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로디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로디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랑과 미의 여신으로, 로마 신화의 비너스에 해당한다. 헤시오도스는 아프로디테의 이름을 '바다 거품'에서 유래했다고 보았으나, 현대 학자들은 셈어 기원을 주장하며 아스타르테와 관련짓기도 한다. 아프로디테는 페니키아의 아스타르테와 메소포타미아의 이난나-이슈타르 숭배의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 예술과 문학에서 이난나-이슈타르와 유사하게 묘사되었다. 주요 상징으로는 비둘기, 백조, 장미 등이 있으며,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했으나 아레스와 불륜을 저질렀다. 아도니스와의 사랑, 파리스의 심판, 트로이 전쟁에서의 역할 등 다양한 신화적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프로디테는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현대 미술 작품과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파이스토스의 여인 - 가이아
가이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땅 그 자체를 의인화한 대지의 여신으로, 혼돈에서 태어난 태초의 신이자 우라노스와 결합하여 여러 신과 괴물의 어머니로서 만물의 근원으로 숭배받으며 신화와 전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헤파이스토스의 여인 - 아글라에아
아글라에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카리테스 중 한 명으로, 기쁨과 풍요를 상징하며, 제우스의 딸로 묘사되거나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하여 자녀를 낳고 아프로디테를 시중드는 삼미신 중 한 명이다. - 아레스의 여인 - 칼리오페
칼리오페는 그리스 신화에서 서사시와 웅변을 관장하며 오르페우스와 리노스의 어머니로 알려진 뮤즈로, 글쓰는 판을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여러 예술 작품과 현대 문화에 영감을 주는 존재이다. - 아레스의 여인 - 에뉘오
에뉘오는 그리스 신화에서 살육과 전투를 관장하는 여신으로, 아레스의 여성형 또는 도시 파괴자로 불리며, 에리스나 벨로나와 동일시되기도 하고, 포르키스와 케토의 딸인 그라이아이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 디오니소스의 배우자 - 아리아드네
아리아드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도록 테세우스를 돕고 디오니소스의 아내가 되거나 테세우스에게 버려졌다는 이야기로 전해지며, 예술 작품과 관용구의 소재로 활용된다. - 디오니소스의 배우자 - 아도니스
그리스 신화의 인물 아도니스는 아름다운 외모로 아프로디테와 페르세포네의 사랑을 받았으나, 사냥 중 멧돼지에게 죽임을 당해 고대 그리스에서 아도니아 축제를 통해 애도되었고, 그의 이야기는 후대 문학과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아프로디테 | |
---|---|
기본 정보 | |
유형 | 미 · 사랑 · 성생활의 여신 |
그룹 | 여신, 올림포스 12신(도데카테온) |
거주지 | 올림포스 산 |
상징 | 가리비 껍질, 거울, 도금양, 돌고래, 백조, 비둘기, 장미, 참새, 허리띠 |
배우자 | 헤파이스토스, 아레스, 포세이돈, 헤르메스, 디오니소스, 아도니스, 안키세스 |
부모 | 우라노스 또는 제우스와 디오네 |
형제자매 | 멜리아스, 에리니에스, 기간테스 |
자녀 | 에로스, 포보스, 데이모스, 하르모니아, 포토스, 안테로스, 히메로스, 헤르마프로디토스, 로데, 에릭스, 페이토, 티케, 에우노미아, 카리테스, 프리아포스, 아이네이아스 |
로마 신화 | 베누스 |
수메르 신화 | 인안나 |
신화 속 역할 | |
관장 | 사랑, 욕망, 열정, 쾌락, 아름다움, 성 |
소속 | 올림포스 12신 |
거주지 | 올림포스 산 |
상징물 | 장미, 조개껍데기, 진주, 거울, 거들, 아네모네, 상추, 수선화 |
동물 | 돌고래, 참새, 비둘기, 백조, 토끼, 거위, 벌, 물고기, 나비 |
나무 | 몰약, 도금양, 사과, 석류 |
행성 | 금성 |
로마 신화 대응 | 베누스 |
이집트 신화 대응 | 하토르, 이시스 |
호칭 | |
그리스어 | Ἀφροδίτη, Ἀφροδιτα |
로마자 표기 | Aphrodītē, Aphrodita |
관련 명칭 | 키테레이아, 키프로게네스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제우스와 디오네 또는 우라노스 |
배우자 | 헤파이스토스 (이혼), 아레스 (미혼 배우자), 여러 연인 |
자녀 | 에로스, 포보스, 데이모스, 하르모니아, 포토스, 안테로스, 히메로스, 헤르마프로디토스, 로도스, 에릭스, 페이토, 카리테스, 베로에, 골고스, 프리아포스, 아이네이아스 |
이미지 | |
![]() | |
![]() |
2. 어원
헤시오도스는 "아프로디테"라는 이름이 (ἀφρόςgrc), 즉 "바다 거품"에서 유래했다고 보았고, "거품에서 일어난 자"로 해석했다.[5]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이를 민간 어원으로 간주한다.[5][6] 초기 근대 학자들은 아프로디테의 이름이 그리스어 또는 인도유럽어족 기원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대부분 폐기되었다.[6] 아프로디테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비 그리스어(아마도 셈어족) 기원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정확한 유래는 확실하게 결정할 수 없다.[6][7]
헤시오도스는 "아프로디테"라는 이름이 (ἀφρόςgrc), 즉 "바다 거품"에서 유래했다고 보았고,[5] "거품에서 일어난 자"로 해석했다.[5]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이를 민간 어원으로 간주한다.[5][6] 아프로디테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비그리스어(아마도 셈어족) 기원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정확한 유래는 확실하게 결정할 수 없다.[6][7]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학자들은 헤시오도스의 "거품" 어원을 진정한 것으로 받아들여 아프로디테 이름의 두 번째 부분을 *''-odítē'' "방랑자"[5] 또는 *''-dítē'' "밝은"[6][7]로 분석했다. 최근에는 마이클 잔다(Michael Janda)도 헤시오도스의 어원을 받아들여 후자의 해석을 지지하며, 거품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가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신화적 요소라고 주장했다. 크시슈토프 토마시 비트차크(Krzysztof Tomasz Witczak)는 인도유럽 복합어 "매우"와 "빛나다"를 제안하며 에오스를 언급했다. 다니엘 쾰리건(Daniel Kölligan)은 아프로디테의 이름을 "안개/거품에서 빛나며 솟아오르는 자"로 해석했다.[8]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가설이 아프로디테의 속성이 에오스와 베다 신 우샤스의 속성과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9][10]
현대 학자들은 아프로디테 숭배의 근동 기원을 믿기에 이름을 셈어 기원으로 제시했다.[7][11] 프리츠 호멜 등 일부 학자들은 아프로디테의 이름이 "아스타르테"의 헬레니즘화된 발음이라고 제안했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언어학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고 거부했다.[11][6] 마틴 웨스트(Martin West)는 이름의 키프로스 가나안어 형태를 또는 로 재구성하고 후자를 "마을의 여인"이라는 의미의 별칭으로 조심스럽게 제안한다.[6] 아렌 윌슨-라이트(Aren Wilson-Wright)는 페니키아어 형태 를 "독특하고, 훌륭하고, 숭고한"을 의미하는 최상 별칭으로 제안한다.
