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크라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소크라테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직전 아테네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웅변가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부유한 가정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수사학 학교를 설립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했다.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단순히 설득 기술이 아닌, 철학, 윤리, 정치적 판단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학문으로 보았으며, 시민 교육을 강조했다. 그는 플라톤과 경쟁 관계였으며, 그의 교육 철학은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 등 로마 시대 수사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소크라테스는 다양한 연설과 저술을 남겼으며, 그의 저술은 현재에도 수사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38년 사망 - 상앙
상앙은 위나라 출신의 법가 사상가이자 진나라의 개혁가로, 효공의 신임을 얻어 법률 제도를 개혁하여 능력주의를 강조하고 중앙집권화 및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혜문왕에 의해 처형당했다. - 기원전 338년 사망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페르시아 왕으로, 강력한 왕권 확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이집트 원정에서 승리했으나 환관 바고아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 그리스의 백세인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백세인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이소크라테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소크라테스 |
로마자 표기 | Isokratēs |
출생 | 기원전 436년 |
사망 | 기원전 338년 |
활동 분야 | 수사학, 작가 |
국적 | 고대 그리스 |
상세 정보 | |
직업 | 변론가, 수사학자, 연설문 작가, 교사 |
활동 시기 | 고전 시대 고대 그리스 |
출생지 | 아테네 |
사망지 | 아테네 |
제자 | 리쿠르고스, 히페리데스, 레온, 나우시크레스, 테오폼포스 |
영향 | 키케로, 크빈틸리아누스 |
종교 | 고대 그리스 종교 |
언어 | 고대 그리스어 |
기타 | |
관련 인물 | 소크라테스 |
2. 생애와 시대적 배경
기원전 436년 펠로폰네소스 전쟁 발발 직전, 아테네의 전성기에 이소크라테스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수다에 따르면, 이소크라테스의 아버지는 아울로스 제작 공방을 소유한 테오도루스였고, 어머니의 이름은 헤두토였다.[2][3] 그는 여동생과 형제가 있었다.[2][3]
이소크라테스는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 그는 티시아스, 프로디쿠스, 고르기아스, 테라메네스 등 여러 저명한 스승에게서 배웠고, 소크라테스와도 교류했다고 전해진다.[2]
페리클레스 사후 시대에 청년기를 보낸 이소크라테스는 "공적·사적 부가 모두 낭비되었고", "정치적 결정은 잘못되고 폭력적이었다"는 시기를 경험했다.[4] 그는 소규모 트라키아 도시 스키오네의 모든 남성 시민을 사형에 처하기로 한 민주주의 투표가 있었을 때 14세였다.[4] 펠로폰네소스 전쟁으로 인해 아버지의 재산이 파산하자, 이소크라테스는 생계를 위해 일해야 했다.[5][6]
그리스의 수사학(웅변술)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5세기에 수사학의 법칙을 처음으로 고안한 시라쿠사의 코락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코락스의 제자 티시아스는 법정에서의 수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수사학 훈련 수요는 상당히 높았고, 소피스트인 고르기아스 등 많은 철학자와 교사들이 웅변가 양성 학교를 설립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으로 가산이 탕진되자, 이소크라테스는 법정 변론 작가(로고그라포스)로 활동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기원전 392년경, 그는 자신의 수사학 학교를 설립하여 유력한 교사이자 사업가로 활동했다. 수업료는 비쌌지만, 많은 학생들을 끌어들여 상당한 재산을 축적했다.
