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드리드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드리드주는 스페인의 자치주로, 1833년 마드리드 현으로 시작하여 1983년 자치주로 발족했다. 이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로마 시대, 서고트 왕국, 알-안달루스 시대를 거쳐 기독교 왕국의 재정복과 발전을 겪으며 현재에 이르렀다. 마드리드주는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수도 마드리드를 포함한 광대한 도시 지역과 다양한 자연 환경을 보존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스페인 내에서 1인당 소득과 GDP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며, 서비스업, 건설업, 제조업이 발달했다. 마드리드는 179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드리드, 모스톨레스, 알칼라 데 에나레스 등이 주요 도시이다. 자치 정부는 의원내각제 형태로 운영되며, 마드리드 의회, 자치 공동체 대통령, 자치 정부로 구성된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세르카니아스 마드리드, 렌페, AVE 고속철도, 마드리드 지하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드리드주 - 마드리드주 축구 대표팀
    마드리드주 축구 대표팀은 마드리드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스페인 내전으로 활동이 위축되었으나 아스투리아스 공작 컵에서 우승하는 등 1920년대 초반까지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주요 클럽 선수들을 배출하며 스페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마드리드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스페인 내 마드리드 광역권 위치
스페인 내 마드리드 광역권 위치
기본 정보
행정 구역 유형자치 공동체 및 주
국가스페인
수도마드리드
면적8028 km²
면적 순위12위 (스페인 전체의 1.6%)
인구 (2024년)7,058,041명
인구 순위3위
인구 비율스페인 전체의 14.2%
인구 밀도850.13 명/km²
주민마드리드 사람 • 마드리드인 }}
HDI (2021년)0.940
• 1위
공식 언어스페인어
자치 헌장 발효일1983년 3월 1일
ISO 3166-2 코드ES-MD
웹사이트comunidad.madrid
정치
정부 형태자치 정부
자치 의회마드리드 자치 의회
수반대통령
현직 수반이사벨 디아스 아유소 (PP)
입법부마드리드 자치 의회
행정부마드리드 광역권 정부
하원 의석수37석 (총 350석 중)
상원 의석수11석 (총 265석 중)
경제
총 GDP (2022년)2,617억 1,300만 유로
1인당 GDP (2022년)38,435 유로
기타
주의회마드리드 자치 의회
깃발 및 문장
마드리드 광역권 깃발
깃발
마드리드 광역권 문장
문장
국가

2. 역사

기독교 왕국들은 이베리아 반도를 재정복한 후 4세기에 걸쳐 여러 선거구로 땅을 재편했다. 이 과정에서 봉건 영주와 교회 영주들은 재정착 권한을 부여받은 의회와 끊임없이 충돌했다.

부이트라고 델 로소야의 성벽


13세기에 마드리드는 현재 마드리드 지역에서 자체 사법권을 유지한 유일한 도시였다. 마드리드는 처음에는 오래된 ''푸에로''(헌장)에 따라 통치되었고, 나중에는 1262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가 부여하고 1339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11세가 비준한 왕실 푸에로에 따라 통치되었다. 반면 부이트라고 델 로소야, 알칼라 데 에나레스, 탈라만카 데 하라마와 같은 도시들은 빠르게 재정착했지만 봉건 영주나 교회 영주의 지배를 받았다. 특히 알칼라 데 에나레스는 톨레도 대교구의 통치하에 19세기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마드리드 주변에는 "티에라 데 마드리드"(마드리드 땅)라는 행정 구역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현재 산 세바스티안 데 로스 레예스, 코베냐, 라스 로사스 데 마드리드, 리바스-바시아마드리드, 토레혼 데 벨라스코, 알코르콘, 산 페르난도 데 에나레스, 그리뇬 자치구역을 포함하는 현재 마드리드 주의 기원이 되었다.

마드리드는 세고비아의 강력한 의회와 끊임없이 분쟁을 벌였다. 세고비아의 관할권은 과다라마 산맥 남쪽까지 미쳤고, 두 곳 모두 마나사레스 엘 레알이라는 큰 코마르카(郡)의 지배권을 놓고 다투었는데, 결국 멘도사 가문에게 주어졌다.

마나사레스 엘 레알 성


카스티야의 군주들은 풍부한 숲과 사냥감이 있는 이베리아 반도 중심부를 선호했다. 엘 파르도는 14세기 카스티야의 엔리케 3세 시대부터 왕들이 자주 방문하는 지역이었다. 가톨릭 군주는 아랑후에스 왕궁 건설을 시작했고,[10] 16세기에는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이 건설되어 주의 또 다른 왕실 지역이 되었다.

안톤 판덴 빙가르데의 16세기 마드리드 전경


카스티야 코르테스의 투표권을 가진 18개 도시 중 하나였던 마드리드는 여러 차례 법원의 자리였으며, 카를로스 1세를 포함한 여러 국왕들의 거주지였다. 카를로스 1세는 알카사르 궁전을 개조하고 확장하였다. 알칼라 데 에나레스는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시스네로스 추기경이 알칼라 대학교를 설립하면서 문화 중심지로 중요성이 커졌다.

펠리페 2세가 엘 에스코리알 공사를 감독하는 모습 (루카 조르다노 작품)


1561년, 펠리페 2세 국왕은 마드리드를 스페인 제국의 수도로 삼았다. 주변 지역은 마드리드 자체에 경제적으로 종속되었지만, 여러 귀족과 교회가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영토에 대한 사법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통합된 지역은 아니었다.

18세기 동안 여러 차례 시도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분열된 행정 체계는 해결되지 않았다. 펠리페 5세 치세에 정치적, 행정적 구분으로 인텐덴시아가 설립되었지만, 마드리드 인텐덴시아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고, 일부 과정이 중앙 집중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여전히 여러 작은 영지로 분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영토 분산은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드리드는 수도로서 전국에서 경제적 자원을 받았지만, 귀족이나 성직자의 손에 있던 주변 지역은 빈곤해졌다.

18세기 동안 마드리드는 여러 개의 장엄한 건물과 기념물, 그리고 많은 사회, 경제, 문화 기관의 설립을 통해 변모했다. 그중 일부는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다. 18세기 말 마드리드의 인구는 156,672명으로 증가했다.

1833년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 재편으로 현재 마드리드 주의 영토가 대략적으로 정의되었다.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가 주도한 이 개편에서 마드리드 주는 카스티야 라 누에바로 분류되었지만, 당시에는 지역 차원의 행정 기관은 존재하지 않았고, 주 차원의 정부 기관인 주 의회(''Diputación'')가 있었다. 중앙 정부가 임명한 시장(civil governor)도 주 차원의 정치 권력이었다.

1845년 이전에 마드리드 주의 경계에 두 가지 작은 변화가 있었다. 187 km2 크기의 아랑후에스가 톨레도 주에서 마드리드 주로 합류했고, 1850년에는 19 km2 크기의 작은 자치구 발데아베로가 과달라하라 주에서 마드리드 주에 합류했다.

1854년, 이사벨 2세 운하의 일부인 협곡의 다리-수도교 건설 (찰스 클리포드 작품)


수도 성장의 한계 중 하나였던 물 공급은 1858년 로소야 강에서 마드리드 시로 물이 유입되고 이사벨 2세 운하의 개통으로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헤타페에 있는 에릭슨이 운영하는 전화선 공장의 여성 노동자들 (1924년)


19세기 후반, 알칼라 데 에나레스 시는 군사 기지 지위를 새롭게 얻어 인구 증가와 경제적 호황을 경험했고, 초기 산업 중심지도 추가되었다.

페르난도 7세 통치 기간 동안 주의 남쪽은 작은 농업 정착지로 구성되었고, 그중 헤타페의 인구가 두드러졌다. 1834년에 헤타페는 사법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전 관할 구역의 주요 경제 활동은 여전히 관개되지 않은 농업이었다. 1851년 마드리드와 아랑후에스를 연결하는 철도인 딸기 열차와 함께 철도 교통이 들어왔다.

1939년 주 의회 본부의 폐허


스페인 내전(1936~1939) 동안 이 지역은 전선에 의해 분열되었다. 주의 남서부는 반란 세력이, 수도와 주의 대부분은 공화국에 충성하는 세력이 장악했다. 마드리드 시는 많은 폭격의 표적이 되었고, 이러한 체계적이고 대규모의 공습을 겪은 유럽 최초의 대도시가 되었다.

1970년대 이후 수도에서 대도시권의 다른 지자체로 인구가 이동하는 과정이 나타났다. 자치 공동체가 설립되면서 이 과정은 가속화되었고,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었다.

스페인 정부는 각 자치 지역에 중앙 정부 대표를 임명하는데, 이는 중앙 정부의 지방 행정부의 일부이다. 다른 단일 주 자치 지역과 달리, 정부는 지방 행정부의 후신 기관인 정부 부대표도 임명한다. 대표부와 부대표부의 청사는 모두 마드리드의 보르게토 궁전에 위치해 있다.

1983년 3월 1일, 마드리드 현은 단독으로 마드리드 주가 되었다.

2. 1. 선사 시대

마드리드 자치주는 건조한 여름이 특징이며, 평균 기온은 고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서로 다른 기후 아형을 형성한다. 자치주 대부분(수도 포함)은 열대성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와 냉랭한 반건조 기후(쾨펜 ''BSk'')의 중간 기후를 나타낸다. 여름은 건조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 주로 적당하거나 적은 양의 강우량이 분포하며(수도의 경우, 대략 춘분과 추분에 강수량이 최대가 되는 패턴을 보임), 7월과 8월에는 일일 최고 기온이 30°C를 꾸준히 넘는 여름철 평균 기온은 22°C 이상이다. 과다라마 산맥 근처의 고지대는 기온이 더 낮고 강수량이 더 많다(특히 겨울에). 기후 아형은 ''Csa''에서 온난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Csb'') 그리고 산맥 정상에서는 건조한 여름 대륙성 기후(쾨펜: ''Dsb'')까지 다양하며, 후자의 경우 1월과 2월의 평균 기온은 영하이다.

2. 2. 로마와 서고트 시대

마드리드 지역은 만사나레스 강, 하라마 강, 에나레스 강 사이의 계곡에서 구석기 시대 초기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으며, 여러 고고학적 발견이 이루어졌다.

