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원형극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원형극장은 고대 로마 시대에 검투사 시합, 공공 행사 등을 위해 건설된 대규모 건축물이다. 카베아, 아레나, 보미토리움으로 구성되며, 관람석은 사회 계층에 따라 구분되었다. 초기에는 임시 목조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제국 시대에 이르러 기념비적인 석조 건축물로 발전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 널리 건설되었으나, 3세기 이후 검투사 경기 쇠퇴와 기독교의 영향으로 점차 쇠퇴했다. 현재는 역사적 기념물로 보호받으며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콜로세움, 폼페이 원형극장, 엘 젬 원형극장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원형극장 - 아레나 디 베로나
아레나 디 베로나는 이탈리아 베로나에 있는 고대 로마 시대의 원형 경기장으로, 한때 3만 명 이상을 수용했으며 현재는 야외 오페라 축제와 다양한 공연이 열리는 장소이다. - 고대 로마의 원형극장 - 엘젬 원형경기장
엘젬 원형경기장은 튀니지의 엘젬에 위치한 고대 로마 시대의 원형경기장으로, 로마 제국 아프리카 속주의 번영을 보여주는 증거이며 검투사 경기와 동물 사냥 등의 행사가 열렸고 요새, 채석장, 피난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현재는 관광 명소이자 영화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로마 원형극장 | |
---|---|
로마 원형극장 | |
![]() | |
위치 | 고대 로마 |
건축 시기 | 기원전 3세기 |
기능 | 검투 시합, 맹수 사냥, 공개 처형, 드라마 |
특징 | |
구조 | 타원형 평면 계단식 관람석 아레나 (경기장) |
재료 | 돌 콘크리트 |
수용 인원 | 수천 명 ~ 수만 명 |
역사 | |
기원 | 캄파니아 지방 |
발전 | 로마 제국 전역으로 확산 |
쇠퇴 |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
주요 원형극장 | |
콜로세움 | 로마, 이탈리아 |
베로나 아레나 | 베로나, 이탈리아 |
엘젬 원형극장 | 엘젬, 튀니지 |
폼페이 원형극장 | 폼페이, 이탈리아 |
기타 | |
참고 자료 | 검투사 로마 건축 |
2. 구성 요소
로마 원형 경기장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관객들이 앉는 계단식 좌석인 카베아(Cavea), 검투 경기나 공연이 열리는 중앙의 평탄한 공간인 아레나(Arena), 그리고 관객들이 빠르게 입장하고 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로인 보미토리움(Vomitorium)이 그것이다.
2. 1. 카베아 (Cavea)
카베아는 로마 원형극장의 관람석 부분을 의미하며, 라틴어로 "울타리"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건물 골조에 아치 형태로 지지되거나, 언덕의 측면을 파내거나, 혹은 아레나를 만들 때 나온 흙을 쌓아 올려 만든 동심원 형태의 계단식 좌석으로 이루어져 있다.카베아는 당시 사회 계층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수평 구역으로 나뉘었다.[4]
- 이마 카베아 (Ima Caveala): 가장 낮은 구역으로, 아레나를 직접 둘러싸고 있으며 주로 사회 상류층을 위한 좌석이었다.
- 미디아 카베아 (Media Caveala): 이마 카베아 바로 위 중간 구역으로,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었으나 주로 남성들이 이용했다.
- 수마 카베아 (Suma Caveala): 가장 높은 구역으로, 일반적으로 여성과 어린이들이 자리했다.
이 외에도 맨 앞줄은 프리마 카베아 (Prima Caveala), 맨 뒷줄은 카베아 울티마 (Cavea Ultimala)라고 불렸다.
카베아는 또한 수직 방향으로 쿠네이 (Cuneila, 단수형: ''쿠네우스'' Cuneusla)라는 구획으로 나뉘었다. 쿠네이는 라틴어로 "쐐기"를 의미하며, 쐐기 모양으로 구획된 좌석 단위를 뜻한다. 각 쿠네이는 스칼라에 (Scalaela)라고 불리는 계단으로 구분되었다.
