA 월드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어 32개국이 참가, 골든골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프랑스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 지네딘 지단 활약, 다보르 슈케르가 득점왕에 올랐으나 개최국 선정 과정에서 부정부패 의혹이 제기된 대회이다. - 1999년 축구 - 199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2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열린 40번째 시즌으로, 브라질의 파우메이라스가 콜롬비아의 데포르티보 칼리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했으며, 파우메이라는 8강에서 코린치안스를 승부차기로 이기는 이변을 낳았다. - 1999년 축구 - 1999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
1999년 오세아니아 클럽 챔피언십은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된 오세아니아 지역 클럽 축구 대회로, 결승전에서 사우스 멜버른이 난디 FC를 5-1로 꺾고 우승했으며 3·4위전은 선수 부상으로 취소되었다. - 라리가 시즌 - 라리가 1995-96
라리가 1995-96은 1995년 9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프로축구 리그 시즌으로, 22개 팀이 참가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우승했고 후안 안토니오 피치가 득점왕, 프란시스코 모리나가 최소 실점상을 수상했으며 1승당 승점이 3점으로 변경되었다. - 라리가 시즌 - 라리가 2000-01
라리가 2000-01 시즌은 스페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70번째 시즌으로, 총 20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하고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가 2위를 차지했으며, UD 라스팔마스, CA 오사수나, 비야레알 CF가 승격하고 레알 오비에도, 라싱 산탄데르, CD 누만시아가 강등되었다.
| 라리가 1998-99 | |
|---|---|
| 시즌 정보 | |
| 대회 | 라리가 |
| 시즌 | 1998-99 |
| 기간 | 1998년 8월 29일 ~ 1999년 6월 20일 |
| 결과 | |
| 우승 | 바르셀로나 (16번째 우승) |
| 강등 (강등 플레이오프전 패배) | 엑스트레마두라 비야레알 |
| 강등 (즉시 강등) | 테네리페 살라망카 |
| 유럽 대회 진출 | |
| 챔피언스리그 (1차 조별 리그) |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
| 챔피언스리그 (2차 예선전) | 마요르카 발렌시아 |
| UEFA컵 (1라운드) | 셀타 비고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코파 델 레이 준우승팀 자격) |
| 인터토토컵 | 에스파뇰 |
| 통계 | |
| 총 경기 수 | 380 |
| 총 득점 수 | 1003 |
| 득점왕 | 라울 (25골) |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바르셀로나 7-1 알라베스 (1999년 1월 3일) |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엑스트레마두라 1-5 레알 마드리드 (1998년 10월 31일) |
| 최다 득점 경기 | 바르셀로나 7-1 알라베스 (1999년 1월 3일) 셀타 비고 6-2 오비에도 (1999년 1월 3일) 아틀레틱 빌바오 3-5 오비에도 (1998년 11월 15일) |
| 시즌 정보 | |
| 이전 시즌 | 1997–98 |
| 다음 시즌 | 1999–2000 |
2. 참가 구단의 변동
총 20개 팀이 리그에 참가했다. 지난 시즌 상위 17개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3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총 20개 팀이 리그에 참가했다. 이는 1997-98 시즌 상위 17개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3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팀은 알라베스, 에스트레마두라, 비야레알이다. 알라베스는 42년 만에, 에스트레마두라는 1년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으며, 비야레알은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1부 리그 무대를 밟게 되었다. 이 중 알라베스와 에스트레마두라는 세군다 디비시온 1997-98 시즌 성적에 따라 자동 승격되었고, 비야레알은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7-98 시즌 17위 콤포스텔라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리하여 승격했다.
이들 승격팀은 지난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된 콤포스텔라, 메리다, 스포르팅 히혼을 대신하여 참가했다. 콤포스텔라는 4년, 메리다는 1년, 스포르팅 히혼은 21년 만에 1부 리그에서 강등되었다.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시즌 종료 후 프리메라 디비시온 하위 3, 4위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상위 3, 4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 제도는 폐지되었다. 다음 시즌부터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하위 3개 팀이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자동 강등되고, 세군다 디비시온 상위 3개 팀이 자동으로 승격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7]
3. 참가 구단
1997–98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팀은 알라베스(42년 만의 1부 리그 복귀), 에스트레마두라(1년 만의 복귀), 그리고 1997-98 시즌 17위 콤포스텔라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원정 골 우위로 승리한 비야레알(사상 첫 1부 리그 진출)이었다.[7]
이들 승격팀은 1997-98 시즌 결과 강등된 콤포스텔라(4년 만에 강등), 메리다(1년 만에 강등), 그리고 스포르팅 히혼(21년 만에 강등)을 대신하여 리그에 참가했다.
