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은 1743년 라이프치히에서 창단된 세계 최초의 민간 오케스트라이다. 펠릭스 멘델스존 시대에 황금기를 맞았으며, 슈베르트의 교향곡 9번, 바흐의 마태 수난곡 등을 초연했다. 1884년 새로운 공연장이 신축되었고, 아르투르 니키슈,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등을 거쳐 쿠르트 마주어,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 리카르도 샤이를 거쳐 현재 안드리스 넬손스가 카펠마이스터로 활동하고 있다. 오케스트라는 라이프치히 오페라 극장의 관현악단 역할을 겸하며, 게반트하우스 현악사중주단 등 부속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1년 설립된 단체 - 드루이드 고대종단
드루이드 고대종단은 1781년 런던에서 창립된 친목 단체로,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성장과 분열, 기록 소실의 아픔을 겪었으나 친목과 사회 봉사를 통해 그 가치를 이어가고 있으며 여러 유명 인사들과 연관되어 있다. - 라이프치히의 음악 - 블뤼트너
블뤼트너는 1853년 율리우스 블뤼트너가 설립한 독일의 피아노 제조 회사로, 혁신적인 기술과 독특한 음색으로 성장하여 왕족, 작곡가, 연주자들이 애용했으나, 전쟁과 국유화의 어려움을 겪은 후 재통일 후 블뤼트너 가문이 재건에 성공하여 현재 다양한 피아노 모델과 함께 Haeussler, Irmler 브랜드도 운영하고 있다. - 라이프치히의 음악 - 라이프치히 음악연극대학교
라이프치히 음악 연극 대학교는 1843년 펠릭스 멘델스존 바르톨디가 설립한 독일 최초의 주요 음악 대학 중 하나로, 음악과 연극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하며 다양한 학부에서 폭넓은 교육을 제공한다. - 18세기 설립된 단체 - 괴팅겐 과학원
괴팅겐 과학원은 1751년 조지 2세가 설립한 독일의 학술 단체로, 수학-물리학부와 어문-사학부로 구성되어 학문 연구에 기여하며, 학술지 발행 및 권위 있는 상을 수여한다. - 18세기 설립된 단체 - 백의당
백의당은 1735년부터 1760년 사이에 아일랜드에서 발생한 농민 운동으로, 토지 사용 문제와 십일조 면제 등을 요구하며 비폭력 시위에서 과격한 행동으로 변질되었고 정부의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
| 원어 이름 | Gewandhausorchester Leipzig |
| 로마자 표기 | Raipcheuhi Gebanteuhauseu Gwanhyeonakdan |
| 창립 | 1743년 |
| 위치 | 라이프치히, 독일 |
| 콘서트홀 | 게반트하우스 |
| 음악 감독 | 안드리스 넬손스 |
| 웹사이트 | www.gewandhausorchester.de |
| 음악가 정보 | |
| 장르 | 클래식 음악 |
| 활동 기간 | 1743년 - 현재 |
| 현재 단원 | 카펠마이스터 안드리스 넬손스 |
| 로고 | |
![]() | |
2. 역사
18세기 중반, 부유한 직물 상인들이 유능한 연주가들을 초빙해 소규모 공연을 하면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의 전신인 정규 관현악단 창설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1781년 첫 번째 게반트하우스가 준공되었고, 이곳을 거점으로 하는 관현악단이 동시에 창단되었다. 초대 카펠마이스터(음악 감독)로는 요한 아담 힐러가 선출되었으며, 이후 요한 고트프리트 슈흐트, 요한 필립 크리스토프 슐츠,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폴렌츠 등이 자리를 이어받았다.
1835년 펠릭스 멘델스존이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면서 지휘만을 전담하는 최신 체제로 전환되었다. 멘델스존은 슈베르트의 교향곡 9번이나 바흐의 마태 수난곡 등을 사후 초연 또는 부활 공연하고, 자신의 자작곡들도 지휘하여 선보였다. 멘델스존 사후 율리우스 리츠와 카를 라이네케가 뒤를 이었고, 1884년 새로운 게반트하우스로 상주 공연장을 옮겼다. 라이네케는 35년 동안 재임하면서 브람스의 독일 레퀴엠을 최초로 전곡 공연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아르투르 니키슈는 라이네케의 후임으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와 함께 임명되어 두 악단 모두 세계적인 악단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1922년 니키슈 타계 후 빌헬름 푸르트벵글러가 베를린 필 상임 지휘자를 겸임하며 후임이 되었으나,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정기 지휘자 겸직으로 인한 과중한 업무와 악단 경영진과의 대립 등으로 1928년 사임했다. 브루노 발터가 후임으로 임명되었으나, 유태계였던 발터는 나치스 집권 후 강제 사임당하고 헤르만 아벤트로트가 카펠마이스터 자리를 이어받았다.