그 외에도 몇 가지 그럴듯하지 않은 비 그리스어 어원들이 제안되었다. 한 셈어 어원은 아프로디테를 중바빌로니아 및 후바빌로니아 텍스트에 나타나는 여성 악마의 이름인 아시리아어 ''barīrītu''와 비교한다.[10] 함마스트룀(Hammarström)[11]은 에트루리아어를 살펴보고 에트루리아 명예 칭호인 ''(e)prθni'' "주"를 그리스어로 차용된 πρύτανις와 비교했다. 이것은 본래의 신격을 명예 칭호, 즉 "여인"으로 만들 것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특히 아프로디테의 이름이 실제로 에트루리아어로 차용된 형태인 ''Apru''(그리스어 에서 유래, ''Aphrodite''의 단축형)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어원을 그럴듯하지 않다고 거부한다. 중세의 ''에티몰로기쿰 마그눔''(1150년경)은 "섬세하게 사는 자"라는 의미의 복합어 ''habrodíaitos''(ἁβροδίαιτοςgrc)에서 ''Aphrodite''를 파생하는 매우 억지스러운 어원을 제시한다. 이 어원은 ''habrós''와 ''díaita''에서 유래되었다. ''b''에서 ''ph''로의 변형은 그리스어의 "친숙한" 특성으로 설명되며 "고대 마케도니아어"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12]
기원전 11세기부터 4세기까지 키프로스 섬에서 사용된 음절 문자 체계인 키프로스 음절 문자에서 아프로디테의 이름은 (a-po-ro-ta-o-i,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음),[13] (a-po-ro-ti-ta-i, 같은 방식),[14] 그리고 (a-po-ro-ti-si-jo, "아프로디테의", 아프로디테와 관련된, 달의 맥락에서) 형태로 증명된다.[15]
3. 기원
현대 학자들은 아프로디테 숭배가 근동에서 기원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셈어 기원을 제시한다.[7][8] 일부 학자들은 아프로디테의 이름이 "아스타르테"의 헬레니즘화된 발음이라고 제안했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언어학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고 거부했다.[8][9]
키프로스는 아프로디테와 본질적인 연관이 있으며, 여신이 처음 키프로스에 상륙했다는 것은 아프로디테의 기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90] 아프로디테는 동방의 풍요와 다산의 여신 아스타르테, 이슈타르 등과 기원을 같이 하는 외래의 여신으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기록된 바와 같이 키프로스를 성지로 삼았다.[91] 스파르타와 코린토스에서는 아테나처럼 갑옷을 입은 군신으로 모셔졌다.[91]
3. 1. 근동의 사랑의 여신
그리스의 아프로디테 숭배는 페니키아의 아스타르테 숭배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로부터 유래되었다.[16] 페니키아의 아스타르테 숭배는 다시 메소포타미아 여신 숭배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 여신은 동셈족에게는 "이쉬타르"로, 수메르인에게는 "이난나"로 알려져 있었다.[16] 파우사니아스는 아프로디테 숭배를 처음으로 확립한 것은 아시리아인이었으며, 그 다음은 키프로스의 파포스인, 그리고 아스칼론의 페니키아인이었다고 말한다. 페니키아인들은 다시 키테라의 사람들에게 그녀에 대한 숭배를 가르쳤다.[16]
아프로디테는 이난나-이쉬타르와 성과 출산에 대한 연관성을 갖게 되었다. 게다가, 그녀는 "천상의"를 의미하는 우라니아(Οὐρανία)로 알려졌는데, 이는 이난나가 하늘의 여왕으로서의 역할과 일치하는 칭호이다. 아프로디테에 대한 초기 예술적, 문학적 묘사는 이난나-이쉬타르와 매우 유사하다. 이난나-이쉬타르와 마찬가지로 아프로디테는 또한 전사 여신이었다. 2세기 AD의 그리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스파르타에서 아프로디테가 "전쟁적인"을 의미하는 ''아프로디테 아레이아''로 숭배되었다고 기록한다. 그는 또한 스파르타와 키테라에 있는 아프로디테의 가장 오래된 숭배 조각상들이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언급한다. 현대 학자들은 아프로디테의 전사 여신 측면이 그녀 숭배의 가장 오래된 지층에서 나타나며 이를 그녀의 근동 기원의 징후로 본다.
