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세틸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세틸렌은 1836년 에드먼드 데이비에 의해 처음 발견된 탄화수소로, 화학식은 HC≡CH이며, 상온에서 무색, 무취의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과거에는 탄화칼슘(카바이드)과 물의 반응을 통해 주로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탄화수소의 열분해법을 통해 생산된다. 아세틸렌은 금속 용접 및 절단, 화학 합성 원료, 카바이드 램프 연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산소와 혼합하여 고온의 불꽃을 생성하는 산소-아세틸렌 용접은 널리 활용되었다. 아세틸렌은 가연성이 높고 폭발 위험이 있어 취급에 주의해야 하며, 압축된 상태로 저장 및 운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카인 - 2-뷰타인
    2-뷰타인은 탄소 4개로 이루어진 알카인으로, 에틸아세틸렌의 재배열 반응 등을 통해 생성되며, 비타민 E 합성 등에 사용되는 휘발성, 가연성 무색 액체이다.
  • 알카인 - 프로파인
    프로파인은 프로파디엔과 평형 상태에 있는 탄화수소 화합물이며, 프로페인 크래킹의 부산물로 생성되어 화학 산업의 원료 및 로켓 연료, 유기 합성에 사용된다.
  • 합성 연료 기술 - 석탄 가스화
    석탄 가스화는 석탄을 산소, 수증기 또는 물과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기술로, 전력 생산, 화학 원료, 수소 생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환경오염 문제 해결이 과제이다.
  • 합성 연료 기술 - 목탄 가스
    목탄 가스는 유기물을 불완전 연소시켜 얻는 가연성 가스로, 연료로 사용되며, 과거 석탄 가스의 대체재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자동차 및 산업용 발전기용으로 생산되어 에너지 자립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 연료 가스 - 프로파디엔
    프로파디엔은 알렌이라고도 불리며 메틸아세틸렌과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화합물로, 프로판 탈수소화 반응의 부산물인 MAPD 혼합물의 구성 성분으로서 프로펜 중합을 방해하여 화학 산업에서 불필요한 물질로 간주된다.
  • 연료 가스 - 목탄 가스
    목탄 가스는 유기물을 불완전 연소시켜 얻는 가연성 가스로, 연료로 사용되며, 과거 석탄 가스의 대체재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자동차 및 산업용 발전기용으로 생산되어 에너지 자립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아세틸렌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개요
아세틸렌
아세틸렌
아세틸렌
아세틸렌
아세틸렌 – 공간 채움 모형
아세틸렌 – 공간 채움 모형
고체 아세틸렌의 공간 채움 모형
고체 아세틸렌의 공간 채움 모형
IUPAC 명명법에틴
관용명아세틸렌
식별
화학 스파이더 ID'6086'
UNIIOC7TV75O83
KEGGC01548
인치아이1/C2H2/c1-2/h1-2H
인치아이 키HSFWRNGVRCDJHI-UHFFFAOYAY
켐블'116336'
표준 인치아이1S/C2H2/c1-2/h1-2H
표준 인치아이 키HSFWRNGVRCDJHI-UHFFFAOYSA-N
CAS 등록번호74-86-2
유엔 번호'1001 (용해됨)'
'3138 (에틸렌 및 프로필렌과의 혼합물)'
CHEBI'27518'
펍켐'6326'
EC 번호200-816-9
RTECSAO9600000
그멜린'210'
베일슈타인'906677'
스마일즈 표기법C#C
속성
분자식C2H2
몰 질량26.04 g/mol
외형무색 기체
냄새무취
밀도1.1772 g/L = 1.1772 kg/m³ (0 °C, 101.3 kPa)
승화 조건−84 °C; −119 °F; 189 K (1 atm)
녹는점−80.8 °C
녹는점_설명삼중점 (1.27 atm)
용해도약간 용해됨
용해도_타 물질알코올에 약간 용해
아세톤, 벤젠에 용해
자기 감수율−20.8e−6 cm³/mol
짝산에티늄
pKa'25'
증기압44.2 atm (20 °C)
열전도율21.4 mW·m⁻¹·K⁻¹ (300 K)
구조
분자 모양선형
열화학
열용량44.036 J·mol⁻¹·K⁻¹
엔트로피200.927 J·mol⁻¹·K⁻¹
생성 엔탈피227.400 kJ·mol⁻¹
깁스 자유 에너지209.879 kJ·mol⁻¹
연소열1300 kJ·mol⁻¹
위험성
NFPA 704건강: 1
화재: 4
반응성: 3
신호어위험
폭발 한계2.5–100%
자연 발화점300 °C
PEL해당 없음
RELC 2500 ppm (2662 mg/m³)
IDLH해당 없음