이 지역에서 주목할 만한 발견으로는 종형토기 문화의 시엠포수엘로스 종형토기(기원전 1970년~1470년)[9]가 있다. --

2. 3. 알-안달루스 시대

콤플루툼(Complutum)의 디오니소스 저택 모자이크


로마 제국 시대에 이 지역은 남서쪽 일부가 루시타니아에 속한 것을 제외하고는 타라코넨시스 속주의 일부였다. 이 지역은 두 개의 중요한 로마 도로, 즉 아스토르가를 라미니움과 연결하는 ''via xxiv-xxix''과 에메리타 아우구스타와 카이사르아우구스타를 연결하는 ''via xxv''를 통해 연결되었고, 몇몇 중요한 도시들이 있었다. 콤플루툼(현재 알칼라 데 에나레스)은 중요한 대도시가 되었고, 티툴시아와 미아쿰은 중요한 교차로 마을이었다.

서고트 왕국 시대에 이 지역은 중요성을 잃었다. 인구는 여러 작은 마을에 흩어져 살았다. 콤플루툼은 5세기에 톨레도 대교구의 아스투리오 대주교의 명령으로 주교좌가 되었지만, 이 사건으로 도시의 잃어버린 영광을 되찾지는 못했다.

2. 4. 기독교 왕국의 재정복과 발전

이베리아 반도 중심부(알안달루스(Al-Andalus)의 중부 국경지대(aṯ-Ṯaḡr al-Awsaṭ) 또는 중앙지대)는 11세기에 전략적인 군사 요충지가 되었다. 무슬림 통치자들은 북쪽의 기독교 왕국들의 진격을 막기 위해 이 지역 전체에 요새와 탑으로 이루어진 방어 시스템을 구축했다.

마드리드(Mayrit) 요새는 서기 860년에서 880년 사이에 군사 및 종교 공동체가 거주하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건설되어 도시의 기초를 이루었다. 이 요새는 곧 탈라만카와 알칼라 데 에나레스(Qal'-at'-Abd-Al-Salam) 요새보다 톨레도 시 방어에 있어 가장 전략적인 요새가 되었다. 1083년(또는 1085년) 알폰소 6세는 톨레도 정복이라는 더 큰 전쟁의 맥락에서 마드리드를 점령했다. 알칼라 데 에나레스는 1118년에 카스티야에 합병되었다.

2. 5. 근대

13세기, 마드리드는 오늘날의 마드리드 지역에서 자체 사법권을 유지한 유일한 도시였다. 처음에는 오래된 ''푸에로''(헌장)에 따라, 나중에는 1262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가 부여하고 1339년 알폰소 11세가 비준한 왕실 푸에로에 따라 통치되었다. 반면, 부이트라고 델 로소야, 알칼라 데 에나레스, 탈라만카 데 하라마(Talamanca de Jarama)와 같은 도시들은 그 세기까지 빠르게 재정착되었지만 봉건 영주나 교회 영주의 지배를 받았다. 특히 알칼라 데 에나레스는 톨레도 대교구의 통치하에 있었고 19세기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10]

마드리드 주변에는 "티에라 데 마드리드(Tierra de Madrid)"(마드리드 땅)로 알려진 행정 구역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현재 산 세바스티안 데 로스 레예스, 코베냐, 라스 로사스 데 마드리드, 리바스-바시아마드리드, 토레혼 데 벨라스코, 알코르콘, 산 페르난도 데 에나레스, 그리뇬 자치구역을 포함하는 주의 기원이 되었다.[10]

마드리드는 세고비아의 강력한 의회와 끊임없이 분쟁을 벌였다. 세고비아의 관할권은 과다라마 산맥 남쪽까지 미쳤고, 두 곳 모두 마나사레스 엘 레알이라는 큰 코마르카(郡)의 지배권을 놓고 다투었는데, 결국 멘도사 가문에게 주어졌다.[10]

카스티야의 군주들은 풍부한 숲과 사냥감이 있는 이베리아 반도 중심부를 선호했다. 엘 파르도는 14세기 카스티야의 엔리케 3세 시대부터 왕들이 자주 방문하는 지역이었다. 가톨릭 군주는 아랑후에스 왕궁 건설을 시작했다.[10] 16세기에는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이 건설되어 주의 또 다른 왕실 지역이 되었다.[10]

1833년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 재편에서는 스페인 전역에 49개의 현(県)이 설치되었다. 이때 마드리드 현(県)도 설치되었고, 현청 소재지는 마드리드로 정해졌다. 마드리드 현(県), 시우다드 레알 현(Ciudad Real), 쿠엔카 현(Cuenca), 과달라하라 현(Guadalajara), 톨레도 현(Toledo)의 5개 현은 "역사적 지역"인 카스티야 라 누에바(Castilla la Nueva) 지역으로 묶였지만, "역사적 지역"에는 권한이나 행정 기관이 존재하지 않았다.

1939년부터 1975년까지 프랑코 독재 체제를 거쳐, 스페인 민주화 이행기인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에는 스페인 전역에 17개의 자치주(自治州)가 설치되었다. 1983년 3월 1일 마드리드 현(県) 단독으로 마드리드 주(州)가 발족했다. 시우다드 레알 현(Ciudad Real), 쿠엔카 현(Cuenca), 과달라하라 현(Guadalajara), 톨레도 현(Toledo), 알바세테 현(Albacete)의 5개 현은 카스티야 라 만차 주(Castilla-La Mancha)가 되었다.

2. 6. 마드리드 주 성립



카스티야 코르테스(Cortes of Castile)의 투표권을 가진 18개 도시 중 하나였던 마드리드는 여러 차례 법원의 자리였으며, 카를로스 1세 (스페인 카를로스 1세) 황제를 포함한 여러 국왕들의 거주지였다. 카를로스 1세는 알카사르(Alcázar) 궁전을 개조하고 확장하였다. 알칼라 데 에나레스는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시스네로스 추기경이 알칼라 데 에나레스 대학교를 설립하면서 문화 중심지로 중요성이 커졌다.

1561년, 펠리페 2세(스페인 펠리페 2세) 국왕은 마드리드를 히스파닉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주변 지역은 마드리드에 경제적으로 종속되었으며, 현재 마드리드 자치 지역의 경계를 넘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여러 귀족과 교회가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영토에 대한 사법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통합된 지역은 아니었다.[1]

18세기 동안 여러 차례 시도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분열된 행정 체계는 해결되지 않았다. 펠리페 5세(스페인 펠리페 5세) 치세에 정치적, 행정적 구분으로 인텐덴시아(intendencia)가 설립되었으나, 마드리드 인텐덴시아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다. 일부 과정이 중앙 집중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여전히 여러 작은 영지로 분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영토 분산은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드리드는 수도로서 전국에서 경제적 자원을 받았지만, 귀족이나 성직자의 손에 있던 주변 지역은 빈곤해졌다.[1]

18세기 동안 마드리드는 여러 개의 장엄한 건물과 기념물, 그리고 많은 사회, 경제, 문화 기관이 설립되며 변모했다. 그중 일부는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다. 18세기 말 마드리드의 인구는 156,672명으로 증가했다.[1]

1833년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 재편으로 스페인 전역에 49개의 현(県)이 설치되었다. 이때 마드리드 현(県)도 설치되었고, 현청 소재지는 마드리드로 정해졌다. 마드리드 현, 시우다드 레알 현, 쿠엔카 현, 과달라하라 현, 톨레도 현의 5개 현은 "역사적 지역"인 카스티야-라 누에바로 묶였지만, "역사적 지역"에는 권한이나 행정 기관이 존재하지 않았다.[1]

프랑코 독재 체제 이후, 스페인 민주화 이행기인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에 스페인 전역에 17개의 자치주(自治州)가 설치되었다. 1983년 3월 1일, 마드리드 현이 단독으로 마드리드 주가 발족했다. 시우다드 레알 현, 쿠엔카 현, 과달라하라 현, 톨레도 현, 알바세테 현의 5개 현은 카스티야-라 만차 주(Castilla-La Mancha)가 되었다.[1]

2. 7. 마드리드 자치주

1833년 스페인의 주(州) 개편으로 현재 마드리드 주의 영토가 대략적으로 정의되었다.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Javier de Burgos)가 주도한 이 개편에서 마드리드 주는 카스티야 지방으로 분류되었지만, 당시에는 지역 차원의 행정 기관은 존재하지 않았고, 주(州) 차원의 정부 기관인 주 의회(''Diputación'')가 있었다. 중앙 정부가 임명한 시장(civil governor)도 주(州) 차원의 정치 권력이었다.

1845년 이전에 마드리드 주의 경계에 두 가지 작은 변화가 있었다. 187 km2 크기의 아랑후에스(Aranjuez)가 톨레도 주(province of Toledo)에서 마드리드 주로 합류했고, 1850년에는 19 km2 크기의 작은 자치구 발데아베로(Valdeavero)가 과달라하라 주(province of Guadalajara)에서 마드리드 주에 합류했다.

1858년 로소야 강(Lozoya River)에서 마드리드 시로 물이 유입되고 이사벨 2세 운하(Canal de Isabel II)가 개통되면서, 수도 성장의 한계 중 하나였던 물 공급에 상당한 변화가 생겼다.[1]

19세기 후반, 알칼라 데 에나레스(Alcalá de Henares) 시는 군사 기지 지위를 새롭게 얻어 인구 증가와 경제적 호황을 경험했고, 초기 산업 중심지도 추가되었다.[2]

스페인의 페르디난드 7세(Ferdinand VII of Spain) 통치 기간 동안 주의 남쪽은 작은 농업 정착지로 구성되었고, 그중 헤타페(Getafe)의 인구가 두드러졌다.[3] 1834년에 헤타페는 사법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4] 이전 관할 구역의 주요 경제 활동은 여전히 관개되지 않은 농업이었다.[5] 1851년 마드리드와 아랑후에스(Aranjuez)를 연결하는 철도인 딸기 열차(Strawberry train)와 함께 철도 교통(Rail transport)이 들어왔다.

스페인 내전(Spanish Civil War)(1936~1939) 동안 이 지역은 전선에 의해 분열되었다. 주의 남서부는 반란 세력이, 수도와 주의 대부분은 공화국에 충성하는 세력이 장악했다. 마드리드 시는 많은 폭격의 표적이 되었고, 이러한 체계적이고 대규모의 공습을 겪은 유럽 최초의 대도시가 되었다.[6]

1970년대 이후 수도에서 대도시권의 다른 지자체로 인구가 이동하는 과정이 나타났다. 자치 공동체가 설립되면서 이 과정은 가속화되었고,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었다.[7]

1983년 3월 1일, 마드리드 현(県)은 단독으로 마드리드 주(州)가 되었다.

