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울 뒤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울 뒤피는 1877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20세기 초 활동한 화가이다. 인상주의 화풍에서 출발하여, 앙리 마티스의 영향을 받아 포비즘 운동에 참여했고, 이후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밝고 투명한 색채와 리듬감 있는 선묘를 특징으로 하며, 보트 경주, 해변 풍경, 음악, 말 등을 즐겨 그렸다. 직물 디자인, 삽화, 무대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1937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대형 벽화 '전기의 요정'을 제작하여 명성을 얻었다. 1952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회화 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 195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수파 화가 - 앙드레 드랭
    프랑스 화가이자 조각가인 앙드레 드랭은 야수파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강렬한 색채와 대담한 표현으로 주목받았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협력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야수파 화가 - 모리스 드 블라맹크
    모리스 드 블라맹크는 프랑스 화가로, 야수파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빈센트 반 고흐의 영향을 받아 강렬한 색채와 거친 붓 터치를 특징으로 하는 작품을 제작했다.
  • 입체파 예술가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입체파 예술가 - 기욤 아폴리네르
    기욤 아폴리네르는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입체주의와 초현실주의에 영향을 준 시인, 소설가, 극작가, 미술평론가로, '알코올'과 '칼리그램' 등의 시집을 통해 독자적인 시적 경지를 구축하고 "오르피즘"과 "초현실주의" 용어를 창안하는 등 예술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 프랑스의 화가 - 장 아르프
    장 아르프는 프랑스-독일계 예술가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콜라주, 부조, 조각 등의 작품 활동을 했으며, 베네치아 비엔날레 그랑프리 등을 수상했다.
  • 프랑스의 화가 - 폴 들라로슈
    폴 들라로슈는 프랑스의 역사 화가로, 파리 국립미술학교에서 수학하고 살롱전에 데뷔하여 역사적 사건을 묘사한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국립미술학교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라울 뒤피
기본 정보
라울 뒤피, 초상 사진
라울 뒤피, 1927년 이전
이름라울 뒤피
출생일1877년 6월 3일
출생지르아브르, 프랑스
사망일1953년 3월 23일
사망지포르칼키에, 프랑스
국적프랑스
활동 분야
직업화가
삽화가
디자이너
판화 제작자
예술 활동
사조야수파
인상주의
모더니즘
입체파
훈련에콜 국립 고등 미술학교
대표 작품"라 페 엘렉트리시테" (1937)
형제장 뒤피 (화가)

2. 생애

라울 뒤피는 1877년 르 아브르에서 태어나 23세에 파리로 এসে 인상파 화가 드가의 영향을 받은 그림을 그렸다. 마티스의 작품 《호사·정밀·쾌락》을 접하고 큰 감명을 받아 인상주의적 리얼리즘에서 벗어나 새로운 그림의 의미를 찾게 되었다.

이후 포비슴 운동에 참여하여 빠른 필치로 삶의 기쁨을 표현하는 화가로 자리매김했다. 보트 경주, 해수욕장 풍경, 거리 축제 등 밝고 활기찬 장면들을 즐겨 그렸다. 퀴비슴에도 잠시 접근했으나, 자신의 기질과 맞지 않아 다시 '바캉스의 화가'로 돌아왔다.

1895년, 18세 때 르 아브르 시립 미술학교 야간 강좌를 다니며 르 아브르 항구를 스케치했다. 오른손잡이였지만 기교에 치우치는 것을 우려하여 왼손으로 그림을 그렸다.[5] 1898년부터 1899년까지는 군 복무를 하였고, 제대 후에는 병으로 보주 지방에 체류하기도 했다.[5] 1900년, 르 아브르 시로부터 장학금을 받아 파리 국립 미술학교에 입학, 레옹 보나의 아틀리에에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수업을 받았다. 이때 인상주의 화가들의 영향을 받았다.[5]

1905년, 앙리 마티스 등을 알게 되고 야수주의에 관심을 가졌다. 1908년에는 브라크와 레스타크에서 제작하면서 세잔 풍 양식을 채택하기도 했다. 1909년에는 오통 프뤼에와 뮌헨으로 여행을 갔다.

1911년, 패션 디자이너 폴 푸아레와 협업하여 직물 디자인을 제작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육군 우편 사업에 종사했다. 1918년에는 장 코크토의 무대 디자인을 맡았다.

