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스 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워스는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한 사회학자이다.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주요 인물로 도시 사회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도시 생활, 소수 집단 행동, 대중 매체 등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도시주의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도시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강조했다. 워스는 응용 사회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대인 이민자들의 미국 도시 적응 문제를 연구했고, 소수 집단 연구에도 기여했다. 그의 대표 저서로는 『게토』와 『On Cities and Social Life』가 있다.

2. 생애

루이스 워스는 독일 제국의 겜멘덴에서 태어난 유대인으로, 1911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로 이주했다. 이후 시카고에서 로버트 E. 파크에게 배우며 시카고 학파 사회학을 이끄는 주요 인물이 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루이스 워스는 독일 제국 훈스뤼크 지역의 작은 마을인 겜멘덴에서 태어났다. 그는 로잘리 로리그(1868–1948, 부츠바일러/아이펠 출신)와 소매상이었던 요제프 워스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자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가족은 유대인이었고, 부모님은 종교 활동에 열심이었다. 겜멘덴은 당시 '작은 예루살렘'으로 불리기도 했다.

1911년, 워스는 누나와 함께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있는 삼촌 집으로 이주하여 미국의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미국에 도착한 직후 메리 볼턴을 만나 결혼했으며,[4] 부부는 두 딸, 엘리자베스(마비크)와 앨리스(그레이)를 두었다. 이후 시카고에서 로버트 E. 파크에게 배우며 시카고 학파 사회학을 이끄는 주요 인물로 성장했다.

2. 2. 학문적 경력

루이스 워스는 미국에서 공부했으며,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주요 인물로 활동했다. 그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도시 생활, 소수 집단의 행동, 대중 매체 등이었으며, 저명한 도시 사회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는다.

워스의 도시 공간 이론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여는 1938년 ''미국 사회학 저널''에 발표한 고전적인 에세이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이다. 이 글에서 그는 베버의 이상형 개념을 활용하여, 도시와 농촌을 하나의 연속선상에 있는 서로 다른 유형의 공동체로 분석했다.[5]

그의 연구는 주로 유대인 이민자들이 미국 도시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과 도시 생활 특유의 사회적 양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워스는 사회학 지식을 실제 사회 문제 해결에 적용해야 한다고 믿는 응용 사회학의 지지자였다.

워스는 도시주의가 때로는 문화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 조직 형태라고 보았다. 그는 도시를 ''"1차적 접촉 대신 2차적 접촉의 대체, 친족 관계의 약화, 가족의 사회적 중요성의 감소, 이웃의 소멸, 사회적 연대의 전통적 기반의 훼손"''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묘사했다.[6] 특히 도시가 가족의 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하며, 도시화가 "낮고 감소하는 도시 총 출산율... 가족은 시골보다 더 작고 아이가 없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결과를 낳는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도시에서는 결혼이 늦춰지는 경향이 있고 독신자의 비율이 높아져 고립과 상호작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워스는 도시 생활의 긍정적인 측면 또한 강조했다. 그는 "우리 문명에서 뚜렷하게 현대적인 것의 시작은 거대 도시의 성장으로 가장 잘 나타난다"[7]거나, "수도권 문명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인류가 지금까지 고안한 최고의 문명이다"[8]라고 평가했다. 또한 "도시는 어디에서나 자유와 관용의 중심지였으며, 진보, 발명, 과학, 합리성의 고향이었다"[9]고 주장하며, "문명의 역사는 도시의 역사로 기록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10]

워스 자신도 미국 유대인 이민자로서 소수 집단에 대한 깊은 사회적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해는 소수 민족,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노인 등 사회의 다양한 소수 집단이 겪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었다. 이들 집단은 주류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편견, 차별, 참정권 박탈 등을 경험해왔다. 이러한 점에서 워스의 선구적이고 통찰력 있는 연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11]

워스의 대표적인 연구와 포괄적인 참고 문헌을 담은 책으로는 1964년에 출판된 ''On Cities and Social Life''가 있다.

3. 연구 분야 및 주요 업적

미국에서 활동한 루이스 워스는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주요 인물로, 도시 사회학과 소수 집단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특히 유대인 이민자의 도시 적응 과정과 도시 생활의 사회적 특성에 주목했다.[5]

워스의 가장 널리 알려진 기여는 1938년에 발표한 논문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Urbanism as a Way of Lifeeng)이다. 이 연구는 도시 생활이 개인의 경험과 사회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도시 사회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5] 그는 도시화가 가져오는 사회 구조의 변화와 그 양면성[6][7][8][9][10]을 탐구했다.