3. 지리

마드리드 주는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온대 기후를 보이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마드리드 주는 약 8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대부분 해발 600~1,000m에 위치한다. 페냐라라 (2,428m)에서 알베르체 강 (430m)까지 고도가 다양하며, 나바세라다, 시에테 피코스, 페냐 세보예라 등도 주요 산봉우리이다.
동물상

분류내용
보호종 조류스페인 황제 독수리, 황금 독수리, 보넬리 독수리, 회색 독수리, 흰꼬리수리, 검은 황새
외래 침입종붉은귀거북, 회색앵무, 큰입배스, 로즈링드 앵무, 미국수달, 라쿤
기타검은머리갈매기, 작은검은등갈매기, 가마우지, 유럽산비둘기, 아이베리아 아이벡스
양서류불도롱이, 무늬도룡용, 알프스도룡용, 이베리아개구리 등
파충류키렌바위도마뱀, 유럽벽도마뱀, 이베리아에메랄드도마뱀, 유럽맹꽁이 등
어류유럽뱀장어, 이베리아 잉어 (멸종 위기), 파이크, 검은황소메기 (침입종)


식물상

분류내용
고지대아그로스티스 트렁카툴라, 페스투카 인디게스타, 미누아르티아 레쿠르바
정상선 아래시티수스 오로메디테라네우스, 보통주니퍼, 소나무
상수리나무 서식지 위검은소나무, 피레네참나무
기타자작나무, 흰자작나무, 가시나무, 프랑스라벤더



마드리드 지역의 54.4%는 숲이며, 19세기 후반부터 로소야 계곡을 중심으로 수도에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나무 재배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3. 1. 지형

마드리드 자치 지역의 지형도


페냐라라: 과다라마 산맥의 최고봉


마드리드 주는 약 70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도시 지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서식지와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마드리드에는 2,000m가 넘는 산봉우리, 홀름 오크 데에사(Dehesa)와 저지대 평야가 있다. 과다라마 산맥의 비탈은 소나무와 피레네 참나무의 울창한 숲으로 덮여 있다. 로소야 계곡은 대규모 검독수리(수도승 독수리) 서식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마지막 남은 스페인 황제 독수리의 보루 중 하나는 그레도스(Gredos)와 과다라마 산맥 사이 데에사 언덕의 수로에스테(Suroeste) 자연공원에서 발견된다. 코피오와 알베르체 강 사이 지역에서 이베리아 스라소니가 발견되었을 가능성은 이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보여준다. 지형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저수지와 소규모 댐이 있으며, 그중 산티야나 저수지가 가장 크다.

마드리드 주 지도를 보면 거의 정삼각형에 가깝고, 그 중심에 마드리드 시가 위치한다. 서쪽 경계는 "중앙 산계"(과다라마 산맥)와 접하고, 남쪽 경계는 타호 강을 따라 돌출되어 왕궁이 있는 아란후에스를 포함한다. 삼각형의 동쪽 가장자리는 하천 유역의 분리에서 비롯된다. 이 자치 지역은 타호 강 유역에 위치한다. 타호 강은 자치 지역의 남쪽 경계를 지나 대서양으로 서쪽으로 흘러가면서 하라마 강(차례로 로소야, 과달릭스, 만사나레스, 에나레스, 타후냐의 물을 모음), 알베르체 강, 과다라마의 물을 배수한다.[1]

이 자치 지역에는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지역의 아빌라 주와 세고비아 주 사이에 지리적으로 위치한 대부분이 개방된 지역인 데에사 데 라 세페다(산타 마리아 데 라 알라메다 시의 일부)의 외딴 지역도 포함된다.

마드리드 주는 약 8km2(전 스페인 영토의 1.6%)의 면적을 차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마드리드의 정확한 위치는 영국 그리니치 서경 3° 40', 적도 북위 40° 23'이다.

주 대부분은 해발 600~1,000m에 위치한다. 그러나 고도는 페냐라라의 2,428m에서 빌라 델 프라도를 지나 토레도 주로 들어가는 알베르체 강의 430m까지 다양하다.[2] 다른 상당한 높이와 유명한 곳으로는 나바세라다의 볼라 델 문도("세계의 공") 2,258m, 세르세디야의 시에테 피코스("7개의 봉우리") 2,138m, 주 최북단에 있는 페냐 세보예라(2,129m)가 있는데, 이곳은 마드리드 지역과 세고비아 주 및 과달라하라 주 사이의 삼국접점이다.

;동물상

불도롱이


알제리모래도마뱀 만사나레스 엘 레알


이 지역에 서식하는 보호종 조류 중에는 스페인 황제 독수리, 황금 독수리, 보넬리 독수리, 회색 독수리, 흰꼬리수리, 검은 황새가 눈에 띈다.[3]

이 지역의 외래 침입종 조류와 포유류에는 붉은귀거북, 회색앵무, 큰입배스, 로즈링드 앵무, 미국수달, 라쿤이 포함된다.[4] "제자리에 있지 않은" 종으로 개체수가 증가하는 종으로는 검은머리갈매기, 작은검은등갈매기, 가마우지, 유럽산비둘기가 있으며,[5] 상징적인 아이베리아 아이벡스는 약 1세기 동안 마드리드 산에서 사라진 후 1990년에 이 지역에 재도입된 후 라 페드리자에서 "통제 불능" 상태에 이른 종의 사례로 제시된다.[6]

고지대에 서식하는 산악 양서류에는 불도롱이, 무늬도룡용, 알프스도룡용, 이베리아개구리, 유럽나무개구리, 산파두꺼비가 있다.[7] 산악 중간 고도의 물줄기 근처에는 보스카도룡용, 남부무늬도룡용, 지중해나무개구리, 이베리아산파두꺼비와 같은 종이 있다.[8] 파슬리개구리와 ''Alytes obstetricans pertinax''는 이 지역 남동쪽 타호 강 근처 석회암 저지대에 서식한다.[8] 다양한 고도에 적응하는 전반적인 양서류 중에는 물두꺼비, 두꺼비, 이베리아청개구리가 눈에 띈다.[8] 고도에 의해 제한되지만(이 경우) 광범위한 분포 범위를 가진 다른 종으로는 갈리파토, 이베리아삽발개구리, 이베리아점박이개구리, 스페인점박이개구리가 있다.[8]

파충류의 경우 키렌바위도마뱀, 유럽벽도마뱀, 이베리아에메랄드도마뱀, 유럽맹꽁이 또는 무자비뱀이나 ''비페라 라타스테이''와 같은 뱀이 산악 고지대에 서식한다.[9] 산악 저지대에는 유럽못자라와 브레디아가도마뱀이 서식하고, 서양거짓무자비뱀은 이 지역 남쪽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10] 다양한 생물군계에 적응하는 전반적인 파충류 종 중에는 스페인못자라, 마우리타니아벽도마뱀, 서양세발가락도마뱀, 가시발도마뱀, 눈알도마뱀, 알제리모래도마뱀, 스페인모래도마뱀, 어디에나 있는 이베리아벽도마뱀, 이베리아벌레도마뱀, ''코로넬라 지롱디카'', 몽펠리에뱀, 유럽능구렁이, 유럽물뱀이 있다.[11]

어류 종은 이 지역의 많은 저수지의 영향을 받는다.[1] 강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는 유럽뱀장어, 이베리아 잉어, ''스쿠알리우스 알부르노이데스'', ''코비티스 칼데로니'', 그리고 잠재적으로 ''콘드로스토마 레밍기''가 있다.[12] 반대로 침입 어종에는 파이크, 검은황소메기, 펌프킨시드, 잔더, 잔어, 블랙배스가 포함된다.[12]

;식물상

마드리드 지역 기후의 특징인 여름 가뭄. (초국가적인 카르파티아 산맥과 유럽 기타 지역의 고대 및 원시 너도밤나무 숲 세계유산의 일부)는 특수한 미기후를 특징으로 하는 잔존 숲으로, 이 지역에서 일반적인 조건으로는 자라지 않는 유라시아 종이 자랄 수 있게 한다.


아르간다 델 레이의 올리브 나무 과수원


산봉우리 근처에는 ''아그로스티스 트렁카툴라'', ''페스투카 인디게스타'', ''미누아르티아 레쿠르바'', ''필로셀라 발리'', ''플랜타고 홀로스테움'', ''타임 프레콕스''와 같은 고지중해 식물이 흔하다.[13] 정상선 아래에는 시티수스 오로메디테라네우스와 보통주니퍼와 같은 관목 종과 소나무가 우세하다.[14] 상수리나무 서식지 위에는 검은소나무와 피레네참나무가 많이 있다.[15]

유라시아 식물상은 이 지역에서 흔하지 않으며, 자작나무와 흰자작나무와 같은 종은 특수 기후 조건을 갖춘 매우 특정한 습한 계곡 지역에 국한된다.[16] ''캄피냐''의 최고 식물은 가시나무이다. 가시나무 숲이 퇴화될 때 우세해지는 종으로는 끈적끈적한 관목, 레타마 스페어로카르파, 프랑스라벤더, ''타임 마스티키나'', ''타임 지기스''가 있다.[17]

과다라마 산맥의 저지대에는 ''주니퍼스 투리페라'', 해송, 포르투갈참나무, 스톤파인과 같은 종이 서식하며, 근처 지역 서쪽 끝의 다소 습한 지역에서만 밤나무 숲이 있다.[18]

이 지역 면적의 54.4%는 숲 지역으로 분류되는 토양이며, 그중 51.4%(지역 전체의 27.7%)가 이미 숲으로 덮여 있으므로 나무 재배치를 위한 공간이 있다.[19] 나무 재배치를 위한 최초의 소규모 노력은 19세기 후반 로소야 계곡에서 이루어졌으며, 수도에 식수를 공급하는 강에서 더 깨끗한 물을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20] 그러나 이 과정의 대부분은 스페인 내전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여러 종의 침엽수를 성공적으로 재배치했다.[21]

3. 2. 기후

마드리드주는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온대 기후를 보인다.

3. 3. 생태



아이베리아 아이벡스(''Capra pyrenaica'') 라 페드리자


약 70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도시 지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마드리드 자치 지역은 여전히 상당히 손상되지 않고 다양한 서식지와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마드리드는 2,000m가 넘는 산봉우리, 홀름 오크 데에사(Dehesa)와 저지대 평야가 있는 곳이다. 과다라마 산맥의 비탈은 소나무와 피레네 참나무의 울창한 숲으로 뒤덮여 있다. 로소야 계곡은 대규모 검독수리(수도승 독수리) 서식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마지막 남은 스페인 황제 독수리의 보루 중 하나는 그레도스(Gredos)와 과다라마 산맥 사이 데에사 언덕의 수로에스테(Suroeste) 자연공원에서 발견된다. 코피오와 알베르체 강 사이 지역에서 이베리아 스라소니의 존재가 최근에 확인되었을 가능성은 이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지형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저수지와 소규모 댐이 있으며, 그중 산티야나 저수지가 가장 크다.