3. 2. 인도유럽어족 새벽 여신의 영향
일부 학자들은 아프로디테가 그리스의 새벽 여신 에오스와 관련이 있으며, 인도유럽어족 새벽 여신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프로디테와 에오스는 모두 아름다움, 성적 매력, 인간과의 사랑 이야기로 유명하며, 이는 두 여신 사이에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8] 크시슈토프 토마시 비트차크(Krzysztof Tomasz Witczak)는 인도유럽 복합어 "매우"와 "빛나다"를 제안하며 에오스를 언급했다.[7] 또한 다니엘 쾰리건(Daniel Kölligan)은 아프로디테의 이름을 "안개/거품에서 빛나며 솟아오르는 자"로 해석했다.[8]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가설이 아프로디테의 속성이 에오스와 베다 신 우샤스의 속성과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5][6]
4. 상징
아프로디테의 주요 상징은 비둘기, 백조, 참새 등의 새와 장미, 도금양, 사과, 석류 등의 식물이다.[79][80][81][82] 바다와 관련된 돌고래, 조개껍데기 등도 아프로디테의 상징으로 여겨진다.[79] 이러한 상징들은 아프로디테의 다양한 속성을 나타낸다.
아프로디테는 고대 그리스 도기에서 비둘기와 함께 자주 등장하며,[79]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남서쪽 경사면에 있는 아프로디테 판데모스 신전은 부리에 매듭이 있는 비둘기 부조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었다.[79] 작은 흰색 대리석 비둘기 헌물도 다프니에 있는 아프로디테 신전에서 발견되었다.[79]
신화에 따르면, 비둘기는 원래 아프로디테가 아들 에로스와의 꽃 따기 경쟁에서 이기도록 도운 페리스테라라는 요정이었다. 에로스는 그녀를 비둘기로 만들었지만, 아프로디테는 그 비둘기를 품에 안고 신성한 새로 삼았다.[79][80]
바다와의 관계 때문에 아프로디테는 백조, 거위, 오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새와 연관되었다.[79] 피스토세노스 화가의 백색 바탕 ''킬릭스''에 백조나 거위 위에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79]
아프로디테와 도금양 관계의 기원을 설명하는 신화는 원래 도금양이 아프로디테의 헌신적인 여사제였던 미리나라는 처녀였다는 것이다. 이전 약혼자가 그녀를 신전에서 데려가 결혼시키려 하자 미리나는 그를 죽였고, 아프로디테는 그녀를 도금양으로 만들어 영원히 보호했다.[81]
가장 중요한 과일 상징은 사과였으며,[82] 신화에서 아도니스의 친구이자 매형인 멜로스가 아도니스의 죽음에 슬퍼하며 자살하자 사과로 변하게 했다. 멜로스의 아내 펠리아는 비둘기로 변했다.[82] 석류와도 연관되었는데,[82] 붉은 씨앗이 성을 암시했거나[82] 그리스 여성들이 석류를 피임 방법으로 사용했기 때문일 것이다.[82]
사포의 "아프로디테 송가"에서 아프로디테는 참새가 끄는 전차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79]
그리스 예술에서 아프로디테는 종종 돌고래와 네레이스와 동행한다.[79]
5. 주요 특징
아프로디테는 아름다움과 사랑의 여신으로, 신과 인간 모두를 매혹하는 힘을 지녔다. 그녀는 자신의 매력을 이용하여 목적을 달성하기도 했으며, 때로는 질투심 많고 복수심 강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94]
그리스의 아프로디테 숭배는 페니키아의 아스타르테 숭배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로부터 유래되었다. 페니키아의 아스타르테 숭배는 다시 메소포타미아 여신 숭배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 여신은 동셈족에게는 "이쉬타르"로, 수메르인에게는 "이난나"로 알려져 있었다. 파우사니아스는 아프로디테 숭배를 처음으로 확립한 것은 아시리아인이었으며, 그 다음은 키프로스의 파포스인, 그리고 아스칼론의 페니키아인이었다고 전한다. 페니키아인들은 다시 키테라의 사람들에게 그녀에 대한 숭배를 가르쳤다.[16]
아프로디테는 이난나-이쉬타르와 성과 출산에 대한 연관성을 가졌으며, "천상의"를 의미하는 우라니아(Οὐρανία)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는 이난나가 하늘의 여왕으로서의 역할과 일치하는 칭호이다. 초기 예술적, 문학적 묘사에서 아프로디테는 이난나-이쉬타르와 매우 유사하며, 전사 여신으로서의 면모도 보여준다. 파우사니아스는 스파르타에서 아프로디테가 "전쟁적인"을 의미하는 ''아프로디테 아레이아''로 숭배되었고, 스파르타와 키테라에 있는 아프로디테의 가장 오래된 숭배 조각상들이 무기를 들고 있었다고 기록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아프로디테는 크로노스에게 잘린 우라노스의 남근에 엉겨 붙은 거품(ἀφρόςgrc)에서 태어나, 키테라 섬을 거쳐 키프로스 섬에 도착했다.[91] 그녀가 섬에 상륙하자 사랑과 아름다움이 생겨났고, 호라이들이 그녀를 올림포스 산으로 데려갔다.[91] 올림포스의 신들은 그녀의 아름다움을 칭찬하며 동료로 받아들였고, 제우스가 양녀로 삼았다. 반면 호메로스는 아프로디테가 제우스와 디오네의 딸이라고 전한다.[90]
아프로디테는 아름다움과 우아함을 관장하는 세 미의 여신 카리테스들을 시녀로 두었으며, "사랑", "동경", "욕망"이 숨겨진 마법의 허리띠를 지니고 있어 신과 사람의 마음을 정복할 수 있었다.[94]
아프로디테의 숭배 칭호로는 "천상의"를 의미하는 ''우라니아''와 "모든 민족을 위한"을 의미하는 ''판데모스''가 있다. 아프로디테 판데모스는 "설득"을 의미하는 ''페이토''(Πείθωgrc)와 연관되어, 유혹에 도움을 청하는 기도를 받았다. 신플라톤주의자들과 그들의 기독교 해석가들은 우라니아를 정신적인 사랑과, 판데모스를 육체적인 사랑(욕망)과 연관시켰다.