2. 2. 보미토리움 (Vomitorium)

아레나 레벨과 ''카베아'' 내부에 위치한 아치형 입구를 ''보미토리아''(vomitoria|보미토리아la, 라틴어로 "토해내다"라는 의미)라고 부른다. 단수형은 ''보미토리움''(vomitorium|보미토리움la)이다. 이 통로는 많은 수의 관중이 신속하게 경기장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3. 역사
로마 원형극장은 고대 로마 시대의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로, 검투사 경기나 모의 해전 등 다양한 구경거리가 열리던 장소였다. 그 기원은 기원전 2세기경 로마 포룸에 세워진 임시 목조 구조물에서 찾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석조로 된 영구적인 건축물로 발전했다. 특히 캄파니아 지역과 폼페이 등에서 초기 석조 원형극장의 중요한 사례들이 발견된다.
로마 제국 시대에 이르러 원형극장은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며 로마 도시 문화의 상징적인 건축물로 자리 잡았다. 이 시기의 원형극장들은 거대한 규모와 화려한 장식을 자랑했으며, 수만 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다. 주로 제국의 서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이는 로마화 정책 및 황제 숭배와도 관련이 깊었다.
그러나 3세기 이후 검투사 경기가 점차 쇠퇴하고 기독교가 확산되면서 원형극장의 중요성도 점차 줄어들었다.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 속에서 많은 원형극장이 버려지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다. 일부는 요새나 교회로 개조되기도 했으며, 오늘날에는 역사적인 유적으로 남아 중요한 관광 자원이 되고 있다.
3. 1. 초기 원형극장

최초의 원형극장이 정확히 언제, 어디에 건설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기원전 2세기부터 검투사 경기를 위해 로마 포룸에 임시 목조 구조물이 세워졌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것이 나중에 돌로 지어진 원형극장의 시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5]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원형극장이 기원전 53년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가 구경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처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두 개의 반원형 목조 극장을 서로 마주보게 회전시켜 하나의 원형 극장 형태를 만들었다고 한다. 관중들은 이때 여전히 각 반쪽 극장에 앉아 있었다.[3] 그러나 이것은 건축 용어로서 '암피테아트룸'(amphitheatrumla)의 기원일 수는 있지만, 건축 개념 자체의 시작으로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이보다 더 오래된 석조 원형극장들이 이미 '스펙타쿨라'(spectaculala) 또는 '암피테아테라'(amphitheaterala)라는 이름으로 존재했기 때문이다.[3]
장-클로드 골뱅에 따르면, 현재까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석조 원형극장은 캄파니아 지방의 카푸아, 쿠마이, 리테르눔에서 발견된다. 이 지역들에서는 기원전 2세기 말에 이러한 건축물들이 세워졌다고 한다.[5] 그 다음으로 오래된 원형극장은 폼페이 원형극장으로, 기원전 70년 직후에 건설된 것으로 확실하게 추정되며,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초기 원형극장 중 하나이다.[6]
그 외 비교적 초기에 지어진 원형극장들은 다음과 같다.[5]
지역 | 건설 추정 시기 |
---|---|
아벨라 | 술라 시대 (기원전 78년까지) |
테아눔 | 술라 시대 (기원전 78년까지) |
칼레스 | 술라 시대 (기원전 78년까지) |
푸테올리 | 아우구스투스 시대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 |
텔레시아 | 아우구스투스 시대 (기원전 27년 ~ 서기 14년) |
수트리움 | 기원전 40년 ~ 기원전 30년경 |
카르모나 | 기원전 40년 ~ 기원전 30년경 |
우쿠비 | 기원전 40년 ~ 기원전 30년경 |
안티오크 | 기원전 1세기 중반 |
파에스툼 (1단계) | 기원전 1세기 중반 |
3. 2. 제국 시대
