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라망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라망카는 토르메스 강 옆에 위치한 스페인 카스티야 이 레온 지방의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의 다리, 16세기에 완성된 대성당 등 다양한 역사적 건축물로 유명하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반건조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2.2℃, 연평균 강수량은 372mm이다. 이 도시는 살라망카 대학교의 설립으로 유럽의 주요 학문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1988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2002년에는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 현재는 대학교와 관광 산업이 주요 수입원이며, UD 살라망카 축구팀이 있었으나 해체되었고, 현재는 여러 축구팀과 농구팀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라망카도의 자치체 - 토파스
- 스페인의 세계유산 - 사그라다 파밀리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건설 중인 사그라다 파밀리아는 안토니 가우디가 설계한 가톨루냐 모더니즘 건축의 대표작으로, 예수의 탄생, 수난, 영광을 상징하는 파사드와 첨탑으로 구성될 가톨릭 대성당이며, 관광객 입장료와 기부금으로 건설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바르셀로나의 상징이다. - 스페인의 세계유산 - 구엘 공원
구엘 공원은 에우세비 구엘 백작의 후원으로 시작되어 안토니 가우디의 자연주의 건축 양식이 돋보이는 건축물과 조형물들을 갖춘,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살라망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살라망카 |
지리적 구분 | 스페인의 지방 자치체 |
현지어 명칭 | Salamanc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스페인 |
자치 지방 | 카스티야이레온 |
도 | 살라망카 |
인문 지리 | |
면적 | 38.6 km² |
해발 고도 | 802 m |
인구 (2020년) | 144,82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우편 번호 | 37001-37010 |
지역 번호 | 34 (스페인) + 923 (살라망카) |
정치 | |
세계 유산 | |
명칭 | 살라망카 구 시가지 |
등재 연도 | 1988년 (12차 회의) |
종류 | 문화 유산 |
기준 | i, ii, iv |
지정 번호 | 381 |
지역 | 유럽 및 북아메리카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 | CEST |
하계 UTC 오프셋 | +2 |
웹사이트 | salamanca.es |
2. 지형
살라망카 시의 지형은 토르메스 강 유역에 위치한 카스티야-레온 고원 남서부의 두 지질학적, 환경적 단위의 합류점으로 특징지어진다. 북쪽과 동쪽에는 건조 농업에 종사하는 광대한 평원이 특징인 제3기 퇴적 분지가 있고, 남쪽과 서쪽에는 캄포 차로로 알려진 참나무 숲과 목초지가 우세하며 대부분 축산업에 종사하는 고생대 준평원이 있다.
도시는 해발 800m 높이에 위치해 있다. 시정촌의 고도는 남서쪽의 911m(로스 몬탈보스)에서 토르메스 강 시정촌의 마지막 구간인 763m까지 다양하다.
2. 1. 수문학
살라망카 시는 토르메스 강 옆 산에 위치한다. 이 강에는 길이 150m의 교각이 있으며, 총 26개의 아치 중 15개는 고대 로마 시대에 세워졌다. 나머지는 16세기에 완성된 것이다.살라망카 시는 토르메스 강과 수르겐 시내, 두 개의 표면 수류를 가로지른다. 수르겐 시내는 토르메스 강의 좌안 지류이다. 두 수류의 계곡은 투수성을 가진 충적토 재료가 특징이며, 지하수위가 매우 높아 때로는 습지대가 형성되기도 한다.[27]
토르메스 강은 살라망카 주 전체를 관통하며, 도시의 역사적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강의 중류는 산타 테레사 저수지에 의해 규제되며, 식수 및 관개 용수 공급 기능도 수행한다. 저수지 규제는 1256년과 1626년에 발생했던 역사적인 홍수와 같은 잦은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이후에도 홍수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토르메스 강은 수도에서 처리된 폐수를 배출하는 통로 역할도 한다.[27][28]
2. 2. 기후
칼바라사 데 아바호 시정촌에 위치한 살라망카 공항은 수정된 쾨펜 기후 구분[21] 기준에 따르면, 냉대 반건조 기후(BSk, "냉대 스텝" 유형)[22]이며, Csa 및 Csb 유형의 지중해성 기후로의 전환 경계에 있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8.6 | 11.2 | 14.9 | 16.5 | 20.6 | 26.6 | 30.0 | 29.5 | 25.1 | 18.9 | 12.8 | 9.4 | 18.7 |
평균 기온 (°C) | 4.0 | 5.5 | 8.3 | 10.1 | 14.0 | 18.8 | 21.5 | 21.1 | 17.6 | 12.6 | 7.9 | 4.9 | 12.2 |
평균 최저 기온 (°C) | -0.7 | -0.2 | 1.7 | 3.8 | 7.3 | 11.0 | 12.9 | 12.6 | 10.0 | 6.4 | 2.4 | 0.4 | 5.6 |
강수량 (mm) | 30 | 25 | 21 | 38 | 47 | 29 | 11 | 12 | 32 | 46 | 40 | 42 | 372 |
평균 강수일수 | 6 | 5 | 5 | 7 | 8 | 4 | 2 | 2 | 4 | 7 | 7 | 7 | 64 |
평균 적설일수 | 2 | 2 | 1 | 1 | 0 | 0 | 0 | 0 | 0 | 0 | 1 | 1 | 7 |
평균 일조시간 | 118 | 154 | 211 | 224 | 265 | 317 | 358 | 330 | 251 | 183 | 130 | 104 | 2667 |
평균 상대 습도 (%) | 82 | 73 | 63 | 62 | 59 | 52 | 47 | 51 | 59 | 71 | 79 | 83 | 65 |
[47]
살라망카는 기원전 켈트족이 도루강 주변 영토를 지키기 위해 세운 요새에서 시작되었다. 카르타고가 로마 공화국에 멸망한 후에는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엘만티카(Helmantica) 또는 살만티카(Salmantica) 등으로 불렸다.