만년에 이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 히피아스의 딸인 플라타네와 결혼하여 그녀의 전 남편과의 아들 아파레우스 (작가)를 양자로 들였다.[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기원전 436년,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년) 발발 직전 아테네의 전성기에 이소크라테스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수다에 따르면, 이소크라테스의 아버지는 아울로스 제작 공방을 소유한 테오도루스였고, 어머니의 이름은 헤두토였다.[2][3] 그는 여동생 한 명과 형제 두 명이 있었다.[2][3]이소크라테스는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 그는 수사학의 전통적 창시자 중 한 명인 티시아스, 소피스트 프로디쿠스와 고르기아스, 온건한 과두정치 지도자 테라메네스에게서 배웠고, 소크라테스와도 교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소크라테스는 페리클레스 사후 시대에 청년기를 보냈는데, 이 시기는 "공적·사적 부가 모두 낭비되었고", "정치적 결정은 잘못되고 폭력적이었다"는 시기였다.[4] 그는 소규모 트라키아 도시 스키오네의 모든 남성 시민을 사형에 처하기로 한 민주주의 투표가 있었을 때 14세였다.[4] 펠로폰네소스 전쟁으로 인해 아버지의 재산이 파산했고, 이소크라테스는 생계를 위해 일해야 했다.[5][6]
2. 2. 직업 활동과 수사학 학교 설립
펠로폰네소스 전쟁으로 가산이 탕진되자, 이소크라테스는 법정 변론 작가(로고그라포스)로 활동하며 생계를 유지했다.[7] 아테네 시민들은 변호사를 고용하지 않고 스스로 변론해야 했기 때문에, 이소크라테스와 같은 사람들에게 변론문 작성을 의뢰했다. 이소크라테스는 이 분야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상당한 재산을 모았는데,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한 편의 변론문으로 20talent를 벌기도 했다.[7]기원전 392년경, 이소크라테스는 리케이온 근처에 자신의 수사학 학교를 설립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8] 이전에는 고르기아스와 프로타고라스 같은 소피스트들이 도시를 돌아다니며 공개 연설 방법을 가르쳤지만, 이소크라테스는 제자들이 아테네에서 공공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며 도시를 위해 봉사하는 법을 배우도록 했다.[8] 그의 가르침은 귀족적인 아레테(덕, 탁월함) 개념을 중심으로, 윤리, 정치, 웅변술의 연구와 실제 적용을 강조했다.[2] 철학자 플라톤은 이소크라테스의 학교에 대한 경쟁 의식으로 자신의 아카데미를 설립했다는 견해가 있다.[8]
이소크라테스는 한 번에 9명 이상의 제자를 받지 않았지만, 그의 제자들 중에는 이사이오스, 뤼쿠르고스, 히페레이데스, 에포로스, 테오폼푸스, 스페우시포스, 티모테우스 등 저명한 인물들이 많았다.[2][9][10] 이들은 3~4년 동안 이소크라테스의 지도를 받았으며, 티모테우스는 엘레우시스에 이소크라테스의 동상을 세울 정도로 그를 존경했다.[10]
2. 3. 결혼과 가족
Ἰσοκράτης|이소크라테스grc는 만년에 소피스트 히피아스의 딸인 플라타네와 결혼하여, 그녀의 전 남편과의 아들 아파레우스를 양자로 들였다.3. 수사학 철학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단순한 표현 기법이 아닌, 이성, 감정, 상상력을 아우르는 내면의 사고와 외면의 감정을 결합한 것으로 정의했다.[10] 그는 수사학이 자신과 타인을 설득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공공 문제를 처리하는 데에도 중요하다고 믿었으며, "우리 인간 본성의 재능으로, 우리를 단순한 동물성을 넘어서게 하고 문명화된 삶을 살 수 있게 해준다"라고 묘사했다.[10]
그는 자신의 연구를 ''철학''(philosophia)이라고 부르며,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라는 연설에서 자신의 교육 방식을 소피스트와 대조했다. 특히 나쁜 소피스트의 관행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12]
이소크라테스는 절대적인 진리를 얻을 수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와 사건에 대처하기 위한 언어 사용 능력을 중시했으며, 국가에 봉사하기 위한 시민 교육과 훈련에도 중점을 두었다. 그는 수사학의 법칙이나 이론보다 타고난 재능과 연습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변하지 않는 법칙보다는 카이로스(καιρόςel, kairos), 즉 시대와 상황에 맞는 웅변가의 능력을 강조했다.