3. 1. 구단별 구장 위치
다음 구단들이 1998-99 시즌 라 리가에 참가했다:
| 구단 | 위치 | 경기장 | 관중수 |
|---|---|---|---|
| 알라베스 | 비토리아 | 멘디소로차 | 19,840 |
| 아틀레틱 빌바오 | 빌바오 | 산 마메스 | 39,75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마드리드 | 비센테 칼데론 | 55,005 |
|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 캄 노우 | 98,772 |
| 셀타 비고 | 비고 | 발라이도스 | 32,500 |
| 데포르티보 | 라 코루냐 | 리아소르 | 34,600 |
| 에스파뇰 | 바르셀로나 | 몬주이크 | 55,926 |
| 엑스트레마두라 | 알멘드랄레호 | 프란시스코 데 라 에라 | 11,580 |
| 마요르카 | 팔마 데 마요르카 | 류이스 시트하르 | 18,000 |
| 라싱 산탄데르 | 산탄데르 | 엘 사르디네로 | 22,222 |
| 베티스 | 세비야 | 마누엘 루이스 데 로페라 | 52,132 |
| 레알 마드리드 | 마드리드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80,354 |
| 오비에도 | 오비에도 |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 30,500 |
| 레알 소시에다드 | 산 세바스티안 | 아노에타 | 32,200 |
| 사라고사 | 사라고사 | 라 로마레다 | 34,596 |
| 살라망카 | 살라망카 | 엘망티코 | 17,341 |
| 테네리페 |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 22,824 |
| 발렌시아 | 발렌시아 | 메스타야 | 55,000 |
| 바야돌리드 | 바야돌리드 | 호세 소리야 | 27,846 |
| 비야레알 | 비야레알 | 엘 마드리갈 | 22,000 |
3. 2. 구단 정보
다음 구단들이 1998-99 시즌 라 리가에 참가했다:| 구단 | 위치 | 경기장 | 관중수 |
|---|---|---|---|
| 알라베스 | 비토리아 | 멘디소로차 | 19,840 |
| 아틀레틱 빌바오 | 빌바오 | 산 마메스 | 39,75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마드리드 | 비센테 칼데론 | 55,005 |
|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 캄 노우 | 98,772 |
| 셀타 비고 | 비고 | 발라이도스 | 32,500 |
| 데포르티보 | 라 코루냐 | 리아소르 | 34,600 |
| 에스파뇰 | 바르셀로나 | 몬주이크 | 55,926 |
| 엑스트레마두라 | 알멘드랄레호 | 프란시스코 데 라 에라 | 11,580 |
| 마요르카 | 팔마 데 마요르카 | 류이스 시트하르 | 18,000 |
| 라싱 산탄데르 | 산탄데르 | 엘 사르디네로 | 22,222 |
| 베티스 | 세비야 | 마누엘 루이스 데 로페라 | 52,132 |
| 레알 마드리드 | 마드리드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80,354 |
| 오비에도 | 오비에도 |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 30,500 |
| 레알 소시에다드 | 산 세바스티안 | 아노에타 | 32,200 |
| 사라고사 | 사라고사 | 라 로마레다 | 34,596 |
| 살라망카 | 살라망카 | 엘망티코 | 17,341 |
| 테네리페 |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엘리오도로 로드리게스 로페스 | 22,824 |
| 발렌시아 | 발렌시아 | 메스타야 | 55,000 |
| 바야돌리드 | 바야돌리드 | 호세 소리야 | 27,846 |
| 비야레알 | 비야레알 | 엘 마드리갈 | 22,000 |
4. 리그 순위
1998-99 시즌 라리가에는 세군다 디비시온 1997-98에서 승격한 알라베스, 에스트레마두라, 그리고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올라온 비야레알이 참가했다.
바르셀로나가 2시즌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레알 마드리드, 마요르카, 발렌시아가 뒤를 이어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확보했다. 셀타 비고와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는 UEFA컵에 진출했다. 코파 델 레이 우승팀인 발렌시아가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함에 따라, 준우승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UEFA컵 출전권을 승계받았다. 에스파뇰은 인터토토컵 진출 자격을 얻었으며, 아틀레틱 빌바오 역시 자격이 있었으나 참가를 거부했다.