3. 역사
서로마 제국 멸망 후에는 알란족과 서고트족의 지배를 받았고, 589년에는 살라망카 로마 가톨릭 교구의 주교좌가 설치되었다. 712년 무사 이븐 누사이르가 이끄는 이슬람 세력에 정복된 후, 초기 중세 시대 동안 '무인지경'으로 남아 중요하지 않은 소규모 정착지로 축소되었다. 939년 시망카스 전투에서 기독교 세력이 승리한 후 레온의 라미로 2세에 의해 재정착이 시작되었고, 1085년 레온의 알폰소 6세가 톨레도를 정복한 후 부르고뉴의 레몽에 의해 최종적인 재정착이 이루어졌다.
1218년 레온 왕국의 알폰소 9세는 살라망카 대학교의 전신인 대성당 학교에 스투디움 제네랄레 지위를 부여했고, 1254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의 왕실 칙령에 의해 살라망카 대학교가 되었다. 1255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는 살라망카 대학교에 파리와 볼로냐를 제외한 다른 곳에서 시험 없이 강의할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다. 1311년에는 카스티야의 알폰소 11세가 살라망카에서 태어났고, 15세기에는 반도 전쟁이라 불리는 귀족 가문 간의 경쟁과 대립이 있었다.
15세기 말 인구는 15,000~25,000명으로 추정되며, 메스타의 부상과 함께 살라망카는 제조 드레이프리의 중심지이자 모직물 수출국으로서 중요성을 얻었다. 16세기에는 살라망카 학파의 명성에 힘입어 도시 인구 증가와 대학교의 번영이 절정에 달했지만, 이후 쇠퇴하였다. 코무네로스의 반란(1520)에 참여했다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에게 진압되기도 했다.
살라망카 학파는 스콜라 철학과 토미즘을 바탕으로 비유럽인들의 권리를 옹호하며 인권과 국제법의 현대적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8세기에는 바로크 양식의 마요르 광장이 건설되는 등 경제적, 문화적 부흥이 있었지만, 1755년 리스본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반도 전쟁 중에는 프랑스군에 점령되었다가 아라필레스 전투(1812)에서 웰링턴이 이끄는 영국-포르투갈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1833년 살라망카 주의 주도가 되었고, 19세기 후반 철도 개통으로 약간의 회복을 경험했다.
스페인 내전 (1936–1939) 동안에는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민족주의 세력의 임시 본부 역할을 했다. 전쟁 후 스페인 내전 일반 문서 보관소가 설치되었으나, 카탈루냐 관련 문서 이전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1988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도시로 지정되었고, 2002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 현재는 서비스 부문, 특히 문화 관광과 살라망카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 활동이 주요 수입원이다.
3. 1. 고대
이 도시는 도루강 주변 영토를 지키기 위한 켈트족(바떼오스)의 요새들 중 하나로, 고대 로마 시대 이전에 설립되었다. 기원전 3세기, 카르타고가 로마 공화국에 의해 멸망하고, 상업적 허브로 발전하게 된다. 그때 당시, 엘만티카(Helmantica), 살만티카(Salmantica)라고 불렸다. 도시 이름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지만, 고대 그리스에서는 헬만티케(Helmantike, "예언의 땅"의 의미)라고 불렸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살마티카 혹은 살만티카(Salmatica, Salmantica), 플루타르코스는 헬만디카(Hermandica)라고 했다. 또한 셀리움이나 센티카(Selium, Sentica)라고 불리기도 했다.[46] 고대 로마 제국 시대에는 살만티카(Saimantica)로 알려져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건설된 로마교(18세기에 재건축)가 유명하다.
3. 2. 중세
도루강 주변 영토를 지키기 위한 켈틱 부족의 요새 중 하나로, 고대 로마 시대 이전에 설립되었다. 기원전 3세기, 카르타고가 로마공화국에 의해 멸망하고 상업적 허브로 발전하면서 엘만티카(Helmantica), 살만티카(Salmantica) 등으로 불렸다.
712년, 무어인에게 포위되었다. 방어적인 도시 성벽은 강화되었고, 모사라베(무슬림 지배하의 기독교인)들은 성벽 밖으로 쫓겨났다. 이 시기 아스트르-레오네세왕국들 간 끊임없는 싸움이 이어졌고, 도시는 북쪽의 기독교와 남쪽의 무슬림 사이에 놓인 채 아무도 살지 않는 곳이 되었다. 11세기 후반, 기독교 세력의 라몬 데 보르고아(알폰소 6세-카스티야 왕의 사위)에 의해 재정복되었다.
1218년 레온 왕국의 알폰소 9세는 살라만카 대학을 설립하였다. 이는 살라망카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였다. 이 대학은 곧 유럽에서 가장 중요하고 명망 있는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1]
도시 이름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지만, 고대 그리스에서는 헬만티케(Helmantike, "예언의 땅"의 의미)라고 불렸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살마티카 혹은 살만티카(Salmatica, Salmantica), 플루타르코스는 헬만디카(Hermandica)라고 했다. 또한 셀리움이나 센티카(Selium, Sentica)라고 불리기도 했다.[46] 고대 로마 제국 시대에는 살만티카(Saimantica)로 알려져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건설된 로마교(18세기에 재건축)가 유명하다. 8세기부터 이슬람 세력의 지배하에 놓였지만, 이후 11세기 후반에 기독교 세력에 의해 탈환되었다.
3. 3. 근세
도루강 주변 영토를 지키기 위한 켈틱 부족의 요새 중 하나로 시작된 살라망카는, 카르타고가 로마 공화국에 멸망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당시 엘만티카(Helmantica) 또는 살만티카(Salmantica)로 불렸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알란족이 루시타니아에 정착하면서 살라망카는 이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서고트족이 도시를 정복하여 자신들의 영토에 병합했다. 589년에는 살라망카 로마 가톨릭 교구의 주교좌가 설치되어 톨레도 공의회에 주교를 파견하기도 했다.