2. 역사

아세틸렌은 1836년 에드먼드 데이비(Edmund Davy)가 처음 발견하여 "새로운 탄화수소"라고 명명했다.[12][13] 1860년에는 프랑스 화학자 마르셀린 베르테로(Marcellin Berthelot)가 재발견하고 "아세틸렌"(acétylèn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4]

과거 석탄화학공업에서는 아세틸렌을 중간생성물로 생산하여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등의 제품을 만들었다.[73] 그러나 오늘날 석유화학공업에서는 더 저렴한 에틸렌이 주로 사용된다.[73]

2. 1. 발견

아세틸렌은 1836년 에드먼드 데이비(Edmund Davy)가 처음 발견했으며, "새로운 탄화수소"라고 명명했다.[12][13] 데이비는 칼륨(potassium) 금속 분리 실험 중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을 탄소와 함께 고온에서 가열하여 칼슘 탄화물(K2C2)을 생성했고, 이것이 물과 반응하여 아세틸렌 기체를 방출하는 것을 확인했다.

1860년 프랑스 화학자 마르셀린 베르테로(Marcellin Berthelot)가 아세틸렌을 재발견하고 "아세틸렌"(acétylèn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4] 다만, 베르테로가 제시한 아세틸렌의 실험식(C4H2)과 "사탄화수소"(quadricarbure d'hydrogène)라는 명칭은 당시 탄소 원자량에 대한 오류(12 대신 6 사용)로 인해 잘못된 것이었다.[15] 베르테로는 유기 화합물(메탄올, 에탄올 등)의 증기를 붉게 달군 관에 통과시키거나, 시안화물(cyanogen)과 수소(hydrogen) 혼합 기체에 전기 방전을 일으켜 아세틸렌을 생성했다. 또한, 탄소 아크 전극 사이에 수소를 통과시켜 직접 아세틸렌을 얻기도 했다.[16][17]

2. 2. 대한민국에서의 역사

과거 석탄화학공업에서는 아세틸렌이 중간생성물로 생산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등의 제품이 만들어졌다.[73]

오늘날 석유화학공업에서는 더 저렴한 에틸렌이 대신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73]

3. 성질

아세틸렌의 삼중 결합은 다량의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어 반응성이 매우 크다. 일반적인 알카인과 마찬가지로, 아세틸렌은 다양한 물질 합성의 원료로 사용된다.


::
아세틸렌 3분자 중합 반응


::
아세틸렌 4분자 중합 반응


::
아세틸렌과 일산화탄소의 물 반응


::
아세틸렌과 일산화탄소의 알코올 반응

  • 금속 아세틸라이드 생성: 나트륨과 반응하여 C2HNa, C2Na2 등의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 구리, 수은 등의 금속이나 금속 화합물과 반응하여 폭발성이 있는 금속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한다.

3. 1. 물리적 성질

상온에서 무색 무취의 기체로 존재하며, 비중은 공기가 1일 때 0.9057이다. 녹는점은 -81.5°C, 끓는점은 -84°C이며 임계온도는 36.5°C, 임계압력은 61.6atm이다. C≡C 결합 길이는 1.20Å, C-H 결합 길이는 1.06Å이다. 생성열은 50kcal이며 연소열은 312.9kcal이다. 알코올에는 보통 정도로 녹으며, 아세톤에는 특히 잘 녹는다. 공기 중에서 태울 경우 그을음을 내며 탄다. 연소 시에 매우 많은 열을 내놓기 때문에 용접 등 높은 온도가 필요한 작업에서 주로 사용된다.[30]

대기압에서 아세틸렌은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없으며 녹는점이 없다. 상평형 그림삼중점은 액체 아세틸렌이 존재할 수 있는 최소 압력(1.27 atm)에서의 녹는점(-80.8 °C)에 해당한다. 삼중점 이하의 온도에서는 고체 아세틸렌이 승화하여 증기(기체)로 직접 변할 수 있다. 대기압에서의 승화점은 -84.0 °C이다.

상온에서 아세톤에 대한 아세틸렌의 용해도는 1kg당 27.9g이다. 같은 양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대한 용해도는 51g이다. 20.26bar에서 아세톤과 DMF에 대한 용해도는 각각 689g과 628g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용매는 가압 가스 실린더에 사용된다.[52]

구조식은 HC≡CH이며, 탄소-탄소 사이에 삼중결합을 하나만 가지는 직선형 분자이다. 탄소-탄소 사이에 π결합을 두 개 가지며, sp혼성 오비탈을 취하고, 결합각은 180°이다. 알킨 중 가장 간단한 것이며, 이성질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온에서 물에 부피비 1:1의 비율로 녹는다.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유기용매에는 더 잘 녹는다. 폭발 범위는 2.5~81 vol% (공기 중)이다. 순수한 것은 냄새가 없지만, 시판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황화합물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유의 냄새를 갖는다.