1925년, 국제장식미술전에서 「샤토 드 프랑스」 시리즈로 금상을 수상했다. 1938년, 파리 만국 박람회 전기관에 프레스코화 벽화 「전기의 요정」을 그렸다.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페인 국경 근처 마을에서 피난 생활을 했다.[5] 1950년부터 1952년까지는 류머티즘 치료를 위해 미국 보스턴으로 떠났다.[5] 1952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국제 대상을 수상했다.

1953년 3월 23일, 뒤피는 프랑스 포르칼퀴에에서 소화관 출혈로 사망하여 니스 교외의 시미에 수도원 묘지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1877-1900)

1877년 6월 3일 노르망디의 르 아브르에서 11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철강 제조 회사의 회계사이자 재능 있는 음악가였고, 어머니는 노르망디의 옹플뢰르 출신이었다.[1] 형제 중에는 후에 화가가 된 장 뒤피도 있었다.[1]

14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커피 수입 회사에 취직했다.[1] 1895년 18세가 되던 해, 르 아브르의 에콜 데 보자르에서 저녁 미술 수업을 듣기 시작했다.[1] 강사는 프랑스 초상화가 앵그르의 제자인 샤를 뤼이예였다.[1] 거기서 라몽 르쿠르와 오통 프리스를 만났는데, 그는 나중에 몽마르트르에서 이들과 함께 스튜디오를 공유하고 평생 친구로 지냈다.[1] 이 기간 동안 뒤피는 주로 수채화로 노르망디 풍경을 그렸다.[1]

1900년, 1년간의 군 복무 후, 파리의 보자르(에콜 나시오날 쉬페리외르 데 보자르) 장학금을 받았다.[1] 거기서 그는 다시 오통 프리스와 만났다 (조르주 브라크가 공부할 때도 그곳에 있었다).[1] 뒤피는 클로드 모네카미유 피사로와 같은 인상주의 풍경화가들의 영향을 받아 그림 실력 향상에 집중했다.[1]

2. 2. 파리에서의 수학과 인상주의 (1900-1905)

1900년, 1년간의 군 복무를 마친 뒤피는 파리의 에콜 드 보자르(국립미술학교) 장학금을 받았다. 그곳에서 그는 오통 프리스와 다시 만났고,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공부했다. 뒤피는 클로드 모네카미유 피사로 같은 인상주의 풍경화가들의 영향을 받아 그림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했다.[3] 1898년부터 1899년까지 징병으로 군 복무를 하였고, 제대 후 병으로 보주 지방의 발 다주르에 체류하기도 했다.[5] 1900년 르 아브르 시로부터 1200프랑의 장학금을 받아 23세에 고향을 떠나 파리 국립 미술학교 에콜 드 보자르에 입학, 몽마르트르의 코르토 거리에서 생활하며 레옹 보나의 아틀리에에서 수업을 받았다. 조르주 브라크와 동급생이었다.[5]

1901년 프랑스 화가 전시회에서 그의 첫 전시회가 열렸다.[3] 1902년에는 베르트 웨일을 소개받아 그녀의 갤러리에서 작품을 전시했고,[3] 파스텔 작품을 납품했다.[5] 1903년에는 앙데팡당전에 출품했다.[5] 모리스 드니 화가가 그의 그림 한 점을 구입하면서 그의 작품은 상당한 인정을 받게 되었다.[3]

뒤피는 계속 그림을 그렸는데, 특히 르 아브르 근처, 그중에서도 외젠 부댕클로드 모네와의 연관성으로 유명해진 생트아드레스 해변에서 그림을 그렸다. 1904년에는 친구 알베르 마르케와 함께 영국 해협(라 만슈)의 페캉에서 작업했다.[3]

2. 3. 야수파 시기 (1905-1908)

앙리 마티스의 ''쾌락, 평온, 그리고 관능''을 1905년 앙데팡당전(인디펜던트 살롱)에서 본 뒤피는 야수파(포비슴)에 관심을 돌렸다.[1] "야수파"(Les Fauves)는 작품에서 밝은 색채와 대담한 윤곽을 강조했다. 뒤피의 회화는 1909년경 폴 세잔의 작품과 접촉하여 더욱 미묘한 기법을 채택할 때까지 이러한 미학을 반영했다.[1]

1905년, 앙리 마티스, 알베르 마르케와 알게 되었고, 앙드레 드랑, 모리스 드 블라맹크, 파블로 피카소 등 젊은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앙데팡당전에서 보고 야수주의에 관심을 돌리고 사실주의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 1908년, 브라크와 레스타크에서 제작하면서 세잔풍 양식을 채택하여 야수주의에서 멀어졌다.