아벤트로트는 1945년까지 악단을 이끌며 제국 방송에 많은 녹음을 남겼고, 종전 후 소련군 군정의 허가를 받아 악단을 존속시켰다. 헤르베르트 알베르트와 프란츠 콘비츠니가 차례로 카펠마이스터에 임명되었으나, 1962년 콘비츠니 급서 후 약 2년간 공석이었다. 1964년 바츨라프 노이만이 후임으로 임명되었으나, 1968년 카렐 안체를의 대리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옮겨가며 사임했다.
하인리히 본가르츠와 쿠르트 마주어가 차례로 카펠마이스터직을 계승했다. 마주어는 독일계 레퍼토리 외에 조지 거슈윈 등 미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다루었고, 동독 정부 말기 반정부 시위에 참가하는 등 진보적인 면모를 보였다. 통독 후에도 마주어는 직책을 유지했으나, 1991년 뉴욕 필하모닉 음악 감독을 겸하면서 관계가 소원해져 1996년 사임했다. 1998년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가 신임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어 2005년까지 재직했다.
블롬슈테트 후임으로 리카르도 샤이가 임명되었다. 게반트하우스의 표어는 'Res severa verum gaudium'(진정한 즐거움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로, 세네카의 저작에서 따온 구절이다.
2. 1. 창단과 초기(1743~1835)
Grosses Concert|그로세 콘체르트de라는 이름으로 1743년 라이프치히에서 16명의 단원이 모여 최초의 연주회를 개최했다.[1] 이는 세계 최초로 시민 계급(부르주아)이 주도하여 설립한 오케스트라였다.[1]1744년 연주 장소를 Drey Schwanen|드라이 슈바넨de('세 마리 백조'라는 뜻) 술집으로 옮겨 1781년까지 36년간 연주회를 이어갔다.[1] 1756년 7년 전쟁으로 인해 활동이 일시 중단되었다가,[1] 1763년 요한 아담 힐러를 지휘자로 영입하여 활동을 재개했다.[1]
1781년 라이프치히 시의 지원으로 직물 상인 회관인 게반트하우스에 새로운 공연장을 마련하고, 오케스트라 이름을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로 변경했다.[1] 초대 카펠마이스터로는 요한 아담 힐러가 선출되었고, 이후 요한 고트프리트 슈흐트, 요한 필립 크리스토프 슐츠,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폴렌츠 등이 자리를 이어받았다.[1]
2. 2. 멘델스존 시대 (1835~1847)
1835년, 펠릭스 멘델스존이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면서 악단의 황금기를 맞이했다. 멘델스존은 이전 지휘자들과 달리 지휘에만 전념하는 현대적인 체제를 확립했다.[1]멘델스존은 슈베르트의 《교향곡 9번》이나 바흐의 《마태 수난곡》 등을 사후 초연 또는 부활 공연하여 음악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자신의 작품들도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를 통해 초연했다. 멘델스존 재임 기간 동안 페르디난트 다비드, 페르디난트 힐러, 닐스 가데를 포함한 여러 음악가들이 그와 함께 임무를 수행했다.