리그 하위권에서는 테네리페와 살라망카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고, 에스트레마두라와 비야레알은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한편,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세군다 디비시온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 제도가 폐지되었다. 다음 시즌부터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하위 3개 팀이 자동으로 강등되고, 세군다 디비시온 상위 3개 팀이 자동으로 승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7]
4. 1. 최종 순위표
| 순위 | 클럽명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 1 | 바르셀로나 | 79 | 24 | 7 | 7 | 87 | 43 | +44 | 챔피언스리그 1차 조별 리그 진출권 |
| 2 | 레알 마드리드 | 68 | 21 | 5 | 12 | 77 | 62 | +15 | |
| 3 | 마요르카 | 66 | 20 | 6 | 12 | 48 | 31 | +17 | 챔피언스리그 3차 예선전 진출권 |
| 4 | 발렌시아 | 65 | 19 | 8 | 11 | 63 | 39 | +24 | |
| 5 | 셀타 비고 | 64 | 17 | 13 | 8 | 69 | 41 | +28 | UEFA컵 1라운드 진출권 |
| 6 | 데포르티보 | 63 | 17 | 12 | 9 | 55 | 43 | +12 | |
| 7 | 에스파뇰 | 61 | 16 | 13 | 9 | 49 | 38 | +11 | 인터토토컵 3라운드 진출권 |
| 8 | 아틀레틱 빌바오 | 60 | 17 | 9 | 12 | 53 | 47 | +6 | rowspan="5"| |
| 9 | 사라고사 | 57 | 16 | 9 | 13 | 57 | 46 | +11 | |
| 10 | 레알 소시에다드 | 54 | 14 | 12 | 12 | 47 | 43 | +4 | |
| 11 | 베티스 | 49 | 14 | 7 | 17 | 47 | 58 | -11 | |
| 12 | 바야돌리드 | 48 | 13 | 9 | 16 | 35 | 44 | -9 | |
| 13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46 | 12 | 10 | 16 | 54 | 50 | +4 | UEFA컵 1라운드 진출권[8] |
| 14 | 오비에도 | 45 | 11 | 12 | 15 | 41 | 57 | -16 | rowspan="3"| |
| 15 | 라싱 산탄데르 | 42 | 10 | 12 | 16 | 41 | 53 | -12 | |
| 16 | 알라베스 | 40 | 11 | 7 | 20 | 36 | 63 | -27 | |
| 17 | 엑스트레마두라 | 39 | 9 | 12 | 17 | 27 | 53 | -26 | 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
| 18 | 비야레알 | 36 | 8 | 12 | 18 | 47 | 63 | -16 | 강등 플레이오프전 참가 |
| 19 | 테네리페 | 34 | 7 | 13 | 18 | 41 | 63 | -22 |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 |
| 20 | 살라망카 | 27 | 7 | 6 | 25 | 29 | 66 | -37 |
'''순위 결정 방식''': 1) 승점; 2) 상대 전적 승점; 3) 상대 전적 골득실; 4) 상대 전적 득점; 5) 골득실; 6) 득점 순.[8]
바르셀로나가 2시즌 연속 통산 16번째 라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코파 델 레이 우승팀인 발렌시아가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확보함에 따라, 준우승팀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UEFA컵 1라운드 진출권을 승계받았다.[8] 아틀레틱 빌바오는 인터토토컵 진출 자격을 얻었으나 참가를 거부했다.
1997-98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승격한 팀은 알라베스, 엑스트레마두라, 그리고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올라온 비야레알이었다.
1998-99 시즌을 끝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 하위 2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상위 2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 제도가 폐지되었다. 다음 시즌부터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하위 3개 팀이 자동으로 강등되고, 세군다 디비시온 상위 3개 팀이 자동으로 승격하게 된다.[7]