이상적인 웅변가는 수사학적 재능뿐만 아니라 철학, 과학, 예술 등 광범위한 지식을 가져야 하며, 자유, 자제, 덕목과 같은 그리스 이상을 상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점에서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와 같은 고대 로마의 수사학자들과 교양 교육 개념에 영향을 미쳤다.
이소크라테스는 부자연스러움을 피하고 명료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장려했으며, 청중의 주의를 끄는 리듬과 변화를 도입했다. 대부분의 수사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수사학을 진실을 왜곡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방법으로 보았다.
고대 로마 시대에 구할 수 있었던 이소크라테스의 60편의 연설문 중 21편이 고대와 중세의 사본 필사가들에 의해 전해졌다. 다른 3편의 연설문은 1988년 이집트의 다크흘레(Dakhleh) 오아시스 유적지 중 하나인 켈리스(Kellis)에서 발굴된 한 권의 코덱스에서 발견되었다. 이소크라테스의 이름으로 쓰여진 편지가 9통 있지만, 그중 4통은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소크라테스는 『수사술』이라는 논문을 저술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연설문이나 기타 저서에는 자서전적인 『안티도시스(재산 교환에 관하여)』와 『소피스트들에게』와 같은 교재도 포함된다.
3. 1. 수사학의 정의와 목적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단순한 설득 기술이 아닌, 이성, 감정, 상상력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적인 학문으로 보았다. 그는 수사학이 개인적인 성공뿐만 아니라,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공동선에 이바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10] 그는 수사학을 "인간 본성의 재능"이라 칭하며, 이를 통해 인간이 야만적인 상태를 벗어나 문명화된 삶을 살 수 있다고 믿었다.[10]이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라는 글에서 자신의 수사학적 접근 방식을 명확히 밝혔다.[11] 이 글은 그의 새로운 학교의 이론적 기반과 교육 원칙을 설명하고 홍보하기 위해 쓰였다. 그는 이론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해 논쟁하는 이들과 정치적 논쟁 기술을 가르치는 소피스트들, 두 유형의 교사 모두에 반대하며 폭넓은 교육을 장려했다.[9] 이소크라테스는 많은 사람들에게 수사학자이자 수사학 실천가로 여겨졌지만, 그는 자신의 연구를 ''철학''(philosophia)이라 부르며, 이를 자신의 것으로 주장했다.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는 이소크라테스가 처음으로 철학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 출판물이다. 그의 주요 방법은 자신의 교육 방식을 소피스트의 방식과 대조하는 것이었다. 이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의 교육 방법 전체에 반대하지는 않았지만, 나쁜 소피스트의 관행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12]
이소크라테스의 수사학 교육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을 강조했으며, 그는 자신의 가르침을 수사학 학교보다는 철학에 더 가깝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들이 배우기 위해 타고난 자질, 교사와 교과서가 제공하는 지식 훈련, 그리고 교육자가 고안한 실천적 연습, 이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9] 그는 또한 학생들이 국가에 봉사하도록 훈련시키는 시민 교육을 강조했다.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설을 작성하고 전달하는 연습을 했다. 그는 수사학의 규칙이나 원리보다 타고난 능력과 연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정적인 규칙을 제시하는 대신, 이소크라테스는 "상황에 맞는 적절함" 또는 ''카이로스''(변화하는 상황과 환경에 적응하는 수사학자의 능력)를 강조했다. 그의 학교는 5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교양 교육의 핵심, 즉 웅변술, 작문, 역사, 시민 의식, 문화 및 도덕성을 여러 면에서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9]
이소크라테스는 이상적인 웅변가는 수사학적 재능뿐만 아니라 철학, 과학, 예술 등 폭넓은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웅변가는 자유, 자제, 덕목과 같은 그리스의 이상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소크라테스는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와 같은 고대 로마의 수사학자들과 교양 교육 개념에 영향을 주었다.