이 자치 지역에는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지역의 아빌라 주와 세고비아 주 사이에 지리적으로 위치한 대부분이 개방된 지역인 데에사 데 라 세페다(산타 마리아 데 라 알라메다 시의 일부)의 외딴 지역도 포함된다.

마드리드 주는 약 8km2(전 스페인 영토의 1.6%)의 면적을 차지한다. 주 대부분은 해발 600~1,000m에 위치한다. 그러나 고도는 페냐라라의 2,428m에서 빌라 델 프라도를 지나 토레도 주로 들어가는 알베르체 강의 430m까지 다양하다. 다른 상당한 높이와 유명한 곳으로는 나바세라다의 볼라 델 문도("세계의 공") 2,258m, 세르세디야의 시에테 피코스("7개의 봉우리") 2,138m, 주 최북단에 있는 페냐 세보예라(2,129m)가 있는데, 이곳은 마드리드 지역과 세고비아 주 및 과달라하라 주 사이의 삼국접점이다.

;동물상

이 지역에 서식하는 보호종 조류 중에는 스페인 황제 독수리, 황금 독수리, 보넬리 독수리, 회색 독수리, 흰꼬리수리, 검은 황새가 눈에 띈다. 이 지역의 외래 침입종 조류와 포유류에는 붉은귀거북, 회색앵무, 큰입배스, 로즈링드 앵무, 미국수달, 라쿤이 포함된다. "제자리에 있지 않은" 종으로 개체수가 증가하는 종으로는 검은머리갈매기, 작은검은등갈매기, 가마우지, 유럽산비둘기가 있으며, 상징적인 아이베리아 아이벡스는 약 1세기 동안 마드리드 산에서 사라진 후 1990년에 이 지역에 재도입된 후 라 페드리자에서 "통제 불능" 상태에 이른 종의 사례로 제시된다.

고지대에 서식하는 산악 양서류에는 불도롱이, 무늬도룡용, 알프스도룡용, 이베리아개구리, 유럽나무개구리, 산파두꺼비가 있다. 산악 중간 고도의 물줄기 근처에는 보스카도룡용, 남부무늬도룡용, 지중해나무개구리, 이베리아산파두꺼비와 같은 종이 있다. 파슬리개구리와 ''Alytes obstetricans pertinax''는 이 지역 남동쪽 타호 강 근처 석회암 저지대에 서식한다. 다양한 고도에 적응하는 전반적인 양서류 중에는 물두꺼비, 두꺼비, 이베리아청개구리가 눈에 띈다. 고도에 의해 제한되지만(이 경우) 광범위한 분포 범위를 가진 다른 종으로는 갈리파토, 이베리아삽발개구리, 이베리아점박이개구리, 스페인점박이개구리가 있다.

파충류의 경우 키렌바위도마뱀, 유럽벽도마뱀, 이베리아에메랄드도마뱀, 유럽맹꽁이 또는 무자비뱀이나 ''비페라 라타스테이''와 같은 뱀이 산악 고지대에 서식한다. 산악 저지대에는 유럽못자라와 브레디아가도마뱀이 서식하고, 서양거짓무자비뱀은 이 지역 남쪽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다양한 생물군계에 적응하는 전반적인 파충류 종 중에는 스페인못자라, 마우리타니아벽도마뱀, 서양세발가락도마뱀, 가시발도마뱀, 눈알도마뱀, 알제리모래도마뱀, 스페인모래도마뱀, 어디에나 있는 이베리아벽도마뱀, 이베리아벌레도마뱀, ''코로넬라 지롱디카'', 몽펠리에뱀, 유럽능구렁이, 유럽물뱀이 있다.

어류 종은 이 지역의 많은 저수지의 영향을 받는다. 강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는 유럽뱀장어, 이베리아 잉어, ''스쿠알리우스 알부르노이데스'', ''코비티스 칼데로니'', 그리고 잠재적으로 ''콘드로스토마 레밍기''가 있다. 반대로 침입 어종에는 파이크, 검은황소메기, 펌프킨시드, 잔더, 잔어, 블랙배스가 포함된다.

;식물상

산봉우리 근처에는 ''아그로스티스 트렁카툴라'', Armeria caespitosa|es, ''페스투카 인디게스타'', Jasione crispa|es, Jurinea humilis|es, ''미누아르티아 레쿠르바'', ''필로셀라 발리'', ''플랜타고 홀로스테움'', ''타임 프레콕스''와 같은 고지중해 식물이 흔하다. 정상선 아래에는 시티수스 오로메디테라네우스와 보통주니퍼와 같은 관목 종과 소나무가 우세하다. 상수리나무 서식지 위에는 검은소나무와 피레네참나무가 많이 있다.

유라시아 식물상은 이 지역에서 흔하지 않으며, 자작나무와 흰자작나무와 같은 종은 특수 기후 조건을 갖춘 매우 특정한 습한 계곡 지역에 국한된다. ''캄피냐''의 최고 식물은 가시나무이다. 가시나무 숲이 퇴화될 때 우세해지는 종으로는 끈적끈적한 관목, 레타마 스페어로카르파, 프랑스라벤더, ''타임 마스티키나'', ''타임 지기스''가 있다.

과다라마 산맥의 저지대에는 ''주니퍼스 투리페라'', 해송, 포르투갈참나무, 스톤파인과 같은 종이 서식하며, Alto del Mirlo|es 근처 지역 서쪽 끝의 다소 습한 지역에서만 밤나무 숲이 있다.

이 지역 면적의 54.4%는 숲 지역으로 분류되는 토양이며, 그중 51.4%(지역 전체의 27.7%)가 이미 숲으로 덮여 있으므로 나무 재배치를 위한 공간이 있다. 나무 재배치를 위한 최초의 소규모 노력은 19세기 후반 로소야 계곡에서 이루어졌으며, 수도에 식수를 공급하는 강에서 더 깨끗한 물을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 과정의 대부분은 스페인 내전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여러 종의 침엽수를 성공적으로 재배치했다.

4. 행정 구역

마드리드 자치주는 179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며, 이는 스페인 주 중 23위에 해당한다. 아윤타미엔토(시청)는 시장이 주재하며 대부분의 지방 자치체의 정부와 행정을 담당하는 공식 기관이다. 아윤타미엔토의 의결 기관을 구성하는 지방 의회 의원들은 폐쇄형 정당 명부와 5%의 선거 기준을 적용한 정비례 대표제를 통해 직접 선출된다.

1948년부터 1954년 사이에는 마드리드시가 차마르틴 데 라 로사, 후엔카랄, 바라하스, 엘 파르도, 오르타레사, 카닐라스, 카닐예하스, 비칼바로, 발레카스, 비야베르데, 카라반첼 알토, 카라반첼 바하, 아라바카 등 인근 지방 자치체들을 합병했다.

마드리드 주에는 179개의 무니시피오(기초자치단체)가 있으며, 마드리드 주변의 자치단체들은 마드리드 광역권을 형성하고 있다. 20개의 사법구(''partidos judiciales'')가 있으며, 각 사법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1심 법원이 있다.

4. 1. 주요 도시

마드리드 자치주 행정 지도


마드리드 자치주는 179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스페인 영토의 2.2%를 차지하며, 지방 자치체 수로는 스페인 주 중 23위에 해당한다. 마드리드 자치주의 지방 자치체 평균 면적은 44.8km2이다.

면적이 가장 큰 5개 지방 자치체는 마드리드(605.8km2), 아란후에스(189.1km2), 콜메나르 비에호(182.6km2), 라스카프리아(150.3km2), 만사나레스 엘 레알(128.4km2)이다.

면적이 가장 작은 5개 지방 자치체는 카사루부엘로스(5.3km2), 라 세르나 델 몬테(5.4km2), 펠라요스 데 라 프레사(7.6km2), 마다르코스(8.5km2), 토레혼 데 라 칼사다(9km2)이다.

마드리드 주에는 20개의 사법구가 있으며, 이들의 관할 구역은 알칼라 데 에나레스, 알코벤다스, 알코르콘, 아란후에스, 아르간다 델 레이, 콜라도 비야알바, 콜메나르 비에호, 코슬라다, 푸엔라브라다, 헤타페, 레가네스, 마드리드, 마하다혼다, 모스톨레스, 나발카르네로, 파르라,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 토레혼 데 아르도스, 토레라구나, 발데모로, 발다라세테 지방 자치체에 해당한다.

마드리드 주변의 자치단체들은 마드리드 광역권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은 2019년 기준 인구가 많은 상위 20개 기초자치단체 목록이다.

#기초자치단체인구
(2019년)
#기초자치단체인구
(2019년)
1마드리드3,266,12611라스 로사스 데 마드리드95,814
2모스톨레스209,18412산 세바스티안 데 로스 레예스89,276
3알칼라 데 에나레스195,64913리바스 바시아마드리드88,150
4푸엔라브라다193,70014포세로 데 아랄콘86,422
5레가네스189,86115코슬라다81,661
6헤타페183,37416발데모로75,983
7알코르콘170,51417마하다온다71,826
8토레혼 데 아르도스131,37618콜라도 비야알바63,679
9파르라130,12419아란후에스59,607
10알코벤다스117,04020아르간다 델 레이55,389


4. 2. 사법 관할구

마드리드주에는 20개의 사법구(partidos judiciales)가 있으며, 이들의 관할 구역은 알칼라 데 에나레스, 알코벤다스, 알코르콘, 아란후에스, 아르간다 델 레이, 콜라도 비야알바, 콜메나르 비에호, 코슬라다, 푸엔라브라다, 헤타페, 레가네스, 마드리드, 마하다혼다, 모스톨레스, 나발카르네로, 파르라,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 토레혼 데 아르도스, 토레라구나, 발데모로 등의 지방 자치체에 해당한다.[48] 1985년 이후로 산 마르틴 데 발데이글레시아스의 역사적인 사법구는 더 이상 사법구가 아니다. 이 관할권은 사법 행정과 관련이 있으며, 관할 구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1심 법원이 있다.