712년, 무사 이븐 누사이르가 이끄는 이슬람 세력에 의해 도시가 정복되었다. 초기 중세 시대 동안 살라망카는 '무인지경'으로 남아 인구 중심지가 파괴되었고, 중요하지 않은 소규모 정착지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다리는 그대로 남아 주변 지역에 몇몇 정착민이 있었다. 기독교 왕국이 이 지역을 안정시키려 시도했으나, 북쪽으로의 이슬람 원정과 잦은 충돌로 인해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알폰소 1세가 754년에 벌인 전투와 같은 소규모 전투가 발생했고, 결국 마을의 남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939년 시망카스 전투에서 기독교 세력이 승리한 후, 레온의 라미로 2세는 토르메스 강변 지역에 대한 재정착을 시작했다. 삼피로 연대기에 따르면, 살라만티카를 포함한 여러 도시가 재건되었다.
1085년 레온의 알폰소 6세가 톨레도를 정복한 후, 도시의 최종적인 재정착이 이루어졌다. 1102년, 부르고뉴의 레몽은 다양한 출신의 정착민들을 이끌고 도시로 왔다. 이들은 살라망카 푸에로에 따라 각자의 교회와 교구를 세웠다. 새로운 정착민들은 오래된 성벽 구역을 점령하고 주변 지역에 새로운 토지를 개척했으며, 사회적, 민족적, 권력적 기준에 따라 도시 점령이 이루어졌다.
살라망카 로마 가톨릭 교구가 복원되고 살라망카 구 대성당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그 옆에 설립된 학교들은 미래 살라망카 대학교의 씨앗이 되었다.
1218년, 레온의 알폰소 9세는 대성당 학교에 스투디움 제네랄레 지위를 부여했고, 1254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의 왕실 칙령에 의해 살라망카 대학교가 되었다. 1255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는 살라망카 대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에게 특권을 부여하여, 파리와 볼로냐를 제외한 다른 곳에서 시험 없이 강의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311년, 살라망카에서 카스티야의 알폰소 11세가 태어났다. 그는 14세에 왕위에 올라 지브롤터 정복에 참여했는데, 살라망카 출신 병력이 큰 역할을 했다.
15세기 동안 살라망카는 반도 전쟁이라 불리는 귀족 가문 간의 경쟁과 대립의 무대가 되었다. 사아군의 성 요한의 중재로 갈등이 종결되기 전까지, 도시 엘리트 간의 긴장과 폭력 사태가 만성적인 불안감을 야기했다.
15세기 말 인구는 15,000~25,000명으로 추정되며, 16세기 초 대부분의 인구는 토르메스 강 북쪽에 거주했다. 메스타가 부상하면서 살라망카는 제조 드레이프리의 중심지이자 모직물 수출국으로서 중요성을 얻었다.
나폴레옹 군대의 반도 전쟁 중 1812년 7월 22일에 벌어진 살라망카 전투는 프랑스군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입힌 전투였다. 이 전투는 수천 명의 사람이 대포에 의해 짧은 시간 동안 학살된 군대 역사상 유명한 순간이다.
3. 4. 근대
살라망카는 카스티야 코무네로스의 운동(1520)에 참여하여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카스티야 코르테스에서 요구한 새로운 세금에 반대하고, 양모 수출업자들의 특권에 맞서 자사의 섬유 제조업을 옹호했다. 코무네로스 패배 후, 카를로스 5세는 반란에 가담한 살라망카인들의 궁전 탑 상부를 제거했다.[46]
16세기는 도시 인구 증가와 살라망카 대학교의 번영이 가장 컸던 시기였으며, 이는 살라망카 학파 교수들의 명성 덕분이었다. 이후 메세타 노르테의 카스티야 왕관 도시들의 일반적인 쇠퇴에 합류했다(1651년 인구 12,000명). 이 무렵 산 이시드로 성당이 건설되었다.
살라망카 학파의 법적 교리는 중세 법의 궤적을 바꾸었다. 중세 법은 사례법과 로마법 전통에 광범위하게 의존했지만, 스콜라 철학과 토미즘에 더 집중하고 더욱 명시적으로 보편적인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지화하기 시작하면서, 살라망카 학파는 비유럽인들의 권리에 관심을 가졌으며, 여기에는 육체적 존재로서의 권리(생존권), 경제적 권리(재산 소유권), 정신적 권리(사상의 자유권 및 인간 존엄성과 관련된 권리)가 포함되었다.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를 비롯한 살라망카 대학교의 도미니크회 관계자들과 안토니오 데 몬테시노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와 같은 식민지의 도미니크 선교사들 덕분에, 살라망카 학파는 스페인 식민주의자들과 그들이 원주민을 학대하는 것을 허용한 법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들의 ''만민법'' 또는 "민족/국가의 권리"에 대한 연구는 인권과 국제법의 현대적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1][12][13]
16세기 동안 도시는 번영의 절정에 달했다(살라망카는 약 24,000명의 인구를 가졌고, 1580년경에는 매년 6,500명의 학생들이 등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기간 동안 살라망카 대학교는 당시 가장 중요한 지식인들을 배출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도미니크회 학자들로 구성된 살라망카 학파로 불렸다.
1551년,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는 의사이자 해부학자인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의 과학이 가톨릭 교리와 일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명령했다. 베살리우스는 그 해 살라망카에 와서 위원회 앞에서 해명했고 무죄 판결을 받았다.
살라망카의 유대인 지구는 북쪽에 위치했으며, 성벽 옆(대략 현재의 미라트 대로)에 있었다. 1492년 유대인 추방 당시, 이 지역은 성벽으로 둘러싸였고, 살라망카인들은 그들이 돌아올 가능성을 생각하며 존중했으며, 무인화된 후에는 토끼로 가득 차서 최근까지 ''코네할 지구''로 알려졌다.
18세기에는 중요한 경제적, 문화적 부흥이 있었으며, 이는 살라망카 신 대성당 완공(공사가 거의 한 세기 동안 중단되었었다)과 1729년에 건설된 인상적인 바로크 양식의 마요르 광장으로 이어졌다. 1755년 리스본 지진 발생 시, 도시의 많은 기념비적인 건물들이 구조적 안전에 위험을 겪었다. 그 영향에 대한 가장 명백한 이미지 중 하나는 여전히 산 마르틴 교회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도시의 경제적 번영으로 인해 대성당을 포함하여 지진으로 손상된 많은 기념비적 건물을 개축할 수 있었으며, 이는 모든 스페인 대성당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문화적인 측면에서, 부르봉 왕가의 계몽주의 영향은 18세기 마지막 3분의 1 동안 대학교에서도 나타났다.