이소크라테스는 부자연스러움을 피하고 명료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장려하여 수사학에 혁신을 가져왔다. 한편으로는 청중의 주의를 끌기 위해 리듬과 변화를 주었다. 대부분의 수사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수사학을 진실을 왜곡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방법으로 보았다.
3. 2. 교육 방법론
이소크라테스는 교육의 핵심 요소로 세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는 타고난 재능, 둘째는 지식 훈련, 셋째는 실천적 연습이다.[9] 그는 이론적인 규칙보다는 '카이로스' (καιρόςel, 적절한 시기와 상황에 대한 판단력)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강조했다.[9]이소크라테스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설문 작성 및 발표 연습을 시켰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자 했다.[9] 그의 학교는 5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웅변술, 작문, 역사, 시민 의식, 문화, 도덕성 등 교양 교육의 기초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9]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단순한 표현 기술이 아닌, 이성, 감정, 상상력을 포함하는 내면의 사고와 외면의 감정을 결합한 것으로 보았다.[10] 그는 수사학이 공공 문제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었으며, "우리 인간 본성의 재능으로, 우리를 단순한 동물성을 넘어서게 하고 문명화된 삶을 살 수 있게 해준다"라고 묘사했다.[10]
그는 자신의 교육 방식을 소피스트의 교육 방식과 대조하며, 특히 나쁜 소피스트의 관행에 반대했다.[12] 그의 저서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는 이러한 그의 철학을 담고 있는 첫 출판물이다.[12] 그는 자신의 연구를 ''철학''(philosophia)이라고 부르며, 수사학 학교보다는 철학에 가깝다고 언급했다.[9]
이소크라테스는 이상적인 웅변가는 수사학적 재능뿐만 아니라 철학, 과학, 예술 등 광범위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웅변가는 자유, 자제, 덕목과 같은 그리스 이상을 상징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와 같은 고대 로마의 수사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3. 3. 소피스트와의 차별성
이소크라테스는 자신의 교육 철학을 '철학'(φιλοσοφία)이라 칭하며, 소피스트들과의 차별성을 강조했다.[12] 그는 소피스트들의 상대주의적이고 논쟁적인 교육 방식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보편적인 진리와 도덕적 가치를 추구했다.조지 놀린에 따르면,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단순한 표현이 아닌 이성, 감정, 상상력을 포함하는 내면의 사고와 외면의 감정으로 정의했다.[10] 그는 수사학이 자신과 타인을 설득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공공 문제를 처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고 믿었다.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우리 인간 본성의 재능으로, 우리를 단순한 동물성을 넘어서게 하고 문명화된 삶을 살 수 있게 해준다"라고 묘사했다.[10]
이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라는 연설에서 그의 접근 방식을 명확하게 정의했다.[11] 이 글은 그의 새로운 학교의 이론적 근거와 교육 원칙을 설명하고 홍보하기 위해 쓰여졌다. 그는 이론적, 윤리적 문제에 대해 논쟁하는 논쟁적인 자들과 정치적 논쟁 기술을 가르치는 소피스트들 두 유형의 교사에 반대하여 광범위한 교육을 장려했다.[9]
많은 사람들에게 수사학자이자 수사학을 실천하는 사람으로 여겨지지만, 이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연구를 ''철학''(philosophia)이라고 부르며, 이를 자신의 것으로 주장했다.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는 이소크라테스가 처음으로 철학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 출판물이다. 그의 주요 방법은 자신의 교육 방식을 소피즘과 대조하는 것이다. 이소크라테스가 전체적으로 소피스트의 교육 방법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그는 나쁜 소피스트의 관행에 대한 그의 의견 불일치를 강조한다.[12]
이소크라테스의 수사 교육 프로그램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을 강조했으며, 그는 자신의 가르침을 수사학 학교라기보다는 철학에 가깝다고 언급했다. 그는 학생들이 배우기 위해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타고난 자질, 교사와 교과서가 제공하는 지식 훈련, 그리고 교육자가 고안한 적용된 연습이다.[9] 그는 또한 시민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국가에 봉사하도록 훈련했다.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설을 작성하고 전달하는 연습을 했다. 그는 수사학의 규칙이나 원리보다 타고난 능력과 연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정적인 규칙을 제시하는 대신 이소크라테스는 "상황에 맞는 적절함" 또는 ''카이로스''(변화하는 상황과 환경에 적응하는 수사학자의 능력)를 강조했다. 그의 학교는 5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교양 교육의 핵심, 즉 웅변술, 작문, 역사, 시민 의식, 문화 및 도덕성을 여러 면에서 확립했다.[9]
4. 주요 저술
이소크라테스는 『웅변술(Art of Rhetoric)』이라는 논문을 저술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사본은 없다. 현존하는 다른 작품으로는 자서전적인 『안티도시스(Antidosis)』와 『소피스트들에 대하여(Against the Sophists)』와 같은 교육 관련 글이 있다.