마드리드주는 21개의 사법 관할구로 나뉜다.[48] 각 사법 관할구의 중심 자치단체는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

번호사법 관할구중심 자치단체구성 자치단체
1토레라구나 사법 관할구[49]토레라구나라 아세베다, 아라메다 델 바예, 엘 아타사르, 엘 베르에코, 베르소사 델 로소하, 브라오호스, 부이트라구 델 로소하, 부스타르비에호, 카바니하스 데 라 시에라, 라 카브레라, 카넨시아, 세르베라 데 부이트라구, 갈간타 데 로스 몬테스, 갈간티하 델 로소하 이 피니하 데 부이트라구, 가스코네스, 라 이루에라, 오르카호 데 라 시에라, 오르카후에로 데 라 시에라, 로소하, 로소하-나바스-시에테이그레시아스, 마달코스, 몬테호 데 라 시에라, 나바라후엔테, 나바레돈다 이 산 마메스, 파토네스, 피니하 델 바예, 피뉴에칼-간두하스, 프라데나 델 린콘, 푸에블라 데 라 시에라, 푸엔테스 비에하스, 라스카프리아, 레두에냐, 로블레디호 데 라 하라, 로블레고르도, 라 시에라 델 몬테, 소모시에라, 트레모차 데 할라마, 발데만코, 엘 베혼, 벤투라다, 비야비에하 델 로소하
2토레혼 데 아르도스 사법 관할구[50]토레혼 데 아르도스아할빌, 알헤테, 코베냐, 다간소 데 아리바, 프레스노 데 트로테, 푸엔테 엘 사스 데 할라마, 팔라케호스 데 할라마, 리바테하다, 발데오르모스-아랄팔도, 발데토레스 데 할라마
3나발카르네로 사법 관할구[51]나발카르네로엘 아라모, 알데아 델 프레스노, 아로호모리노스, 바트레스, 카달소 데 로스 비드리오스, 카살부에로스, 세니시엔토스, 차피네리아, 쿠바스 데 라 사그라, 그리뇬, 모라레호 데 엔메디오, 나바스 델 레이, 펠라호스 데 라 프레사, 로사스 데 푸에르토 레알, 산 마르틴 데 발데이그레시아스, 세라니호스 델 바예, 세비야 라 누에바, 비야 델 프라도, 비야만타, 비야만티하, 비야누에바 데 펠라레스
4알칼라 데 에나레스 사법 관할구[52]알칼라 데 에나레스안추에로, 카마르마 데 에스테레라스, 콜파, 메코, 페스에라 데 라스 토레스, 산톨카스, 로스 산토스 데 라 우모사, 발데아베로, 발베르데 데 알칼라, 비야르비하
5알코벤다스 사법 관할구[53]알코벤다스엘 모랄, 페드레스에라, 산 아구스틴 델 과달릭스, 산 세바스티안 데 로스 레헤스, 타라만카 데 할라마, 발데피에라고스
6모스톨레스 사법 관할구[54]모스톨레스보아디하 데 몬테, 브루네테, 키홀나, 비야누에바 데 라 카냐다, 비야비시오사 데 오돈
7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 사법 관할구[55]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코르메날 델 아로호, 코르메나레호, 엘 에스코리알, 프레스네디하스 데 라 올리바, 나바라가메하, 로블레도 데 차베라, 산타 마리아 데 라 아라메다, 발데마케다, 발데모리호, 비야누에바 델 팔디호, 살사레호
8아란후에스 사법 관할구[56]아란후에스베르몬테 데 타호, 코르메날 데 오레하, 비야코네호스
9레가네스 사법 관할구[57]레가네스
10헤타페 사법 관할구[58]헤타페
11마드리드 사법 관할구[59]마드리드
12마하다혼다 사법 관할구[60]마하다혼다라스 로사스 데 마드리드
13코슬라다 사법 관할구[61]코슬라다메호라다 델 캄포, 산 페르난도 데 에나레스, 베리하 데 산 안토니오
14아르간다 델 레이 사법 관할구[62]아르간다 델 레이암비테, 브레아 데 타호, 캄포 레알, 카라바냐, 에스트레메라, 푸엔티두에냐 데 타호, 로에체스, 모라타 데 타후냐, 누에보 바스탄, 올메다 데 라스 푸엔테스, 오르스코 데 타후냐, 펠라레스 데 타후냐, 포스에로 델 레이, 리바스-바시아마드리드, 티엘메스, 토레스 데 라 아라메다, 발다라세테, 발디레차, 비야만리케 데 타호, 비야르 델 올모, 비야레호 데 살바네스
15콜라도 비야알바 사법 관할구[63]콜라도 비야알바알페드레테, 세르세디하, 코하도 메디아노, 갈라파갈, 과달라마, 로스 모리노스, 토레로도네스
16파를라 사법 관할구[64]파를라핀토
17알코르콘 사법 관할구[65]알코르콘
18푸엔라브라다 사법 관할구[66]푸엔라브라다우마네스 데 마드리드
19콜메나르 비에호 사법 관할구[67]콜메나르 비에호베세릴 데 라 시에라, 엘 보아로, 과달릭스 데 라 시에라, 오호 데 망사나레스, 망사나레스 엘 레알, 미라플로레스 데 라 시에라, 모랄살살, 나바세라다, 소토 델 레알, 트레스 칸토스
20발데모로 사법 관할구[68]발데모로킨촌, 시엠포스에로스, 산 마르틴 데 라 베가, 티툴시아, 트레혼 데 라 칼사다, 트레혼 데 베라스코, 발데라구나
21포수엘로 데 알라르콘 사법 관할구[69]포수엘로 데 알라르콘


5. 정치

1833년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Javier de Burgos)가 주도한 스페인의 주(州) 개편으로 현재 마드리드 주의 영토가 대략적으로 정해졌다.[1] 마드리드 주는 카스티야 지방으로 분류되었지만, 당시 지역 차원의 행정 기관은 없었고 주(州) 차원의 정부 기관인 주 의회(''Diputación'')가 있었다.[1] 중앙 정부가 임명한 시장(civil governor)도 주(州) 차원의 정치 권력을 가졌다.[1]

이후 마드리드 주 경계와 관련하여 두 가지 작은 변화가 있었다.[1] 1845년 이전에는 톨레도 주(province of Toledo) 소속이었던 아랑후에스(187km2)가 마드리드 주에 합류했고, 1850년에는 과달라하라 주(province of Guadalajara)의 일부였던 발데아베로(Valdeavero)(19km2)가 마드리드 주에 합류했다.[1]

스페인 내전(Spanish Civil War)(1936~1939) 동안 마드리드 주는 전선에 의해 분열되었다. 남서부는 반란 세력이, 수도와 주의 대부분은 공화국에 충성하는 세력이 장악했다. 마드리드 시는 많은 폭격의 표적이 되었고, 체계적이고 대규모의 공습을 겪은 유럽 최초의 대도시가 되었다.[2]

1970년대 이후 수도에서 대도시권의 다른 지자체로 인구가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자치 공동체가 설립되면서 가속화되었고,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었다.[3]

5. 1. 자치 정부

1833년 스페인의 주(州) 개편으로 현재 마드리드 주의 영토가 대략적으로 정해졌으며,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Javier de Burgos)가 주도하였다. 마드리드 주는 카스티야 지방으로 분류되었지만, 당시 지역 차원의 행정 기관은 없었고 주(州) 차원의 정부 기관인 주 의회(''Diputación'')가 있었다. 중앙 정부가 임명한 시장(civil governor)도 주(州) 차원의 정치 권력을 가졌다. 1845년 이전에 마드리드 주의 경계에 두 가지 작은 변화가 있었는데, 톨레도 주(province of Toledo) 소속이었던 아랑후에스(187km2)가 마드리드 주에 합류했고, 1850년에는 과달라하라 주(province of Guadalajara)의 일부였던 발데아베로(Valdeavero)(19km2)가 마드리드 주에 합류했다.[1]

스페인 내전(Spanish Civil War)(1936~1939) 동안 마드리드 주는 전선에 의해 분열되었다. 남서부는 반란 세력이, 수도와 주의 대부분은 공화국에 충성하는 세력이 장악했다. 마드리드 시는 많은 폭격의 표적이 되었고, 체계적이고 대규모의 공습을 겪은 유럽 최초의 대도시가 되었다.[2]

1970년대 이후 수도에서 대도시권의 다른 지자체로 인구가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자치 공동체가 설립되면서 가속화되었고,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었다.[3]

5. 2. 중앙 정부 대표

1833년 스페인의 주(州) 개편으로 마드리드 주의 영토가 대략적으로 정해졌는데, 하비에르 데 부르고스(Javier de Burgos)가 주도한 이 개편에서 마드리드 주는 카스티야 지방으로 분류되었다.[1] 그러나 당시에는 지역 차원의 행정 기관은 없었고, 주(州) 차원의 정부 기관은 주 의회(''Diputación'')였다.[1] 중앙 정부가 임명한 시장(civil governor)도 주(州) 차원의 정치 권력을 가졌다.[1]

1833년 마드리드 주 경계와 관련하여 두 가지 작은 변화가 있었다.[1] 1845년 이전에는 아랑후에스(Aranjuez, 187km2)가 톨레도 주(province of Toledo)에서 마드리드 주로 합류했고, 1850년에는 과달라하라 주(province of Guadalajara)의 일부였던 작은 자치구 발데아베로(Valdeavero)(19km2)가 마드리드 주에 합류했다.[1]

6. 경제

마드리드 스카이라인.


마드리드 경제는 서비스업, 건설업, 제조업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2019년 실업률은 10%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26]

2018년 기준 마드리드의 GDP는 2,308억 유로(2810억달러)로 카탈루냐를 제치고 스페인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했다.[18][19] 코슬라다 드라이 포트(Coslada Dry Port),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의 화물 지역, 메르카마드리드(Mercamadrid), 마드리드-아브로니갈 역(Estación de Madrid-Abroñigal) 물류 센터 등 다양한 물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23]

6. 1. 산업

마드리드는 2014년 기준 스페인에서 1인당 소득이 31,004 유로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스페인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바스크 지방 (29,683 유로), 나바라 지방 (28,124 유로), 카탈루냐 지방 (26,996 유로)가 그 뒤를 이었다.[72] 2022년 기준으로 마드리드 자치 지역의 1인당 소득은 38,435유로로 더욱 상승하여 스페인 평균을 크게 상회했으며, 바스크 지방(35,832유로), 나바라(33,798유로), 카탈루냐(32,550유로)를 앞섰다.[17]

2018년 기준 마드리드의 GDP는 2,308억 유로(2,810억 달러)로 카탈루냐(2,287억 유로)를 제치고 스페인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며, 인구가 가장 많은 안달루시아(1,606억 유로)보다도 높았다.[18][19]

텔레포니카(Telefónica) 본사, 마드리드 지역에 위치한 다국적 기업 중 하나


마드리드 자치 지역은 2005년 스페인 전체 외국인 직접 투자의 34.3%를 유치하며 최대 투자 유치 지역이었다. 2002년 평가 기준 유럽 지역 중 34위, 세계 경쟁력이 가장 높은 도시-지역 중 50위를 차지했으며,[20] 스페인의 다른 두 대도시권인 바르셀로나발렌시아보다 앞섰다. 마드리드 자치 지역 경제의 강점은 낮은 실업률, 높은 연구 투자, 높은 개발 수준, 부가가치 서비스 등이다.