3. 2. 화학적 성질

아세틸렌의 삼중 결합은 다량의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어 반응성이 매우 크다. 일반적인 알킨과 마찬가지로, 아세틸렌은 다양한 물질 합성의 원료로 사용된다.
::

::

::

::

  • 금속 아세틸라이드 생성: 나트륨과 반응하여 C2HNa, C2Na2 등의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 구리, 수은 등의 금속이나 금속 화합물과 반응하여 폭발성이 있는 금속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한다.

3. 2. 1. 첨가 반응

아세틸렌의 삼중 결합은 반응성이 풍부하여 다양한 첨가 반응을 일으킨다.

  • 수소 첨가 반응: 촉매 존재 하에 수소와 반응하여 에틸렌이나 에테인을 생성한다. 니켈을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를 첨가하면 에틸렌이 되고, 다시 수소를 첨가하면 에탄이 된다.[52]

:: HC≡CH + H2Ni → H2C=CH2

:: H2C=CH2 + H2Ni → H3C-CH3

  • 할로젠 첨가 반응: 염소와 반응하여 1,1,2,2-테트라클로로에테인, 1,2-다이클로로에테인 등을 생성하고, 브로민과 반응하여 1,1,2,2-테트라브로모에테인, 1,2-다이브로모에테인 등을 생성한다.[52]
  • 할로젠화 수소 첨가 반응: 염화 수소, 브로민화 수소, 아이오딘화 수소와 반응하여 각각 1,1-다이클로로에테인, 1,1-다이브로모에테인, 1,1-다이아이오도에테인을 생성한다. 아세틸렌에 염화수소를 첨가하면 클로로에틸렌이 되고, 아세트산을 첨가하면 초산비닐이 된다. 클로로에틸렌과 초산비닐은 합성 고분자 화합물의 원료로 사용된다.[52]

:: HC≡CH + H−X → H2C=CHX

  • 물 첨가 반응 (쿠체로프 반응): 황산 수은 등의 촉매 존재 하에 물과 반응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생성한다. 아세틸렌에 물을 첨가하면 비닐알코올이 되지만, 이것은 쉽게 이성질체화되어 곧바로 아세트알데히드로 변한다.[52]
  • 비닐화 반응: H−X 화합물이 삼중 결합에 첨가된다. 알코올페놀은 아세틸렌에 첨가되어 비닐 에테르를 생성하고, 티올은 비닐 티오에테르를 생성한다. 비닐피롤리돈과 비닐카바졸은 2-피롤리돈과 카바졸의 비닐화를 통해 산업적으로 생산된다.[52][9]


3. 2. 2. 중합 반응

아세틸렌은 부가중합을 할 수 있다. 아세틸렌 2분자가 중합하면 모노비닐아세틸렌이 된다. 모노비닐아세틸렌은 부타디엔이나 클로로프렌의 원료로 합성고무를 만들 때 사용된다.[55]

: 2HC # CH -> H2C=CH-C # CH

아세틸렌 3분자가 중합하면 벤젠이 된다. 벤젠을 얻는 경우, 가열한 관 또는 석영관에 아세틸렌 가스를 통과시키는 방법이 자주 사용된다.[54]

: 3HC # CH -> C6H6

더욱 중합이 진행되어 얻어지는 고분자가 폴리아세틸렌이며, 도전성 물질로 이용된다.[9]

3. 2. 3. 아세틸리드 생성

아세틸렌은 p''K''a가 25로, 초염기(superbase)에 의해 탈양성자화되어 아세틸리드를 형성할 수 있다.[55]

:HC#CH + RM -> RH + HC#CM

다양한 유기금속[56]무기[57] 시약이 효과적이다.

아세틸렌 및 그 유도체는 전이 금속과 착물을 형성한다. 금속과의 결합은 에틸렌 착물과 다소 유사하다. 구리(I) 아세틸라이드와 은 아세틸라이드는 유리한 용해도 평형으로 인해 수용액에서 쉽게 생성될 수 있다.[55]

아세틸렌을 비롯한 말단 알킨의 수소는 일반적인 알켄이나 알칸의 수소보다 산성이 강하여 적절한 강염기로 떼어내어 금속 이온으로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세틸렌에 n-부틸리튬을 작용시키면 리튬 아세틸리드를 생성한다.