1218년 레온 왕국의 알폰소 9세 아래에서 스페인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인 살라망카 대학교가 세워졌다. 이 대학에서 "신대륙" 통치를 위한 법적 정비와 반종교 개혁의 여러 사상이 형성되었다.
3. 5. 현대
반도 전쟁 중 살라망카는 1809년 소울 원수의 군대에 점령되었고, 아라필레스 전투 (1812년)까지 프랑스의 손에 남아 있었다. 이 전투에서 웰링턴이 이끄는 영국-포르투갈 연합군은 마르몽의 프랑스 군대를 결정적으로 격파했다.[15] 점령 기간 동안 프랑스군은 방어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살라망카의 중요한 건물들을 파괴했는데, 특히 카이도스(Caídos)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대학의 유명한 콜레히오 마요레스가 세워졌지만, 이제는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다. 살라망카 서쪽 구역은 대포 사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그날 벌어진 전투는 군사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으로 유명하며, 불과 몇 시간 만에 13,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스페인의 페르난도 7세가 스페인 대학을 폐쇄했을 때 안 좋은 상황이 발생했다. 재개교 이후, 살라망카 대학교는 지방 대학교로 축소되었다. 살라망카 지역에서는 훌리안 산체스 가르시아 "엘 차로"가 카스티야의 란서 기병대를 지휘하며 게릴라와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
1833년에는 레온 지방에 속하는 살라망카 주가 만들어졌고, 이로써 살라망카 시는 그 주의 주도가 되어 살라망카 디푸타시온이 자리 잡았다.
1873년 제1 스페인 공화국이 선포된 후, 스페인을 연방화하려는 첫 번째 진지한 시도가 1873년 헌법 초안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초안이 발표된 지 불과 5일 만에 살라망카는 칸토날리즘 봉기를 겪었고, 4일간의 성공 이후 1873년 7월 26일에 진압되었다. 그 후 군사적 선언으로 제1 공화국과 연방 국가의 지역화 계획이 무산되었다. 19세기 후반 동안 살라망카는 주도로 지정되고, 프랑스와 포르투갈을 연결하는 철도가 메세타(메디나 델 캄포와 살라망카, 1877년)를 통과하면서 약간의 회복을 경험했다.
파괴적인 스페인 내전 (1936–1939) 동안 살라망카는 빠르게 민족주의 편으로 돌아서 반란 세력의 임시 본부로 사용되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1936년 9월 21일 살라망카에서 '최고 사령관'으로 선포되었다. 1937년 4월, 파시스트 팔랑헤와 전통주의 칼리스타를 통합하여 독재 정권의 단일 정당인 FET y de las JONS가 통합 법령을 통해 이 도시에서 창설되었다. 민족주의자들은 곧 대부분의 행정 사무소를 부르고스로 옮겼는데, 부르고스가 더 중심에 위치해 있어 이 목적에 더 적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행정 기관, 주교 궁은 옛 대성당 옆에 있었고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의 거주지이자 지휘 센터였으며, 독일 및 이탈리아 파시스트 대표단과 함께 군사 사령부가 살라망카에 남아 있어 내전 기간 동안 사실상 민족주의의 수도이자 권력의 중심지가 되었다.[17][18] 열렬한 가톨릭교도이자 주로 농촌 지역인 레온 및 구 카스티야 지역과 마찬가지로 살라망카는 민족주의 편과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을 오랫동안 강력하게 지지했다.
전쟁 후, 반군이 공화국을 옹호했던 지역을 점령하면서 압수한 문서들이 살라망카에 집중되어 스페인 내전 일반 문서 보관소에 방대한 문서 보관소를 만들었다. 이 보관소의 일부는 카탈루냐와 관련된 것이었고, 해당 지역에 속하지 않은 개인 및 기관의 많은 귀중한 서류와 문서가 2006년 봄에 바르셀로나로 이전되었다. 이는 살라망카 시의회와 스페인 정부 간의 격렬한 논쟁과 대중 시위 이후 이루어진 일이다. 훌리안 란사로테 (PP)가 주재하는 살라망카 시의회는 이 문서 보관소가 위치한 거리의 이름을 "지브롤터" (살라망카 민병대가 알폰소 11세와 함께 지브롤터 정복에 나선 것을 기리는 이름)에서 "엘 엑스폴리오"로 변경했다. 이는 "살라망카 문서"가 카탈루냐로 이전된 것에 대한 항의의 표시였다.