로마 제국 시대에 원형 경기장은 로마 도시 경관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도시들이 시민 건물의 우위를 다투면서, 원형 경기장은 규모와 장식이 더욱 기념비적으로 변모했다.[2] 제국 시대의 원형 경기장은 40,000명에서 60,00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었고, 가장 큰 경기장들은 100,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전차 경기장의 수용 능력에 버금가는 규모였다. 이들 경기장은 다층 아치형 파사드를 갖추었으며, 대리석과 회반죽 외장, 조각상, 부조 등으로 정교하게 장식되었고, 일부는 부분적으로 대리석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7]제국이 확장됨에 따라 대부분의 원형 경기장은 라틴어를 사용하는 서부 지역에 집중되었다. 반면, 동부 지역에서는 주로 극장이나 경기장과 같은 다른 장소에서 구경거리가 열렸다.[8] 서부 지역에서 원형 경기장은 로마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황제 숭배의 중심지 역할을 하거나, 개인 기부자 또는 식민지나 지방 수도의 지방 정부가 로마 도시로서의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건설했다. 로마 북아프리카 지역에는 수많은 소규모 경기장이 건설되었는데,[8] 이러한 건축 작업의 대부분은 로마 군대의 전문 기술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9]
3. 3. 후기 제국과 쇠퇴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원형극장 건설 전통은 점차 막을 내리게 되었다. 3세기 들어 검투사 경기인 문네라는 경제적 압박, 철학적 반대,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며 점차 사회의 주류가 된 기독교의 영향으로 공공 생활에서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기독교는 검투사 경기를 비인간적이고 재정 낭비로 여겼다.[10] 동물을 사냥하는 구경거리인 ''베나티오네스''는 6세기까지 명맥을 유지했지만, 비용 문제와 사회적 분위기 변화로 인해 점차 드물게 열렸다.
기독교의 확산은 공공 자선의 형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 로마 사회에서는 지위와 명예를 위해 공공 시설 건립이나 행사에 기부하는 '호모 시비쿠스'(Homo Civicus|호모 키비쿠스la)가 이상적인 시민상으로 여겨졌지만, 기독교적 가치관 아래에서는 내세의 구원을 중시하며 자선과 구제 활동에 힘쓰는 '호모 인테리어'(Homo Interior|호모 인테리오르la)가 새로운 시민상으로 부상했다. 이는 공공 오락 시설인 원형극장 건설과 유지에 대한 지원 감소로 이어졌다.[11]
이러한 변화 속에서 원형극장의 활용도는 점차 낮아졌고, 건설 및 유지 보수에 필요한 자금 조달도 어려워졌다. 기록상 마지막 원형극장 건설은 523년 파비아에서 테오도리크의 통치 아래 이루어졌다.[12] ''베나티오네스''마저 중단된 후 원형극장은 주로 공개 처형이나 형벌 집행 장소로 사용되었으나, 이마저도 점차 줄어들었다. 결국 많은 원형극장이 버려져 황폐해졌고, 건축 자재를 얻기 위해 해체되거나 새로운 건물을 짓기 위해 철거되었으며, 일부는 완전히 파괴되기도 했다.[13]
한편, 일부 원형극장은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었다. 렙티스 마그나, 사브라타, 아를, 폴라의 원형극장처럼 요새나 방어 거점으로 개조되었으며, 12세기 로마에서는 프란지파니 가문이 권력 투쟁 과정에서 콜로세움을 요새화하기도 했다.[14] 아를, 님, 타라고나, 살로나의 원형극장처럼 기독교 교회로 용도가 변경된 사례도 있으며, 콜로세움은 18세기에 이르러 기독교 순교의 성지로 지정되기도 했다.[14]
현재까지 남아있는 많은 원형극장은 역사적인 기념물로서 보호받고 있으며, 중요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4. 주요 원형극장
4. 1. 콜로세움 (Colosseum)
로마의 플라비우스 원형 극장, 흔히 콜로세움으로 알려진 이곳은 대표적인 최대 규모의 원형 극장이다. 서기 72년부터 80년까지 건설되었으며, 고대 로마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건물 크기는 188m × 156m이고, 경기장 크기는 86m × 54m이다. 이 경기장은 고대 로마 제국의 황제 베스파시아누스가 서기 70년부터 건설을 지시하였고, 그의 아들 티투스가 80년에 완공하여 로마 시민들에게 선물로 증정했다.4. 2. 폼페이 (Pompeii)

폼페이 원형 경기장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로마 원형 경기장 중 하나이다. 이 경기장은 로마 도시 폼페이에 위치해 있으며,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의 분화로 인해 폼페이와 인근 도시인 헤르쿨라네움과 함께 매몰되었다. 또한, 돌로 지어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로마 원형 경기장이기도 하다.