『소피스트들에 대하여』에서 이소크라테스는 자신의 교육 철학을 밝히고 소피스트의 교육 방식을 비판하고 있다. 『안티도시스(재산 교환에 관하여)』는 자서전적인 성격의 저술로, 자신의 교육 활동과 철학을 변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3][14]
『파나테나이코스』에서 이소크라테스는 제자와 스파르타인들의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250절에서 제자는 가장 총명한 스파르타인들이 이소크라테스의 연설문 사본을 소장하고 감탄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일부 스파르타인들이 책을 소유하고, 읽을 수 있었으며, 읽는 것을 열렬히 원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파르타인들은 복잡한 단어 속에 숨겨진 이중적 의미에 대한 오해를 풀기 위해 통역관이 필요했다. 이 글은 일부 스파르타인들이 문맹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이 글은 스파르타의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한 학자들의 이해에 중요한데, 그 이유는 스파르타인들이 읽을 수 있었고, 공적인 일에 문서를 자주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4. 1. 연설문
로마 시대에는 이소크라테스의 이름으로 60편의 연설이 전해졌으나, 중세 말까지 21편만이 살아남았다. 1990년대 이집트 켈리스 (다클라 오아시스(Dakhla Oasis) 위치) 발굴에서 초기 연설문 3편이 추가로 발견되었다.[13][14]현존하는 이소크라테스의 연설문은 다음과 같다.
'''키프로스 통치자들에게 보내는 연설:'''
- 니코클레스에게: 새로운 왕이 최선을 다해 통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15]
- 니코클레스: 왕과 백성을 위한 연설로, 교육과 말을 잘하는 능력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 에우아고라스: 니코클레스의 아버지 에우아고라스를 찬양하는 내용이다.[16]
'''스파르타 관련 연설:'''
- 아르키다모스: 테베 식민지 주민들이 메세네에 정착한 것을 안탈키다스의 평화 조약 위반으로 간주하고 비판한다.