1940년 교황 비오 12세는 고대 신학 연구의 연장선으로 살라망카 교황청 대학교를 설립했다. 1988년 살라망카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도시로 지정되었다. 1998년 유럽 연합 문화부 장관들의 합의에 따라 살라망카는 브뤼헤와 함께 2002년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었다. 살라망카는 또한 머지않은 미래에 살라망카 세계 박람회 유치에 대한 후보 자격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살라망카의 인구는 약 30년 동안 정체되어 있으며 약 16만 명이지만, 2006년에는 1994년에 비해 11,000명 이상 감소했다. 이는 주로 인구의 일부가 대도시 지역으로 이동하고, 1980년대 이후 매우 낮은 출산율 (스페인의 인구 통계 참조)로 인해 유럽의 고령화가 진행된 데 기인한다. 이는 다른 많은 스페인 도시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마드리드와 같은 곳으로의 높은 이주율도 존재한다. 살라망카 주의 고령화 인구 비율이 전국 데이터에 비해 높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1994년 6월 7일부터 10일까지 살라망카에서 특수 교육에 관한 세계 회의가 열렸으며, 92개 정부와 25개 국제 기구가 대표로 참석했고, "특수 교육을 위한 살라망카 원칙, 정책 및 실천 선언"으로 마무리되었다.[19]
한편, 서비스 부문 (활기찬 문화 관광 및 살라망카 대학교)은 도시의 주요 수입원이다. 특히 여름철의 교육 활동이 중요한데, 이는 많은 국가에서 온 학생들이 대거 몰려 스페인어를 배우고 다양한 여름 강좌에 참석하기 때문이다. 2005년 10월 14일과 15일, 살라망카는 제15차 이베로 아메리카 정상 회담을 개최했다. 나루히토 일본 황태자는 2013년 6월 13일 스페인-일본 교류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도시를 방문했다. 그는 알폰소 페르난데스 마뉴에코 시장으로부터 도시의 열쇠를 받았다.[20]
4. 상징
4. 1. 문장
1996년 6월 11일, 카스티야 레온 관보 1996년 6월 20일자 118호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시의 문장으로 승인되었다.[1]"방패 분할. 첫째, 은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관통된 돌다리 위에 검은색으로 멈춰선 황소가 지나가고 그 뒤에는 뿌리 뽑힌 녹색 무화과 나무가 있다. 둘째, 금색 바탕에 붉은색 기둥 넷, 테두리는 푸른색 바탕에 은색 십자형 8개. 윗부분은 은색 망토로, 양 옆에 서로 마주보는 자연색 사자 두 마리가 있다. 종에는 왕관, 열려 있고 면류관이 없는 스페인 왕관"
BOLETÍN OFICIAL DE CASTILLA Y LEÓN|카스티야 레온 관보es[1]
4. 2. 깃발
시립 깃발은 "비율이 2:3인 직사각형 깃발로, 중앙에 살라망카 문장이 있는 빨간색 깃발"로 승인되었다.5. 경제
살라망카의 경제는 대학교와 관광 산업이 주도하고 있지만, 농업, 축산업, 건설 및 제조업과 같은 다른 부문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2007년 12월, 노동 인구의 83%에 해당하는 55,838명이 서비스 부문에 종사했다.[30] 산업 활동은 전체 노동 인구의 5%를 차지하며, 360개 이상의 사업장에서 3,340명의 근로자가 고용되었다.[30]
가장 큰 사업체 중 두 곳은 모두 해당 지역의 100대 기업에 속하며, 수의 백신 제조업체인 "Laboratorios Intervet"와 비료 전문 제조업체 S.A. 미라트이다. S.A. 미라트는 1812년 전분 공장으로 설립되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산업체이다.[31] 농작물 집산지이며, 식품 가공 등이 활발하다. 화학 제품 및 도자기 제조 등도 이루어지고 있다. 인근 도시로는 북동쪽으로 약 110km 떨어진 곳에 바야돌리드가, 동쪽으로 약 130km 떨어진 곳에 세고비아가 있다.
6. 교통
살라망카는 아빌라, 부르고스, 바야돌리드, 시우다드 로드리고 등 주변 도시와 도로 교통이 잘 연결되어 있다. 살라망카 공항은 도시에서 동쪽으로 약 14km 떨어진 마타칸 군기지에 위치하고 있다. 살라망카에서는 13개의 주간 버스 노선과 2개의 야간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트램 노선도 제안되었다.[32]
6. 1. 도로
고속도로 | 설명 |
---|---|
A50 | 아빌라 - 살라망카를 연결하는 아우토비아 데 라 쿨투라(Autovía de la Cultura) |
A62 | 부르고스 - 바야돌리드 - 살라망카 - 시우다드 로드리고를 연결하는 아우토비아 데 카스티야(Autovía de Castilla) |
A66 | 히혼 - 오비에도 - 미에레스 - 파하레스 고개 - 레온 - 베나벤테 - 사모라 - 살라망카 - 베하르 - 플라센시아 - 메리다 - 세비야를 연결하는 아우토비아 루타 데 라 플라타(Autovía Ruta de la Plata) |
SA-11 | 살라망카 북쪽 진입로 |
SA-20 | 살라망카 남쪽 진입로 |
기타 도로 | 설명 |
---|---|
N-501 | 아빌라 - 페냐란다 데 브라카몬테 - 살라망카를 연결 |
N-620 | 부르고스 - 벤타 데 바뇨스 - 바야돌리드 - 토르데실라스 - 살라망카 - 시우다드 로드리고 - 포르투갈을 연결 |
6. 2. 공항
살라망카 공항은 마타칸 군기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동쪽으로 약 14km 떨어져 있다.6. 3. 대중교통
살라망카에서는 주간에 13개의 버스 노선이, 야간에는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또한, 트램 노선이 제안되었다.[32]7. 문화
살라망카는 마드리드에서 기차로 2시간 30분 거리에 있으며, 2002년 벨기에 브뤼허와 함께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었다. 관광은 이 도시의 주요 수입원이며, 특히 여름에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살라망카는 작은 도시 분위기에 대도시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198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구시가지에는 다양한 문화 유적들이 자리 잡고 있다.
살라망카는 리들리 스콧의 1492: 천국의 정복, 밀로스 포먼의 고야의 유령 등 여러 영화의 배경이 되었으며,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의 2019년 역사 영화 국가 붕괴 직전도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살라망카의 전통 음식으로는 카세롤에 조리된 콩 요리인 챠레리아(Charreria), 돼지고기를 곁들인 찐 쌀인 '찬파이나', 병아리콩 기반의 스튜인 '코시도' 등이 있다. 가장 인기 있는 요리는 고기 파이인 ''오르나소''이다.
매년 부활절 후 첫 번째 월요일에는 루네스 데 아구아스(Lunes de Aguas)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는 원래 사순절과 부활절 이후 도시로 창녀들이 돌아오는 것을 허락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생겨났다.
7. 1. 주요 명소

- 마요르 광장: 펠리페 5세가 건설한 광장이다. 알베르토와 니콜라스 추리게라 건축가가 설계한 바로크 양식으로, 도시의 가장 중요한 공공 공간이자 중심지이다. 광장의 주요 건물은 살라망카 시청이다.
- 살라망카 대성당:
:: Catedral Vieja de Salamancaes - 12세기의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구 대성당
:: 살라망카 신 대성당 - 1513년부터 1733년까지 추가 설립된 고딕 건축 양식의 신 대성당. 신 대성당의 주요 탑은 구 대성당의 종탑 위에 건설되었다. 탑에는 1755년 리스본 지진으로 생긴 균열이 여전히 보인다.