아프로디테의 문학적 칭호로는 "미소를 사랑하는"을 의미하는 ''필로메이데스'' (φιλομμειδήςgrc)가 있으며, 때로는 "웃음을 사랑하는"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헤시오도스는 ''신통기''에서 아프로디테의 탄생과 관련하여 이 칭호를 "생식기를 사랑하는"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5. 1. 신화 속 모습
아프로디테는 헤파이스토스의 아내였지만, 아레스를 비롯한 여러 신과 인간들과 사랑을 나누었다. 헤파이스토스는 뛰어난 손재주를 가졌지만 못생긴 외모와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제우스는 티탄족과의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번개를 사용했고, 그 대가로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맺어주었다. 그러나 아프로디테는 아레스와 밀회를 즐겼고, 이를 안 헤파이스토스는 그물로 두 사람을 사로잡아 망신을 주었다.파리스의 심판에서 아프로디테는 가장 아름다운 여신으로 선택되었고, 그 대가로 파리스에게 헬레네와의 사랑을 약속했다. 이는 트로이 전쟁의 발단이 되었으며, 아프로디테는 전쟁에서 트로이 편을 들어 자신의 아들 아이네이아스를 구출하기 위해 직접 전투에 나서기도 했다.
5. 1. 1. 헤파이스토스와의 결혼
헤파이스토스는 못생긴 외모와 신체적 장애 때문에 아내가 없었지만, 뛰어난 손재주로 올림포스 신들을 위한 무기와 도구를 만들었다. 제우스는 티탄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번개를 사용했고, 그 대가로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맺어주었다.[24]하지만 아프로디테는 대장간 일에 몰두하는 남편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전쟁의 신 아레스와 밀회를 즐겼다.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 함께 헤파이스토스를 피해 자주 밀회를 가졌다. 이를 본 태양신 헬리오스가 헤파이스토스에게 밀고하자, 헤파이스토스는 청동 그물을 만들어 아프로디테의 침대에 쳤다. 아레스와 밀회를 즐기던 아프로디테는 그물에 걸려 망신을 당했고, 포세이돈의 중재로 풀려났다.[30][31][32][33]
이후에도 둘은 계속 만남을 가졌다.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에게 반하자 아레스는 멧돼지로 변하여 그를 죽이고, 아프로디테는 에오스가 아레스를 사랑하는 것을 알고 그녀에게 저주를 내렸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서 포보스, 데이모스, 에로스, 하르모니아를 낳았다.
이후의 이야기들에서는 제우스가 다른 신들이 아프로디테를 차지하기 위해 다투는 것을 막기 위해 그녀를 헤파이스토스와 결혼시켰다고도 하고, 헤파이스토스가 어머니 헤라를 황금 왕좌에 가두고 아프로디테와의 결혼을 요구했다고도 한다. 헤파이스토스는 아프로디테에게 아름다운 보석들을 만들어 선물했는데, 그 중에는 남성들을 매혹시키는 힘을 가진 아프로디테의 허리띠도 있었다.[34]
5. 1. 2. 아레스와의 관계
헤파이스토스가 대장간 일을 핑계로 아프로디테와 함께 하지 않자, 아프로디테는 전쟁의 신 아레스와 밀회를 하기 시작했다.[33] 호전적인 성격임에도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아레스는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받았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 함께 그녀의 남편인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를 피해 자주 밀회를 즐겼다.[33]태양신 헬리오스가 이들의 밀회를 헤파이스토스에게 밀고하자, 헤파이스토스는 청동을 가늘게 늘여서 짠 그물을 만들어 아프로디테의 침대에 쳤다.[30] 이 사실을 모르고 아레스와 밀회를 즐기던 아프로디테는 헤파이스토스를 보자 아레스와 함께 자리를 피하려 하지만 그물에 걸려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여러 신들에게 망신을 당하였다. 포세이돈이 두 사람을 풀어주라고 설득하자 헤파이스토스는 아레스가 보상하겠다는 포세이돈의 보증을 받고 두 사람을 풀어준다.[32]
이런 일이 있은 후에도 아프로디테와 아레스는 계속 교제를 하였다.[34]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에게 반하자 아레스는 멧돼지로 변하여 그를 쳐서 죽이고, 아프로디테는 에오스가 아레스를 사랑하는 것을 알게 되자 그녀가 사랑하게 되는 인간은 모두 죽는 저주를 내린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서 공포를 뜻하는 포보스와 데이모스, 사랑의 신 에로스, 미의 여신 하르모니아를 낳았다.[69] 에로스는 아프로디테와 에로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후에 추가된 것이라고도 한다. 에로스의 아버지가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레스라고 한다.