- 아르키다모스에게 보내는 편지: (10년 후) 스파르타 왕이 된 아르키다무스에게 그리스인들의 화해를 촉구하는 내용이다.[16]
'''아테네에 대한 연설:'''
'''기타 주요 연설:'''
- 악마에게
- 부시리스
- 헬레나
- 찬사
- 필립푸스
4. 2. 교육 관련 저술
이소크라테스는 『웅변술(Art of Rhetoric)』이라는 논문을 저술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사본은 없다. 다른 기존 작품으로는 자서전적인 『안티도시스(Antidosis)』와 『소피스트들에 대하여(Against the Sophists)』와 같은 교육 관련 글이 있다.『소피스트들에 대하여』에서 이소크라테스는 자신의 교육 철학을 밝히고 소피스트의 교육 방식을 비판하고 있다. 『안티도시스(재산 교환에 관하여)』는 자서전적인 성격의 저술로, 자신의 교육 활동과 철학을 변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3][14]
『파나테나이코스』에서 이소크라테스는 제자와 스파르타인들의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250절에서 제자는 가장 총명한 스파르타인들이 이소크라테스의 연설문 사본을 소장하고 감탄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일부 스파르타인들이 책을 소유하고, 읽을 수 있었으며, 읽는 것을 열렬히 원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파르타인들은 복잡한 단어 속에 숨겨진 이중적 의미에 대한 오해를 풀기 위해 통역관이 필요했다. 이 글은 일부 스파르타인들이 문맹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이 글은 스파르타의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한 학자들의 이해에 중요한데, 그 이유는 스파르타인들이 읽을 수 있었고, 공적인 일에 문서를 자주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5. 플라톤과의 관계
플라톤은 이소크라테스보다 9살 연하로 아카데메이아에 철학자 양성 학원을 설립하였는데, 이소크라테스와는 라이벌 관계였으며, 서로의 저술에서 (이름은 거론하지 않으면서) 비난을 주고받았다.[22]
플라톤은 초기 대화편 『고르기아스』에서 이소크라테스의 스승인 고르기아스와 웅변술을 비판했고, 같은 시기에 쓰여진 대화편 『에우튀데모스』의 후반부에서는 이소크라테스를 겨냥한 법정 변론가 비판을 하고 있다.[23]
플라톤의 주저인 중기 대화편 『국가』 제6권의 "가짜 철학자" 비판 또한 이소크라테스 등을 겨냥한 것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며,[23] 뒤이은 『파이드로스』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풍자적인 형태로 소크라테스에게 젊은 시절의 이소크라테스를 칭찬하게 하고 있다.[23]
6. 유산과 현대적 의의
플라톤이 소피스트를 비판하면서, 수사학(소피스트들의 영역)에 그 기원을 둔 이소크라테스의 학파는 비윤리적이고 기만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플라톤의 비판 중 상당수는 이소크라테스의 실제 저술에서 입증하기 어렵다. ''파이돈''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이소크라테스를 칭찬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소크라테스는 이상적인 웅변가를 수사학적 재능뿐만 아니라 철학, 과학, 예술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갖춘 사람으로 보았다. 그는 자유, 자제, 덕목이라는 그리스적 이상을 장려했으며,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와 같은 로마의 수사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교양 교육의 핵심 개념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소크라테스는 철학사에서 주변부로 밀려났지만,[17] 수사학 연구 및 실천에 대한 그의 공헌은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토마스 M. 콘리(Thomas M. Conley)는 키케로에게 미친 이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들어 "모든 그리스인 중에서 이소크라테스가 가장 위대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8]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전환과 함께, 이소크라테스의 저술은 때때로 ''수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적인 설명에 대한 단순한 전조로 여겨지기도 한다.[19] 그러나 예카테리나 하스킨스(Ekaterina Haskins)는 이소크라테스를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 대한 지속적이고 가치 있는 반론으로 읽는다. 중립적인 도구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수사학 입장과 달리,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시민 정체성을 활성화하고 유지하는 정체성 형성적 수행으로 이해한다.[19] 이소크라테스의 수사학에 대한 견해는 20세기 이론가 케네스 버크의 수사학이 동일시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개념에 대한 고대의 선행으로 간주될 수 있다.[20] 이소크라테스의 저술은 또한 수사학이 실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연적인 지식을 활용한다는 그의 주장으로 인해 원형 실용주의적이라고 묘사되어 왔다.[17][21]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 예술에 대한 혁신으로 다른 어떤 그리스 작가보다 표현과 리듬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지만, 그의 문장이 너무 복잡하고 예술적이었기 때문에 종종 명료성을 희생했다.[7]