4. 2. 순위 변동표
wikitext4. 3. 경기 결과
| 아틀레틱 | 아틀레티코 | 바르셀로나 | 베티스 | 셀타 | 알라베스 | 데포르티보 | 에스파뇰 | 엑스트레마두라 | 마요르카 | 라싱 | 레알 마드리드 | 오비에도 | 레알 소시에다드 | 살라망카 | 테네리페 | 발렌시아 | 바야돌리드 | 비야레알 | 사라고사 | |
|---|---|---|---|---|---|---|---|---|---|---|---|---|---|---|---|---|---|---|---|---|
| 아틀레틱 | style="background:#CCC;" | | 1–2 | 1–3 | 0–0 | 0–0 | 5–0 | 2–1 | 2–2 | 0–0 | 1–0 | 2–0 | 2–3 | 3–5 | 0–0 | 1–0 | 2–0 | 2–0 | 2–1 | 2–0 | 2–0 |
| 아틀레티코 | 0–0 | style="background:#CCC;" | | 1–1 | 2–3 | 2–1 | 3–0 | 1–1 | 1–2 | 5–0 | 1–2 | 1–1 | 3–1 | 0–0 | 4–1 | 2–0 | 2–0 | 1–2 | 6–1 | 2–2 | 0–0 |
| 바르셀로나 | 4–2 | 0–1 | style="background:#CCC;" | | 4–1 | 2–2 | 7–1 | 4–0 | 3–0 | 1–0 | 2–1 | 3–2 | 3–0 | 3–1 | 4–1 | 1–1 | 4–1 | 2–4 | 1–1 | 1–3 | 3–1 |
| 베티스 | 1–4 | 0–0 | 0–3 | style="background:#CCC;" | | 0–3 | 1–0 | 0–3 | 0–1 | 1–1 | 1–3 | 1–1 | 3–2 | 5–0 | 1–0 | 1–0 | 1–0 | 0–1 | 2–0 | 4–1 | 1–3 |
| 셀타 | 3–2 | 0–1 | 0–0 | 4–0 | style="background:#CCC;" | | 1–1 | 0–0 | 2–0 | 5–1 | 4–2 | 3–0 | 5–1 | 6–2 | 2–2 | 1–0 | 2–0 | 2–2 | 0–0 | 4–1 | 2–0 |
| 알라베스 | 1–2 | 2–0 | 1–4 | 0–0 | 2–0 | style="background:#CCC;" | | 2–1 | 1–1 | 0–1 | 2–0 | 0–1 | 1–1 | 2–2 | 2–1 | 1–0 | 3–1 | 0–1 | 2–0 | 2–1 | 1–0 |
| 데포르티보 | 1–1 | 1–1 | 2–1 | 2–2 | 2–1 | 2–2 | style="background:#CCC;" | | 1–0 | 1–1 | 1–1 | 1–2 | 4–0 | 4–0 | 0–1 | 1–0 | 2–0 | 1–0 | 3–0 | 2–1 | 2–1 |
| 에스파뇰 | 1–1 | 1–1 | 1–2 | 1–0 | 3–0 | 3–0 | 2–2 | style="background:#CCC;" | | 0–0 | 1–0 | 1–1 | 0–0 | 2–1 | 0–0 | 4–0 | 2–1 | 2–1 | 0–2 | 1–1 | 2–1 |
| 엑스트레마두라 | 0–1 | 2–1 | 1–2 | 2–1 | 1–1 | 1–0 | 1–2 | 1–0 | style="background:#CCC;" | | 1–0 | 0–3 | 1–5 | 0–1 | 1–0 | 1–1 | 1–0 | 1–0 | 0–0 | 2–2 | 0–2 |
| 마요르카 | 6–1 | 4–0 | 1–0 | 1–0 | 2–0 | 2–1 | 1–2 | 2–0 | 2–0 | style="background:#CCC;" | | 1–1 | 2–1 | 0–0 | 1–0 | 1–0 | 1–1 | 0–1 | 1–0 | 1–0 | 1–0 |
| 라싱 | 2–0 | 2–3 | 0–0 | 1–0 | 2–2 | 2–0 | 1–1 | 0–2 | 3–1 | 1–0 | style="background:#CCC;" | | 1–3 | 0–0 | 0–1 | 4–1 | 0–0 | 0–1 | 0–2 | 1–2 | 2–4 |
| 레알 마드리드 | 0–1 | 4–2 | 2–2 | 0–1 | 1–2 | 3–2 | 3–1 | 2–0 | 2–0 | 2–1 | 2–2 | style="background:#CCC;" | | 2–1 | 3–2 | 3–1 | 4–0 | 3–1 | 3–2 | 4–1 | 3–2 |
| 오비에도 | 0–0 | 3–1 | 2–1 | 0–1 | 1–3 | 1–0 | 1–2 | 1–1 | 1–0 | 1–3 | 1–0 | 1–0 | style="background:#CCC;" | | 2–1 | 3–2 | 0–1 | 2–2 | 0–0 | 0–0 | 1–2 |
| 레알 소시에다드 | 3–1 | 3–2 | 0–2 | 1–0 | 2–0 | 2–1 | 2–0 | 1–2 | 2–0 | 0–1 | 2–0 | 3–2 | 3–3 | style="background:#CCC;" | | 4–0 | 1–1 | 1–1 | 1–0 | 1–1 | 0–0 |