2. 3. 멘델스존 이후 (1847~1933)
펠릭스 멘델스존 사후, 율리우스 리츠와 카를 라이네케가 카펠마이스터(음악 감독) 직을 이어받았다. 1884년에는 새로운 게반트하우스 공연장이 신축되어 상주 공연장을 옮겼다.[1] 라이네케는 3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재임하면서 브람스의 '독일 레퀴엠' 전곡 초연 등의 업적을 남겼다.[1]라이네케의 후임으로는 아르투르 니키슈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 취임과 동시에 임명되었고, 두 악단 모두 세계적인 악단으로 성장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1]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는 니키슈가 1922년에 타계한 뒤, 베를린 필 상임 지휘자를 겸임하며 카펠마이스터 직을 수행했다. 그러나 푸르트벵글러는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정기 지휘자 겸직으로 인한 과중한 업무와 악단 경영진과의 대립 등으로 1928년에 사임했다.[1]
브루노 발터가 푸르트벵글러의 후임으로 카펠마이스터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유태계였던 발터는 나치스 집권 후 강제로 사임당했다.[1]
2. 4. 나치 시대와 2차 세계대전 (1933~1945)
1933년, 나치 정권은 유대인이었던 브루노 발터를 강제로 해임하고 연주 활동을 금지했다.[1] 발터는 미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헤르만 아벤트로트가 카펠마이스터 자리를 이어받아 1945년까지 악단을 이끌었다. 1944년, 연합군의 폭격으로 게반트하우스가 전소되었다. 이후 영화관, 회의장 등 임시 공연장을 사용했다.2. 5. 전후 재건과 발전 (1945~1996)
Nachkriegszeit und Entwicklungde (1945-1996)종전 후, 헤르만 아벤트로트는 소련군 군정의 허가를 받아 악단을 존속시키는 데 기여했다.[1] 헤르베르트 알베르트, 프란츠 콘비츠니가 차례로 카펠마이스터에 임명되었다.[1] 콘비츠니가 급서한 후, 1964년에 바츨라프 노이만이 카펠마이스터에 임명되었으나,[1] 1968년 '프라하의 봄' 탄압에 항의하여 사임하고 체코로 귀국했다.[1]
1970년, 쿠르트 마주어가 카펠마이스터로 취임하여 악단의 새로운 전성기를 열었다.[1] 마주어는 전통적인 독일계 레퍼토리 외에도 조지 거슈윈 등 미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과감히 다루었고, 동독 정부 말기에는 반정부 시위에 참가하는 등 진보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1] 1981년, 현대적인 설계로 건립된 세 번째 게반트하우스가 준공되어 상주 악단으로 들어갔다.[1]
통독 후에도 마주어는 직책을 계속 유지했으나, 1991년에 뉴욕 필하모닉의 음악 감독을 겸하면서 관계가 소원해지기 시작했다.[1] 1996년에 마주어가 사임한 후 한동안 카펠마이스터 공석 상태로 활동했다.[1]
2. 6. 현대 (1996~현재)
쿠르트 마주어가 1996년에 사임한 후, 한동안 카펠마이스터(음악 감독) 자리가 비어 있었다. 1998년,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가 새로운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어 2005년까지 재직했다.[1] 블롬슈테트는 현재 이 악단의 명예 지휘자 직함을 가지고 있다.2005년, 리카르도 샤이가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었다.[2][3] 2013년 6월에 샤이의 계약이 2020년까지 연장되었으나,[4] 2015년 9월, 오케스트라는 샤이가 요청함에 따라 2016년 6월에 카펠마이스터 직을 조기에 끝낸다고 발표했다.[5][6][7]
안드리스 넬손스는 2015년 9월에 새로운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었으며, 2017-2018 시즌부터 5시즌 동안의 초기 계약을 맺었다.[8] 2020년 10월, 오케스트라는 넬손스와의 계약을 2027년 7월 31일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11]
3. 주요 활동 및 특징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은 연주회 외에도 라이프치히 오페라극장의 관현악단 역할을 겸하고 있으며, 토마스 교회의 종교음악 연주회에도 참여하고 있다.[1] 단원들이 자체적으로 결성한 실내악단(게반트하우스 현악사중주단, 게반트하우스 바흐 관현악단 등) 활동과 실내 관현악단 활동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라이프치히 음악원과 연계하여 젊은 연주자들을 위한 관현악 아카데미도 개최하고 있다.
