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케이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케이온은 고대 아테네에 위치했던 철학 토론 장소이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설립한 학교로, 다양한 교육 활동과 연구가 이루어진 곳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이전부터 철학자들이 모여 토론을 벌였으며, 아폴론 리케이오스를 숭배하는 성소에서 시작하여 공공 운동장과 체육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기원전 335년 아리스토텔레스가 학교를 설립하여 소요학파의 교육 중심지가 되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지원을 받아 도서관을 운영하며 방대한 양의 자료를 수집했다. 테오프라스토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뒤를 이어 학교를 이끌었으나, 여러 차례 쇠퇴와 재건을 거쳐 서기 267년 헤룰리족과 고트족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 1996년 아테네에서 유적이 발견되어 발굴 및 보존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현대 프랑스 고등학교의 명칭인 '리세'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나시온 - 아카데메이아
아카데메이아는 아테네 성벽 밖의 숲에서 유래하여 플라톤의 학원을 통해 철학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폐쇄되었고, 이후 고등 교육 기관인 '아카데미'의 어원이 되었으며 유적지는 재발견되어 공개되었다. - 아테네의 교육 - 아카데메이아
아카데메이아는 아테네 성벽 밖의 숲에서 유래하여 플라톤의 학원을 통해 철학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폐쇄되었고, 이후 고등 교육 기관인 '아카데미'의 어원이 되었으며 유적지는 재발견되어 공개되었다. - 아테네의 교육 - 아테네 대학교
아테네 대학교는 1837년 그리스 최초로 설립되어 오톤 대학교로 불렸으나, 1911년 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제공하고 저명한 졸업생을 배출한 그리스의 명문 대학이다. - 기원전 1세기 폐지 - 헤로데 왕국
헤로데 왕국은 기원전 1세기 후반부터 기원후 1세기 초반까지 로마 제국의 클라이언트 왕국으로, 헤로데 1세가 유대인의 왕으로 임명되어 시작되었으며 그의 사후 분할 통치되다가 유대 속주로 편입되었다. - 기원전 1세기 폐지 - 비티니아
비티니아는 현재 튀르키예 북서부에 위치한 소아시아 북서부의 고대 지역으로, 산악 지형, 숲, 비옥한 해안으로 이루어져 니코메디아와 니케아 같은 도시가 번성했으며 독립 왕국을 거쳐 로마와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리케이온 | |
---|---|
개요 | |
유형 | 공공 집회 장소 |
위치 | 고대 아테네 |
주요 기능 | 체육관 훈련 시설 철학 학교 |
역사 | |
설립 | 기원전 4세기 |
관련 인물 | 아리스토텔레스 |
중요 사건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학교 설립 및 운영 |
특징 | |
주요 활동 | 운동 토론 철학 강의 |
영향 | 후대 교육 기관 (리세, 김나지움)에 영향 |
위치 및 구조 | |
위치 | 아테네 아폴론 리케이오스 신전 근처 |
시설 | 체육관 산책로 (페리파토이) 정원 |
2. 역사적 배경
리케이온은 아리스토텔레스 이전부터 철학 토론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소크라테스, 프로타고라스, 키오스의 프로디코스는 기원전 5세기에 리케이온을 찾아가 가르침을 펼치고 연구 결과를 논의했다. 이소크라테스 또한 기원전 4세기 동안 리케이온에서 수사학을 가르쳤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35년에 아테네로 돌아와 리케이온 건물 중 하나에 학교를 설립하고 강의를 진행했다. 그는 역사상 최초의 유럽 도서관을 위해 책을 수집했는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보낸 책으로 도서관이 성장했으며, 식물과 동물 종을 보내 아리스토텔레스가 박물관을 열 수 있게 했다.[9] 도서관은 많은 학자들을 그의 학교로 끌어들였고, 그들은 교사가 되어 연구를 수행했다. 학생들은 당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과목을 공부할 수 있었으며, 그의 학교는 모든 종류의 전문가를 만드는 공장에 비유되었다.[10]
2. 1. 초기 역사
케오스의 프로디코스, 프로타고라스 등 수많은 랩소디와 철학자들이 리케이온에서 연설을 했다.[3] 이소크라테스, 플라톤 (아카데미 출신), 소크라테스 등 저명한 철학자들도 이곳에서 가르침을 펼쳤다.[5]리케이온은 원래 그리스 신 아폴론 리케이오스를 숭배하기 위한 성소였으나, 나중에 공공 운동장으로 바뀌었고 체육관도 건설되었다. 언제 이 숭배가 아테네에 도입되었는지, 리케이온이 언제 성소가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리케이온은 군사 훈련과 교육 활동 외에도 기원전 5세기에 프닉스가 공식적인 회의 장소가 되기 전까지 아테네 의회의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종교 의식도 이곳에서 거행되었다.[3]
2. 2. 지리적 위치
