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삽화는 글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림이나 이미지를 의미한다. 선사 시대 동굴 벽화에서 시작되어,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책, 잡지, 신문 등 인쇄 매체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19세기에는 삽화가 전성기를 맞이하며 예술의 한 분야로 자리 잡았다. 현대에는 광고, 과학, 기술 분야는 물론, 웹툰, 게임, 애니메이션 등 디지털 콘텐츠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순수 미술과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삽화 -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은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정보, 데이터, 지식을 전달하는 시각적 표현 방식으로, 역사적으로 동굴 벽화에서 시작되었으며 시각적 요소, 콘텐츠, 지식의 세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삽화 - 컨셉 아트
컨셉 아트는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존재하지 않는 사물, 캐릭터, 배경 등의 시각적 디자인을 창조하는 예술 분야로, 순수 미술과 그래픽 디자인 기술을 요구하며 디지털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회화 - 추상 미술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며, 바실리 칸딘스키 등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운동을 거쳐 발전했고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된다. - 회화 - 현판
현판은 건축물이나 장소의 이름, 의미를 나타내는 표지판으로 건물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권위와 상징성을 부여하며 역사와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삽화 |
---|
2. 역사
일러스트레이션의 역사는 인류가 그림을 통해 소통하기 시작한 선사시대 동굴 벽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라스코 동굴의 벽화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그려진 것으로, 인류 최초의 일러스트레이션이라 할 수 있다.[20][21]
역사적으로 삽화는 인쇄 및 출판 산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해 왔다. 영어의 'illustration', 'illustrate'는 "비추다", "밝게 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lustrar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이해하기 쉽게 하다"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20][21] 서양에서 'illustration'은 도해나 삽화 등 인쇄물 속에 다루어져 이해를 돕는 도판을 의미했지만, 현재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을 줄여 '일러스트'라고 부르지만, 이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용어이다. 현대 일본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은 단순히 그림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그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20] 건축물의 완성 예상도(건축 퍼스)도 일러스트레이션의 일종이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고대 이집트 시대에는 상형 문자와 함께 파피루스에 삽화를 그려 넣었는데, 죽은 자의 서 등이 대표적이다.[12][13] 이러한 삽화는 글과 그림을 결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
중세 유럽에서는 수도사들이 수도원에서 성경 필사본을 만들 때, 글과 함께 화려한 색채와 정교한 그림을 곁들인 채색 사본을 제작했다. 이는 장식화라고도 불리며, 베리 공의 극히 화려한 시편집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8세기부터 목판 인쇄술을 활용하여 불교 경전 등에 삽화를 넣는 전통이 있었다.
2. 2. 15세기 ~ 18세기
15세기에는 목판 인쇄를 통해 출판 삽화가 발달하였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는 목판과 동판 식각법이 삽화 제작의 주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18세기 후반에는 석판 인쇄의 발달로 더욱 정교한 일러스트레이션 출판이 가능해졌다. 윌리엄 블레이크는 릴리프 에칭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고안하여 삽화를 표현한 당대 최고의 일러스트레이터였다.