2. 4. 세잔의 영향과 독자적 화풍 모색 (1908-1920)

1908년, 뒤피는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레스타크에서 그림을 제작하면서 폴 세잔 풍의 양식을 채택하여 포비슴(야수주의)에서 멀어졌다.[3] 1909년에는 오통 프뤼에와 함께 뮌헨으로 여행을 갔다.[3] 이후 큐비즘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1920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생략된 원근법을 사용한 골격 구조의 배열과 빠르고 얇은 수채 물감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독자적인 기법을 개발했다.[3] 이 기법은 나중에 "속기법"으로 인정받았다.[3]

2. 5. 직물 디자인과 다양한 활동 (1911-1937)

뒤피는 1911년 패션 디자이너 폴 푸아레와 알게 되어, 목판화를 이용해 쁘띠트 유제느 공장에서 직물 디자인을 제작했다. 1912년에는 프랑스의 실크 제조업을 이끈 리옹의 비앙키니 페리에 상회와 디자이너 계약을 맺었다.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121189 뷜르 드 불로뉴는 폴 포아레가 디자인하고 뒤피가 직물 디자인을 하고 비앙키니-페리에가 제작한 드레스이다. 뒤피는 폴 포아레의 개인적인 취향과 스타일을 반영한 대담하고 그래픽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포아레와 뒤피는 여러 번 함께 새로운 디자인을 많이 만들었다.

1920년, 파리로 돌아와 몽마르트르조르주 브라크 근처에 거처를 마련했다. 1925년, 「샤토 드 프랑스」 시리즈가 국제장식미술전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1937년 파리 국제 박람회를 위해 뒤피는 당시 가장 큰 그림 중 하나인 ''"전기의 요정"''을 제작했는데, 이는 전기를 기념하는 광범위하고 널리 호평받는 유화(합판 위에 유채) 작품이었다.[3] 1938년, 파리 전력 공급 회사 사장의 의뢰로 파리 만국 박람회 전기관 장식에 인기 있는 서사시를 프레스코화의 거대한 벽화 「전기의 요정」으로 그렸다.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아티스트로서 명성을 얻었다.

2. 6. 전기의 요정과 국제적 명성 (1937-1953)

1937년 파리 국제 박람회를 위해 뒤피는 당시 가장 큰 그림 중 하나인 ''전기의 요정''을 제작했는데, 이는 전기를 기념하는 광범위하고 널리 호평받는 유화(합판 위에 유채) 작품이었다.[3] 1938년에는 파리 전력 공급 회사 사장의 의뢰로 파리 만국 박람회 전기관 장식에 인기 있는 서사시를 프레스코화의 거대한 벽화 ''전기의 요정''으로 그렸다.[5] 이 작품을 통하여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아티스트로서 명성을 얻었다.[5]