또한, 워스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수 집단 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었다. 그는 사회적 압력으로 특정 집단이 고립되어 거주하는 현상을 설명하며 게토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분석적 개념으로서 '소수자'를 사회 과학에 도입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 그의 연구는 다양한 소수 집단이 겪는 차별편견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11]

워스는 사회학 지식을 실제 사회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응용 사회학을 지지했으며, 그의 주요 연구와 사상은 1964년 사후 출판된 저서 ''On Cities and Social Life''에 집대성되어 있다.

3. 1. 도시 사회학

미국에서 활동한 루이스 워스는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저명한 도시 사회학자로 인정받는다. 그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도시 생활, 소수 집단의 행동 양식, 대중 매체 등이었으며, 특히 유대인 이민자들이 미국 도시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과 도시 공간의 독특한 사회적 과정에 주목했다. 그는 사회학 지식을 실제 사회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응용 사회학을 지지했다.

워스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는 1938년 ''미국 사회학 저널''에 발표한 논문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Urbanism as a Way of Lifeeng)이다. 이 논문은 도시 사회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이 연구를 통해 도시와 농촌을 분석하는 틀을 제시했다.[5]

또한 워스는 특정 민족 집단이 사회적 압력 속에서 특정 지역에 모여 사는 현상을 설명하며 게토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분석적 개념으로서 '소수자'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회 과학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 유대인 이민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그의 소수 집단 연구는 소수 민족뿐만 아니라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노인 등 다양한 사회 집단이 겪는 편견차별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오늘날에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11]

워스의 주요 연구와 포괄적인 참고 문헌은 1964년에 출판된 저서 ''On Cities and Social Life''에 잘 정리되어 있다.

3. 1. 1. 어바니즘론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주요 인물이었던 루이스 워스는 저명한 도시 사회학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연구는 도시 생활, 소수 집단의 행동, 대중 매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특히 그는 응용 사회학을 지지하며 사회학적 지식이 실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한다고 믿었다.

워스의 도시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기여는 1938년 ''미국 사회학 저널''에 발표된 논문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Urbanism as a Way of Lifeeng)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베버의 이상형 개념을 활용하여, 도시와 농촌을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공동체 유형으로 구분했다.[5] 워스에 따르면 도시는 대규모 인구, 높은 인구 밀도, 그리고 사회적 이질성이라는 세 가지 특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는 도시주의가 인간관계와 사회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워스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1차적 관계(가족, 이웃 등 긴밀한 관계)가 약화되고 피상적이고 이해타산적인 2차적 관계로 대체된다고 보았다. 이로 인해 친족 관계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이웃 공동체가 해체되며, 사회적 연대의 기반이 약화된다고 지적했다.[6] 또한 그는 도시화가 출산율 감소, 가족 규모 축소, 비혼 및 독신 인구 증가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개인의 고립과 사회적 상호작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람들은 소외, 불안, 사회적 일탈에 더 취약해진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워스는 도시 생활의 긍정적인 측면 또한 강조했다. 그는 "우리 문명에서 뚜렷하게 현대적인 것의 시작은 거대 도시의 성장으로 가장 잘 나타난다"[7]거나 "수도권 문명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인류가 지금까지 고안한 최고의 문명이다"[8]라고 평가하며, 도시가 자유와 관용의 중심지이자 진보, 발명, 과학, 합리성이 발전하는 터전이라고 보았다.[9][10]

워스 자신도 유대인 이민자로서의 경험을 통해 소수 집단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수 민족,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노인 등 사회 내 다양한 소수 집단이 겪는 편견, 차별, 참정권 박탈의 문제를 분석했으며, 그의 연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11]

워스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여러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도시 계획을 통해 도시의 규모, 밀도, 이질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공동체 쇠퇴와 그로 인한 문제들을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요 연구와 포괄적인 참고 문헌은 1964년에 출판된 저서 ''On Cities and Social Life''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2. 소수 집단 연구