:HC {\equiv} CH{} + n\!-\!C4H9Li -> HC {\equiv} CLi{} + n-C4H10 \uparrow

또한, 질산은 수용액에 아세틸렌을 불어넣으면 은 아세틸리드의 백색 침전이 생성된다. 황산구리에 작용시키면 구리 아세틸리드의 적색 침전이 발생한다. 은 아세틸리드와 구리 아세틸리드 모두 건조하면 약간의 충격으로 폭발하여 구리, 그리고 탄소로 분해된다.

4. 제조법

아세틸렌 제조 방법은 크게 탄화 칼슘을 이용하는 방법과 탄화수소 열분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탄화 칼슘을 이용한 방법(카바이드법)은 1862년 프리드리히 뵐러가 발견하였고, 1892년 캐나다 발명가 토마스 윌슨에 의해 상업적 생산 방법이 개발되었다. 탄화 칼슘 생산에는 2000°C의 고온이 필요하여 아크로를 사용해야 한다. 21세기 초까지 중국, 일본, 동유럽 등지에서 주로 이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 나이아가라 폭포의 수력 발전 프로젝트를 통해 이 공정이 가능해졌다.[27]

탄화수소 열분해법은 메테인, 에테인, 프로페인 등의 탄화수소를 열분해하여 아세틸렌을 얻는 방법이다. 1950년대 이후 미국, EU 등지에서 주로 메테인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생산해왔다. 탄화수소 분해에 의한 에틸렌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회수되기도 한다.[9]

4. 1. 탄화칼슘(카바이드)법

탄화 칼슘과 반응하기 쉬우며, 반응 시 발열이 수반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9]

::CaC2 + 2 H2O → C2H2 + Ca(OH)2 + 33.07kcal/mole

탄화 칼슘 1kg은 약 230~290l의 아세틸렌을 발생하고, 이때의 발열량은 약 400kcal에 달한다. 탄화 칼슘을 이용한 아세틸렌 제조법은 건식과 습식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습식은 다량의 탄화 칼슘을 투입하여 아세틸렌을 발생하는 방법이고, 건식은 탄화 칼슘 덩어리 또는 분말에 을 분사시켜 아세틸렌을 얻는 방법이다. 습식의 경우 다량의 수산화 칼슘 찌꺼기를 남기기 때문에, 건식이 더 선호되는 추세이다.

역사적으로 아세틸렌은 탄화칼슘의 가수분해(물과의 반응)를 통해 생산되었다.

:

이 반응은 1862년 프리드리히 뵐러(Friedrich Wöhler)에 의해 발견되었지만,[23] 아세틸렌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합한 상업적 규모의 생산 방법은 1892년 알루미늄의 실용적인 상업적 생산 방법을 찾던 중 캐나다 발명가 토마스 윌슨(Thomas Willson)에 의해서야 발견되었다.[24]

21세기 초까지 중국, 일본, 동유럽에서는 주로 이 방법으로 아세틸렌을 생산했다.[25]

탄화칼슘 생산에는 약 2000°C의 고온이 필요하므로 아크로(electric arc furnace)를 사용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이 공정이 나이아가라 폭포의 대규모 수력 발전 프로젝트에 의해 가능해진 19세기 후반 화학 혁명의 중요한 부분이었다.[27]

실험실이나 아세틸렌 램프 등 소규모 용도에서는 카바이드법(카바이드(탄화칼슘)에 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다.[70]

4. 2. 탄화수소 열분해법

메테인, 에테인, 프로페인 등의 탄화수소를 열분해하여 아세틸렌을 얻는 방법이다. 메테인을 사용할 경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9][18][19]

:2CH4 → C2H2 + 3H2 - 95.5kcal/mole

반응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탄화수소 분해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따라서 이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열이 필요하다. 1950년대 이후로 아세틸렌은 미국, EU의 많은 지역, 그리고 다른 많은 국가에서 주로 메테인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생산되어 왔다.

탄화수소의 분해에 의한 에틸렌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회수되기도 한다. 1983년에는 이 방법으로 약 40만 톤이 생산되었다.[9] 에틸렌 내 아세틸렌의 존재는 폭발성과 지글러-나타 촉매를 중독시키는 성질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PdAg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으로 선택적 수소화 반응을 거친다.[20]

석유와 천연가스에서 가장 무거운 알케인은 더 가벼운 분자로 분해되며, 고온에서 탈수소화된다.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에 의한 메탄의 혐기성 분해 과정에서 수행된다.[21] 메탄의 열분해에는 1400℃ 가까운 고온이 필요하며, 알루미늄의 전해정련에 필적할 만큼 막대한 열량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600~800℃에서 중합하여 방향족 탄화수소를 많이 생성하기 때문에 급냉하여 400℃ 이하로 온도를 낮춰야 하므로 상업적으로 실현 가능한 비용이 아니다.[71]

5. 용도

아세틸렌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용접 및 절단:''' 산소-아세틸렌 불꽃은 매우 높은 온도(약 3300°C)를 내므로 금속 용접 및 절단에 사용된다.[31] 과거에는 널리 사용되었지만, 아크 용접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분야에서 그 사용이 줄었다. 그러나 산소-아세틸렌 용접 장비는 납땜, 브레이징 용접, 금속 가열, 부식된 너트와 볼트 풀림 등 다양한 분야에 여전히 사용된다.[32] 대한민국에서도 금속 가공 산업에서 아세틸렌이 활용된다.