| 살라망카 | 2–1 | 2–1 | 1–4 | 1–3 | 1–1 | 1–0 | 3–1 | 2–3 | 2–1 | 0–0 | 1–2 | 1–1 | 1–1 | 0–1 | style="background:#CCC;" | | 1–2 | 0–1 | 1–0 | 1–0 | 1–2 |
| 테네리페 | 0–1 | 1–0 | 2–3 | 3–2 | 0–2 | 1–2 | 1–1 | 0–0 | 1–1 | 1–1 | 2–2 | 2–3 | 0–2 | 2–2 | 1–0 | style="background:#CCC;" | | 3–2 | 2–2 | 2–2 | 1–1 |
| 발렌시아 | 4–1 | 1–0 | 1–3 | 5–1 | 2–2 | 5–0 | 0–0 | 1–2 | 1–1 | 3–0 | 3–0 | 3–1 | 3–0 | 2–0 | 1–0 | 1–1 | style="background:#CCC;" | | 0–1 | 1–0 | 1–1 |
| 바야돌리드 | 0–3 | 1–0 | 0–1 | 0–3 | 2–1 | 3–0 | 0–1 | 2–1 | 0–0 | 1–0 | 0–0 | 0–1 | 2–1 | 0–0 | 4–1 | 2–1 | 3–1 | style="background:#CCC;" | | 1–0 | 1–1 |
| 비야레알 | 0–1 | 2–1 | 2–3 | 3–4 | 1–1 | 2–0 | 1–2 | 2–2 | 1–1 | 0–2 | 3–0 | 0–2 | 0–0 | 1–1 | 5–0 | 2–5 | 1–0 | 2–1 | style="background:#CCC;" | | 1–1 |
| 사라고사 | 2–0 | 2–0 | 2–0 | 2–2 | 0–1 | 1–1 | 3–1 | 0–3 | 3–1 | 0–1 | 3–1 | 3–4 | 1–0 | 1–1 | 2–0 | 3–1 | 1–4 | 2–0 | 4–0 | style="background:#CCC;" | |
5. 강등 플레이오프전
1998-99 시즌을 마지막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 하위 2개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상위 2개 팀이 맞붙는 강등 플레이오프 제도는 폐지되었다. 다음 시즌부터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하위 3개 팀이 자동으로 강등되고, 세군다 디비시온 상위 3개 팀이 자동으로 승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7]
이번 시즌 강등 플레이오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차전 ===
| 날짜 | 시간 | 홈 팀 | 점수 | 원정 팀 | 득점자 | 경기장 | 장소 | 관중 수 | 심판 |
|---|---|---|---|---|---|---|---|---|---|
| 1999년 6월 27일 | 21:00 (CEST) | 엑스트레마두라 | 0–2 | 라요 바예카노 | 루이스 셈브라노스 (7분) 카를로스 요렌스 (86분, 페널티킥) | 에스타디오 프란시스코 데 라 에라 | 알멘드랄레호 | 9,100 | 에두아르도 이투랄데 곤살레스 (바스크) |
| 1999년 6월 27일 | 21:00 (CEST) | 비야레알 | 0–2 | 세비야 | 바실리오스 치아르타스 (2분, 45분) | 엘 마드리갈 | 비야레알 | 17,000 | 빅토르 에스키나스 토레스 (마드리드) |
=== 2차전 ===
| 날짜 | 시간 | 홈 팀 | 점수 | 원정 팀 | 득점자 | 경기장 | 장소 | 관중 수 | 심판 |
|---|---|---|---|---|---|---|---|---|---|
| 1999년 6월 30일 | 21:30 (CEST) | 라요 바예카노 | 2–0 합계 4-0 | 엑스트레마두라 | 티아구 페헤이라 (52분) 혼 페레스 볼로 (55분) | 바예카스 | 마드리드 | 15,600 | 안토니오 헤수스 로페스 니에토 (안달루시아) |
| 1999년 6월 30일 | 21:45 (CEST) | 세비야 | 1–0 합계 3-0 | 비야레알 | 호세 마리아 케베도 (50분) | 산체스 피스후안 | 세비야 | 48,000 | 마누엘 메후토 곤살레스 (아스투리아스) |
플레이오프 결과, 라요 바예카노와 세비야 FC가 1999-2000 시즌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였고, CF 엑스트레마두라와 비야레알 CF는 1999-2000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6. 수상
피치치 트로피는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에게 수여된다. 이 시즌에는 레알 마드리드의 라울이 25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리카르도 사모라 트로피는 출전 경기 수 대비 최소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수여된다. 마요르카 소속의 아르헨티나 골키퍼 카를로스 로아가 35경기에서 29실점(평균 0.83)을 기록하며 수상했다.