6. 1. 수사학과 교육에 대한 영향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단순한 표현이 아닌 이성, 감정, 상상력을 포함하는 내면의 사고와 외면의 감정으로 정의했다. 그는 수사학이 자신과 타인을 설득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공공 문제를 처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고 믿었다.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우리 인간 본성의 재능으로, 우리를 단순한 동물성을 넘어서게 하고 문명화된 삶을 살 수 있게 해준다"라고 묘사했다.[10]그는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라는 연설에서 자신의 교육 방식을 소피즘과 대조하며, 광범위한 교육을 장려했다.[11] 이소크라테스는 많은 사람들에게 수사학자이자 수사학을 실천하는 사람으로 여겨졌지만, 그는 자신의 연구를 ''철학''(philosophia)이라고 불렀다.[12]
이소크라테스의 수사 교육 프로그램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을 강조했으며, 그는 자신의 가르침을 수사학 학교라기보다는 철학에 가깝다고 언급했다. 그는 학생들이 배우기 위해서는 타고난 자질, 교사와 교과서가 제공하는 지식 훈련, 그리고 교육자가 고안한 적용된 연습, 이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9] 그는 또한 시민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국가에 봉사하도록 훈련했다.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설을 작성하고 전달하는 연습을 했다. 그는 수사학의 규칙이나 원리보다 타고난 능력과 연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정적인 규칙을 제시하는 대신 "상황에 맞는 적절함" 또는 ''카이로스''(변화하는 상황과 환경에 적응하는 수사학자의 능력)를 강조했다. 그의 학교는 5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교양 교육의 핵심, 즉 웅변술, 작문, 역사, 시민 의식, 문화 및 도덕성을 여러 면에서 확립했다.[9]
플라톤이 소피스트들을 비판했기 때문에, 수사학에 그 기원을 둔 이소크라테스의 학파는 비윤리적이고 기만적인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파이돈''의 끝부분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이소크라테스를 칭찬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소크라테스는 이상적인 웅변가를 수사학적 재능뿐만 아니라 철학, 과학, 예술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갖춘 사람으로 보았다. 그는 자유, 자제, 덕목이라는 그리스적 이상을 장려했으며, 이러한 점에서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와 같은 여러 로마의 수사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교양 교육의 핵심 개념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소크라테스는 철학사에서 주변부로 밀려났지만,[17] 수사학 연구 및 실천에 대한 그의 공헌은 주목받고 있다. 토마스 M. 콘리(Thomas M. Conley)는 키케로에게 미친 이소크라테스의 영향을 통해, 키케로의 수사학에 관한 저술이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그리고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는 점을 들어 "모든 그리스인 중에서 이소크라테스가 가장 위대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8]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전환과 함께, 이소크라테스의 저술은 때때로 ''수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적인 설명에 대한 단순한 전조로 여겨지기도 한다.[19] 그러나 예카테리나 하스킨스(Ekaterina Haskins)는 이소크라테스를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 대한 지속적이고 가치 있는 반론으로 읽는다. 중립적인 도구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수사학의 입장과 달리,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시민 정체성을 활성화하고 유지하는 정체성 형성적 수행으로 이해한다.[19] 이소크라테스의 수사학에 대한 견해는 20세기 이론가 케네스 버크의 수사학이 동일시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개념에 대한 고대의 선행으로 간주될 수 있다.[20] 이소크라테스의 저술은 또한 수사학이 실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연적인 지식을 활용한다는 그의 주장으로 인해 원형 실용주의적이라고 묘사되어 왔다.[17][21]
이소크라테스의 수사학 예술에 대한 혁신은 다른 어떤 그리스 작가보다 표현과 리듬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지만, 그의 문장이 너무 복잡하고 예술적이었기 때문에 종종 명료성을 희생했다.[7]
6. 2. 현대 사회에 대한 시사점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단순한 표현이 아닌, 이성, 감정, 상상력을 포함하는 내면의 사고와 외면의 감정을 결합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수사학이 자신과 타인을 설득하고 공공 문제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인간을 동물성을 넘어 문명화된 삶으로 이끄는 재능이라고 묘사했다.[10]그는 "소피스트들에 대하여"라는 연설에서 자신의 교육 방식을 소피스트들과 대조하며 철학(philosophia)을 강조했다.[11] 비록 많은 이들이 그를 수사학자로 여겼지만, 그는 자신의 연구를 철학이라 칭하며 소피스트들의 교육 방법 중 일부에 반대했다.[12]