5. 1. 3. 아도니스와의 사랑
아프로디테는 아름다운 청년 아도니스에게 매료되어 그를 자신의 보호 아래 두었다.[90] 아도니스는 아시리아 왕 테이아스의 딸[95] 스미르나의 아들로 여겨진다.[90] 스미르나는 아프로디테에게 제사를 게을리 한 탓에 아버지에게 애정을 품는 저주를 받아 계략을 써서 그 소원을 이루었다.[90] 그러나 이것이 발각되어 아버지에게 쫓겨 살해당할 뻔하자 신에게 기도하여 몰약 나무(스미르나)로 변했고,[90] 그 줄기 안에서 자라 태어난 아이가 아도니스라고 한다.[90] 아도니스의 출생에 관해서는 완전히 다른 설화도 많은데,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에오스의 자손으로 키프로스에 파포스 시를 건설한 키뉘라스의 아들이 아도니스라고 한다.하지만 아도니스는 사냥 중에 멧돼지 이빨에 찔려 죽었다. 아프로디테는 슬퍼하며 자신의 피를 아도니스가 쓰러진 땅에 쏟았는데(아도니스 본인의 피라는 설도 있다), 그 땅에서 싹튼 것이 아네모네라고 한다.[90] 아프로디테는 아도니스가 죽은 후 그를 숭배할 것을 맹세했지만, 이 아도니스 축제는 아테네, 키프로스, 특히 시리아에서 거행되었다. 이 설화는 지모신과 죽어서 부활하는 곡물령으로서의 소년이라는 오리엔트 기원의 종교적 특징을 강하게 남겼다.[90]
아프로디테와 아도니스의 신화는 아마도 고대 수메르의 이난나와 두무지드의 전설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 고대 그리스어 이름 Ἄδωνιςgrc(''Adōnis'')는 "주"를 의미하는 가나안어 단어 ''ʼadōn''에서 파생되었다. 아도니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그리스어 언급은 레스보스 시인 사포의 시 조각에서 나오는데, 젊은 여성 합창단이 아프로디테에게 아도니스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묻는다. 아프로디테는 가슴을 치고 옷을 찢어야 한다고 답한다.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의 시 ''변신 이야기''에 나오는 이야기의 재해석에 따르면, 아도니스는 자신의 아버지인 키프로스 왕 킨니라스에게 걷잡을 수 없는 욕망에 대한 아프로디테의 저주를 받은 미르라의 아들이었다. 미르라의 어머니가 자신의 딸이 여신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한 후에 임신 후 쫓겨난 미르라는 몰약 나무로 변했지만, 여전히 아도니스를 낳았다.
아프로디테는 아기를 찾아 지하세계로 데려가 페르세포네에게 맡겼다. 그녀는 아들이 다 자란 후 돌아와 그가 매우 잘생긴 것을 발견했다. 페르세포네는 아도니스를 갖고 싶어했고, 그 결과 아도니스를 누구에게 줘야 하는지에 대한 두 여신 간의 양육권 분쟁이 벌어졌다. 제우스는 아도니스가 1년의 3분의 1은 아프로디테와, 3분의 1은 페르세포네와, 나머지 3분의 1은 자신이 선택하는 사람과 함께 보내도록 판결함으로써 분쟁을 해결했다. 아도니스는 그 시간을 아프로디테와 함께 보내기로 선택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도니스가 사냥을 하던 중 멧돼지에게 부상을 입고 아프로디테의 품에서 피를 흘리며 죽었다.
이야기의 다른 버전에서 멧돼지는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와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에 질투심을 느낀 아레스가 보냈거나, 아프로디테가 그녀의 헌신적인 추종자 히폴리토스를 죽인 것에 대한 복수를 원하는 아르테미스가 보냈다. 또 다른 버전에서는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와 성관계를 가진 후 목욕하는 동안 아프로디테의 알몸을 우연히 발견한 그의 아들 에리만토스를 아프로디테가 맹인으로 만들자, 아폴론이 분노하여 멧돼지로 변신하여 아도니스를 죽였다.[40] 그녀는 아도니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그의 피가 떨어진 곳마다 아네모네가 자라게 했고, 그의 죽음을 기념하는 축제를 선포했다. 이야기의 한 버전에서 아프로디테는 가시가 있는 장미 덤불에 스스로 부상을 입었고, 이전에 흰색이었던 장미는 그녀의 피로 붉게 물들었다. 루키아노스의 ''시리아의 여신에 관하여''에 따르면, 아도니스 축제 기간 동안 레바논의 아도니스 강(현재 아브라함 강으로 알려짐)은 매년 피로 붉게 물들었다.
아도니스의 신화는 매년 한여름에 그리스 여성들이 기념하는 아도니아 축제와 관련이 있다. 사포 시대에 이미 레스보스에서 기념되었던 이 축제는 기원전 5세기에 아테네에서 처음 인기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축제의 시작에서 여성들은 "아도니스의 정원"을 심을 것이다. "아도니스의 정원"은 상추와 회향과 같은 다양한 속성 식물이나 밀과 보리와 같은 빨리 싹트는 곡물이 들어 있는 작은 바구니나 얕은 깨진 도자기 조각 안에 심은 작은 정원이다. 그런 다음 여성들은 사다리를 타고 집 지붕으로 올라가서 여름 햇볕 아래 정원을 놓을 것이다. 식물은 햇빛 속에서 싹이 트지만 열기 속에서 빨리 시들 것이다. 그런 다음 여성들은 아도니스의 죽음에 대해 큰 소리로 애도하고 슬퍼하며, 옷을 찢고 가슴을 치며 공개적으로 슬픔을 표현할 것이다.