2. 3. 19세기: 일러스트레이션의 황금기
19세기에는 신문, 잡지, 소설 등 대중 매체의 발달과 함께 일러스트레이션이 전성기를 맞이했다. 19세기 초부터 신문, 대중 잡지, 삽화가 있는 책들이 유럽과 신대륙에서 주요 소비자 미디어가 되었고, 인쇄 기술의 발전으로 삽화가들은 색감과 새로운 표현 기법을 실험할 수 있게 되었다.[15]유럽에서는 19세기 초 존 리치, 조지 크루이크섐크, 찰스 디킨스의 삽화가, 프랑스의 오노레 도미에 등이 주목할 만한 인물이었다. 이들은 모두 풍자적인 출판물과 "진지한" 출판물 모두에 기여했으며, 당시 사회적 관습, 유형 및 계층을 담은 캐리커처 그림에 대한 수요가 매우 컸다.[14]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는 폴 가바르니, J. J. 그랑빌, 그리고 특히 귀스타브 도레에 의해 이 분야는 예술의 경지에 이르렀다. 도레의 『라 퐁텐 우화집』, 『샤를 페로의 동화』,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등의 삽화는 한 시대를 풍미했다. 1860년대 런던의 빈곤을 묘사한 그의 삽화는 사회 문제가 예술 분야에서 나타난 주목할 만한 사례였다.[39]
영국의 유머 잡지 ''펀치''(1841~2002)는 존 테니얼, 조르주 뒤모리에 등 많은 삽화가들을 고용했다. 이 잡지는 유머러스한 삽화를 설명하기 위해 "만화"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널리 사용됨에 따라 존 리치는 세계 최초의 "만화가"로 알려지게 되었다.[14] 펀치는 좋은 삽화가 좋은 텍스트만큼 잘 팔린다는 것을 알았으며, 21세기까지 출판을 계속하면서 대중적인 삽화가 캐리커처에 대한 의존에서 정교한 시사 관찰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국에서는 존 테니얼의 삽화가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환상적인 세계를 독자들에게 보여주었다.[39] 에드먼드 두락, 아서 라컴, 월터 크레인, 카이 니엘센 등은 신중세주의(neo-medievalism) 풍조를 지니고 신화나 전래 이야기를 소재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아트릭스 포터는 빅토리아 시대 양식으로 치장한 동물들을 자연 관찰에 기반하여 그린 삽화를 곁들인 『피터 래빗』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39]
19세기 말에는 석판 인쇄 기법에 의해 컬러 광고 포스터가 일반화되고, 아르누보의 개화와 함께 쥘 셰레, 위젠 그라세, 알퐁스 무하, 앙리 드 툴루즈-로트렉 등이 현대적인 포스터를 만들어냈다.[39][40]
미국에서는 1880년대부터 20세기 초까지 "삽화의 황금기"가 이어졌다. 브랜디와인 화파의 N.C. 와이어스와 하워드 파일, 제임스 몽고메리 플래그, 엘리자베스 쉬펜 그린, J.C. 레이엔데커, 바이올렛 오클리, 맥스필드 패리시, 제시 윌콕스 스미스, 존 리어 닐 등이 이 시대의 가장 잘 알려진 삽화가들이었다.[17]
2. 4. 20세기 ~ 현재
20세기는 “디자인의 세기”라고도 불리며, 대량생산과 사회의 대중화에 따라 상품 차별화를 위한 디자인이 중요해졌고, 디자인의 회화적 요소로서 일러스트레이션도 발전을 보였다. 아르누보, 아르데코, 큐비즘과 같은 미술 경향이나, 바우하우스와 같은 디자인 경향 등이 일러스트레이션에 유입되어 혼합되면서 현대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이 성립되었다. 또한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정치적인 선전에 일러스트레이션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도 이 시대였다.[41]시카고의 미술 학생이었던 Santiago Martinez Delgado영어에 의해 라틴 아메리카에 하나의 운동이 일어났다. 델가도는 1930년대에 『에스콰이어』지에서, 그 후 콜롬비아에서 『비다』지에서 활동했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제자인 그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아르데코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마찬가지로 1930년대에는 표현주의의 영향이 영국의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였던 Arthur Wragg영어의 작품에서 발견된다. 라그는 스텐실 기법으로 얻어낸 선전 포스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형태를 양식화했다. 라그의 양식화된 흑백 윤곽은 정치적인 포스터에 사용되는 목판 인쇄를 연상시키는 것이었지만, 이 시대의 사진적인 수단으로 원화를 인쇄판에 전사하는 기술은 라그에게 모든 작품을 펜과 잉크로 제작할 수 있게 할 정도로 발전해 있었다.