발리 섬에서 사용되는 아세틸렌 연료 용기/버너

  • '''화학 합성 원료:''' 과거 석탄화학공업에서는 아세틸렌이 중간생성물로 생산되어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등의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73] 그러나 석유화학공업에서는 더 저렴한 에틸렌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73]

아세틸렌의 에티닐화 반응

  • '''기타 용도:''' 과거에는 카바이드 램프의 연료로 사용되었으며, 가로등, 자동차, 광산 헤드램프 등에 사용되었다.[44][45][46] 1897년 7월 24일에는 헝가리의 타타에, 1898년에는 영국의 노스 페자톤에 가로등으로 설치되었다. 현재는 특수 조명, 유기 반도체(폴리아세틸렌) 합성,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등에 사용된다.

5. 1. 용접 및 절단

산소-아세틸렌 불꽃은 매우 높은 온도(약 3300°C)를 내므로 금속 용접 및 절단에 사용된다.[31] 산소와 아세틸렌의 연소는 3327°C가 넘는 불꽃을 생성하며, 11.8 kJ/g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산소와 아세틸렌의 혼합물은 일반적인 가스 혼합물 중 가장 고온의 연소를 일으킨다. 아세틸렌은 디시아노아세틸렌(4987°C)과 시안(4525°C) 다음으로 세 번째로 고온의 자연 화학 불꽃이다.[31]

과거 수십 년 동안 산소-아세틸렌 용접은 널리 사용되었지만, 아크 용접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분야에서 그 사용이 줄었다. 그러나 산소-아세틸렌 용접 장비는 납땜, 브레이징 용접, 금속 가열, 부식된 너트와 볼트 풀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벨 캐나다의 케이블 수리 기술자들은 휴대용 아세틸렌 연료 토치 키트를 사용하며,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산소-아세틸렌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산소-아세틸렌 절단은 여전히 많은 금속 제작 공장에서 사용된다.[32]

용접 및 절단 시 작동 압력은 15psi(103kPa)를 초과하지 않도록 압력 조절기로 제어해야 한다. 15psi를 초과하는 압력에서는 충격파에 의해 아세틸렌이 수소와 탄소로 폭발적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32] 대한민국에서도 금속 가공 산업에서 아세틸렌이 활용된다.

5. 2. 화학 합성 원료

과거 석탄화학공업에서는 아세틸렌이 중간생성물로 생산되어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등의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73] 아세틸렌은 수화되어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산화되어 아세트산이 된다. 아크릴산염으로 이어지는 공정도 상업화되었다.[37]

아세틸렌은 알데히드와 케톤에 첨가되어 α-에티닐 알코올을 형성하는 에티닐화 반응에 사용된다. 이 반응은 1,4-뷰타인디올을 생성하며, 프로파르길 알코올이 부산물로 생성된다. 구리(I) 아세틸라이드가 촉매로 사용된다.[34][35]

또한, 아세틸렌은 일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에스터를 생성한다. 이 반응에는 금속 촉매가 필요하다. 이러한 유도체는 아크릴 섬유, 아크릴 유리, 아크릴 페인트, 아크릴 수지, 아크릴 중합체와 같은 제품을 형성한다.[36]

그러나 석유에서 유래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러한 공정의 대부분은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37] 오늘날 석유화학공업에서는 더 저렴한 에틸렌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73] 중국을 제외하고, 1965년부터 2007년까지 비용 및 환경적 고려 사항으로 인해 아세틸렌의 화학적 원료로서의 사용량이 70% 감소했다.[36] 중국에서는 아세틸렌이 염화비닐의 주요 전구체이다.[33]