루이스 워스는 주로 유대인 이민자들이 미국 도시 생활에 적응하는 방식과 도시 생활의 독특한 사회적 과정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응용 사회학을 지지하며 사회학적 지식이 실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한다고 믿었다. 또한 워스는 소수자 집단이라는 개념을 사회 과학 분석에 처음으로 도입한 학자 중 한 명으로, 이는 그가 미국 유대인 이민자로서 직접 겪은 경험에서 비롯된 소수 집단에 대한 깊은 사회적 이해에 기반한다.[11]

3. 2. 1. 게토 연구

루이스 워스는 특정 민족 집단이 반 강제적으로 거주하게 된 지역을 게토라고 불렀다. 그는 또한 소수자 집단을 분석상의 개념으로 처음 사용한 사회 과학자이기도 하다. 그의 연구는 주로 유대인 이민자들이 미국 도시 생활에 적응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워스 자신이 미국 유대인 이민자로서 직접 얻은 소수 집단에 대한 깊은 사회적 이해는 소수 민족,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노인 등 사회의 다른 소수 집단들이 겪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집단은 모두 주류 사회의 수적으로 우세한 구성원들로부터 편견, 차별, 참정권 박탈 등을 겪었거나 계속 겪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워스의 선구적이고 통찰력 있는 연구는 그의 원래 연구가 있은 지 약 7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상세한 연구를 통해 충분한 가치를 제공한다.[11]

4. 사상과 영향

루이스 워스는 미국에서 활동한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주요 인물로, 특히 도시 사회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연구는 도시 생활의 특성, 소수 집단의 경험, 대중 매체의 영향 등을 주요 주제로 삼았다. 대표적인 연구인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 에세이를 통해 도시와 농촌 사회를 비교 분석하고, 도시 생활이 개인과 공동체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분석했다.[5] 그는 도시화가 가져오는 사회적 유대 약화 등 부정적 측면을 지적하는 한편,[6] 도시가 자유와 관용, 진보의 중심지로서 문명 발전에 기여하는 긍정적 역할도 강조했다.[7][8][9][10]

유대인 이민자로서의 경험에 기반한 그의 소수 집단 연구는 편견차별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으며, 이는 소수 민족,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노인 등 다양한 소수자 집단 문제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11] 워스는 응용 사회학을 지지하며 사회학적 지식의 실천적 활용을 강조했으며, 그의 연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학문적 가치를 지닌다. 그의 주요 연구는 1964년에 출판된 ''On Cities and Social Lifeeng''에 집대성되어 있다.

4. 1. 사회학적 관점

루이스 워스는 미국에서 공부하며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주요 인물로 자리 잡았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도시 생활, 소수 집단의 행동, 대중 매체 등이었으며, 저명한 도시 사회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유대인 이민자들이 미국 도시 생활에 적응하는 방식과 도시 생활 특유의 사회적 과정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워스가 도시 공간의 사회 이론에 기여한 가장 중요한 연구는 1938년 ''미국 사회학 저널''에 발표한 고전적인 에세이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Urbanism as a Way of Lifeeng)"이다. 이 글에서 그는 베버의 이상형 개념을 활용하여 도시와 농촌을 연속선상의 양극단에 위치한 두 가지 뚜렷한 공동체 유형으로 분석했다.[5] 그는 응용 사회학을 지지하며, 사회학적 지식이 실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워스는 도시주의가 문화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사회 조직 형태라고 보았다. 그는 도시를 "1차적 접촉 대신 2차적 접촉의 대체, 친족 관계의 약화, 가족의 사회적 중요성 감소, 이웃의 소멸, 사회적 연대의 전통적 기반 훼손"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묘사했다.[6] 특히 가족 통합에 대한 도시의 영향력을 우려했으며, 도시화가 "낮고 감소하는 도시 총 출산율"을 초래하고 "가족은 시골보다 더 작고 아이가 없는 경우가 더 많다"고 지적했다. 워스에 따르면 도시에서는 결혼이 늦춰지고 독신자 비율이 높아져 고립과 상호작용 감소로 이어지기 쉽다.

그러나 워스는 도시 생활의 긍정적인 측면 또한 강조했다. 그는 "우리 문명에서 뚜렷하게 현대적인 것의 시작은 거대 도시의 성장으로 가장 잘 나타난다"[7]거나, "수도권 문명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인류가 지금까지 고안한 최고의 문명이다"[8]라고 평가했다. 또한 "도시는 어디에서나 자유와 관용의 중심지였으며, 진보, 발명, 과학, 합리성의 고향이었다"[9]고 보았고, "문명의 역사는 도시의 역사로 기록될 수 있다."[10]고 주장하기도 했다.