미국에서는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지의 표지 일러스트로 중산층 미국인의 삶을 생생하게 그려낸 J. C. 라이엔데커, 제임스 몽고메리 플래그, 노먼 록웰 등의 이름이 잡지 출판계에 강하게 각인되었다. 인쇄 기술이 더욱 발달하고, 그라비아 인쇄를 통해 사진을 쉽게 인쇄할 수 있게 된 20세기 후반부터 미디어는 점차 손으로 그린 일러스트레이션을 외면하기 시작했고, 일러스트레이션은 사진을 보완하는 형태로 개성화가 진행되었다.[42][43] 일러스트레이터들은 광고, 아동 도서, 과학 서적, 디스크 자켓, 그리고 정치나 사회의 풍자화를 중심으로 한 신문 잡지의 삽화 등의 분야에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랄프 스테드먼, Tommy Ungererde, 다니엘 마자, Roland Topor프랑스어 등 수많은 개성들이 신문, 잡지, 문학 삽화, 아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미술 출판사는 앙리 마티스, 레이몽 모레티, 파블로 피카소와 같은 저명한 화가들에게 의뢰하기 시작했다. 한 예로 피카소는 스키라사(社)가 출판하는 오비디우스의 『변신담』을 위해 삽화를 그렸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본토에 피해를 입지 않은 미국의 1950년대는 노먼 록웰, Harry Anderson (artist)영어, Boris Artzybasheffru, 찰스 케린스 등에 의해 제2의 황금기를 맞이했고, 1960년대 초반까지 잡지 광고와 만화 등을 중심으로 미디어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일러스트레이션은 주로 출판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회화의 흐름을 따르는 형태로 존속했지만, 때로는 앤디 워홀이나 로이 리히텐슈타인(두 사람 모두 상업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했다)의 팝 아트 작품처럼 회화의 흐름을 앞서 나가기도 했다. 이 시대에는 광고가 거대 산업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래픽 디자인의 분업화가 진행되고 일러스트레이터도 독립적인 직업이 되어가는 한편, 상업의 부품으로 후퇴하는 모습도 보였다.[43]
프랑스 1970년대 출판계에서, 그룹 "바주카"의 젊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러시아 구성주의와 만화의 영향을 받아, 사진과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콜라주로 대담하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선보였다. 1980년대에는 노먼 록웰의 재발견을 통해, 사진 몽타주의 모사·연출을 주로 이용하고 (컴퓨터에 대체될 때까지) 에어브러시를 다용한 "하이퍼리얼리즘"의 경향이 나타났다.[44]
1980-1990년대에는 텔레비전과 같은 시청각 미디어가 태블릿을 사용하여 생방송 프로그램의 주제를 풍자하거나 설명하는 형태로 때때로 일러스트레이터의 도움을 받는 모습이 보였다. 이러한 유형의 고도의 즉흥성과 빠른 묘사 능력을 요구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은 심포지엄이나 회의, 세미나 등의 이벤트에서도 사용되기도 했다.
20세기 말 이후에도 일러스트레이션의 전통적인 기법은 가르치고 이용되고 있다(미술학교, 응용미술, 그래픽 아트 등). 일러스트레이션이 곁들여진 출판물(아동 도서, 잡지, 교육 서적, 백과사전 등)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손으로 그린 일러스트레이션은 전문 잡지(컴퓨터 잡지나 여성 잡지 등)에서 인기를 되찾고 있으며, 청소년을 위한 잡지나 서적에서도 급속도로 수가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에는 책, 잡지, 포스터 등에 사용된 일러스트레이션의 원화를 수집하고 감상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미술관, 미술 잡지, 화랑이 옛 일러스트레이터들을 위해 공간을 할애하고 있다. 아트북이나 일러스트집 등으로 일러스트레이션 자체가 상품이 되는 경우도 많다.[19]