또한, 이번 시즌부터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RFEF)은 페어플레이 순위를 집계하여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는 1998년 10월 30일 연맹 이사회에서 합의된 점수 체계에 따른 것으로, 첫 시즌인 이번 시즌에는 후반기 성적만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겼다. 에스트레마두라가 38점으로 가장 페어플레이 점수가 높은 구단으로 선정되었다.[5]
6. 1. 트로페오 피치치
해당 시즌의 최다 득점자에게 트로페오 피치치가 수여되었다.| 순위 | 이름 | 골 | 구단 | 페널티골 |
|---|---|---|---|---|
| 1 | 스페인 라울 | 25 | 레알 마드리드 | 4 |
| 2 | 브라질 히바우두 | 24 | 바르셀로나 | 5 |
| 3 | 아르헨티나 클라우디오 로페스 | 21 | 발렌시아 | 2 |
| 4 | 스페인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 19 | 레알 마드리드 | 0 |
| 파나마 훌리오 델리 발데스 | 오비에도 | 3 | ||
| 6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사보 밀로셰비치 | 17 | 사라고사 | 0 |
| 7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다르코 코바체비치 | 16 | 레알 소시에다드 | 1 |
| 스페인 이스마엘 우르사이스 | 아틀레틱 빌바오 | 2 | ||
| 9 | 네덜란드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 15 | 바르셀로나 | 0 |
| 10 | 아르헨티나 투루 플로레스 | 14 | 데포르티보 | 0 |
| 네덜란드 로이 마카이 | 테네리페 | |||
| 불가리아 류보슬라프 페네프 | 셀타 비고 | 5 | ||
| 13 | 루마니아 지커 크라이오베아누 | 13 | 비야레알 | 0 |
| 스페인 후안 산체스 | 셀타 비고 | |||
| 크로아티아 알렌 페테르나츠 | 바야돌리드 | 4 | ||
| 16 | 네덜란드 필립 코퀴 | 12 | 바르셀로나 | 0 |
| 스페인 다니 가르시아 | 마요르카 | 1 | ||
| 스페인 빅토르 산체스 | 라싱 산탄데르 | 3 | ||
| 스페인 마놀로 알파로 | 비야레알 | 6 | ||
| 20 | 스페인 루이스 엔리케 | 11 | 바르셀로나 | 0 |
| 아르헨티나 레오나르도 비아히니 | 마요르카 | 4 | ||
| 나이지리아 피니디 조지 | 베티스 |
6. 2. 트로페오 사모라
이 시즌 최소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트로페오 사모라가 수여되었다.| 순위 | 선수 | 클럽 | 경기 | 실점 | 실점률 |
|---|---|---|---|---|---|
| 1 | 카를로스 로아 | RCD 마요르카 | 35 | 29 | 0.83 |
| 2 | 토니 히메네스 | RCD 에스파뇰 | 38 | 38 | 1.00 |
| 3 |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 발렌시아 CF | 38 | 39 | 1.03 |
| 4 | 리샤르 뒤트뤼엘 | 셀타 비고 | 37 | 39 | 1.05 |
| 5 | 자크 송오 |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 37 | 40 | 1.08 |
| 6 | 세사르 산체스 | 레알 바야돌리드 | 38 | 42 | 1.11 |
| 7 | 알베르토 로페스 | 레알 소시에다드 | 37 | 41 | 1.11 |
| 이마놀 에체베리아 | 아틀레틱 빌바오 | 37 | 41 | 1.11 | |
| 9 | 뤼트 헤스프 | FC 바르셀로나 | 37 | 42 | 1.14 |
| 10 | 로니 가스페르치치 | CF 엑스트레마두라 | 31 | 37 | 1.19 |
6. 3. 페어플레이상
이 시즌을 기점으로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RFEF)는 페어플레이 제도를 신설했다. 이 제도는 점수제 방식으로 운영되며, 1998년 10월 30일 연맹 이사진의 합의를 통해 도입되었고, 이후 2000-01 시즌에 추가 회의를 거쳐 제도가 정착되었다.[13] 1998-99 시즌의 순위는 유의미한 통계치를 확보하기 위해 후반기부터 집계되었다.[13]
6. 4. 페드로 사바야 상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발렌시아의 지지자들이 공동으로 수상했다.[14]7. 선수 영입
- 괄호 안의 구단은 전 소속 구단을 나타낸다.
