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 적분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수 적분 함수는 0이 아닌 실수 x에 대해 정의되는 특수 함수로, 적분 형태로 표현된다. 이 함수는 실수 및 복소수 영역에서 정의되며, 초등 함수로 표현되지 않는다. 지수 적분 함수는 수렴 및 발산 급수, 초등 함수와의 관계, 그리고 다른 특수 함수들과의 관계를 가지며, 열전달, 지하수 흐름, 복사 전달, 중성자 수송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 초기하함수 - 지수 함수
지수 함수는 양의 상수 *a*를 밑으로 하는 *y = ax* 형태의 함수이며, 특히 자연로그의 역함수인 *ex*는 다양한 정의와 응용을 가지며 복소수로 확장될 수 있다. - 특수 초기하함수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적분 - 가우스 적분
가우스 적분은 특정한 정적분의 값으로 정의되며, 확률론, 통계학, 물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정규분포와 관련된 계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적분 - 적분표
적분표는 다양한 함수들의 부정적분과 정적분 예시를 모아 놓은 목록으로, 유리 함수, 무리 함수, 삼각 함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등 여러 함수와 닫힌 형식으로 표현되지 않는 함수의 정적분 값, 절댓값 함수, 곱으로 이루어진 함수를 포함하며, 마이어 히르슈의 적분 목록집에서 시작하여 그라드슈테인과 르지크의 표로 발전했다. - 거듭제곱 - 지수 함수
지수 함수는 양의 상수 *a*를 밑으로 하는 *y = ax* 형태의 함수이며, 특히 자연로그의 역함수인 *ex*는 다양한 정의와 응용을 가지며 복소수로 확장될 수 있다. - 거듭제곱 - 반감기
반감기는 어떤 양이 원래 값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방사성 붕괴, 화학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방사성 동위원소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지수 적분 함수 | |
---|---|
개요 | |
유형 | 특수 함수 |
분야 | 수학 |
정의 | Ei(x) = -∫(-x, ∞) (e^(-t) / t) dt |
함수 정보 | |
다른 이름 | 적분 지수 함수 |
기호 | Ei |
수학적 성질 | |
미분 | d/dx Ei(x) = e^x / x |
특이점 | x = 0 (로그 분기점) |
정의역 | 실수 전체 |
치역 | 실수 전체 |
2. 정의
지수 적분 함수는 실수 및 복소수 영역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정의된다. 핵심은 적분 경로 및 분지 절단(branch cut)을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1] 실수 영역과 복소수 영역에서의 정의는 각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실수 영역에서의 정의
0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지수 적분 함수''' 는 코시 주요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이 함수는 초등 함수가 아님이 리쉬 알고리즘에 의해 증명되었다.
이후 내용에서는 로 나타낸다.
:
2. 2. 복소수 영역에서의 정의
임의의 복소수 에 대하여 이 함수를 해석적 연속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음의 실수에서 분지절단이 생긴다.[1] 복소수 에 대한 지수 적분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것은 다중값 함수이지만, 음의 실수축에서 분지 절단을 수행하고 양의 실수축에서 실수값을 취하도록 한다.[18][19] (문헌에 따라 정의가 다르다)
:
3. 성질
지수 적분 함수 는 음의 실수에서 분지절단을 갖고, 다른 곳에서는 정칙함수이다. 다음 함수는 전해석 함수이다.
:
부분 적분을 사용하면 다음 공식을 얻을 수 있다.[5]
:
고정된 에 대해, 오차항 의 절댓값은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최솟값은 에서 발생하며, 이 때 이다.
복소 함수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는 복소 평면 전체에서 정칙이며,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와 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이 표현을 통해 지수 적분 함수의 다가성(多價性) 문제를 복소 로그 함수 에 가둘 수 있다.
지수 적분 함수는 합류 초월기하 함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또한, 로그 적분 함수 li(''x'')와는 다음 공식으로 관련되어 있다.[1]
: (단, 는 0이 아닌 실수)
일반화된 지수 적분 함수는 상부 불완전 감마 함수의 특수한 경우로 표현할 수 있다.[8]
:
3. 1. 수렴 급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를 포함하는 지수 적분 함수의 테일러 급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2]:
이 급수는 모든 복소수 에 대해 수렴하며, 음의 실수축을 따라 절단선을 갖는 복소 로그의 일반적인 값을 사용한다. 이 공식은 0과 2.5 사이의 실수 에 대한 부동 소수점 연산을 사용하여 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의 경우 파국적 소거로 인해 결과가 부정확하다.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은 더 빠르게 수렴하는 급수를 발견했다.
:
3. 2. 점근 급수 (발산 급수)
불행하게도, 위의 급수는 큰 모듈러스의 인수에 대해 수렴 속도가 느리다. 예를 들어, E1(10)에 대해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정확한 답을 얻으려면 40개 이상의 항이 필요하다.[3] 그러나 x의 양의 값에 대해, 부분 적분을 통해 를 적분하여 얻을 수 있는 발산 급수 근사가 있다:[4]:
위 근사의 상대 오차는 잘린 합의 항의 수인 의 다양한 값에 대해 그림 오른쪽에 표시된다(은 빨간색, 는 분홍색).

z|영어의 절댓값이 충분히 클 때 E1|영어은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
우변은 에서 발산하므로 적당한 항에서 잘라서 사용한다.