1743년, 세계 최초의 시민 계급에 의한 자주 경영 오케스트라로 발족하였다. 그 이전의 궁정 전속 오케스트라와 달리, 이 오케스트라의 탄생으로 왕족 귀족처럼 자신의 성이나 궁전을 연주장으로 삼아 음악을 감상하던 신분·계급이 아니더라도 입장료만 지불하면 누구든지 오케스트라 연주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1835년, 펠릭스 멘델스존이 게반트하우스 카펠마이스터(음악 감독)가 되면서, 기술적으로나 연주자 연금 제도 창설 등 처우 면에서도 기반이 더욱 공고해지고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그의 지휘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마태 수난곡을 재연하였고, 루트비히 판 베토벤, 프란츠 슈베르트, 펠릭스 멘델스존, 로베르트 슈만, 요하네스 브람스, 안톤 브루크너를 비롯한 많은 작곡가의 작품을 초연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거지가 되는 현재의 홀은 1981년에 완성된 3대째 게반트하우스이다. 1781년의 초대 게반트하우스 이후, 역대 홀에 이 오케스트라의 모토가 걸려 있다.
빈이나 드레스덴처럼 가극장 오케스트라가 제한된 기간에만 콘서트를 하는 것이 아니라, 200명 이상의 로테이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오페라와 콘서트 모두 완전 가동하고 있다.
4. 역대 카펠마이스터
다음은 역대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의 카펠마이스터(음악 감독) 목록이다.
| 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 1781년 - 1785년 | 요한 아담 힐러 | 초대 카펠마이스터 |
| 1785년 - 1810년 | 요한 고트프리트 시히트 | |
| 1810년 - 1827년 | 요한 필립 크리스티안 슐츠 | |
| 1827년 - 1835년 |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포렌츠 | |
| 1835년 - 1843년, 1844년 - 1847년 | 펠릭스 멘델스존 | 지휘 전담. 슈베르트의 《교향곡 9번》, 바흐의 《마태 수난곡》 사후 초연/부활 공연. |
| 1841년 – 1842년, 1852년 - 1854년 | 페르디난트 다비드 | |
| 1843년 - 1844년 | 페르디난트 힐러 | |
| 1844년 - 1848년 | 닐스 가데 | |
| 1848년 - 1854년 | 율리우스 리츠 | |
| 1860년 - 1895년 | 카를 라이네케 | 최장 기간(35년) 재임. 브람스의 독일 레퀴엠 초연. |
| 1895년 - 1922년 | 아르투르 니키슈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 겸임. |
| 1922년 - 1928년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 겸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정기 지휘자 겸직으로 사임. |
| 1929년 - 1933년 | 브루노 발터 | 유태계로 나치스 집권 후 강제 사임. |
| 1934년 - 1945년 | 헤르만 아벤트로트 | 쾰른에서 이동. 제국 방송에 많은 녹음. 종전 후 소련군 군정 허가로 악단 존속. |
| 1946년 - 1949년 | 헤르베르트 알베르트 | |
| 1949년 - 1962년 | 프란츠 콘비츠니 | 급서. 이후 약 2년간 공석. |
| 1964년 - 1968년 | 바츨라프 노이만 | 카렐 안체를 대리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로 이동하며 사임. |
| 1970년 - 1996년 | 쿠르트 마주어 | 동독 말기 반정부 시위 참가. 통독 후 뉴욕 필하모닉 음악 감독 겸임으로 관계 소원. 이후 계관 지휘자. |
| 1998년 - 2005년 |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 | 이후 계관 지휘자. |
| 2005년 - 2016년 | 리카르도 샤이 | |
| 2018년 - 현재 | 안드리스 넬손스 |
분류:관현악단
분류:독일의 음악
분류:라이프치히
5. 관련 연주 단체
단원들이 자체적으로 결성한 실내악단 및 실내 관현악단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라이프치히 음악원과 연계하여 젊은 연주자들의 관현악 활동을 가르치는 관현악 아카데미도 열고 있다. 단원들이 자주 운영하는 단체로는 게반트하우스 현악사중주단과 게반트하우스 바흐 관현악단이 있다.[17][18]
게반트하우스 현악사중주단은 1808년에 결성되어 2008년에 결성 200주년을 맞이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악사중주단이다. 결성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수석 연주자들에 의해 연주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역대 멤버에는 멘델스존, 브람스, 차이콥스키의 세 바이올린 협주곡 초연 바이올리니스트 3명이 포함되어 있다.
성악 분야에는 게반트하우스 합창단과 게반트하우스 어린이 합창단이 있다.
게반트하우스 합창단은 1861년에 악장 카를 라이네케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1869년 2월 18일 라이네케 지휘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에 의해 초연된 브람스의 「독일 레퀴엠」에서 합창을 맡았다.