리케이온은 아테네 성벽 외곽의 동쪽에 위치했으며, 남쪽으로는 일리소스 강, 북쪽으로는 리카베투스산과 경계를 이루었다. 도시 안과 주변에서 리케이온으로 이어지는 많은 도로가 있었다.[6] 전체적으로 리케이온은 북쪽으로는 현대의 콜로나키 광장, 남쪽으로는 일리소스 강까지 뻗어 있었다. 동쪽으로는 현대 국립 정원과 성벽을 지나 현대 아멜리아 대로 근처까지, 서쪽으로는 그 경계까지 뻗어 있었다.[7]리케이온은 플라톤, 스트라보, 크세노폰 등 수많은 고대 문학 작품에서 언급되었다. 플라톤은 자신의 대화편 라시스에서 소크라테스가 아카데미에서 리케이온으로 가는 길에 판옵스 샘 근처에서 친구 히포탈레스와 크테시포스를 만났다고 언급했다. 스트라보는 그의 이야기에서 리케이온 근처에 샘이 있으며, 일리소스 강이 아그라이와 리케이온 위에서 흘러나온다고 언급했다. 크세노폰은 스파르타인들이 도시 동쪽에서 데켈라이의 야영지로 쳐들어왔을 때 리케이온이 아테네 군대의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다고 말했다.[1]
2. 3. 시설
리케이온에는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는 여러 구역이 있었다. 아포디테리온은 체육관이나 검술장의 일부였던 탈의실이었다. 드로모이와 페리파토이는 현대의 신타그마 광장과 국회의사당을 통과하는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도로였다. 팔라이스트라는 플라톤의 에우튀데모스의 배경이 된 레슬링 학교였다. 이 학교는 훈련장, 종교 활동 구역, 철학 토론을 위한 회의 장소라는 세 가지 기능을 수행했다.[8] 체육관은 기원전 330년대에 수리되었지만, 원래는 기원전 6세기 피시스트라투스 또는 기원전 5세기 페리클레스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3. 아리스토텔레스의 학원
기원전 335년, 아리스토텔레스는 리케이온에 자신의 학원을 설립하고, '소요학파'로 불리는 학파를 형성했다.[11] 아리스토텔레스는 리케이온의 산책로를 걸으며 제자들과 철학 및 학문에 대한 논의를 나누었다고 전해진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아테네에서 반마케도니아 풍조가 높아져, 왕의 가정교사였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추방당했다. 기원전 322년,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 지도자들이 다시 마케도니아에 반발하고, 과거 마케도니아 지배를 지지했던 그의 저작물들이 표적이 되면서 가족과 함께 아테네를 떠나야 했다. 그는 자신의 리케이온을 테오프라스토스에게 넘겨주고 그해 말 고향 근처의 칼키스에서 사망했다.[13]
3. 1. 교육 활동
기원전 335년, 아테네는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시아에서 돌아와 리케이온에서 매일 아침 강의를 시작했다. 그는 이곳에 "리케이온"이라는 학교를 설립했다.[11] 아침 수업 후에는 대중 강연을 열었고, 그의 강연 원고들이 널리 퍼졌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가르칠 때 걷는 경향이 있어 그의 학설을 따르는 학자들은 소요학파로 알려지게 되었다.[11]아리스토텔레스는 협력 연구를 강조했으며, 그의 학생들은 역사적 또는 과학적 연구 프로젝트를 과제로 받았다.[11][12] 학교는 학생 자치적으로 운영되었다. 학생들은 10일마다 학교 운영진과 함께 일할 새로운 학생 행정관을 선출하여 모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12]
3. 2. 도서관
아리스토텔레스는 협력 연구를 중시하여 방대한 양의 책을 수집했고, 이는 유럽 최초의 도서관 설립으로 이어졌다.[11]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지역을 정복하면서 식물과 동물을 수집하도록 했고, 400만달러 이상을 지원했다.[12]테오프라스토스는 자신의 저작,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학생들의 연구, 철학적 역사 텍스트, 철학사가 포함된 도서관을 넬레우스에게 유증했다. 넬레우스는 도서관을 가지고 미시아의 스켘시스로 떠났다.[11] 도서관의 일부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판매되었고, 나머지는 넬레우스의 가족에 의해 숨겨졌다.[14]
기원전 1세기, 넬레우스의 상속인으로부터 책을 구매하여 학교로 반환했으나, 술라의 아테네 공격으로 책들은 로마로 옮겨졌다. 이 과정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의 5분의 1이 분실되었다. 로도스의 안드로니코스는 기원전 73년부터 20년 사이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남은 저작들과 도서관의 나머지 자료들을 정리하고 편집했다.[5]
4.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리케이온
아리스토텔레스의 뒤를 이어 테오프라스토스가 리케이온의 수장이 되었다. 테오프라스토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중점을 둔 관찰, 협력 연구, 철학사 기록을 이어받아 도서관에 기여했으며, 특히 식물학의 최초 조직자로 이름을 알렸다.[11] 그는 레스보스섬 출신으로 아테네 시민은 아니었지만, 기원전 315년에 리케이온 근처의 토지와 도서관, 추가 작업 공간을 위한 건물을 매입했다.[11]
테오프라스토스는 가르치는 동안에도 자신의 연구를 계속했으며, 사망 후 리케이온의 토지를 친구들에게 남겨 학교의 비사적 전통 속에서 철학 교육을 계속하도록 함으로써 배움과 교육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었다.