4. 3. 팔레리아 (Faleria)
팔레리아 원형극장은 서기 43년에 건설되었다.[16] 이탈리아 피체노 (현재 팔레로네)에 위치해 있었다. 건물의 크기는 178.8m x 106.2m였으며, 타원형의 아레나를 가지고 있었다.[17] 12개의 입구가 있었으며, 그 중 4개는 아레나로 연결되었고, 3구역으로 나뉜 8열의 좌석이 있었다.[18] 현재는 원형 극장의 외부 벽만 남아 있으며, 아레나는 연단까지 풀로 덮여 있다.[18]4. 4. 카푸아 (Capua)
세 번째로 큰 로마 원형극장은 카푸아 원형극장으로, 건물 크기는 169.9m x 139.6m였다. 이탈리아 산타 마리아 카푸아 베테레에 위치해 있었다. 기원전 1세기에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세워졌으며, 최대 60,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19] 이 원형극장은 기원전 73년 스파르타쿠스가 싸웠던 경기장으로 알려져 있다.[19] 이 극장은 456년에 반달족이 로마를 침략했을 때 파괴되었다.[19]4. 5. 율리아 카이사레아 (Julia Caesarea)
율리아 카이사레아는 네 번째로 큰 규모의 로마 원형 극장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 시대 이후에 건립되었다. 이 원형 극장은 기원전 25년에서 서기 23년 사이에 로마가 임명한 통치자 유바 2세와 그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마우레타니아에 건설되었으며, 현재의 알제리 체르첼에 위치해 있다. 비록 오늘날에는 남아있지 않지만, 기록에 따르면 건물의 전체 크기는 168m x 88m, 경기장(아레나)의 크기는 72.1m x 45.8m였다.4. 6. 이탈리카 (Italica)
스페인 세비야 주에 위치한 이탈리카 원형극장은 다섯 번째로 큰 로마 원형극장이다. 이 건물의 크기는 156.5m x 134m이며, 경기장의 크기는 71.2m x 46.2m이다.[17] 하드리아누스 황제 치세인 117년에서 138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21] 최대 25,000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 이 원형극장은 오늘날까지 남아있다.[21]4. 7. 엘 젬 (El Jem)
튀니지에 있는 엘 젬 원형극장은 크기가 148m x 122m에 달하고 약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로마 원형극장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보존 상태 또한 매우 훌륭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원형극장은 로마 콜로세움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돌 블록으로 완전히 지어진 독립형 건축물이다. 계단식 좌석을 지지하는 구조의 대부분이 온전하게 남아 있으며, 연단, 아레나, 지하 통로도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22] 일부 좌석도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 원형극장은 콘서트 및 음악 축제의 장으로 사용된다.참조
[1]
서적
The Roman amphitheatre: from its origins to the Colosseu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문서
Bomgardner, 61.
[3]
문서
Bomgardner, 37.
[4]
웹사이트
Roman Architecture
http://www.spanishar[...]
[5]
문서
Bomgardner, 59.
[6]
문서
Bomgardner, 39.
[7]
문서
Bomgardner, 62.
[8]
문서
Bomgardner, 192.
[9]
문서
Bomgardner, 195.
[10]
문서
Bomgardner, 201–202.
[11]
문서
Bomgardner, 207.
[12]
문서
Bomgardner, 221.
[13]
문서
Bomgardner, 223.
[14]
문서
Bomgardner, 222.
[15]
웹사이트
Deconstructing History: Colosseum
http://www.history.c[...]
2017-05-08
[16]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FALERIO Marche, Italy.
https://www.perseus.[...]
2017-05-08
[17]
간행물
Amphitheatres of the Roman World
1981-02-01
[18]
서적
Roman Life and Manners Under the Early Empire
https://books.google[...]
G. Routledge
1913-01-01
[19]
뉴스
Amphitheater of Capua - Ancient Capua
http://www.ancientca[...]
2017-05-07
[20]
간행물
2012-10-26
[21]
웹사이트
Amphitheater of Italica
http://www.spanishar[...]
2017-05-08
[22]
웹사이트
Amphitheatre of El Jem
https://whc.unesco.o[...]
2024-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