매체의 선택지가 넓어지고, 비주얼 디자인이나 인포그래픽 등의 개념도 발달하여, 공간·환경 등의 분야로 진출하는 모습도 보인다.[19] 정보기기의 발달로 가능해진 컴퓨터 게임이나 웹사이트와 같은 멀티미디어나 컴퓨터 그래픽스의 일러스트레이션도 점점 존재감을 더해가고 있다.[45] 방대한 종이 백과사전도 오늘날에는 멀티미디어 버전(CD-ROM과 DVD 그리고 인터넷의 하이퍼링크)이 나와 있으며, 그림, 도안, 사진의 복사본뿐만 아니라, 음성, 합성 영상,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도 주제의 설명에 사용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전통적인 매체와 화재와 함께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와 컴퓨터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타블렛이 일러스트레이션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러스트레이터들은 발표하는 작품을 간편하게 조정·편집·송부하는 수단으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게 되었다.[57] 편집자의 요구에 따라 인물을 바꾸거나 건물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옮기는 등 원본 작품에 실제 변경을 전혀 가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속도가 중요한 업종에서는 컴퓨터가 필수적인 경우가 많지만, 개성 없는 마무리가 되기 쉽고 개성을 살리는 것은 어렵다고도 한다.[58]
표현으로는, 당초에는 3D 등 새로운 것으로 사용되었지만,[57]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연스러운 표현도 가능하게 되어 아날로그로 그리고 디지털로 마무리하거나, 디지털로 스케치를 작성·출력하여 아날로그로 마무리하는 등 화재의 하나로 사용되게 되었다.[59]
2. 5. 한국의 일러스트레이션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회화, 민화, 판화 등에서 일러스트레이션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 민화는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표현으로 대중들에게 사랑받았다.헤이안 시대의 에마키모노부터 서양 미술에도 자포니즘으로 큰 영향을 준 에도 시대의 우키요에와 같은 판화 매체에 이르기까지, 일본은 독자적인 그림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삽화는 기본적으로 화가가 담당했다.[29] 이 시기 중요한 삽화가로는 木村荘八(키무라 소하치)와 小村雪岱(코무라 세쓰타이) 등이 있다.[46]
러일 전쟁 이후 상공업의 성장과 석판 인쇄 기술의 향상으로 광고 포스터가 번성했고, 서양 일러스트레이션의 영향을 받아 변화가 진행되었다.[47]
"일러스트레이션"이라는 명칭이 일본에 정착한 것은 전후였다. 1951년에 발족한 일본선전미술회(일선미)의 공모전이 디자이너의 등용문이 되었고, 출품작의 대부분에는 일러스트레이션이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早川良雄(하야카와 요시오), 粟津潔(아와즈 키요시), 灘本唯人(나다모토 유이토) 등이 일러스트레이션의 토대를 만들었다.[48] 후쿠인칸쇼텐(福音館書店)을 비롯한 아동서 출판사에 의해 오늘날과 같은 그림책이 성립된 것도 1950년대 중반이었다.[49]
1960년대에는 그래픽 디자이너와 일러스트레이터의 분업화가 시작되었고, 1964년에는 일선미 회원들이 도쿄 일러스트레이터즈 클럽을 결성했다.[50] 이 클럽은 "현대를 이미지로 증언하고 그 코스모스의 확대를 의식의 근저로 하여 창조적인 이미지화를 목표로 하는 일러스트레이터의 집단"이라는 매니페스토를 내걸고 일러스트레이션과 일러스트레이터의 존재를 세상에 널리 알렸다.[51] 宇野亜喜良(우노 아키라), 和田誠(와다 마코토), 横尾忠則(요코오 타다노리)(요코오는 후에 "화가 선언"을 함) 등이 활약하여 일대 붐을 형성하여 일러스트레이션의 시민권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20]
"삽화"라는 말보다 나중에 생겨난 것과, 종이 매체에서의 삽화의 수요가 사진으로 대체되어 가는 시기였던 것도 있었기 때문에,[52], 글에 종속된 삽화라는 뉘앙스를 넘어, 독립된 미술 표현으로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이라는 분야의 확립이 제시되었다. 당시 그래픽 디자이너 또는 만화가 등을 겸임하던 일러스트레이터가 독립적인 직업이 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였으며,[53], 분업화되어 확대된 일본의 디자인 업계와 고도 경제 성장 등의 경제력에 뒷받침된 매스미디어가 그 배경에 있다.