- 살라망카 대학교: 대학 정문의 양각이 볼 만하다.
- 조개 집: 15세기에 세워진 기사의 집으로, 지금은 도서관과 식당으로 이용된다. 정면은 약 350개의 가리비 조개 껍질로 장식되어 있으며, 이는 산티아고 기사단의 특징이다. 창문의 고딕 양식 격자 또한 중요하다. 현재는 공공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Convento de San Esteban (Salamanca)es: 17세기에 세워진 도미니크회의 수도원이다. 플라테레스크 양식의 정면은 개선문 형태를 띠며, 살라망카 르네상스 시대의 진정한 보석이다. 호세 베니토 데 추리게라가 제작한 인상적인 바로크 양식의 제단화가 있다. 또한 르네상스 양식의 레예스 회랑도 주목할 만하다.

- 라 클레리시아: 현재 살라망카 교황청 대학교의 본부이다. 1617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세기 반 만에 예수회의 에스피리투 산토 왕립 대학으로 완공되었다. 바로크 양식으로, 흥미로운 회랑이 있는 대학과 3개의 층, 높이 50m의 두 개의 쌍둥이 탑, 거대한 돔으로 인상적인 정면을 가진 교회가 특징이다.
- -|]]|thumb|left|1419년부터 1533년 사이에 건설된 두에냐스 수도원의 회랑]]
- 두에냐스 수도원: 1533년에 건설되었으며, 건물 전체의 주요 관심사는 웅장한 회랑에 집중되어 있다. 회랑은 기존 부속 건물의 배치에 맞춰 평면을 조정해야 했기 때문에 독특한 불규칙한 오각형 평면으로 발전했다.
- 베라 크루스 예배당: 르네상스 파사드가 있는 바로크 양식의 사원이며, 500년 역사의 Cofradía Penitencial de la Santa Vera Cruz de Salamancaes의 본부이다.
- Colegio de Calatravaes: 18세기에 칼라트라바 기사단의 주도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카사 데 라 이글레시아(교회의 집)가 자리하고 있다.
- Convento de las Agustinas e Iglesia de la Purísimaes: 교회에는 호세 데 리베라가 그린 성모 무염시태 그림이 있다.
- Convento de las Isabeleses: 내부는 단일 선실과 여러 솔리스 가문의 무덤, 고딕 장식, 여러 제단화가 있는 주요 예배당이 있으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니콜라스 플로렌티노가 그린 성 이사벨 제단화이다.
- Ruinas del Convento de San Antonio el Reales: 바로크 양식으로, 유적은 리세오 극장과 방문할 수 있는 상점으로 나뉜다.
- Convento de la Anunciaciónes: 1512년 폰세카 대주교가 설립했다. 외부 앱스의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이 돋보인다.
- Convento de la Trinidades: 16세기에 트리니타리안 수도원을 수용하기 위해 개조된 이전 몬텔라노 궁전.
- 히에로니미테스의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빅토리아 수도원: 1513년에 완공되었으며, 19세기 초 반도 전쟁에서 프랑스군에 의해 반파되었다.
- Ermita de Nuestra Señora de la Misericordiaes: 1389년 산 크리스토발 광장에서 건설되기 시작한 작은 바로크 양식 사원.
- Antigua iglesia de las Bernardases: 로드리고 길 데 혼타논의 작품으로 16세기 살라망카 교회의 전형이다.
- Iglesia del Carmen de Abajoes: 산 안드레스 수도원에 통합된 카르멜회 예배당.
- 산 베니토 교회: 알론소 2세 폰세카의 후원으로 건축된 고딕 양식 교회.
- 산 훌리안 교회: 후대에 개조된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
- 산 마르코스 교회: 살라망카 성벽이 달리던 길 근처의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교회.
- 산 마르틴 교회: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양식으로 개조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교회로, 마요르 광장에 인접해 있다.
- 산 파블로 교회: 트리니타리안의 구 수도원에 속하는 바로크 양식 사원.
- 산타 마리아 데 로스 카바예로스 교회: 보르다도레스 거리에 있는 바로크 양식 창문 카마린이 있는 르네상스 양식 교회.
- 산티아고 델 아라발 교회: 로마네스크-무데하르 양식의 교회 유적(현대적 재건).
- 산토 토마스 칸투아리엔세 교회: 1175년 캔터베리 대주교 성 토마스 베켓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교회.
- Monasterio de Nuestra Señora del Carmen Descalzoes: 안토니오 페르난데스 알바의 현대 작품으로, 1963년 스페인 국가 건축상을 수상했다.

- Casa de Don Diego Maldonadoes: 16세기의 플라테레스크 양식 궁전이다.
- Casa de doña María la Bravaes: 15세기의 고딕 양식 건물이다.
- Casa Lis: 1905년의 작은 아르누보 양식 궁전으로, 철제 파사드를 가지고 있다.
- Casa de las Muerteses: 후안 데 알라바가 지었으며, 파사드를 장식하는 해골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 Casa del Regidor Ovallees: 미겔 데 우나무노가 그곳에서 사망했다.
-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의 집: 성녀는 1570년 살라망카를 방문하여 수녀원을 세웠고, 이곳에서 시 "나는 나에게 살지 않고 산다"를 썼다.
- Casa de los Sexmeros de la Tierraes: 반원형 아치가 있는 출입구, 고딕 양식의 창문이 있다.[29]
- Casa de las Viejases: 자원이 없는 과부들을 위한 이전의 보호 시설이었으며, 현재는 카스티야 이 레온 영화 자료관이 있다.
- Fonda Veracruz: 이 건물은 20세기 중반까지 여관으로 사용되었으며, 두 개의 계단이 있는 나무 갤러리가 있는 안뜰이 있다.
- Palacio de San Boales: sgraffito 파사드는 아리아스 코르벨레의 것과 매우 유사하다.