5. 1. 4. 트로이 전쟁에서의 역할
파리스의 심판에서 아프로디테는 가장 아름다운 여신으로 선택되었고, 그 대가로 파리스에게 헬레네와의 사랑을 약속했다. 헬레네는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의 아내였기 때문에, 이 사건은 트로이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아프로디테는 트로이 편을 들어 전쟁에 참여했으며, 자신의 아들 아이네이아스를 구출하기 위해 직접 전투에 나서기도 했다.[90]
파리스의 심판 신화는 ''일리아스''에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으며, 서사시의 잃어버린 시 ''키프리아''의 요약본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요약본에 따르면 모든 신들과 여신들, 그리고 다양한 필멸자들이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식(결국 아킬레우스의 부모가 됨)에 초대받았다. 불화의 여신인 에리스만이 초대받지 못했다. 그녀는 이에 화가 나서, 여신들 사이로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라는 글귀가 새겨진 황금 사과를 던졌다. 아프로디테, 헤라, 아테나는 모두 자신이 가장 아름답다고 주장하며 사과의 정당한 소유권을 주장했다.
여신들은 이 문제를 제우스 앞에 가져가기로 결정했고, 제우스는 여신 중 한 명에게 유리하게 되고 싶지 않아 선택을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의 손에 맡겼다. 파리스는 트로이가 위치한 이데 산의 샘에서 목욕한 후, 여신들이 그의 결정을 기다리기 위해 나타났다. 파리스의 심판에 대한 현존하는 고대 묘사에서 아프로디테는 가끔 누드로 묘사되고, 아테나와 헤라는 항상 완전히 옷을 입고 있다. 그러나 르네상스 이후 서양 회화에서는 세 여신 모두를 완전히 벌거벗은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 여신 모두 이상적으로 아름다웠고, 파리스는 그들 사이에서 결정할 수 없었기에 뇌물을 이용했다. 헤라는 파리스에게 모든 아시아와 유럽에 대한 권력을 뇌물로 주려고 했고, 아테나는 지혜, 명성, 그리고 전투에서의 영광을 제공했지만, 아프로디테는 자신이 가장 아름답다고 선택하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와 결혼하게 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 여자는 헬레네였는데, 그녀는 이미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와 결혼한 상태였다. 파리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고 그녀에게 사과를 주었다. 다른 두 여신은 격분했고, 그 결과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에 섰다.
아프로디테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전체에서 중요하고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제3권에서 그녀는 파리스가 일대일 결투를 신청한 후 메넬라오스에게서 그를 구출한다. 그녀는 늙은 여자의 모습으로 헬레네에게 나타나 그의 육체적 아름다움과 운동 능력을 상기시키며 그와 성관계를 갖도록 설득하려 한다. 헬레네는 즉시 아프로디테의 아름다운 목, 완벽한 가슴, 번뜩이는 눈을 알아보고 여신을 꾸짖으며 그녀를 동등한 존재로 언급한다. 아프로디테는 헬레네를 꾸짖으며, 그녀를 화나게 하면 벌을 줄 것이라고 경고한다. 헬레네는 아프로디테의 명령에 순종한다.
제5권에서 아프로디테는 그리스 영웅 디오메데스로부터 아들 아이네아스를 구출하기 위해 전투에 돌입한다. 디오메데스는 아프로디테를 "약한" 여신으로 인식하고 그의 창을 찔러 그녀의 "신성한 로브"를 통해 그녀의 손목을 스친다. 아프로디테는 아레스의 전차를 빌려 올림포스 산으로 돌아간다. 제우스는 그녀를 위험에 빠뜨린 것에 대해 꾸짖으며, "그녀의 전문 분야는 전쟁이 아닌 사랑"임을 상기시킨다. 발터 부르케르트에 따르면, 이 장면은 아프로디테의 아카드 선구자인 이슈타르가 영웅 길가메시가 그녀의 성적 접근을 거부한 후 어머니 안투에게 울부짖지만, 아버지 아누에게 약간의 꾸지람을 받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제6서판 장면과 직접적으로 유사하다. ''디오스 아파테'' 에피소드인 ''일리아스'' 제14권에서 아프로디테는 제우스를 유혹하고 그를 전투에서 방해하기 위해 헤라에게 자신의 ''케스토스 히마스''를 빌려주고, 포세이돈은 해변에서 그리스 군대를 돕는다. 제21권의 ''테오마키아''에서 아프로디테는 아레스가 부상을 입은 후 그를 데리고 가기 위해 다시 전장에 들어선다.[66]
5. 2. 숭배와 의례
아프로디테와 아도니스의 신화는 고대 수메르의 이난나와 두무지드의 전설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인다.[39] 고대 그리스어 이름 Ἄδωνις|아도니스|ádɔːnisgrc는 "주"를 의미하는 가나안어 단어 ''ʼadōn''에서 파생되었다.[39] 아도니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그리스어 언급은 레스보스 시인 사포(기원전 630년경 – 기원전 570년경)의 시 조각에서 나오는데, 젊은 여성 합창단이 아프로디테에게 아도니스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묻자, 아프로디테는 가슴을 치고 옷을 찢어야 한다고 답한다.[39]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기원전 43년 – 서기 17/18년)의 시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아도니스는 키프로스 왕 킨니라스에게 걷잡을 수 없는 욕망에 대한 아프로디테의 저주를 받은 미르라의 아들이었다. 이는 미르라의 어머니가 자신의 딸이 여신보다 더 아름답다고 자랑한 후였다. 임신 후 쫓겨난 미르라는 몰약 나무로 변했지만, 여전히 아도니스를 낳았다.