헤타페의 에어버스 공장 근처에 있는 에어버스 A330-A340 수평 안정판


서비스업, 건설업, 제조업이 마드리드의 상업 생산 구조에서 두드러진다. 스페인 국립통계원(INE)의 중앙기업디렉토리(Directorio Central de Empresas)에 따르면, 2006년 1월 1일 기준 마드리드의 활동적인 사업체 수는 전국 3위였다. 가장 활발한 사업 분야는 기타 사업 활동, 소매업, 건설업, 도매업, 숙박업, 부동산 활동, 육상 운송, 파이프라인 운송 등이다.

마드리드의 산업 활동 수준은 스페인에서 4위이다. 사업체 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분야가 두드러진다. 출판 및 인쇄업, 금속 제품 제조(기계 및 장비 제외), 가구 제조 및 기타 제조업, 의류 및 모피 산업, 식품 산업. 또한 스페인 다른 지역보다 고·중 기술 활동 및 서비스의 집중도가 높다. 이는 사무 기계 및 IT 장비 제조, 전자 제품 제조, 무선 장비 및 기기 제조, 의료 및 외과, 정밀, 광학 및 시계 장비 및 기기 제조, 우편 및 통신, IT 활동, 연구 개발 등의 분야에서 나타난다.[22]

코슬라다 드라이 포트


마드리드 자치 지역과 시 전체의 물류 인프라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여기에는 코슬라다 드라이 포트(Coslada Dry Port),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의 화물 지역, 메르카마드리드(Mercamadrid), 마드리드-아브로니갈 역(Estación de Madrid-Abroñigal) 물류 센터, 비야베르데 물류 센터, 비칼바로 물류 센터 등이 포함된다.[23] 전반적으로 물류 회사는 A-2 고속도로(코슬라다, 산 페르난도 데 에나레스, 토레혼 데 아르도스)를 따라 동부 지역, 소위 "에나레스 회랑"에서 크게 발전하여 스페인 물류 및 전자상거래의 "황금 마일"이 되었다.[24][25]

2019년 실업률은 10%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26]

마드리드 지역 실업률 (%) (12월 자료)
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
6.5%6.4%10.0%14.5%15.5%18.0%19.3%20.5%18.0%16.5%14.6%13.8%11.5%10.0%


6. 2. 경제 지표

마드리드는 2014년 기준 1인당 소득이 31,004 유로로 스페인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스페인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바스크 지방 (29,683 유로), 나바라 지방 (28,124 유로), 카탈루냐 지방 (26,996 유로)가 그 뒤를 이었다.[72] 같은 해 마드리드 지방의 GDP 성장률은 1.0%였다.[72] 2009년 마드리드의 GDP는 2,198억 유로였으며, 이는 카탈루냐 (2,304억 유로)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였다.[73]

2022년 기준 마드리드 자치 지역의 1인당 소득은 38,435 유로로 스페인 평균을 크게 상회하며, 바스크 지방(35,832유로), 나바라(33,798유로), 카탈루냐(32,550유로)를 앞섰다.[17] 같은 해 1인당 GDP 성장률은 8.6%였다.[17] 2018년 기준 마드리드의 GDP는 2,308억 유로(2810억달러)로 카탈루냐(2,287억 유로)를 제치고 스페인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했다.[18][19]

2005년 마드리드 자치 지역은 스페인 전체 외국인 직접 투자의 34.3%를 유치하며 최대 투자 유치 지역이었다. 2002년 평가 기준 유럽 지역 중 34위, 세계 경쟁력이 가장 높은 도시-지역 중 50위를 차지했으며,[20] 바르셀로나발렌시아보다 앞섰다. 마드리드 자치 지역 경제의 강점은 낮은 실업률, 높은 연구 투자, 높은 개발 수준, 부가가치 서비스 등이다. 약점으로는 광대역 및 새로운 정보 기술의 저조한 보급률과 남녀 간 불균형적인 직업 분포가 있다.[21]

서비스업, 건설업, 제조업이 마드리드의 상업 생산 구조에서 두드러진다. INE(스페인 국립통계원)의 중앙기업디렉토리에 따르면, 2006년 1월 1일 기준 마드리드의 활동적인 사업체 수는 전국 3위였다.

마드리드의 산업 활동 수준은 스페인에서 4위이다. 스페인 다른 지역보다 고·중 기술 활동 및 서비스의 집중도가 높다.[22]

마드리드 자치 지역과 시 전체의 물류 인프라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코슬라다 드라이 포트(Coslada Dry Port),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의 화물 지역, 메르카마드리드(Mercamadrid), 마드리드-아브로니갈 역(Estación de Madrid-Abroñigal) 물류 센터, 비야베르데 물류 센터, 비칼바로 물류 센터 등이 있다.[23]

2019년 실업률은 10%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26]

실업률 (12월 자료)(%)
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
6.5%6.4%10.0%14.5%15.5%18.0%19.3%20.5%18.0%16.5%14.6%13.8%11.5%10.0%


7. 인구

INE의 자료에 따르면, 마드리드 자치주의 인구는 1900년 775,034명에서 2021년 6,726,640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27] 특히 1960년대부터 급격한 인구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스페인 내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이주와 외국인 유입이 주요 원인이다.

마드리드 자치주 인구 변화[27]
연도인구
1900775,034
1910878,641
19201,067,637
19301,383,591
19401,579,793
19501,926,311
19602,606,254
19703,792,561
19814,687,083
19914,947,555
20015,423,384
20116,489,680
20216,726,640


7. 1. 인구 구성

2022년 마드리드 자치주 인구 피라미드


마드리드 자치주는 안달루시아와 카탈루냐 다음으로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2019년 기준 6,661,949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구 밀도는 829.62km2로, 스페인 평균 93.8km2보다 훨씬 높다. 인구 밀도는 자치주 내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마드리드 시의 경우 5300km2인 반면, 시에라 노르테의 인구 밀도는 10km2 미만이다. 대다수의 인구는 스페인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수도와 그 대도시권에 거주하고 있다.

마드리드는 스페인에서 가장 높은 인구 밀도를 가진 지역이다. 주민들은 주로 수도(스페인에서 가장 많은 거주 인구를 가진 도시)와 모스톨레스, 알칼라데에나레스, 푸엔라브라다, 레가네스, 알코르콘, 헤타페, 토레혼데아르도스, 알코벤다스 등지에 집중되어 있으며, 인구 밀도가 낮은 농촌 지역과는 대조적이다. 시민들은 다양한 출신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마드리드는 자치주 외부에서 태어난 거주민 수가 가장 많고 외국인 인구가 많은 주(2019년 기준 13.32%)이다. 마드리드의 인구 증가는 주로 외국인의 유입 때문이다.[27]

마드리드 자치주의 역사 대부분 동안, 소수의 유대인무슬림 인구를 제외하고는 압도적으로 가톨릭이었다.[28]

마드리드 자치주는 출생 시 평균 기대 수명이 가장 높은 EU 지역이다. 2016년 남성의 평균 기대 수명은 82.2세, 여성은 87.8세였다.[29]

2022년 기준, 마드리드 자치주에는 949,969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었다.[31] 가장 많은 외국인 국적은 루마니아, 모로코, 중국, 콜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이탈리아였다.[31]

국적별 외국인 인구 (2018)[31]
국적인구
루마니아163,730
모로코76,697
중국59,757
콜롬비아39,523
에콰도르37,517
베네수엘라29,017
이탈리아28,787
페루27,826
도미니카 공화국25,312
파라과이24,928
기타313,362



마드리드 자치주 인구 변화[27]
연도인구
1900775,034
1910878,641
19201,067,637
19301,383,591
19401,579,793
19501,926,311
19602,606,254
19703,792,561
19814,687,083
19914,947,555
20015,423,384
20116,489,680
20196,663,394
20216,726,640


7. 2. 인구 변화



마드리드 자치주는 안달루시아와 카탈루냐 다음으로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2021년 기준 6,726,64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구 밀도는 829.62명/km2로, 스페인 평균 93.8명/km2보다 훨씬 높다. 인구 밀도는 자치주 내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마드리드 시의 경우 5,300명/km2인 반면, 시에라 노르테의 인구 밀도는 10명/km2 미만이다. 대다수의 인구는 스페인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수도와 그 대도시권에 거주하고 있다.

마드리드의 인구 증가는 주로 외국인의 유입 때문이다.[27]

마드리드 자치주는 역사적으로 대부분 가톨릭 신자였으며, 소수의 유대인무슬림 인구가 존재했다.[28]

마드리드 자치주는 EU 지역 중 출생 시 평균 기대 수명이 가장 높은 곳이다. 2016년 기준 남성의 평균 기대 수명은 82.2세, 여성은 87.8세였다.[29]

마드리드주 인구 변화[27]
연도인구
1900775,034
1910878,641
19201,067,637
19301,383,591
19401,579,793
19501,926,311
19602,606,254
19703,792,561
19814,687,083
19914,947,555
20015,423,384
20116,489,680
20216,726,640


8. 사회

마드리드 자치주 인구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며, 2019년 CIS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8.9%가 실천하는 가톨릭 신자, 43.0%는 실천하지 않는 가톨릭 신자라고 밝혔다.[41] 주요 종교 소수 집단으로는 복음주의, 유대교, 이슬람교가 있다.

1741년경 마드리드 세바다 광장에서 열린 가톨릭 성모 마리아 행렬


1998년 마드리드 라타 야트라 축제에서 찬송하는 하레 크리슈나 구루 기리라자 스와미


마드리드의 여호와의 증인 전단


복음주의 교파에는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IEE), 여러 장로교 또는 개혁 교회, 스페인 개혁 감독 교회(IERE), 침례교와 자유 교회(Unión Evangélica Bautista Española, Federación de las Iglesias Evangélicas Independientes de España, Asambleas de Hermanos), 오순절 교회(Asambleas de Dios, Iglesia de la Biblia Abierta, Iglesia Filadelfia, Iglesia Cuadrangular), 카리스마 교회(Iglesias de Buenas Noticias, Asamblea Cristiana, Asamblea para la Evangelización Mundial para Cristo), 구세군, 메노나이트 교회(Mennonite Churches)와 Hermanos en Cristo와 같은 소규모 교회, 비조직적인 복음주의 교회, 재림교회 등이 있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출신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오순절 교회가 최근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으며, 로마인 인구 사이에서도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다.