3. 3. 초등 함수와의 관계

은 인수가 클 때는 음의 지수 함수처럼, 인수가 작을 때는 로그 함수처럼 동작한다. 인수가 양의 실수일 경우, 은 다음과 같이 초등 함수에 의해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6]
:
이 부등식의 왼쪽 부분은 왼쪽 그래프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 는 검은색으로, 오른쪽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3. 4. Ein 함수를 이용한 표현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전해석 함수이다.[7]:
이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여기서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는 복소평면 전체에서 정칙이며, 와 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이 표현을 통해 지수 적분 함수의 다가성(多價性) 문제를 복소 로그 함수 에 가둘 수 있다.
3. 5. 다른 함수와의 관계
지수 적분 함수는 합류 초월기하 함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쿠머 방정식은 일반적으로 합류적 초기하 함수 및 로 풀리지만, 및 인 경우에는 두 번째 해가 로 주어진다. 는 지수 함수와 함수 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5. 1. 로그 적분 함수와의 관계
지수 적분은 다음 공식을 통해 로그 적분 함수 li(''x'')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
여기서 는 0이 아닌 실수 값이다.
로그 적분은 로그 함수의 역수의 적분으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로그 적분은 소수의 분포를 나타내는 공식(소수 정리)에 나타난다.[1]
3. 5. 2. 불완전 감마 함수와의 관계
일반화된 지수 적분 함수는 상부 불완전 감마 함수의 특수한 경우로 표현할 수 있다.[8]:
일반화된 형태는 때때로 Misra 함수[9] 라고 불리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4. 삼각 적분
:가 허수이고, 음이 아닌 실수부를 가지는 경우,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삼각 적분 와 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
:
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오른쪽 그림에서 검정색과 빨간색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삼각 적분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사인 적분''' (sine integral영어)은 사인 함수를 포함하는 적분에 의해 정의되는 함수이다. 피적분 함수는 비정규화 sinc 함수이다.
:
:
'''코사인 적분''' (cosine integral영어)은 코사인 함수를 포함하는 적분에 의해 정의되는 함수이다.
:
복소 함수로서의 코사인 적분은 다가 함수이지만, 다음과 같이 복소 로그 함수와 정칙 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임의의 복소수 에 대해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5. 근사
지수 적분 함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근사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Swamee와 Ohija, Allen과 Hastings가 제안한 근사식이 있으며,[13] 연분수 전개[14]를 이용하거나 Barry ''et al.''[15]이 제시한 공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5. 1. Swamee와 Ohija의 근사
Swamee와 Ohija는 다음 근사식을 제안했다.[13]:
여기서,
:
5. 2. Allen과 Hastings의 근사
Allen과 Hastings의 근사식은 다음과 같다.[13][14]:
여기서,
:
5. 3. 연분수 전개
지수 적분 함수는 다음과 같은 연분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14]:
5. 4. Barry 등의 근사
Barry ''et al.''의 근사식은 다음과 같다.[15]:
여기서 각 문자의 값은 다음과 같다.
: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6. 지수 적분 함수의 역함수
지수 적분 함수의 역함수는 다음과 같은 멱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16]
:
여기서 는 라마누잔-졸드너 상수이고, 는 다음의 점화 관계로 정의되는 다항식 수열이다.
:
에 대해, 이며, 다음 공식을 얻는다.
:
7. 응용
지수 적분 함수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응용된다.[17]
- 선형 공급원 및 싱크가 있는 과도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 흐름에 대한 방사형 확산 방정식
- 단순화된 1차원 기하학에서의 중성자 수송 방정식 해
(참고: 하위 섹션에서 이미 시간 의존적 열전달, 지하수 흐름, 복사 전달은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언급만 함)
7. 1. 시간 의존적 열전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열전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수 적분 함수가 사용된다.[17]7. 2. 지하수 흐름
대수층에서의 비평형 지하수 흐름을 분석하고 모델링하는 데 지수 적분 함수가 사용된다. 특히, Theis 해법은 지수 적분 함수를 기반으로 한다.[17]7. 3. 복사 전달
별과 행성 대기에서의 복사 전달 과정에 사용된다.[17]7. 4. 중성자 수송
원자로 등에서 중성자의 이동 및 반응을 기술하는 중성자 수송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지수 적분 함수가 사용된다.[17]참조
[1]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2]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3]
서적
Bleistein and Handelsman
[4]
서적
Bleistein and Handelsman
[5]
간행물
Asymptotic Approximation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5-04
[6]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7]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8]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9]
기타
After Misra (1940)
[10]
기타
Milgram (1985)
[11]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12]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13]
논문
Revisit of Well Function Approximation and An Easy Graphical Curve Matching Technique for Theis' Solution
2003-05-01
[14]
논문
Numerical evaluation of exponential integral: Theis well function approximation
1998-02-26
[15]
논문
Approximation for the exponential integral (Theis well function)
2000-01-31
[16]
웹사이트
Inverse function of the Exponential Integral Ei-1(x)
https://math.stackex[...]
2024-04-24
[17]
서적
Nuclear Reactor Theory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8]
웹사이트
Wolfram Mathworld: Exponential Integral
http://mathworld.wol[...]
[19]
웹사이트
SpringerLink: Integral exponential function
http://eom.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