5. 3. 기타 용도

과거에는 카바이드 램프의 연료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용도로는 해안 등대,[43] 가로등,[44] 자동차,[45] 광산 헤드램프가 있었다.[46] 1897년 7월 24일에는 헝가리의 타타에, 1898년에는 영국의 노스 페자톤에 가로등으로 설치되었다. 이러한 램프는 상부의 물이 하부의 카바이드에 떨어져 아세틸렌이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며, 광량 조절이 용이하여 고성능 축전지나 송전선이 보급되기 전까지 탄광갱도 등이나 휴대용 등기구(카테라), 증기기관차나 자동차전조등 등으로 사용되었다. 스웨덴의 닐스 구스타프 달렌은 1912년에 아세틸렌을 이용한 등대 및 등부표 등의 조명용 가스 저장기용 자동 조절기 발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대부분 백열등이나 저전력/고루멘 LED로 대체되었으나, 외딴 지역이나 접근이 어려운 지역, 중앙 전력망이 약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국가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46]

현재는 특수 조명, 유기 반도체(폴리아세틸렌) 합성,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등에 사용된다. 질그너-나타 촉매를 이용한 아세틸렌의 중합 반응으로 생성되는 폴리아세틸렌은 최초로 발견된 유기 반도체 중 하나였다. 이것이 요오드와 반응하면 전기 전도성이 매우 높은 물질이 생성된다. 이러한 발견은 유기 반도체의 개발로 이어져 앨런 J. 히거, 앨런 맥다이어미드, 시라카와 히데키200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9]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에서는 탄소를 기화시키는 데 아세틸렌이 사용된다. 고고학적 샘플의 탄소질 물질은 리튬 금속으로 처리되어 탄화리튬을 형성하고, 물과 반응하여 아세틸렌 가스를 생성, 질량 분석기에 공급하여 탄소-14와 탄소-12의 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한다.[42]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동굴탐험(케이빙)에서 카테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6. 위험성 및 안전

아세틸렌은 가연성이 매우 커서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아세틸렌과 공기 또는 산소의 혼합 가스는 넓은 폭발 한계를 가진다. 공기 중에 2.5~81% 포함되어 있으면 폭발할 수 있다.[58][59] 아세틸렌 자체는 특별히 독성이 강하지 않지만, 카바이드에서 생성될 때는 포스핀아르신과 같은 미량의 독성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어 특유의 마늘 냄새가 난다.

아세틸렌의 가장 큰 위험은 불안정성이다. 특정 조건에서 아세틸렌은 발열 반응을 통해 벤젠, 비닐아세틸렌 등을 생성하거나, 탄소수소로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아세틸렌은 고열이나 충격파에 의해 기체의 절대 압력이 약 200 kPa을 초과하면 폭발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대부분의 장비에 있는 조정기와 압력계는 게이지 압력을 나타내므로 아세틸렌에 대한 안전 제한은 101 kPagage 또는 15 psig이다.[58][59]

이러한 위험 때문에 아세틸렌은 아세톤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용해된 상태로,[59][60][61] 다공성 충전제가 있는 가스 용기에 담겨 안전하게 운반 및 사용된다. 아세톤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세틸렌 용기는 똑바로 세운 상태로 사용해야 한다.[62] 아세틸렌을 똑바로 세운 용기에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OSHA,[63][64] 압축가스협회,[59] 미국 광산안전보건청(MSHA),[65] EIGA,[62] 등에서 제공한다.

구리는 아세틸렌의 분해를 촉매하므로 아세틸렌은 구리 파이프로 운반해서는 안 된다.[66] 화재/누출 시 반응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는 산화제와 분리된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59][64]

예기치 않은 누출로 인해 폭발성 대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세틸렌 용기는 밀폐된 공간, 밀폐된 차량, 차고 및 건물에 보관해서는 안 된다.[59][64] 미국에서는 전기 규정(NEC)에서 사고나 누출 시 아세틸렌이 방출될 수 있는 위험 지역을 고려해야 한다.[67] 유럽에서는 ATEX에서도 사고나 누출 시 인화성 가스가 방출될 수 있는 위험 지역을 고려해야 한다.[62]

아세틸렌 가스는 액화석유가스 등과 마찬가지로 압축 냉각하면 액화할 수 있다. 그러나 아세틸렌은 삼중 결합의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분해 폭발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경석과 같은 다공질 물질에 아세톤을 스며들게 하여 탄산수처럼 아세톤에 용해시켜 충전한다. 2016년도 일본 내 용해 아세틸렌(ボンベ製品) 생산량은 9,766t이다.[72]

연소 속도가 매우 빨라 연소 범위도 가연성 가스 중에서 가장 넓다(수소는 두 번째). 따라서 공기 중에 누출되면 폭발 조건이 갖춰지기 쉬워 위험하다.