워스 자신도 미국 유대인 이민자였기에 소수 집단에 대한 깊은 사회적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해는 소수 민족,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노인 등 사회 내 다른 소수 집단들이 겪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집단은 모두 주류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편견, 차별, 참정권 박탈 등을 경험했거나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워스의 선구적이고 통찰력 있는 연구는 그의 연구가 발표된 지 약 7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11] 그는 특정 민족 집단이 반강제적으로 거주하게 된 지역을 게토라고 명명했으며, 소수자라는 용어를 분석적 개념으로 처음 사용한 사회 과학자이기도 하다.

워스에 따르면, 도시는 대규모 인구, 높은 인구 밀도, 그리고 사회적 이질성이 특징인 거주지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공동체가 약화되면서 도시민들은 소외, 불안, 일탈 등에 노출되기 쉽다고 보았다. 워스는 이러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계획을 통해 도시의 규모, 밀도, 이질성을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스의 대표적인 연구와 포괄적인 참고 문헌을 담은 책으로는 1964년에 출판된 ''On Cities and Social Lifeeng''가 있다.

4. 2. 사회적 영향

미국에서 공부한 루이스 워스는 시카고 학파 사회학의 중요한 인물로 자리 잡았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도시 생활, 소수 집단의 행동, 대중 매체 등이었으며, 그는 저명한 도시 사회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워스가 도시 공간의 사회 이론에 기여한 가장 중요한 업적은 1938년 ''미국 사회학 저널''에 발표한 고전적인 에세이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이다. 이 글에서 워스는 막스 베버의 이상형 개념을 활용하여 도시와 농촌을 연속선상의 양 끝에 있는 두 가지 뚜렷한 공동체 유형으로 구분했다.[5]

그의 연구는 주로 유대인 이민자들이 미국 도시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과 도시 생활 특유의 사회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응용 사회학을 지지하며 사회학적 지식이 실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워스는 도시주의가 문화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사회 조직 형태라고 보았다. 그는 도시를 "1차적 접촉 대신 2차적 접촉의 대체, 친족 관계의 약화, 가족의 사회적 중요성 감소, 이웃의 소멸, 사회적 연대의 전통적 기반 훼손"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묘사했다.[6] 특히 가족 해체에 대한 도시의 영향력을 우려했으며, 도시화가 "낮고 계속 감소하는 도시 총 출산율"로 이어지고 "가족 규모가 시골보다 작고 아이가 없는 경우가 더 많다"고 지적했다. 또한 결혼이 늦춰지고 독신자 비율이 증가하여 사회적 고립과 상호작용 감소를 초래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워스는 도시 생활의 긍정적인 측면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 문명에서 뚜렷하게 현대적인 것의 시작은 거대 도시의 성장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7]거나, "수도권 문명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인류가 지금까지 고안한 최고의 문명이다"[8]라고 평가했다. 또한 "도시는 어디에서나 자유와 관용의 중심지였으며, 진보, 발명, 과학, 합리성의 고향이었다"[9]고 주장하며 "문명의 역사는 도시의 역사로 기록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10]

미국 유대인 이민자로서 워스가 직접 경험하며 얻은 소수 집단에 대한 깊은 사회적 이해는 소수 민족,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노인 등 사회 내 다른 소수 집단이 겪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들 집단은 주류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편견, 차별, 참정권 박탈 등을 경험해왔거나 여전히 겪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워스의 선구적이고 통찰력 있는 연구는 처음 발표된 지 약 7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11]

워스는 특정 민족 집단이 반강제적으로 거주하게 된 지역을 게토라고 명명했으며, 분석적 개념으로서 '소수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회 과학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 그의 대표적인 연구와 포괄적인 참고 문헌을 담은 책으로는 1964년에 출판된 ''On Cities and Social Life''가 있다.