4. 1. 쇠퇴와 재건
기원전 306년, 모든 외국인 철학자들이 아테네를 떠나야 했을 때 리케이온은 1년 동안 폐쇄되었다.[13] 기원전 300년경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기원전 225년 이후 마지막으로 확실한 학자인 트로아스의 리코가 사망하고 리케이온을 한 사람이 아닌 모든 동료들에게 남겨주면서 거의 붕괴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86년에 리케이온은 아테네의 다른 부분과 함께 몰락했다.서기 1세기에 로도스의 안드로니코스에 의해 리케이온이 재건되었고, 2세기에는 다시 철학 학교로 번성하여 헤룰리족과 고트족이 서기 267년에 아테네를 약탈할 때까지 지속되었다.[13]
4. 2. 역대 학장
테오프라스토스는 아테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추방된 년부터 그가 사망한 년까지 36년 동안 리케이온을 이끌었다.[11] 테오프라스토스 다음으로는 년까지 학장을 역임한 스트라톤이 있었다. 트로아스의 리코, 케오스의 아리스토, 크리톨라오스, 티로스의 디오도로스, 에림네우스가 그 다음 학장이었다. 또한, 로도스의 안드로니코스도 열한 번째 학장을 역임했다.4. 3. 주요 인물
에우데모스는 수학사를 연구했다.[16] 아리스토크세노스는 음악에 관한 저술을 남겼다.[16] 디카이아르코스는 윤리학, 정치학, 심리학, 지리학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해 많은 글을 쓴 작가이다.[16] 의학사를 연구한 메노,[16] 훗날 아테네를 통치하게 된 팔레론의 데메트리오스도 리케이온에서 공부했다.[16]5. 현대의 리케이온
1996년, 아테네 신 미술관 건립 부지 발굴 중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 유적이 발견되었다.[17]
5. 1. 발굴 및 보존
1996년, 아테네 신 미술관 건립 부지 정리를 위한 발굴 작업 중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 유적이 발견되었다. 고대 상속자들의 작품에서 묘사된 설명은 이 부지의 위치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데, 고대 아테네 동쪽 경계 외곽, 일리소스 강과 에리다노스 강 근처, 그리고 리카베투스 언덕 가까이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발굴 현장은 아테네 시내, Rigillis 거리와 바실리시스 소피아 대로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아테네 전쟁 박물관과 국립 음악원 옆에 있다.[17] 최초 발굴에서는 체육관과 레슬링 구역이 드러났지만, 추가 작업을 통해 인근 건축물의 배치와 배수로로 인해 이 지역에서 발생한 침식을 견뎌낸 것으로 보이는 유적의 대부분이 발견되었다.[17] 이 건물들은 기반이 기반암 위에 놓여 있고 더 아래에 다른 지층이 없으므로, 확실히 원래 리케이온의 건물들이다.[17] 이 발견의 규모를 깨닫고, 방문객들이 두 곳 모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리케이온 야외 박물관과 결합할 수 있도록 인근 미술관 건설에 대한 비상 계획이 수립되었다.[17] 리케이온 유적 위에 캐노피를 설치할 계획이 있으며, 2009년에 이 지역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7]5. 2. 현대적 의의
프랑스 국립 고등학교 명칭인 리세(Lycée)의 기원이 되었다.[1]참조
[1]
학술지
The Lyceum
http://www.iep.utm.e[...]
2016-11-23
[2]
간행물
Aristotle (384–322 B.C.E.)
2009
[3]
백과사전
The Lyceum
http://www.iep.utm.e[...]
2009-10-30
[4]
웹사이트
Aristotle's Lyceum opens to the public
http://www.visitgree[...]
Greece National Tourist Office
2014
[5]
웹사이트
Aristotle: His Life, Time, and Work
http://www.stenudd.c[...]
Stennud
2009-10-30
[6]
웹사이트
The Lyceum
https://www.iep.utm.[...]
[7]
서적
Aristotle's School; a Study of a Greek Educational Instit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8]
웹사이트
Palaestrae
https://www.iep.utm.[...]
[9]
학술지
Aristotle on the Brain
2016-06-29
[10]
서적
Aristotle: Pioneering Philosopher and Founder of the Lyceum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2005-12-15
[11]
서적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웹사이트
Aristotle
http://www.cals.ncsu[...]
NC State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2009
[13]
웹사이트
Aristotle's School
http://atschool.eduw[...]
Portland State University
2009-10-30
[14]
서적
A Universal History of the Destruction of Books: From Ancient Sumer to Modern Iraq
https://archive.org/[...]
Atlas & Company
2008
[15]
문서
"Lyceum." Science in the Ancient World: An Encyclopedia
ABC-CLIO
2009-10-31
[16]
문서
"Lyceum."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0-30
[17]
웹사이트
Lyceum of Aristotle in Athens to open to public as archaeological site
http://www.athensnew[...]
[18]
문서
狼のアポロン。狼はアポロンの主なトーテム。リュカイオスとも。
[19]
웹인용
The Lyceum
http://www.utm.edu/r[...]
2009-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