- 임대 영입 선수는 ''기울임꼴''로 표시된다.
| 구단 | 골키퍼 | 수비수 | 미드필더 | 공격수 |
|---|---|---|---|---|
| 바르셀로나 | 프랑크 더 부르 (아약스) 새뮤얼 오쿠노워 (슈팅 스타스) 마우리시오 페예그리노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로날트 더 부르 (아약스) 필립 코퀴 (PSV) 바우더베인 젠던 (PSV) |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밀란) | |
| 레알 마드리드 | 알바노 비사리 (라싱 클루브) | 이반 캄포 (마요르카) 로베르트 야르니 (베티스) | 호드리구 파브리 (포르투게자) 페데리코 마가야네스 (아탈란타) 페리차 오그녜노비치 (츠르베나 즈베즈다) 에드가르 파셰쿠 (벤피카) | |
| 마요르카 | 레오 프랑코 (메리다) | 로랑 (레반테) 페르난도 니뇨 (헤레스) 마우리시오 피네다 (보카 주니어스) 구스타보 시비에로 (라누스) 미켈 솔레르 (사라고사) | 오스카르 아르폰 (라싱 산탄데르) 프란시스코 루페테 (톨레도) | 레오나르도 비아히니 (메리다) 칼리토스 도밍게스 (세비야) 아리엘 로페스 (라누스) 디에고 트리스탄 (베티스 B) |
| 발렌시아 |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레알 마드리드) | 요아힘 비외르클룬 (레인저스) 알랭 로슈 (파리 생제르맹) 오스카르 테예스 (알라베스) | 가비 포페스쿠 (살라망카) 스테판 슈바르츠 (피오렌티나) 데니스 셰르반 (스테아우아) | 사빈 일리에 (코자엘리스포르) 크리스티아노 루카렐리 (아탈란타) |
| 셀타 비고 | 호세 마누엘 핀토 (베티스) | 페르난도 카세레스 (발렌시아) 프란 카니소스 (오우렌세) 아드리아누 테이셰이라 (헤시피) | 조란 조로비치 (오우렌세) 토마스 에르바스 (스포르팅 히혼) 클로드 마켈렐레 (마르세유) | 류보슬라프 페네프 (콤포스텔라) |
| 데포르티보 | 마누엘 파블로 (라스 팔마스) 하비 로페스 (라싱 산탄데르) 엔리케 로메로 (마요르카) 가브리엘 슈레르 (라싱 산탄데르) | 호세 라몬 곤살레스 (콤포스텔라) 스테판 지아니 (랑스) | 투루 플로레스 (라스 팔마스) 파울레타 (살라망카) 드미트리 랏첸코 (메리다) | |
| 에스파뇰 | 페데리코 도밍게스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장-필리프 자바리 (몽펠리에) 마놀로 페레스 (가바) 난 리베라 (피게레스) | 마르틴 포세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마누엘 세라노 (알라베스) 다리오 실바 (칼리아리) | |
| 아틀레틱 빌바오 | 펠리페 구렌데스 (오사수나) 안도니 이마스 (레알 소시에다드) | 산티아고 에스케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볼로 (에르쿨레스) | ||
| 사라고사 | 세사르 라이네스 (스포르팅 히혼) 파리드 몬드라곤 (인데펜디엔테) | 파블로 디아스 (스포르팅 히혼) 파코 헤메스 (데포르티보) | 사보 밀로셰비치 (애스턴 빌라) | |
| 레알 소시에다드 | 이고르 하우레기 (에이바르) | 호세 펠릭스 게레로 (라싱 산탄데르) | ||
| 베티스 | 셀소 아얄라 (리버 플레이트) 율리안 필리페스쿠 (갈라타사라이) 안드레이 프라스카렐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이토 (셀타 비고) 데니우송 (상 파울루) 벤하민 사란도나 (바야돌리드) | 호세 갈베스 (마요르카) 하파에우 자케스 (그레미우) | |
| 바야돌리드 | 호세 루이스 카미네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다니엘 뒤튀엘 (셀타 비고) 후안 비스카이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드라간 이사일로비치 (파르티잔) 알베르토 로페스 (라싱 산탄데르) |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호세 차모트 (라치오) 조란 녜구슈 (츠르베나 즈베즈다) 스테파노 토리시 (볼로냐) | 블라디미르 유고비치 (라치오) 오스카르 메나 (마요르카) 미켈레 세레나 (피오렌티나) 산티아고 솔라리 (리버 플레이트) 후안 카를로스 발레론 (마요르카) 조르조 벤투린 (라치오) | 로렌소 델 피노 (세비야) | |
| 오비에도 | 프랑크 라바리보니 (오세르) | 리카르도 방고 (스포르팅 히혼) 샤비에르 에스쿠르사 (마요르카) 이드리사 케이타 (레반테) 알베르트 나즈 (베티스) | 페테르 묄레르 (PSV) 파비우 핀투 (인테르나시오나우) | |
| 라싱 산탄데르 | 클라우디오 아르세노 (인데펜디엔테) 올로프 멜베리 (AIK) | 헬리 (셀타 비고) 빅토르 산체스 (레알 마드리드) 세르게이 슈스티코프 (CSKA 모스크바) 앙헬 비바르 도라도 (테네리페) | 호세 아마비스카 (레알 마드리드) 살바 바예스타 (세비야) 레이데르 프레시아도 (산타 페) | |