무슬림 인구는 스페인 최초의 현대 무슬림(중동 출신으로 중산층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 개종자(주로 수니파 무슬림), 그리고 두 번째 무슬림 경제 이민자 유입(첫 번째 유입보다 경제적 이민자 성격이 강함)을 포함한다.

20세기 후반 이후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출신 세파르디 유대인과 라틴 아메리카(주로 아르헨티나) 출신 망명자들(대부분 아슈케나짐) 덕분에 해당 지역의 유대인 인구가 증가했다.

그리스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 여호와의 증인(2001년 추산 15,031명)과 몰몬교(2007년 추산 6,700명)도 있다. 스페인 국적을 가진 중산층에서 상류 중산층의 불교 신자들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수의 불교 신자들이 있으며, 힌두교(주로 신드인), 시크교, 하레 크리슈나와 브라마쿠마리스 등 베다 유래 종교 신자들도 소수 있다. 바하이교 신자는 매우 적다. 통일교와 사이언톨로지와 같이 종종 "사교"(sectas)로 비난받는 다른 종교들은 미미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8. 1. 교육

스페인의 공립 교육은 만 6세부터 16세까지 무료이며 의무 교육이다. 현재 교육 제도는 LOMLOE(2020년 12월 29일 유기법 3/2020호, 2006년 5월 3일 교육법 2/2006호 개정법)로 불린다.[32]

토레호네데아르도스의 중등학교

  • 만 3세부터 6세까지 – 교육과정(유치원)
  • 만 6세부터 12세까지 – 초등교육(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 만 12세부터 16세까지 – 의무 중등교육(중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 만 16세부터 17세까지 – 바칠예라토(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스페인에서는 만 3세부터 5세까지의 아동은 유치원 단계에 다닐 수 있는데, 이는 의무 교육이 아니며 모든 학생에게 무료이다. 유치원은 거의 모든 초등학교에 유치원 학급이 있을 정도로 교육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 별도의 콜레히오스 인판틸레스(Colegios Infantiles) 또는 유치원도 있다.

만 6세부터 16세까지의 스페인 학생들은 초등 및 중등 교육을 받는데, 이는 의무 교육이며 무료이다.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학생들에게는 중등 교육 수료증이 수여되며, 이는 고등 교육(선택) 진학에 필요하다. 대학이나 프로페시오날 포르마시온(직업 교육)을 위해서는 바칠예라토(Bachillerato)가 필요하다.

학생들은 바칠예라토를 마친 후 대학 입학 시험(Pruebas de Acceso a la Universidad, 일반적으로 Selectividad라고 함)을 치르는데, 이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중등 교육 단계는 일반적으로 약자로 불리는데, 예를 들어 중등 교육의 경우 ESO 또는 Educación Secundaria Obligatoria로 불린다.

[https://www.educa2.madrid.org/educamadrid/ EducaMadrid]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대학 이외의 교육(직업 교육, 예술, 언어, 성인 교육 등)에 필요한 모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환경을 제공하는 교육 플랫폼이며, GDPR을 준수한다. 안전하고 무료이며 지속 가능하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다.

8. 2. 종교

마드리드 자치주 인구의 대다수는 가톨릭 신자이며, 로마 가톨릭교회가 압도적으로 가장 큰 종교이다. 2019년 CIS 여론조사에 따르면, 해당 지역 응답자 중 18.9%가 실천하는 가톨릭 신자라고 밝혔고, 43.0%는 실천하지 않는 가톨릭 신자라고 밝혔다.[41] 주요 종교 소수 집단으로는 복음주의, 유대교, 이슬람교가 있다.

복음주의 교파에는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IEE), 여러 장로교 또는 개혁 교회, 스페인 개혁 감독 교회(IERE), 침례교와 자유 교회(Unión Evangélica Bautista Española, Federación de las Iglesias Evangélicas Independientes de España, Asambleas de Hermanos), 오순절 교회(Asambleas de Dios, Iglesia de la Biblia Abierta, Iglesia Filadelfia, Iglesia Cuadrangular), 카리스마 교회(Iglesias de Buenas Noticias, Asamblea Cristiana, Asamblea para la Evangelización Mundial para Cristo), 구세군, 메노나이트 교회(Mennonite Churches)와 Hermanos en Cristo와 같은 소규모 교회, 비조직적인 복음주의 교회, 재림교회 등이 있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출신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오순절 교회가 최근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다. 복음주의는 로마인 인구 사이에서도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다. 무슬림 인구는 스페인 최초의 현대 무슬림(중동 출신으로 중산층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 개종자(주로 수니파 무슬림), 그리고 두 번째 무슬림 경제 이민자 유입(첫 번째 유입보다 경제적 이민자 성격이 강함)을 포함한다.

20세기 후반 이후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출신 세파르디 유대인과 라틴 아메리카(주로 아르헨티나) 출신 망명자들(대부분 아슈케나짐) 덕분에 해당 지역의 유대인 인구가 증가했다.

그리스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 여호와의 증인(2001년 추산 15,031명)과 몰몬교(2007년 추산 6,700명)도 있다. 스페인 국적을 가진 중산층에서 상류 중산층의 불교 신자들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수의 불교 신자들이 있으며, 힌두교(주로 신드인), 시크교, 하레 크리슈나와 브라마쿠마리스 등 베다 유래 종교 신자들도 소수 있다. 바하이교 신자는 매우 적다. 통일교와 사이언톨로지와 같이 종종 "사교"(sectas)로 비난받는 다른 종교들은 미미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9. 문화

마드리드 자치주 인구의 대다수는 가톨릭 신자이며, 로마 가톨릭교회가 가장 큰 종교이다.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주민 중 18.9%가 실천하는 가톨릭 신자, 43.0%는 실천하지 않는 가톨릭 신자라고 답했다.[41] 주요 소수 종교로는 개신교, 유대교, 이슬람교가 있다.

복음주의 교파 중에서는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IEE), 여러 장로교 또는 개혁 교회, 스페인 개혁 감독 교회(IERE), 침례교와 자유 교회, 오순절 교회, 카리스마 교회, 구세군, 메노나이트 교회 등이 있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출신 이민자들과 로마인 인구 사이에서 오순절 교회가 성장하고 있다. 무슬림 인구는 중동 출신 중산층, 개종자, 경제적 이민자 등으로 구성된다. 20세기 후반 이후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출신 세파르디 유대인과 라틴 아메리카 출신 망명자들 덕분에 유대인 인구가 증가했다.

그리스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 여호와의 증인, 몰몬교도 존재한다. 소수의 불교 신자들은 스페인 국적의 중산층 이상 계층이 다수이며, 힌두교, 시크교, 하레 크리슈나 신자들도 소수 존재한다. 바하이교 신자는 매우 적으며, 통일교와 사이언톨로지는 미미한 존재감을 보인다.

2010년 스페인 스포츠 고등위원회(CSD)의 연구에 따르면, 마드리드 주민들은 기초 스포츠 활동 참여율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다.[44] 15세에서 75세 사이 지역 주민의 약 52%가 한 종목 이상의 스포츠를 즐겼으며, 10%는 두 종목 이상의 스포츠를 즐겼다.[44] 가장 많이 즐기는 스포츠는 다음과 같다.

스포츠비율
피트니스 체조43.6%
축구22.1%
수영20.7%
사이클링19.6%
조깅/달리기16.2%
파델9.9%
육상8.3%
농구6.9%
기타 축구 종목6.6%
하이킹6.1%
무술4.5%
보디빌딩3.5%
사격/사냥0.9%
레저 낚시0.2%



마드리드에서의 파델 테니스 연습


축구는 스페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마드리드 축구 연맹은 마드리드 지역 축구를 관할하며, 마드리드 자치주 축구 대표팀은 친선 경기에 참가한다. 현재 1부 리그 남자 축구팀으로 레알 마드리드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두 팀이 있다. 레알 마드리드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스포츠 팀 중 하나이다.[45] 마드리드 자치 정부는 1994년에 개장한 대형 육상 경기장인 "라 페네타"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후 마드리드 시의회로 이관되었다. 수도 마드리드는 프라도 미술관과 마드리드 왕궁이 있는 스페인을 대표하는 관광 도시이다.

9. 1. 상징

마드리드 자치주에는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 알칼라 데 에나레스의 대학교와 역사지구, 아랑후에스의 문화 경관 등 3곳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9. 2. 축제

5월 2일 공식 기념행사


마드리드주의 지방 기념일은 5월 2일이며, 1808년 프랑스 점령에 맞서 마드리드 시민들이 일으킨 2차 마드리드 봉기를 기념한다. 이 봉기는 반도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반란의 물결을 촉발했다. 1984년 지역 의회에서 승인하고 법으로 제정한 이후로 마드리드 자치주에서는 공휴일로 지정되었다.[42]

전통적으로 지역 당국은 전사된 "영웅들"에게 꽃으로 조의를 표하며, 왕립 우체국 건물에서 기념 메달 수여식이 열린다.[43]

9. 3. 음식



마드리드 자치주는 자급자족할 만큼의 식량을 생산하지는 않지만, 도시 중심지 외곽의 다양한 지역에서 자체 요리를 만들기에 충분한 식량을 제공한다. 캄포 레알의 치즈, 마드리드 와인 DO 와인, 아란후에스의 딸기와 아스파라거스, 산타 클라우스 멜론(빌라코네호스) 멜론, 아티초크(시엠포수엘로스), 후디오네스(몬테호 데 라 시에라), 마늘(친촌), 병아리콩(나발카르네로), 렌틸콩(콜메나르 데 오레하), 그리뇬의 콜리플라워, 알베르체 계곡의 여러 가지 채소 등이 있다.[45]

이 지역의 풍부한 음식점 사업 덕분에, 호세 델 코랄 라야es는 "스페인의 모든 지역 요리가 마드리드에 있다"고 언급했다.[45] 마드리드 요리는 스페인 다른 지역의 요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그 정의가 모호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마드리드식 코시도'', ''병아리콩 포타헤'', ''마드리드식 칼로스es'', ''마늘 수프'', ''감자 토르티야'' 등은 지리적 특수성에 관계없이 마드리드 요리의 일부로 간주된다.[44] 2011년 4월 기준으로 마드리드 자치주에는 4만 개가 넘는 바, 2,700개의 커피숍, 그리고 거의 1만 개의 식당이 있었다.[44]

10. 교통

마드리드 주는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 세르카니아스 마드리드, AVE, 마드리드 지하철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어, 주민과 방문객에게 편리한 이동성을 제공한다.[38] 이 교통 시스템들은 마드리드를 스페인 내 다른 도시, 유럽, 라틴 아메리카와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마드리드 지하철은 322km가 넘는 노선을 가진,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규모와 성장 속도를 자랑하는 지하철 시스템이다.[40]

10. 1. 항공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은 스페인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공항이다. 이 공항은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를 연결하는 중요한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0. 2. 철도

세르카니아스 마드리드는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와 그 대도시권을 운행하는 통근열차 서비스이다. 렌페(Renfe)의 통근 열차 부문인 세르카니아스(Cercanías)에서 운영하며, 2004년 3월 11일 마드리드 폭탄 테러의 표적이 된 것으로 악명 높다.[38] 테러 공격으로 이용객 수가 약간 감소했지만, 여전히 스페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장 수익성이 높은(2004년 기준) 통근 열차 서비스이다.[38] 총 길이는 339.1km이다.