6. 모토
1743년 창단 후 38년이 지난 1781년, 게반트하우스의 초대 홀이 문을 열면서부터 고대 로마의 정치가이자 철학자, 시인인 세네카의 "Res severa verum gaudium"(Res severa verum gaudium|레스 세베라 베룸 가우디움la)라는 말이 홀에 걸려 있었고, 오늘날까지 이 관현악단의 모토(Motto)가 되고 있다.[1]
이 라틴어 문구에 대해 게반트하우스 공식 홈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독일어 번역과 영어 번역이 기재되어 있다.
- 독일어 번역: Wahre Freude ist eine ernste Sachede
- 영어 번역: True pleasure is a serious business영어
"Res severa verum gaudium"는 "진정한 기쁨은 진지한 것에서만 온다" 또는 "진지한 것이야말로 진정한 기쁨이다"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1]
현재의 3대째 게반트하우스(1981년 완공)에서는 객석 정면의 알렉산더 슈케 포츠담 오르간에 이 문구가 크게 새겨져 있다.
참조
[1]
뉴스
Gewandhausorchester Leipzig wird 275 Jahre alt
https://www.welt.de/[...]
2018-03-09
[2]
뉴스
Riccardo Chailly will Leipziger Oper verlassen
MDR Regional Sachsen
2008-05-27
[3]
뉴스
Chailly hört bei der Oper auf – Verlängerung beim Gewandhaus
Leipziger Volkszeitung
2008-05-27
[4]
보도자료
Riccardo Chailly remains at the Gewandhausorchester until 2020
http://www.gewandhau[...]
Gewandhausorchester Leipzig
2013-06
[5]
보도자료
The End of an Era – Riccardo Chailly will end his work with the orchestra in the 2015/2016 season
https://www.gewandha[...]
Gewandhausorchester Leipzig
2015-09-03
[6]
뉴스
Leipzigs Gewandhauskapellmeister Chailly tritt 2016 ab
http://www.lvz.de/Ku[...]
2015-09-03
[7]
뉴스
Chailly to leave the Leipzig Gewandhausorchester – four years earlier than planned
http://www.gramophon[...]
2015-09-03
[8]
보도자료
Andris Nelsons announced as 21st Gewandhauskapellmeister
https://www.gewandha[...]
Stadt Leipzig & Gewandhausorchester Leipzig
2015-09-09
[9]
뉴스
Andris Nelsons Named Music Director of Leipzig Gewandhaus Orchestra
https://www.nytimes.[...]
2015-09-09
[10]
보도자료
Under the leadership of Andris Nelsons, the Gewandhausorchester and the Boston Symphony Orchestra enter into a new alliance
https://www.gewandha[...]
Gewandhausorchester Leipzig
2015-09-09
[11]
보도자료
Boston Symphony Orchestra And Andris Nelsons Announce Three-Year Extension of Mr. Nelsons' Contract As BSO Music Director Through August 2025, With An Evergreen Clause In Place Reflecting A Mutual Intent For A Long-Term Commitment Well Beyond The Years Of The New Contract Extension
https://a5974837ba.s[...]
Boston Symphony Orchestra
2020-10-05
[12]
웹사이트
Orchestermitglieder
https://www.gewandha[...]
2024-02-08
[13]
웹사이트
For The BSO, Composer Jörg Widmann's 'Partita' Offers Connection And Surprise
http://www.wbur.org/[...]
wbur
2018-03-26
[14]
뉴스
Große Concerte, 28 davon mit Andris Nelsons am Pult, große Namen, neue Maßstäbe
https://www.lvz.de/N[...]
2019-03-26
[15]
웹사이트
Fokus: Gewandhauskomponistin Sofia Gubaidulina
https://www.gewandha[...]
2020-06-01
[16]
웹사이트
Gewandhauskomponist Thomas Adès
https://www.gewandha[...]
2023-07-29
[17]
기타
아돌프 브로츠키가 결성한 브로츠키 현악 사중주단을 게반트하우스 현악 사중주단의 역사에 포함시킨 경우.
[18]
웹사이트
QuartetWeb
http://quartetweb.co[...]
[19]
기타
2018년 2월 취임(2017/2018 시즌)
[20]
웹사이트
Biography
https://andrisnelson[...]
2024-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