| 알라베스 | 키케 부르고스 (마요르카) | 알베르토 벨수에 (사라고사) 라울 가냔 (바라칼도) 이반 호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호세테 (베티스) | Nicola Berti (토트넘 홋스퍼) 알렉스 페르난데스 (스포르팅 히혼) 혼 솔라운 (로그로녜스) | 마누엘 카나발 (바야돌리드) 이스마엘 산티아고 (바르셀로나 B) 마그누 모셀린 (흐로닝언) 산티아고 레비야 (모랄로) 훌리오 살리나스 (요코하마 마리노스) |
| 엑스트레마두라 | 로니 가스페르치치 (하럴베커) | 다비드 벨렝게르 (알바세테) 미로슬라브 체르멜리 (UNAM) 레몽 카야 (파나하이키) | 헤안 페라리 (U. 데 데포르테스) 토니 벨라마산 (알바세테) 로랑 비오 (렌) | 이반 가브리치 (메리다) 아메드 와타라 (바젤) 호세 루이스 소토 (바야돌리드) |
| 비야레알 | 가리코이츠 바사우리 (레모나) | 이마놀 알과실 (레알 소시에다드) 마리우스 이오르다케 (U. 크라이오바) 이고르 타셰브스키 (파르티잔) | 왈테르 가이탄 (로사리오 센트랄) 헤라르도 가르시아 (바다호스) 헤수스 가르시아 산후안 (사라고사) 젤리코 칼라지치 (제문) 산드루 멘드스 (에르쿨레스) | 마누엘 알파로 (에르쿨레스) 지커 크라이오베아누 (레알 소시에다드) 모이세스 가르시아 (셀타 비고) |
| 테네리페 | 카를로스 몬토야 (메리다) | 하비 로페스 (라싱 산탄데르) 페데리코 루센호프 (산 로렌소) | 페데리코 바사빌바소 (산 로렌소) | 마르셀리노 디아스 (라스 팔마스) 미스타 (레알 마드리드 B) 피에르 로지 (사라고사) 레안드루 마샤두 (스포르팅 리스본) |
| 살라망카 | 디누 카스트루 (사모라) 누누 루이스 (비토리아 세투발) 크리스티안 루피디오 (킬메스) 레오 라모스 (에스투디안테스 라 플라타) | 리카르도 루나리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루시안 마리네스쿠 (라피드 부쿠레슈티) 커털린 문테아누 (스테아우아) | 마르틴 카르데티 (리버 플레이트) 카를로스 카사르테지 (힘나시아 후후이) |
참조
[1]
웹사이트
Barcelona 7-1 Deportivo Alavés
http://www.lfp.es/?t[...]
Liga de Fútbol Profesional
2010-06-09
[2]
웹사이트
Extremadura 1-5 Real Madrid
http://www.lfp.es/?t[...]
Liga de Fútbol Profesional
2010-06-09
[3]
웹사이트
Celta 6-2 Real Oviedo
http://www.lfp.es/?t[...]
Liga de Fútbol Profesional
2010-06-09
[4]
웹사이트
Athletic Bilbao 3-5 Real Oviedo
http://www.lfp.es/?t[...]
Liga de Fútbol Profesional
2010-06-09
[5]
웹사이트
Premio Juego Limpio para el Espanyol
http://hemeroteca-pa[...]
Mundo Deportivo
1999-07-01
[6]
웹사이트
Ganadores del Trofeo Pedro Zaballa
http://www.rfef.es/i[...]
Royal Spanish Football Federation
[7]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geocities[...]
[8]
문서
UEFA컵 출전권 획득
[9]
웹인용
Barcelona 7-1 Deportivo Alavés
http://www.lfp.es/?t[...]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2010-06-09
[10]
웹인용
Extremadura 1-5 Real Madrid
http://www.lfp.es/?t[...]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2010-06-09
[11]
웹인용
Celta 6-2 Real Oviedo
http://www.lfp.es/?t[...]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2010-06-09
[12]
웹인용
Athletic Bilbao 3-5 Real Oviedo
http://www.lfp.es/?t[...]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2010-06-09
[13]
웹인용
Premio Juego Limpio para el Espanyol
http://hemeroteca-pa[...]
엘 문도 데포르티보
1999-07-01
[14]
웹인용
Ganadores del Trofeo Pedro Zaballa
http://www.rfef.es/i[...]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