7. 환경 영향

아세틸렌은 C≡C 삼중 결합의 높은 에너지 함량과 물에 대한 높은 용해도를 가지기 때문에, 세균에게 적합한 기질이 될 수 있다.[47] 아세틸렌 수화효소를 통해 아세틸렌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하는 박테리아가 많이 발견되었다.[48]

아세틸렌은 가스 행성의 대기 등 우주에서도 흔히 발견된다.[49] 토성의 위성인 엔켈라두스에서 아세틸렌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위성 내부의 촉매 반응 가능성을 시사하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탐색하기에 유망한 장소로 여겨진다.[50][51]

7. 1. 자연적 발생

C≡C 삼중 결합의 높은 에너지 함량과 물에 대한 아세틸렌의 상당히 높은 용해도는 적절한 공급원이 있다면 세균에게 적합한 기질이 된다.[47] 아세틸렌을 이용하여 생활하는 많은 박테리아가 확인되었다. 효소인 아세틸렌 수화효소는 아세틸렌의 수화 반응을 촉매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생성한다.[48]

:C2H2 + H2O -> CH3CHO영어

아세틸렌은 우주에서 상당히 흔한 화합물이며, 종종 가스 행성의 대기와 관련이 있다.[49] 아세틸렌의 한 가지 특이한 발견은 토성의 위성인 엔켈라두스에서 이루어졌다. 천연 아세틸렌은 1,700,000 이상의 온도에서 장쇄 탄화수소의 촉매 분해로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고온은 그렇게 작고 먼 천체에서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 발견은 그 위성 내부의 촉매 반응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전 생물학적 화학을 찾기에 유망한 장소가 된다.[50][51]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웹사이트 P-14.3 Locants https://iupac.qmul.a[...] Queen Mary University 2024-08-24
[3] 웹사이트 Acyclic Hydrocarbons. Rule A-3. Unsaturated Compounds and Univalent Radicals http://www.acdlabs.c[...]
[4] GESTIS
[5]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 a ready-reference book of chemical and physical data. https://www.worldcat[...] CRC Press 2022-05-04
[6] 웹사이트 Acetylene – Gas Encyclopedia Air Liquide http://encyclopedia.[...] 2018-09-27
[7] PGCH
[8] 서적 General Chemistry Prentice-Hall 2002
[9] Ullmann Acetylene Chemistry
[10] 웹사이트 Material Safety and Data Sheet – Acetylene http://www.stoodyind[...] Compressed Gas Association 1995
[11] 서적 General Chemistry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992
[12] 간행물 Notice of a new gaseous bicarburet of hydrogen https://books.google[...] 1836-08
[13] 서적 Acetylene: Its Properties, Manufacture and Us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Inc. 2021-07-16
[14] 간행물 Note on a new series of organic compounds, tetra-carbon hydride and its derivatives http://gallica.bnf.f[...] 1860
[15] 학술지 The Karlsruhe Congress: A centennial retrospective https://pubs.acs.org[...] 2021-12-29
[16] 간행물 Synthesis of acetylene by the direct combination of carbon with hydrogen http://gallica.bnf.f[...] 1862
[17] 웹사이트 Acetylene http://chestofbooks.[...]
[18] 학술지 Herstellung von Acetylen durch unvollständige Verbrennung von Kohlenwasserstoffen mit Sauerstoff (Production of acetylene by incomplete combustion of hydrocarbons with oxygen) 1954
[19] 학술지 Probleme großtechnischer Anlagen zur Erzeugung von Acetylen nach dem Sauerstoff-Verfahren (Problems of large-scale plants for the production of acetylene by the oxygen method) 1954
[20] 웹사이트 Acetylene: How Products are Made http://science.enote[...]
[21] 웹사이트 How it Works https://www.transfor[...] 2023-07-21
[22] 웹사이트 Carbide Lamps https://www.si.edu/s[...]
[23] 간행물 Formation of actylene by calcium carbide https://books.google[...] 1862
[24] 웹사이트 A National Historic Chemical Landmark - Discovery of the Commercial Processes For Making Calcium Carbide and Acetylene - Commemorative Booklet https://www.acs.org/[...] ACS Office of Communications 1998
[25]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000
[26]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13
[27] 학술지 Manufacture of Cyanamide https://books.google[...] 1919
[28] 서적 Organic Chemistry Thomson 2008
[29] Housecroft3rd
[30]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979–1980
[31] 웹사이트 Acetylene http://www.linde-gas[...] Linde 2013-11-30
[32] 웹사이트 ESAB Oxy-acetylene welding handbook – Acetylene properties http://www.esabna.co[...]
[33] 학술지 Catalytic Reactions of Acetylene: A Feedstock for the Chemical Industry Revisited 2014
[34] 백과사전 Butanediols, Butenediol, and Butynediol https://onlinelibrar[...] Wiley-VCH Verlag GmbH & Co. KGaA 2000-06-15