- Palacio de Castellanoses: 카스테야노스 후작의 궁전은 15세기 말에 시작되었지만, 파사드는 19세기 말에서 유래하여 고딕 양식과 신고전주의 양식을 결합하고 있다.
- Palacio de Garci Grandees: 르네상스 양식의 파사드와 코너에 있는 경사진 창문은 도시에서 유일하다.
- 몬테레이 궁전: 16세기에 지어졌으며 플라테레스크 양식이다. 알바 가문에 속하며, 탑과 굴뚝이 눈에 띈다.
- Palacio de Orellanaes: 고전주의 건축물로, 매너리즘의 영향을 받았다.
- Palacio de Rodríguez de Figueroaes: Concejo와 Zamora 거리에 흥미로운 파사드와 내부 안뜰이 있다.

- 살리나 궁전: 르네상스 양식, 로드리고 길 데 혼타뇬의 작품이다. 1884년부터 지방 의회의 청사로 사용되고 있다.
- Palacio de Arias Corvellees: sgraffito로 장식된 파사드.
- Palacio de Solíses: 1543년, 이 궁전에서 스페인 펠리페 2세와 포르투갈의 마리아 마누엘라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 Torre del Airees: 15세기에 지어진 Fermoselle 공작의 궁전의 유일한 잔재이다.

- 토레 델 클라베로: 1470년경, 알칸타라 기사단의 클라베로 시장인 프란시스코 데 소토마요르가 지은 궁전의 잔해이다.
- Torre de los Anayaes: 민간 고딕 양식의 오래된 저택으로, 분할 창과 삼면 안뜰이 있다.
- 칼리스토와 멜리베아의 과수원: 대성당 근처 정원으로, 일부에서는 페르난도 데 로하스의 소설 ''라 셀레스티나''의 줄거리가 이곳에 있다고 한다. 그 옆에는 로마 성벽의 잔해가 있다.
- 코리요 광장: 마요르 광장에 인접한 작은 광장. 왼편에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산 마르틴 성당이 있고, 오른편에는 주(週)의 날들을 나타내는 받침대로 끝나는 돌기둥으로 이루어진 아케이드가 있는 일련의 집들이 있다.
7. 2. 축제
살라망카의 전통 축제는 루네스 데 아구아스(Lunes de Aguas)이다. 부활절 후의 일요일 다음 월요일이다. 원래 이 축제는 사순절과 부활절 후에 도시로 창녀들을 법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허락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생겨났다. 모든 상점들이 문을 닫고, 살라망카 사람들은 시골에서 오르나또라는 파이의 일종을 먹기 위해 소풍을 간다.
살라망카 성주간(''Semana Santa'')은 살라망카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이다. 살라망카는 성주간 동안 거행되는 엄숙하고 차분한 행렬로 유명하다. 18개의 형제단, 10,000명의 형제 또는 "cofrades", 50개의 가마 또는 "파소"가 24개의 행렬과 수천 명의 추종자, 관광객 및 방문객과 함께 예수의 수난을 기념한다.[34]
일부 행사는 수세기 동안 거행되어 왔다. 형제단은 루이스 살바도르 카르모나, 알레한드로 카르니세로 또는 마리아노 벤류레와 같은 중요한 스페인 예술가들이 제작한 예술적인 파소를 운반한다. 2003년 살라망카의 세마나 산타는 국제 관광 관심사로 공식 선언되었다.[35]
살라망카는 또한 "대학 신년 축제(Nochevieja Universitaria)"로 번역되는 축제로 스페인과 유럽 전역에서 유명하다.[36] 이 행사는 보통 12월 학기 마지막 주의 목요일, 실제 섣달 그믐날 2주 전에 열린다. 이 날, 학생들은 살라망카 대광장에 모여 무료 공연을 관람하고 자정에 맞춰 카운트다운에 참여한다.
7. 3. 스포츠
1923년부터 "로스 차로스"로 불린 유니온 데포르티바 살라망카는 살라망카를 대표하는 축구팀이었다. 2013년 파산으로 해체되었으나,[37] 일부 운영진들이 팜 팀을 재창단하여 클루브 데 푸트볼 살라만티노를 창설, 역사적인 클럽의 유산을 잇고 있다.1993년 살라망카에서 하비에르 소토마요르가 높이뛰기에서 2.44m를 넘어선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그의 2.45m 기록은 현재까지도 세계 기록으로 남아있다.

출생 연도 | 이름 | 주요 경력 및 업적 |
---|---|---|
1950 | 비센테 델 보스케 | 축구 선수 (클럽 518경기, 스페인 대표팀 18경기 출전), 스페인 감독 (2008-2016) |
1952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산스 알론소 | 스페인 체스 선수권 대회 우승 (1973) |
1969 | 테오도라 루아노 | 은퇴한 여자 트랙 및 도로 사이클 선수, 하계 올림픽 3회 출전 |
1975 | 파티마 블라스케스 | 도로 사이클 선수, 1996년 하계 올림픽 & 2000년 하계 올림픽 출전 |
1975 | 펠릭스 프리에토 | 전 축구 선수, 클럽 474경기 출전 |
1979 | 이반 콰드라도 | 전 축구 선수, 클럽 544경기 출전 |
1981 | 조나단 마르틴 | 축구 선수, 클럽 500경기 이상 출전 |
1982 | 오스카르 곤살레스 | 축구 선수, 클럽 438경기 이상 출전 |
1983 | 다니엘 나바르 | 프로 도로 사이클 선수 |
1983 | 카를로스 페냐 | 축구 선수, 클럽 572경기 출전 |
1983 | 알바로 아르벨로아 | 축구 선수, 클럽 344경기 출전, 스페인 대표팀 56경기 출전 |
1983 | 크리스티나 곤살레스 라모스 | 은퇴한 핸드볼 골키퍼, 스페인 대표팀 142경기 출전 |
1984 | 하비에르 카르피오 | 축구 선수, 클럽 440경기 이상 출전 |
1988 | 키케 로페스 | 축구 선수, 클럽 480경기 이상 출전 |
1978 | 다비드 알카이드 | 프로 포켓볼 선수, 유럽 오픈 포켓볼 챔피언십 우승 (2023) |
; 축구
- UD 살라망카: 1923년 설립, 1970년대~1990년대 프리메라 디비시온 12시즌 소속, 2013년 재정난으로 해산.