1980년대에는 미술의 추상화와 비회화화가 진행됨에 따라 湯村輝彦(유무라 테루히코)의 헤타우마가 사회 현상이 되는 등,[54],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즐거운 회화적 표현으로서 일러스트레이션이 널리 받아들여져 재능이 유입되고 다양화되었다. 한편, 1982년에는 横尾忠則(요코오 타다노리)가 "화가 선언"을 하는 등, 남용되고 팝으로 소비되는 일러스트레이션에 만족하지 못하고 오히려 미술 쪽으로 넘어가는 움직임도 보였으며, 일러스트레이션이라는 개념의 애매모호함이 진행되었다.[55]
1990년대에는 이러한 상황에 더하여 성장을 계속해 온 일본 경제의 전환과 미디어의 다양화 등도 도움이 되어, 1992년에는 오랫동안 권위 있는 존재였던 『연감 일본의 일러스트레이션』이 간행을 중단하고, 등용문도 『일러스트레이션』지의 콘테스트 "더 초이스"만 남게 되는 등, 활동 영역의 확대와 동시에 표현으로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미지는 확산과 유동화가 진행되고 있다.[56]
3. 일러스트레이션의 종류 및 형태
현대 삽화는 드로잉, 회화, 판화, 콜라주, 몽타주, 디지털 디자인, 멀티미디어, 3D 모델링을 포함한 광범위한 스타일과 기법을 사용한다. 목적에 따라 표현적이거나, 스타일리쉬하거나, 사실적이거나, 매우 기술적일 수 있다.[4]
전문 분야[4]는 다음과 같다.
- 건축 삽화
- 고고학 삽화
- 식물 삽화
- 컨셉 아트
- 정보 그래픽
- 예술 서적
- 의학 삽화
영어의 ''illustration'', ''illustrate'' 및 서양 여러 언어의 동계 어휘의 어원은 “비추다”, “밝게 하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lustrare''(더 거슬러 올라가면 ''lux'' “빛”에 이르며, 영어 ''illuminate'' “비추다”와 어원이 같다)이며, 밝게 하는 것에서 비유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되었다. 따라서 서양에서 ''illustration''의 본래 의미는 도해나 삽화 등 인쇄물 속에 다루어져 이해를 돕는 “도판”이었지만, 현재는 더욱 확대된 해석으로 사용되고 있다.[20][21]
일본에서는 삽화를 줄여서 '''일러스트'''라고 부르며 일반화되어 있지만, 이 약칭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해외에서는 통하지 않는다.[20] 현대 일본에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단순히 그림을 가리키는 경우도 많지만, 서양의 ''illustration''은 기본적으로 그런 의미가 없으며, 또한 반드시 그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술로서의 회화(파인 아트)에 대해 일러스트레이터가 제작하는 것과 같은, 이해하기 쉬운 “포퓰러 아트”에 해당하는 것이 현재의 광의의 일러스트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건축물의 완성 예상도(건축 퍼스)도 일러스트레이션의 일종이다.
삽화는 다양한 주제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용 가이드나 취급 설명서 등의 설명을 도식화하거나 상품 판매를 증진시키는 등 폭넓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오늘날 위와 같은 용도의 상당 부분은 사진으로 대체 가능하지만, 그 때문에 독자적인 표현을 추구하며 삽화는 다양화되었고,[32] 일러스트레이터의 눈과 손을 거친 추상화나 설명성은 대상을 사진보다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주므로, 도감 등의 과학 삽화나 기술 분야의 기술 삽화로서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다.[33]

3. 1. 출판 일러스트레이션
책, 잡지, 신문 등 출판물에 사용되는 일러스트레이션이다. 소설의 삽화, 그림책, 학습 만화, 표지 디자인 등이 포함된다.조지 크룩섕크의 『올리버 트위스트』 표지(1846년)는 찰스 디킨스의 소설을 바탕으로 그려졌지만, 원래는 런던 하층 사회를 그린 판화 연작을 위한 스케치였다고 한다. 존 테니얼이 삽화를 그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흰 토끼처럼, 일러스트레이터의 캐릭터가 소설보다 먼저 나오기도 한다.