이소크라테스는 시민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국가에 봉사하도록 훈련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9] 그는 수사학의 규칙보다 타고난 능력과 연습, 그리고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인 "카이로스"를 강조했다. 그의 학교는 50년 이상 지속되며 웅변술, 작문, 역사, 시민 의식, 문화, 도덕성 등 교양 교육의 핵심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9]
플라톤은 소피스트들을 비판하며 이소크라테스의 학파를 비윤리적이라고 여겼지만, 이소크라테스는 웅변가가 수사학적 재능뿐만 아니라 철학, 과학, 예술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갖춰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자유, 자제, 덕목이라는 그리스적 이상을 장려하여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 같은 로마 수사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소크라테스는 철학사에서 주변적인 인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17] 수사학 연구와 실천에 대한 그의 공헌은 점차 주목받고 있다. 토마스 M. 콘리는 키케로에게 미친 이소크라테스의 영향을 통해 그를 "모든 그리스인 중에서 가장 위대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18]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관점에서는 이소크라테스의 저술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대한 단순한 전조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예카테리나 하스킨스는 이소크라테스를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 대한 가치 있는 반론으로 보았다.[19]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을 시민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수행으로 이해했으며, 이는 20세기 이론가 케네스 버크의 동일시 개념과 연결된다.[20] 또한, 그의 저술은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연적인 지식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실용주의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17][21]
이소크라테스는 표현과 리듬에 많은 주의를 기울였지만, 그의 복잡하고 예술적인 문장은 때때로 명료성을 떨어뜨리기도 했다.[7]
7. 한국어 번역
- 김헌 옮김, 《그리스 지도자들에게 고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년 12월 30일(그리스어-한국어 대역)
- 김헌 옮김, 《'어떤 철학'의 변명(연설문 〈교환 소송에 관하여〉 역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년 10월 15일
- イソクラテス弁論集 1|이소쿠라테스 변론집 1일본어 소이케 스미오 역, 교토대학 학술출판회〈서양고전총서〉, 1998년. 대표작 『민족제전 연설』 등 7편 수록.
- イソクラテス弁論集 2|이소쿠라테스 변론집 2일본어 소이케 스미오 역, 교토대학 학술출판회〈서양고전총서〉, 2002년. 만년의 대작 『안티도시스-재산교환-』 등 13편 수록.
참조
[1]
웹사이트
Orator Biographies
http://www.stoa.org/[...]
The Stoa
2003-03-27
[2]
서적
Isocrates II
University of Texas Press
[3]
백과사전
SOL Search: iota,652
https://www.cs.uky.e[...]
University of Kentucky
[4]
백과사전
Isocrates
https://www.britanni[...]
2020-08-27
[5]
논문
Antidosis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Chapter 6: Isocrates
https://www.perseus.[...]
[7]
백과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Isocrates
https://www.coursesi[...]
[9]
서적
Readings from Classical Rhetoric
Southern Illinois
[10]
서적
Isocrates
https://archive.org/[...]
London W. Heinemann
1928
[11]
서적
Readings in Classical Rhetoric
https://books.google[...]
[12]
학술지
Writing Politics: Isocrates' Rhetoric of Philosophy
2007
[13]
웹사이트
Ancient Kellis
http://www.lib.monas[...]
Lib.monash.edu.au
1998-10-02
[14]
서적
Isocrates I
University of Texas
[15]
학술지
The household in Isocrates' political thought
http://journals.sage[...]
2023
[16]
서적
Greece & Rome to 30 BC
Ethics of Civilization
[17]
학술지
Isocrates the Pragmatist
1957
[18]
서적
Rhetoric in the European tradition
Longman
1990
[19]
서적
Logos and power in Isocrates and Aristot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10
[20]
학술지
Choosing between Isocrates and Aristotle: Disciplinary Assumption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http://www.tandfonli[...]
2006-07
[21]
서적
Ancient rhetorics and digital networks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018
[22]
서적
イソクラテスの修辞学校
講談社学術文庫
[2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