- 우니오니스타스 데 살라망카 CF: 2013년 설립, 현재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 소속.
- 살라망카 CF UDS: 2013년 설립, 현재 세군다 디비시온 RFEF 소속.
; 농구
- CB 아베니다: 1988년 설립, 여자 농구팀으로 2010-11 시즌 유로리그 위민 우승.

- 살라망카 CF
- 유니오니스타스 데 살라망카 CF
- CB 아베니다
- 클루브 나타시온 아쿠아티코 살라망카
8. 자매결연 도시
참조
[1]
간행물
La aldea del Hierro Inicial del Cerro de San Vicente (Salamanca, España): Resultados de las excavaciones entre 1990 y 2006 a la luz de algunos debates actuales
http://www.aranzadi.[...]
Aranzadi Zientzia Elkartea
[2]
문서
Repoblación de la zona meridional del Duero. Phases of occupation, provenanc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epopulating groups
http://gredos.usal.e[...]
[3]
서적
España: sus monumentos y artes, su naturaleza e historia. Volume 3
http://www.cervantes[...]
Publication: Alicante: [[Miguel de Cervantes Virtual Library]], 1999
[4]
문서
Salamanca Y Su Alfoz En La Edad Media (12th and 13th centuries)
[5]
문서
Toponimos Abulenses Y Repobladores Vasconeses
[6]
문서
Toponimo Salmantinos Y Repobladores Vasconavarros
[7]
문서
volume II Edad Media de "Historia de Salamanca"
[8]
문서
"The Castilian-Leonese Extremadura. Warriors, clerics and peasants"
[9]
간행물
Las violencias banderizas en la Salamanca medieval. Algunos problemas de interpretación
https://www.raco.cat[...]
[[University of Lleida|Universitat de Lleida]]
[10]
간행물
Estructura demográfica y profesional de Salamanca a finales de la Edad Media
http://www.lasalina.[...]
[11]
서적
A History of Catholic Theological Ethics
[[Paulist Press]]
[12]
서적
The Idea of Natural Rights
"
[13]
서적
Human Rights and the Image of God
[[SCM Press]]
[14]
웹사이트
Masterstroke at Salamanca
https://warfarehisto[...]
2020-01-29
[15]
문서
Royal Decree of November 30, 1833 on the civil division of Spanish territory in the Peninsula and adjacent islands into 49 provinces
[16]
웹사이트
Picturesque Europe: a delineation by pen and pencil of the natural features and the picturesque and historical places of Great Britain and the continent
https://archive.org/[...]
D. Appleton and Co.
[17]
문서
Hugh Thomas, pág. 550
[18]
문서
Hugh Thomas, pág. 650
[19]
웹사이트
Conferencia Mundial sobre Necesidades Educativas Especiales: Acceso y Calidad. Salamanca, Spain, June 7-10, 1994
https://sid.usal.es/[...]
2023-09-15
[20]
웹사이트
Naruhito recibe las llaves de la ciudad deseando fortalecer los vínculos con la ciudad
http://www.salamanca[...]
2017-04-05
[21]
웹사이트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major climatic types in modified Köppen system
http://snow.cals.uid[...]
Prentice Hall
[22]
서적
Atlas climático ibéric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3]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Moyennes 1991/2020 Espagne (page 3)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22-06-03
[24]
웹사이트
Climatologie de l'année à Salamanca/Matacan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13
[25]
웹사이트
Monthly Averages for Salamanca Airport, Spain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09-10-20
[26]
웹사이트
Extremes in Salamanca Airport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7]
문서
PGOU of the municipality of Salamanca (revision-adaptation 2004)
http://urbanismo.ayt[...]
[28]
문서
Depuración
https://www.aqualia.[...]
[29]
웹사이트
Fonda Veracruz en Salamanca - Ver Salamanca
http://www.versalama[...]
[30]
웹사이트
Salamanca - Datos Económicos y Sociales
http://www.cajaespan[...]
cajaespana.es
2011-08-17
[31]
웹사이트
MIRAT Historia Antecedentes
http://www.mirat.net[...]
mirat.net
2011-08-17
[32]
웹사이트
Presentan un estudio de viabilidad para la implantación del tranvía en Salamanca
http://www.20minutos[...]
2008-05-16
[33]
웹사이트
Old City of Salamanca
https://whc.unesco.o[...]
[[UNESCO]]
2017-03-02
[34]
뉴스
Salamanca se prepara para recibir la Semana Santa - Salamanca Diario
https://salamancadia[...]
2022-04-08
[35]
웹사이트
Easter |Salamanca
http://www.salamanca[...]
[36]
웹사이트
University New Year
http://www.drinkribe[...]
2017-08-05
[37]
뉴스
La RFEF desciende a la UDS por las deudas con los futbolistas - UDS -Noticias de La Gaceta de Salamanca
http://www.lagacetad[...]
Lagacetadesalamanca.es
2013-06-29
[38]
웹사이트
Salamanca
https://www.diariode[...]
Diario de León
2011-09-25
[39]
웹사이트
Lirios en el Parque Würzburg, la imagen de hoy de Puparelli
https://www.lagaceta[...]
La Gaceta de Salamanca
2019-01-09
[40]
웹사이트
合肥国际"朋友圈"再添新成员——合肥市与西班牙萨拉曼卡市建立友好合作关系
https://ahfao.ah.gov[...]
2022-07-18
[41]
간행물
Coronado, Francisco Vasquez de
[42]
간행물
Fernandez, Lucas
[43]
간행물
Torres y Villaroel, Diego de
[44]
간행물
Alvarez, Don Manuel
[45]
간행물
Aguilera, Ventura Ruiz
[46]
서적
Salamanca: guías de turismo de Castilla y León
2007
[47]
웹인용
Monthly Averages for Salamanca, Spain
http://www.aemet.es/[...]
Agencia Española de Meteorología
2009-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