파르라의 통근 열차역


스페인 철도 시스템인 ''레드 나시오날 데 페로카릴레스 에스파뇰레스''(렌페(Renfe))는 스페인 철도의 대부분을 운영한다. 마드리드의 주요 철도 터미널은 남쪽의 아토차와 북쪽의 차마르틴이다.

아토차역의 AVE 열차


스페인의 향후 10년간 인프라 건설의 핵심은 고속철도망인 알타 벨로시다드 에스파뇰라(AVE)이다. 현재 마드리드를 중심으로 약 7,000km의 네트워크 구축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전반적인 목표는 모든 주요 도시들을 마드리드에서 4시간 이내, 바르셀로나에서 6시간 이내에 연결하는 것이다. 2008년 기준으로 AVE 고속열차는 마드리드 아토차역을 남쪽의 세비야, 말라가, 톨레도, 동쪽의 발렌시아, 알바세테, 쿠엥카, 알리칸테, 그리고 북동쪽의 사라고사, 타라고나, 히로나, 르이다, 우에스카, 바르셀로나와 연결한다. AVE 열차는 세고비아, 발라돌리드, 사모라, 레온에도 도착한다.

아토차역과 차마르틴역을 고속철도 서비스로 연결하는 터널 연결은 완공되었지만, 2019년 8월 기준으로 아직 개통되지 않았다.[39]

10. 3. 지하철

마드리드 지하철 노선도


약 600만 명의 시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드리드 지하철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지하철 네트워크 중 하나이다.[40] 마드리드 남서부 교외 지역을 운행하는 순환선인 "메트로수르(Metrosur)"가 추가됨에 따라 현재 서유럽에서 런던 지하철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지하철 시스템이다. 2007년 마드리드 지하철 시스템이 확장되었으며, 현재 약 322km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마드리드 주에는 세르카니아스(Cercanías)라고 불리는 광범위한 통근 열차 네트워크도 있다.

지하철 요금은 마드리드 지역 교통 컨소시엄(Consorcio Regional de Transportes de Madrid, CRTM)이 통근 열차, 버스, 경전철 요금과 함께 규정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autonomous communities https://datosmacro.e[...] 2023-06-04
[2] 웹사이트 Contabilidad Regional de España https://ine.es/prens[...]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3-06-24
[4] 웹사이트 Sinopsis del estatuto de Autonomía de la Comunidad de Madrid https://app.congreso[...] 2023-11-16
[5] 웹사이트 La economía de la Comunidad de Madrid, una de las más potentes y dinámicas del país http://club.telepoli[...] 2008-04-09
[6] 웹사이트 Madrid supera a Catalunya como comunidad con más PIB https://www.lavangua[...] 2019-12-20
[7] 웹사이트 INEbase / Economía /Cuentas económicas /Contabilidad regional de España / Resultados https://www.ine.es/d[...] 2023-11-16
[8] 웹사이트 Ocupados por sector económico, sexo y comunidad autónoma. Porcentajes respecto del total de cada comunidad(4949) https://www.ine.es/j[...] 2023-11-16
[9] 웹사이트 La Prehistoria en Ciempozuelos http://www.ayto-ciem[...]
[10] 서적 Water and Society IV https://books.google[...] WIT Press 2017-08-30
[11] 웹사이트 Sinópsis del estatuto de Autonomía de la Comunidad de Madrid http://narros.congre[...] 2008-04-08
[12] 웹사이트 Origen y evolución de la Asamblea de Madrid http://www.asambleam[...]
[13] 웹사이트 El 'caso Tamayo y Sáez' http://www.elmundo.e[...]
[14] 웹사이트 La Real Casa de Correos, sede de la Presidencia de la Comunidad de Madrid http://www.madridhis[...]
[15] 간행물 Palacio de Borghetto, la casa del poder https://www.abc.es/2[...] 2012-09-11
[16] 웹사이트 Delegación del Gobierno en la Comunidad de Madrid http://www.seat.mpr.[...] Ministerio de Política Territorial y Función Pública 2019-01-10
[17] 웹사이트 Contabilidad Regional de España. CRE. Serie 2000-2022 https://www.ine.es/d[...] 2023-12-18
[18] 웹사이트 Madrid supera a Cataluña y ya es la primera potencia económica de España https://www.elmundo.[...] El Mundo (Spain) 2019-12-20
[19] 웹사이트 Madrid Economy 2009 http://www.munimadri[...]
[20] 웹사이트 Madrid, en el puesto 50º en el ranking de las ciudades-región más competitivas del planeta http://www.lavanguar[...] 2008-04-10
[21] 웹사이트 Informe ''Plataforma de seguimiento de la Estrategia de Lisboa'': puntos fuertes y débiles de la economía madrileña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Central Companies Directory (CCD) of the Spanish INE http://www.ine.es/ja[...]
[23] 간행물 Operadores y plataformas logísticas http://www.aippyc.or[...] Universidad Distrital Francisco José de Caldas 2005
[24] 웹사이트 El espacio logístico inteligente, los almacenes se vuelven smart en la última milla del e-commerce https://hablemosdeem[...] 2019-03-01
[25] 뉴스 Coslada, la 'milla de oro' de las compras online https://elpais.com/c[...] 2019-02-14
[26] 웹사이트 Regional Unemployment by NUTS2 Region https://ec.europa.eu[...]
[27] 웹사이트 INEbase. Demography and population. Migrations http://www.ine.es/en[...]
[28] 웹사이트 Interactivo: Creencias y prácticas religiosas en España http://www.lavanguar[...]
[29]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at regional level - Statistics Explained https://ec.europa.eu[...] 2018-11-28
[30] 웹사이트 Datos del Registro de Entidades Locales https://ssweb.seap.m[...] Ministerio de Asuntos Económicos y Transformación Digital 2024-03-02
[31] 웹사이트 Población extranjera por Nacionalidad, comunidades, Sexo y Año. https://www.ine.es/j[...]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Spain) 2019-04-05
[32] 웹사이트 BOE.es - BOE-A-2020-17264 Ley Orgánica 3/2020, de 29 de diciembre, por la que se modifica la Ley Orgánica 2/2006, de 3 de mayo, de Educación https://www.boe.es/b[...]
[33] 웹사이트 Universidad Complutense http://www.umsl.edu/[...] Missouri-St. Louis University 2006-07-10
[34] 웹사이트 Área de Contexto http://censoarchivos[...] Ministerio de Cultura y Deporte
[35] 웹사이트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http://www.ucm.es/in[...] UCM 2006-07-10
[36] 뉴스 Universidad Autónoma http://www.uam.es Universidad Autónoma de Madrid 2006-07-10
[37] 문서 Preliminary Air Traffic Results for 2006 from 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http://www.airports.[...]
[38] 웹사이트 Renfe Empresa http://www.renfe.es/[...] 2006-02-10
[39] 웹사이트 Adif invertirá 1.460 millones en integrar Atocha y Chamartín en una megaestación https://www.eleconom[...] 2019-08-02
[40] 뉴스 Madrid Metro http://urbanrail.net[...] Robert Schwandl 2008-04-25
[41] 웹사이트 Macrobarómetro de octubre 2019, Banco de datos - Document 'Población con derecho a voto en elecciones generales y residente en España, Comunidad de Madrid (aut.) http://www.cis.es/ci[...] 2020-02-04
[42] 서적 Spain: Inventing the Na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12-18
[43] 웹사이트 Fiesta del 2 de mayo: ¿Qué se celebra? https://www.lavangua[...] 2020-02-04
[44] 웹사이트 La Comunidad de Madrid encabeza la práctica deportiva en España http://www.telemadri[...] 2020-02-04
[45] 서적 The Real Madrid Way: How Values Created the Most Successful Sports Team on the Planet https://books.google[...] BenBella Books, Inc. 2016-10-11
[46] 웹사이트 Listado de convenios vigentes firmados por la Comunidad de Madrid https://www.comunida[...] Community of Madrid 2018-01-12
[47] 웹사이트 La Comunidad de Madrid se hermana con Pekín, organizadora de los JJ.OO. de 2008 https://www.abc.es/d[...] 2005-01-17
[48] 웹사이트 Partidos judiciales de la provincia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49] 웹사이트 Torrelaguna, partido judicial nº1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0] 웹사이트 Torrejón de Ardoz, partido judicial nº2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1] 웹사이트 Navalcarnero, partido judicial nº3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2] 웹사이트 Alcalá de Henares, partido judicial nº4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3] 웹사이트 Alcobendas, partido judicial nº5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4] 웹사이트 Móstoles, partido judicial nº6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5] 웹사이트 San Lorenzo de El Escorial, partido judicial nº7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6] 웹사이트 Aranjuez, partido judicial nº8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7] 웹사이트 Leganés, partido judicial nº9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8] 웹사이트 Getafe, partido judicial nº10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59] 웹사이트 Madrid, partido judicial nº11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0] 웹사이트 Majadahonda, partido judicial nº12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1] 웹사이트 Coslada, partido judicial nº13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2] 웹사이트 Arganda del Rey, partido judicial nº14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3] 웹사이트 Collado Villalba, partido judicial nº15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4] 웹사이트 Parla, partido judicial nº16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5] 웹사이트 Alcorcón, partido judicial nº17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6] 웹사이트 Fuenlabrada, partido judicial nº18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7] 웹사이트 Colmenar Viejo, partido judicial nº19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8] 웹사이트 Valdemoro, partido judicial nº20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69] 웹사이트 Pozuelo de Alarcón, partido judicial nº21 de Madrid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6-18
[70] 웹인용 La economía de la Comunidad de Madrid, una de las más potentes y dinámicas del país http://club.telepoli[...] 2017-10-21
[71] 웹사이트 PIB por Comunidad Autónoma http://www.datosmacr[...] 2016-07-31
[72] 웹사이트 http://www.ine.es/pr[...]
[73] 웹사이트 Madrid Economy 2009 http://www.munimad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