아프로디테는 아기를 찾아 지하세계로 데려가 페르세포네에게 맡겼다. 그녀는 아들이 다 자란 후 돌아와 그가 매우 잘생긴 것을 발견했다. 페르세포네는 아도니스를 갖고 싶어했고, 그 결과 아도니스를 누구에게 줘야 하는지에 대한 두 여신 간의 양육권 분쟁이 벌어졌다. 제우스는 아도니스가 1년의 3분의 1은 아프로디테와, 3분의 1은 페르세포네와, 나머지 3분의 1은 자신이 선택하는 사람과 함께 보내도록 판결함으로써 분쟁을 해결했다. 아도니스는 그 시간을 아프로디테와 함께 보내기로 선택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도니스가 사냥을 하던 중 멧돼지에게 부상을 입고 아프로디테의 품에서 피를 흘리며 죽었다.[39] 풍자 작가 루키아노스는 ''신들의 대화''에서 좌절한 아프로디테가 자신의 아들 에로스가 페르세포네가 아도니스를 사랑하게 만들었고 이제 그를 그녀와 나눠야 한다고 달의 여신 셀레네에게 불평하는 것을 반쯤 조롱하는 식으로 희극적으로 이야기한다.[39]
이야기의 다른 버전에서 멧돼지는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와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에 질투심을 느낀 아레스가 보냈거나, 아프로디테가 그녀의 헌신적인 추종자 히폴리토스를 죽인 것에 대한 복수를 원하는 아르테미스가 보냈다. 또 다른 버전에서는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와 성관계를 가진 후 목욕하는 동안 아프로디테의 알몸을 우연히 발견한 그의 아들 에리만토스를 아프로디테가 맹인으로 만들자, 아폴론이 분노하여 멧돼지로 변신하여 아도니스를 죽였다.[40] 이 이야기는 또한 아프로디테가 특정 꽃과 관련된 원인 제공을 제공한다. 그녀는 아도니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그의 피가 떨어진 곳마다 아네모네가 자라게 했고, 그의 죽음을 기념하는 축제를 선포했다. 이야기의 한 버전에서 아프로디테는 가시가 있는 장미 덤불에 스스로 부상을 입었고, 이전에 흰색이었던 장미는 그녀의 피로 붉게 물들었다. 루키아노스의 ''시리아의 여신에 관하여''에 따르면, 아도니스 축제 기간 동안 레바논의 아도니스 강(현재 아브라함 강으로 알려짐)은 매년 피로 붉게 물들었다.
아도니스의 신화는 매년 한여름에 그리스 여성들이 기념하는 아도니아 축제와 관련이 있다.[39] 사포 시대에 이미 레스보스에서 기념되었던 이 축제는 기원전 5세기에 아테네에서 처음 인기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39] 축제의 시작에서 여성들은 "아도니스의 정원"을 심었다. "아도니스의 정원"은 상추와 회향과 같은 다양한 속성 식물이나 밀과 보리와 같은 빨리 싹트는 곡물이 들어 있는 작은 바구니나 얕은 깨진 도자기 조각 안에 심은 작은 정원이다.[39] 그런 다음 여성들은 사다리를 타고 집 지붕으로 올라가서 여름 햇볕 아래 정원을 놓았다.[39] 식물은 햇빛 속에서 싹이 트지만 열기 속에서 빨리 시들었다.[39] 그런 다음 여성들은 아도니스의 죽음에 대해 큰 소리로 애도하고 슬퍼하며,[39] 옷을 찢고 가슴을 치며 공개적으로 슬픔을 표현했다.[39]
6. 현대의 아프로디테
1938년, 러시아 출신의 글레브 보트킨은 미국으로 이주하여 아프로디테 교회를 설립했다. 이 교회는 어머니 여신으로 여겨지는 아프로디테를 숭배하는 신이교주의 종교였다.[83] 아프로디테 교회의 신학은 보트킨이 1969년에 출판한 저서 ''현실 탐구''에 담겨 있다. 이 책은 아프로디테를 그리스인들이 묘사했던 모습과는 다르게, "신플라톤주의적인 이교적 일신교의 유일한 여신"으로 묘사했다. 책에서는 아프로디테 숭배가 신비주의 교사 오르페우스에 의해 그리스로 전해졌지만, 그리스인들이 오르페우스의 가르침을 오해하여 아프로디테만을 숭배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아프로디테는 현대의 자연 기반 혼합적인 신이교주의 종교인 위카의 주요 신이다.[83] 위칸들은 아프로디테를 여신의 한 측면으로 여기며, 사랑과 로맨스를 다루는 주술을 행할 때 그녀의 이름을 자주 부른다. 위칸들은 아프로디테를 인간의 감정, 에로틱한 영성, 창의성 및 예술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여긴다. 헬레니즘(헬레니즘 다신교 재건주의)은 고대 그리스 종교를 현대에 부활시키려는 신이교주의 종교로, 열두 올림포스 신 중 하나인 아프로디테를 주요 신으로 숭배한다.[83] 헬레니스트들은 아프로디테를 주로 로맨틱한 사랑의 여신으로 숭배하지만, 성, 바다, 전쟁의 여신으로도 숭배한다. 헬레니스트는 위칸과 달리 일반적으로 엄격하게 다신교 또는 범신론을 따른다. 아프로디테의 별칭으로는 "바다에서 태어난 자", "남성 살해자", "무덤 위의 여인", "공정한 항해", "전쟁의 동맹자"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Iliad
http://www.perseus.t[...]
[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
논문
The Role of the Earlier Speeches in the "Symposium": Plato's Endoxic Method?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4]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5]
논문
Zum pamphylischen Dialekt
1895
[6]
논문
Aphrodite und die hl. Pelagia
1911
[7]
논문
Akmon e Dieus
1930
[8]
논문
Aphrodite of the Dawn: Indo-European Heritage in Greek Divine Epithets and Theonyms
https://www.academia[...]
2007
[9]
학회발표
Venus's Name: The Divine Name Aphrodite as a Phoenician Epithet
https://www.academia[...]