전문 분야[4]는 책 삽화, 그림책, 서사 삽화 등이 있다.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예술가, 판화가, 사진작가 등에 의해 제작되는 일러스트레이션은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다.[22]
위 목록은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영역의 경계선은 불분명하고 유동적이다. 예외는 있지만, 어떤 메시지를 가진 텍스트에 수반된다는 것과, 인쇄나 판화와 같은 수단으로 대량으로 복제된다는 것으로 일러스트레이션은 정의된다.
삽화는 이야기의 뉘앙스를 부각시키고, 독자에게 감정을 불어넣으며, 등장인물에게 개성과 얼굴을 부여한다.
3. 2.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광고 일러스트레이션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러스트레이션이다. 포스터, 전단, 팸플릿, 신문 광고, 잡지 광고, 옥외 광고, TV 광고, 웹 광고 등 다양한 매체에 활용된다.[22][23]19세기 말에는 석판 인쇄 기법에 의해 컬러 광고 포스터가 일반화되었고, 아르누보의 개화와 함께 쥘 셰레, 위젠 그라세, 알퐁스 무하, 앙리 드 툴루즈-로트렉 등이 현대적인 포스터를 만들어냈다.[39][40]
3. 3. 과학 및 기술 일러스트레이션
기술 및 과학 일러스트레이션은 기술적 또는 과학적 성격의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에는 폭발도, 절단도, 플라이스루, 재구성, 설명 이미지, 구성 요소 디자인, 도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목표는 "시각 채널을 통해 인간 관찰자에게 특정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표현력 있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5]기술 및 과학 일러스트레이션은 일반적으로 비전문가 대상에게 주제를 설명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물체가 무엇인지 또는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을 제공하여 시청자의 관심과 이해를 높여야 한다."[6]
현대 삽화 작업에서는 2D 및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쉽게 업데이트하고 다양한 맥락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정확한 표현을 자주 만든다.
기술 일러스트레이션은 기술적인 성격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용법이다. 부품의 도면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것도 포함한다.
기술 일러스트레이션의 목적은 시각적인 경로를 통해 인간 관찰자에게 어떤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력 있는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며, 다소 비전문적인 독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사항을 서술·설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된다. 시각 이미지는 독자의 흥미와 이해를 이끌어내기 위해 크기와 비율에 관해서는 정확해야 하며, 대상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을 제공해야 한다.[60][61]
3. 4.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의류, 액세서리 등 패션 아이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그림이다. 패션 잡지, 광고, 카탈로그 등에 사용되며, 디자이너의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4]3. 5. 기타
현대 삽화는 드로잉, 회화, 판화, 콜라주, 몽타주, 디지털 디자인, 멀티미디어, 3D 모델링을 포함한 광범위한 스타일과 기법을 사용한다. 목적에 따라 삽화는 표현적이거나, 스타일리쉬하거나, 사실적이거나, 또는 매우 기술적일 수 있다.[4]전문 분야는 건축 삽화, 고고학 삽화, 책 삽화, 식물 삽화, 컨셉 아트, 패션 삽화, 정보 그래픽, 예술 서적, 기술 삽화, 의학 삽화, 서사 삽화, 그림책, 과학 삽화 등을 포함한다.[4]
디자이너와 일러스트레이터, 예술가, 판화가, 사진작가 등에 의해 제작되는 일러스트레이션은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다.[22] CD 재킷, 캐릭터 디자인 등이 그 예시에 해당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러한 영역들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서로 융합되기도 한다. 일러스트레이션은 메시지를 담은 텍스트와 함께 사용되며, 인쇄나 판화처럼 대량 복제되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갖는다.[22]
4. 현대 미술과 일러스트레이션
일러스트레이션은 매체를 통해 복제되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림 표현으로, 예술 작품과는 기능적으로 구분되지만, '그림'의 한 종류이다.[26] 독창적인 예술 작품이 책 표지나 삽화로 활용되기도 하고, 일러스트레이션 원본이 예술 작품으로 갤러리에서 판매되기도 한다.[19]
미술은 화가 개인에서 출발해 보편성을 추구하지만, 일러스트레이션은 즉각적으로 사람을 사로잡는 개성이 필요하다. 미술은 늘 새로운 표현을 추구해야 하지만, 일러스트레이션은 그러한 제약에서 자유롭다. 하지만 특정 화풍이 정착되면 그 화풍을 반복해야 할 때도 있다.[27][28]
일러스트레이션은 다양한 환경에서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야 하며, 대량 복제를 통해 많은 사람이 쉽게 접하는 그림이 된다. 즉각 "소비되는 회화"[29]이자, 일반 회화에는 없는 공유성과 동시대성을 갖는다.[30] 소비 사회가 발전하면서 상업 영역에서도 개인에게 다가가는 표현이 중요해졌고, 표현 방식이 미술과 일러스트레이션 사이를 넘나들며, 매체도 종이뿐 아니라 디지털, 환경 등으로 다양해져 미술과의 경계, 일러스트레이션 자체의 정의도 모호해지고 있다.[31]
4. 1. 순수 미술과 일러스트레이션의 경계

미술계에서 삽화는 그래픽 디자인과 순수미술보다 중요성이 낮게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날 그래픽 노블과 비디오 게임 산업이 성장하고, 잡지 및 기타 출판물에서 삽화가 많이 사용되면서 삽화는 이제 세계 시장을 사로잡을 수 있는 가치 있는 예술 형태가 되고 있다.