5. 저서


  • 1928년: ''게토''(The Ghetto). 시카고.
  • 1936년: 칼 만하임(Karl Mannheim)의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Ideology and Utopia)" 서문. In: Shils, E.; Wirth, L. (ed.), ''Ideology and Utopia, by Karl Mannheim'', NY, p. XIII-XXXI
  • 1936년: 민족주의의 유형(Types of Nationalism). In: AJS, Vol. 41, no. 6, May, p. 723–737
  • 1937년: 도시적 생활 방식(The Urban Mode of Life). In: ''New Horizons in Planning''. 시카고, p. 23–30
  • 1938년: 삶의 방식으로서의 도시주의(Urbanism As A Way of Life). in: AJS 44, p. 1–24
  • 1939년: 사회적 상호작용: 개인과 집단의 문제(Social Interaction: The Problem of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In: AJS, Vol. 44, May, p. 965–979
  • 1940년: 사회 해체의 이념적 측면(Ideological Aspects of Social Disorganization). I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 no. 4, p. 472–482
  • 1940년: 도시 사회와 문명(The Urban Society and Civilization). In: Wirth, Louis (ed.), ''Eleven Twenty Six: A Decade of Social Science Research'', p. 51–63
  • 1941년: 사기와 소수 집단(Morale and Minority Groups). In: AJS, Vol. 47, no. 3, November, p. 415–433
  • 1941년: 미국의 소수 집단의 현재 위치(The Present Position of Minorities in the United States). In: ''Studies in Political Science and Sociology''. 필라델피아, p. 137–156
  • 1944년: 인종과 공공 정책(Race and Public Policy). In: Scientific Monthly, Vol. 58, April, p. 302–312
  • 1945년: 집단 갈등과 대중 민주주의(Group Tension and Mass Democracy). In: American Scholar, Vol. 14, No. 2, p. 231–235
  • 1945년: 인간 생태학(Human Ecology). In: AJS, Vol. 50, no. 6, May, p. 483–488
  • 1945년: 소수 집단의 문제(The Problem of Minority Groups). In: Linton, Ralph (ed.), ''The Science of Man in the World Crisis'', New York; p. 347–372
  • 1946년: 사회학자가 본 공동체(A Sociologist Looks at the Community). In: Wirth, Louis; et al. (ed.), ''Community Planning for Peacetime Living''. 스탠퍼드, 캘리포니아: p. 3–89
  • 1947년: 미국 사회학 1915–1947(American Sociology 1915–1947). In: AJS. Index to Volumes 1–52, 1895–1947, 시카고; p. 273–281
  • 1947년: 현대 세계에서 권력의 원천으로서의 아이디어와 이상(Ideas and Ideals as Sources of Power in Modern World). In: Bryson, L. et al. (ed.), ''Conflicts of Power in Modern Culture''. NY, p. 499–508
  • 1948년: 합의와 대중 커뮤니케이션(Consensus and Mass Communication). I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13, no. 1, February, p. 1–15
  • 1948년: 세계 공동체, 세계 사회, 그리고 세계 정부(World Community, World Society, and World Government). In: Wright, Quincy (ed.), ''The World Community'', 시카고; p. 9–20
  • 1951년: 사회학의 중요성(The Significance of Sociology). In: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Bulletin (UNESCO), Vol. 3, no. 2, Summer, p. 197–202
  • 1956년: ''공동체 생활과 사회 정책''(Community Life and Social Policy). Marvick, Elizabeth Wirth/Reiss, Jr. Albert J. (ed.), 시카고/런던
  • 1964년: ''도시와 사회 생활에 관하여''(On Cities and Social Life). Reiss, A. J. (ed.), 시카고/런던

참조

[1] 웹사이트 ISA Presidents http://www.isa-socio[...]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2012-07-25
[2] 웹사이트 Louis Wirth https://www.isa-soci[...] 2019-10-01
[3] 웹사이트 Presidents https://www.asanet.o[...] 2009-05-28
[4] 문서 Biographical note in the Guide to the Mary Bolton Wirth Papers, University of Chicago https://www.lib.uchi[...]
[5]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6] 문서 Urbanism as a way of life 1938
[7] 문서 Urbanism as a way of life 1938
[8] 문서 The City. (The City as a Symbol of Civilization.); The Papers of Louis Wirth, The Joseph Regenstein Library, Special Collections/University of Chicago, Box: 39, Folder: 6.
[9] 문서 Life in the City 1956
[10] 문서 The Urban Society and Civilization
[11] 간행물 The Problem of Minority Groups. Columbi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