뒤피는 또한 삽화가이자 상업 미술가로서 명성을 얻었다.[4] 그는 공공 건물을 위한 벽화를 그렸고 많은 수의 태피스트리와 도자기 디자인을 제작했다.[4] 그의 판화는 기욤 아폴리네르, 스테판 말라르메, 그리고 앙드레 지드의 책에 실려 있다.[4] 1909년 뒤피는 폴 포아레로부터 그 집의 편지지 디자인을 의뢰받았다.[4] 1910년에는 기욤 아폴리네르와 친분을 맺었다.[5] 1911년에는 당시 화려한 왕이라 불린 패션 디자이너 폴 푸아레와 알게 되었다.[5] 푸아레와의 작업으로 목판화를 이용해 쁘띠트 유제느 공장에서 직물 디자인을 제작했다.[5] 아폴리네르의 동물지의 목판 삽화를 제작했다.[5] 1912년 이후로 그는 비앙키니-페리에를 위해 직물 무늬를 디자인했는데, 이는 포아레와 샤르베가 착용하는 의류에 사용되었다.[4]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121189 뷜르 드 불로뉴는 폴 포아레가 디자인하고 뒤피가 직물 디자인을 하고 비앙키니-페리에가 제작한 드레스이다.[4] 뒤피는 폴 포아레의 개인적인 취향과 스타일을 반영한 대담하고 그래픽적인 디자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4] 포아레와 뒤피는 여러 번 함께 새로운 디자인을 많이 만들었다.[4] 1912년에는 프랑스의 실크 제조업을 이끈 리옹의 비앙키니 페리에 상회와 디자이너 계약을 맺었다.[5]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 뒤피는 파리의 연례 튀일리 살롱에 출품했다.[4] 1950년에는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손이 불편해져 그림을 그리는 능력이 저하되었고, 작업을 위해 붓을 손에 고정해야 했다.[4] 다발성 관절염 발병.[5] 당시 폴 비야르 박사가 뒤피의 주치의였다.[5] 그해 4월에 그는 필립 S. 헨치의 연구를 바탕으로 코르티손과 코르티코트로핀을 이용한 실험적 치료를 받기 위해 보스턴으로 갔다.[4] 1950년~1952년에는 류머티즘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을 받기 위해 미국 보스턴으로 떠났다.[5] 치료는 성공적이었고, 그의 다음 작품 중 일부는 미국의 의사와 연구원들에게 헌정되었다.[4] 1952년 그는 제26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회화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4] 뒤피는 지속적인 치료의 결과로 1953년 3월 23일 프랑스 포르칼퀴에에서 소화관 출혈로 사망했다.[4] 그는 니스의 교외인 심이에의 심이에 수도원 묘지에 마티스 근처에 묻혔다.[4]

2. 7. 투병과 말년 (1940-1953)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 뒤피는 파리의 연례 튀일리 살롱에 출품했다.[3] 1950년에는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손이 불편해져 그림을 그리는 능력이 저하되었고, 작업을 위해 붓을 손에 고정해야 했다.[3] 그해 4월, 필립 S. 헨치의 연구를 바탕으로 코르티손과 코르티코트로핀을 이용한 실험적 치료를 받기 위해 보스턴으로 갔다.[3] 치료는 성공적이었고, 이후 그의 작품 중 일부는 미국의 의사와 연구원들에게 헌정되었다.[3] 1952년, 제26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회화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3] 뒤피는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1953년 3월 23일 프랑스 포르칼퀴에에서 장 출혈로 사망했다.[3] 그는 니스 교외 심이에의 심이에 수도원 묘지에 마티스 근처에 묻혔다.[3]

3. 화풍

1877년 르 아브르에서 태어난 뒤피는 23세에 파리로 나와 인상파의 드가를 연상시키는 그림을 약간 어두운 색조로 그렸다. 라울 뒤피가 자신의 그림에 대해 스스로 깨닫게 된 계기는 마티스의 작품 《호사·정밀·쾌락》을 접했을 때라고 한다. 그는 "이 그림을 보고 나는 그린다는 것의 참된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정말 놀라운 발명이라 할 이 그림을 보고 있으면 인상주의적인 리얼리즘의 매력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다."라고 말했다.

포비슴 운동에 참가한 후부터 그는 빠른 필치를 자랑하며 삶의 기쁨을 다채롭게 표현하는 화가가 되었다. 보트 경주, 수영장 풍경, 길거리 축제 등 기쁨의 소리가 울리는 장소와 장면은 그가 좋아하는 주제였다. 그 후 그는 퀴비슴에 접근하여 한때는 화상(畵商)도 위험하게 여기는 실험적인 시도를 하기도 했지만, 금욕적인 분석과 구성의 수법은 결국 그의 기질과 맞지 않아 다시 '바캉스의 화가'로 돌아갔다. 특히 그는 생활을 위해 디자인을 하는 일에도 손을 대어 장식 미술가로서도 높이 평가를 받았으며, 그 경험은 그의 회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3. 1. 주요 작품

라울 뒤피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명제작 연도소장처이미지
레 알리에1914--
르 카발리에 아랍(르 카발리에 블랑)1914파리 현대미술관(Musée d'Art Moderne de Paris)--
호텔 슈브1926필립스 컬렉션(The Phillips Collection)--
카우스의 레가타1934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rt)--
모차르트에게 경의를 표하며(Hommage à Mozart)프라이빗 아트 컬렉션(Private Art Collection)
르 아브르의 7월 14일, 장식된 거리(Le 14 juillet au Havre, rue pavoisée)1906프라이빗 아트 컬렉션(Private Art Collection)
레스타크의 나무들(Trees in L'Estaque)1908[6]
1939년 프랑스 현대 미술 전시회 출품작1939유럽 도서관(The European Library)
위키리브르(wikilivres.org)의 라울 뒤피 작품(캐나다 공개 도메인)
앙드레 말로 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 André Malraux) 소장 작품
산타드레스의 해변1906아이치현립미술관
바다의 여신1936이타미시립미술관
전기의 요정1937파리시립근대미술관
30년, 또는 장밋빛 인생파리시립근대미술관
말을 탄 해리 케슬러 백작 가족--
연합국1914--
서커스의 말1924--