2019-08
[10]
서적
Chicago Assyrian Dictionary
[11]
논문
Griechisch-etruskische Wortgleichungen
1921
[12]
사전
Etymologicum Magnum
[13]
서적
A Student's Commentary on Ovid's Metamorphoses Book 10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21-06-22
[14]
웹사이트
The Cypriot Syllabic Script word a-po-ro-ti-ta-i
https://www.palaeole[...]
2023-04-24
[15]
서적
Kypriōn Politeia,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of the Classical Cypriot City-Kingdom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cations
2022-08-08
[16]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17]
서적
Symposium
[18]
서적
Plato's Symposium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9]
웹사이트
Suda, π, 825
https://www.cs.uky.e[...]
[20]
서적
Periegesis
http://www.emblems.a[...]
[21]
백과사전
Mechaneus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1867
[22]
서적
The Cults of the Greek State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896
[23]
백과사전
Melaenis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1867
[24]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25]
웹아카이브
The Satala Aphrodite
http://www.ashmol.ox[...]
[26]
서적
Odyssey, Histories, Description of Greece, Poems, Carmina
http://www.perseus.t[...]
[27]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28]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29]
서적
Bibliotheca
http://www.perseus.t[...]
[30]
서적
Avian and Serpentine
https://brill.com/vi[...]
Brill Rodopi
2009-01-01
[31]
서적
Gallus, The Birds, Ad Odysseam, Progymnasmata
http://lucianofsamos[...]
[32]
서적
Odyssey
[33]
서적
Iliad
[34]
서적
https://books.google[...]
[35]
웹사이트
The Satala Aphrodite
http://www.britishmu[...]
British Museum
[36]
서적
Treasures from the Ark: 1700 Years of Armenian Christian Art
http://www.getty.edu[...]
J. Paul Getty Museum
[37]
웹사이트
Priapus
http://www.cs.uky.ed[...]
2014-08-10
[38]
문서
Theogony
https://www.perseus.[...]
[39]
문서
Dialogues of the Gods
http://lucianofsamos[...]
[40]
서적
https://books.google[...]
[41]
문서
Exhortation to the Greeks
[42]
문서
Bibliotheca
http://www.perseus.t[...]
[43]
문서
Georgics
[44]
문서
Fabulae
[45]
문서
Metamorphoses
[46]
문서
Bibliotheca
http://www.perseus.t[...]
[47]
웹사이트
Ovid's Metamorphoses, book 10, English Translation
https://web.archive.[...]
2021-01-11
[48]
문서
Bibliotheca historica
[49]
문서
Erotica Pathemata
https://topostext.or[...]
[50]
문서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51]
문서
Bibliotheca
http://www.perseus.t[...]
[52]
문서
Bibliotheca
https://www.perseus.[...]
[53]
문서
Scholia
[54]
문서
Tzetzes on Lycophron
[55]
문서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56]
웹사이트
APHRODITE MYTHS 7 WRATH - Greek Mythology
https://www.theoi.co[...]
[57]
서적
The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58]
문서
Fabulae
https://topostext.or[...]
[59]
문서
Phaedra
https://www.thelatin[...]
[60]
문서
Scholia on Euripides' Hippolytus
https://books.google[...]
[61]
문서
Metamorphoses
[62]
문서
On Rivers
[63]
문서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64]
학술지
Paul, Artemis, and the Jews in Ephesu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96
[65]
서적
Intende, Lector – Echoes of Myth, Religion and Ritual in the Ancient Novel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3-10-29
[66]
문서
Iliad
http://www.perseus.t[...]
[67]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8]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9]
문서
Eros
[70]
문서
Bibliotheca historica
https://penelope.uch[...]
[71]
서적
Olympian 7.14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72]
서적
The Greek Myth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1960-01-01 #추정 날짜
[73]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4.23.2
https://penelope.uch[...]
[74]
문서
Hesychius of Alexandria s. v. Μελιγουνίς
[75]
웹사이트
Apollodorus, Bibliotheca 1.9.25
https://www.perseus.[...]
[76]
문서
Servius on Aeneid, 1.574, 5.24
[77]
웹사이트
Apollodorus, Bibliotheca 3.14.3
https://www.perseus.[...]
[78]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79]
서적
The Vatican Mythographers
https://books.google[...]
Fordham University Press
2008-01-01 #추정 날짜
[80]
서적
Zoological Mythology: Or, The Legends of Animals
https://books.google[...]
Trübner & Company
1872-01-01 #추정 날짜
[81]
서적
The Vatican Mythographers
https://books.google[...]
Fordham University Press
2008-01-01 #추정 날짜
[82]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www.perseus.[...]
Walton and Maberly
1861-01-01 #추정 날짜
[83]
뉴스
The Greeks who worship the ancient gods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6-20
[84]
문서
Hesiod's Theogony
[85]
서적
Iliad and Odyssey
http://data.perseus.[...]
[86]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87]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88]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89]
서적
Iliad and Odyssey
http://data.perseus.[...]
[90]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事典
[91]
서적
ギリシア神話
[92]
서적
饗宴
グーテンベルク21
2012-01-01 #추정 날짜
[93]
서적
古代ギリシアがんちく図鑑
バジリコ
[94]
서적
歴史がおもしろいシリーズ! 図解 ギリシア神話
[95]
문서
오비디우스의 이야기
[96]
문서
히에로두울라이
[97]
문서
아이올리스 방언
[98]
서적
ギリシア神話 上巻
[99]
서적
신들의 계보
[100]
서적
일리아스
[101]
서적
신들의 계보
http://www.sacred-te[...]
[102]
서적
신들의 계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일상의 신들을 만나는 순간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