독창적인 삽화 작품은 경매에서 높은 가격을 받기도 한다. 노먼 록웰(Norman Rockwell)의 그림 "Breaking Home Ties"는 2006년 소더비(Sotheby's) 경매에서 1540만달러에 팔렸다.[11] 길 엘브그렌(Gil Elvgren), 알베르토 바르가스(Alberto Vargas) 등 다른 많은 핀업 아티스트들의 작품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4. 2. 일러스트레이션의 예술적 가치
과거 시각 예술 세계에서, 삽화는 종종 순수회화 작가나 그래픽 디자이너에 비교되어 덜 중요하게 취급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컴퓨터 게임과 만화 시장의 증가로 삽화는 큰 시장에서 예술 작품이 이익을 창출하고 인기를 얻을 수 있는 가치 있는 존재가 되었다. 특히, 한국, 일본, 홍콩과 미국에서 그렇다.미술계에서 삽화는 때때로 그래픽 디자인과 순수미술보다 중요성이 낮게 여겨져 왔다. 하지만 오늘날, 그래픽 노블과 비디오 게임 산업의 성장과 잡지 및 기타 출판물에서 삽화의 사용 증가 덕분에 삽화는 이제 세계 시장을 사로잡을 수 있는 가치 있는 예술 형태가 되고 있다.
독창적인 삽화 작품은 경매에서 높은 가격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예술가 노먼 록웰(Norman Rockwell)의 그림 "Breaking Home Ties"는 2006년 소더비(Sotheby's) 경매에서 1540만달러에 팔렸다.[11] 핀업 아티스트인 길 엘브그렌(Gil Elvgren)과 알베르토 바르가스(Alberto Vargas) 등 다른 많은 삽화 장르도 마찬가지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일러스트레이션은 매체에서 복제되고 기능하는, 메시지를 수반하는 도판 표현으로서 예술 작품과 구별되지만, 이는 기능에 따른 분류이며, 기능과 분리하여 보면 “그림”의 한 종류일 뿐이다.[26] 독창적인 예술 작품도 종종 도서의 표지나 삽화 등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활용된다. 반대로 일러스트레이션의 원본이 제작 당시의 맥락과 관계없이 예술 작품으로 취급되어 화랑 등에서 판매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19]
4. 3. 디지털 시대의 일러스트레이션
컴퓨터와 태블릿 같은 디지털 기기의 발달은 삽화 제작 방식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1990년대부터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삽화가들은 작품을 쉽게 수정, 편집,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57] 편집자의 요구에 따라 그림을 바꾸는 것도 원본을 건드리지 않고 가능해졌다. 이러한 디지털 도구는 속도가 중요한 분야에서 필수적이지만, 개성을 살리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58]초기에는 3D 같은 새로운 표현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지만,[57]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연스러운 표현도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으로 그린 후 디지털로 마무리하거나, 디지털 스케치를 출력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완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59]
컴퓨터 게임이나 웹사이트 같은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컴퓨터 그래픽스를 활용한 삽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45] 종이 백과사전도 CD-ROM, DVD, 인터넷 하이퍼링크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버전으로 발전하면서, 그림, 도표, 사진 외에도 음성, 합성 영상,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atabase of Scientific Illustrators 1450-1950
http://www.uni-stutt[...]