앙리 마티스에게 감명을 받아 야수파(Fauvisme)의 일원으로 여겨지지만, 뒤피의 화풍은 다른 야수파 화가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뒤피의 밝고 투명한 색채와 리듬감 있는 선묘의 유화와 수채화는 화면에서 음악이 들리는 듯한 느낌을 주며, 화제는 대부분 음악, 바다, 말, 장미를 모티브로 요트 장면이나 프랑스 리비에라의 반짝이는 풍경, 세련된 관계자들과 음악 이벤트를 그렸다.

또한 뒤피는 책의 삽화, 무대 미술, 많은 직물의 텍스타일 디자인, 막대한 수의 태피스트리, 도자기 장식, 『VOGUE』 표지 등을 담당하여 많은 세련되고 다채로운 작품을 남겼다.

4. 한국과의 관계

라울 뒤피와 관련하여 대한민국에서 직접적인 관계는 알려진 바가 없다.

4. 1. 관련 연구 및 전시


  • 최옥수, 〈라울 뒤피의 직물 문양에 나타난 예술적 특성〉, 《조형디자인연구》 15-3,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2년[1]
  • 안은정, 〈라울 뒤피의 텍스타일 디자인 색채 특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1,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년[2]
  • 이소영, 《이것은 라울 뒤피에 관한 이야기》, 알에이치코리아, 2023년[3]
  • NHK 서비스센터 「라울 뒤피展 ―아름다움, 삶의 기쁨―」(Raoul Dufy展 ―美、生きる喜び―)[4]
  • 요미우리 신문사 문화사업부 「뒤피展」(Dufy展) 퐁피두센터 소장[5]

5. 작품 소장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1], 시카고 미술관[2], 현대미술관[3], 퐁피두 센터[4], 온타리오 미술관, 칼라마주 미술관, 맥네이 미술관[5], 파리 현대미술관, 니스 미술관, 데 푼다티에 미술관, 미국 국립미술관, 앙테를린덴 미술관, 반 아베 미술관, 버지니아 미술관, 오르세 미술관, 파리 시립 미술관, 오타니 미술관, 국립서양미술관, 이시바시 재단 브리지스톤 미술관, 아이치 현립 미술관, 메나드 미술관, 미에 현립 미술관, 시마네 현립 미술관, 오하라 미술관, 히로시마 미술관, 가마쿠라 오타니 기념 미술관, 아오야마 유니맷 미술관, 브리지스톤 미술관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for "Raoul Dufy"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024-10-11
[2] 뉴스 Raoul Dufy -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https://www.artic.ed[...] 2023-09-16
[3] 웹사이트 Raoul Dufy https://www.moma.org[...] 2024-10-11
[4] 웹사이트 Recherche - Centre Pompidou https://www.centrepo[...] 2024-10-11
[5] 웹사이트 McNay Collection: Raoul Dufy https://web.archive.[...] Mcnayart.org 2014-05-16
[6] 웹사이트 Catalogue entry https://collection.c[...]
[7] 논문 Edison turns up in Paris Princeton University 2017-06-14
[7] 서적 Raoul Dufy, l'œuvre en soie Barthelemy 1998
[7] 서적 From Paris to Providence, Fashion, Art and the Tirocchi Dressmakers' Shop, 1915–1947 ("Modernism in Fabric: Art and the Tirocchi Textiles")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1999
[7] 서적 Raoul Dufy: Paintings, Drawings, Illustrated Books, Mural Decorations, Aubusson Tapestries, Fabric Designs and Fabrics for Bianchini-Férier, Paul Poiret Dresses, Ceramics, Posters, Theatre Designs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 1983
[7] 논문 LA cortisone 2010-04-01
[7] 웹사이트 11 Famous People With Rheumatoid Arthritis health.com
[7] 웹사이트 McNay Collection: Raoul Dufy http://collection.mc[...] Mcnay Art Museum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