[35] 백과사전 Alcohols, Aliphatic https://onlinelibrar[...] Wiley-VCH Verlag GmbH & Co. KGaA 2000-06-15
[36] 논문 Acrylic Acid and Derivatives
[37] 논문 Production of Acetylene and Acetylene-based Chemicals from Coal 2014
[38] 논문 Ueber eine neue Methode direkter Addition von Wasser (Hydratation) an die Kohlenwasserstoffe der Acetylenreihe https://zenodo.org/r[...] 2019-09-09
[39] 논문 Hydration of Acetylene: A 125th Anniversary http://jchemed.chem.[...] 2009-02-18
[40] 백과사전 Acetylene in medicine
[41] 웹사이트 Acetylene http://boc.com/produ[...] BOC
[42] 논문 Radiocarbon dating problems using acetylene as counting gas https://journals.uai[...] 2013-12-26
[43] 웹사이트 Lighthouse Lamps Through Time by Thomas Tag http://uslhs.org/lig[...] 2017-02-24
[44] 서적 The 100 Most Important Chemical Compounds: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11-21
[45] 뉴스 By cars' early light: A short history of the headlamp: 1900s lights bore port and starboard red and green lenses. National Post
[46] 서적 Carbide Light: The Last Flame in American Mines Bergamot Publishing
[47] 논문 Acetylenotrophy: a hidden but ubiquitous microbial metabolism? https://academic.oup[...] 2018-08
[48] 서적 The Metal-Driven Biogeochemistry of Gaseous Compounds in the Environment Springer
[49] 보도자료 Precursor to Proteins and DNA found in Stellar Disk http://www.keckobser[...] W. M. Keck Observatory 2005-12-20
[50] 웹사이트 LPSC: Wednesday afternoon: Cassini at Enceladus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2006-03-17
[51] 논문 Planetary science: Inside Enceladus 2007-01-25
[52] Ullmann 2-Pyrrolidone
[53] 서적 Encyclopedia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54] 논문 Cyclization of Acetylenic Compounds
[55] 서적 Chemistry of Acetylenes https://archive.org/[...] Marcel Dekker, inc. 1969
[56] 논문 Preparation and Use of Lithium Acetylide: 1-Methyl-2-ethynyl-endo-3,3-dimethyl-2-norbornanol 1990
[57] 논문 Dimethylethhynylcarbinol 1940
[58] 웹사이트 Acetylene Specification http://www.c-f-c.com[...] CFC StarTec LLC
[59] 웹사이트 law.resource.org CGA g-1 2009 (incorporated by reference) https://law.resource[...]
[60] 서적 Industrial Gase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61] 서적 1000 słów o materiałach wybuchowych i wybuchu Wydawnictwo Ministerstwa Obrony Narodowej
[62] 웹사이트 EIGA Code of Practice: Acetylene http://eiga.web1.apo[...]
[63] 웹사이트 OSHA 29 CFR 1910.102 Acetylene https://www.osha.gov[...]
[64] 웹사이트 OSHA 29 CFR 1926.350 Gas Welding and cutting. https://www.osha.gov[...]
[65] 웹사이트 Special Hazards of Acetylene http://arlweb.msha.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 MSHA.
[66] 웹사이트 ACETYLENE SAFETY ALERT http://www.brown.edu[...]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 Safety (EHS) 2003-10-16
[67] 웹사이트 NFPA free access to 2017 edition of NFPA 70 (NEC) http://www.nfpa.org/[...]
[68] 웹사이트 NFPA Free Access to NFPA 497 – Recommended Practice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Liquids, Gases, or Vapors and of Hazardous (Classified) Location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in Chemical Process Areas http://www.nfpa.org/[...]
[69] 문서 Acyclic Hydrocarbons. Rule A-3. Unsaturated Compounds and Univalent Radicals http://www.acdlabs.c[...] IUPAC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70] 간행물 新版 ガス溶接技能者教本 産報出版
[71] 논문 メタン化学の進歩 https://doi.org/10.5[...] 1962
[72] 간행물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年報 化学工業統計編 https://www.meti.go.[...]
[73] 웹사이트 高等学校の有機化学の誤りを正す アセチレンからエチレンへ https://www.kagawa-n[...] 香川高等専門学校 2022-12-19
[74]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75] 웹사이트 Acyclic Hydrocarbons. Rule A-3. Unsaturated Compounds and Univalent Radicals http://www.acdlabs.c[...]
[76] 웹사이트 Acetylene – Gas Encyclopedia Air Liquide http://encyclopedia.[...] 2018-09-27
[77] 문서 PGCH 0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