2014-03-05
[2]
웹사이트
What Is Illustration? A Look at Its Modern Beginnings to How It Is Used Today
https://mymodernmet.[...]
2020-11-28
[3]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y
https://web.archive.[...]
August 21, 2012
[4]
웹사이트
Prospects.ac.uk
https://www.prospect[...]
[5]
논문
Smart Visibility in Visualization
http://www.cg.tuwien[...]
L. Neumann et al. (Ed.)
2011-05-31
[6]
웹사이트
Industriegrafik.com
http://www.industrie[...]
2009-08-14
[7]
웹사이트
Guild of Natural Science
https://www.gnsi.org[...]
2022-11-18
[8]
웹사이트
Association of Medical Illustrator
https://ami.org/medi[...]
2022-11-18
[9]
웹사이트
Zippia
https://www.zippia.c[...]
2022-11-18
[10]
웹사이트
Guild of Natural Science
https://www.gnsi.org[...]
2022-11-18
[11]
웹사이트
Norman Rockwell's Rising Value Prices Out His Museum
http://www.dailyfina[...]
2010-02-22
[12]
웹사이트
What Is an Illuminated Manuscript?
https://www.nga.gov/[...]
2022-10-21
[13]
웹사이트
Heavenly Craft: The Woodcut in Early Printed Books
https://www.loc.gov/[...]
2010-07-27
[14]
웹사이트
How Punch Magazine Changed Everything
http://illustrationc[...]
2016-05-03
[15]
서적
Books: A Living History
Thames & Hudson
[16]
서적
The Broadview Anthology of Victorian Prose: 1832- 1901
Broadview Press
[17]
웹사이트
The R. Atkinson Fox Society: What Was the Golden Age of Illustration?
http://www.rafoxsoci[...]
2015-04-08
[18]
웹사이트
Paul Jouve
https://www.pauljouv[...]
2021-12-15
[19]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0]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1]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2]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3]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4]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5]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6]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7]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8]
문서
(저자 정보 없음)
[29]
문서
(저자 정보 없음)
[30]
문서
(저자 정보 없음)
[31]
문서
(저자 정보 없음)
[32]
문서
(저자 정보 없음)
[33]
문서
(저자 정보 없음)
[34]
문서
(저자 정보 없음)
[35]
문서
(저자 정보 없음)
[36]
서적
すぐわかるイスラームの美術 建築・写本芸術・工芸
東京美術
2009-10-20
[37]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38]
간행물
日本グラフィックデザイナー協会 教育委員会
2000
[39]
간행물
日本グラフィックデザイナー協会 教育委員会
2000
[40]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41]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42]
간행물
日本グラフィックデザイナー協会 教育委員会
2000
[43]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44]
간행물
美術手帖
2010
[45]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46]
간행물
美術手帖
2010
[47]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48]
간행물
美術手帖
2010
[49]
간행물
美術手帖
2010
[50]
간행물
美術手帖
2010
[51]
간행물
美術手帖
2010
[52]
간행물
日本グラフィックデザイナー協会 教育委員会
2000
[53]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54]
간행물
美術手帖
2010
[55]
간행물
京都造形芸術大学
1998
[56]
간행물
美術手帖
2010
[57]
간행물
日本グラフィックデザイナー協会 教育委員会
2000
[58]
간행물
2003
[59]
간행물
イラストノート編集部
2009
[60]
논문
Smart Visibility in Visualization
2005
[61]
웹사이트
www.industriegrafik.com
http://www.industrie[...]
2009-09-13
[62]
서적
美術解剖学とは何か
株式会社トランスビュー
2020-07-30
[63]
웹사이트
日本メディカルイラストレーション学会
https://www.medical-[...]
2023-02-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