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닉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닉스는 고대 아테네의 민회(에클레시아)가 열리던 언덕으로, 아테네 민주주의의 중요한 장소였다. 기원전 507년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이후 민회의 공식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페리클레스, 아리스티데스, 알키비아데스 등 유명 정치인들의 연설이 이루어졌다. 프닉스는 초기, II, III 단계로 건축되었으며, 기원전 4세기에 재건축 및 확장되었다. 아테네 민주주의의 핵심 원칙인 이세고리아(언론의 평등)가 실현된 공간이었으며, 모든 시민이 정책 문제를 토론할 수 있는 권리를 가졌다. 1910년 발굴을 통해 프닉스임이 확인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 문화부에서 관리하며 누구나 방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테네 민주주의 - 도편 추방
    도편 추방은 고대 아테네에서 참주를 방지하고 정쟁을 해소하기 위해 도자기 조각에 이름을 적어 투표, 일정 수 이상 득표자를 10년간 국외 추방하는 제도였으나, 점차 정쟁 수단으로 변질되어 폐지되었으며, 현대에는 사회적 배제를 비유하는 용어로 쓰인다.
  • 아테네의 언덕 - 리카비토스
    아테네에 위치한 석회암 언덕인 리카비토스는 늑대 피난처 설 또는 유두 모양 언덕 설 등의 전설이 있으며, 정상에는 성 게오르기오스 성당과 리카비토스 극장이 있고 케이블카와 지하철로 접근 가능하다.
  • 아테네의 언덕 - 아크로폴리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는 아테네 중심부에 위치한 바위산으로, 역사적 변천을 거쳐 기원전 5세기 페리클레스 시대에 재건된 파르테논 신전 등의 유적이 남아있는 서양 문명의 상징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고대 그리스의 지리 - 마그나 그라이키아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건설한 식민 도시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인구 증가, 경제적 필요, 정치적 불안 등의 요인으로 건설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를 꽃피웠으나 로마의 팽창으로 로마 문화와 융합되었고, 현재는 칼라브리아와 풀리아 지역에 그리코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 공동체 형태로 남아있는 역사적 지역이다.
  • 고대 그리스의 지리 - 금각만
    금각만은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유럽 대륙으로 뻗어 이스탄불 구시가지와 갈라타 사이에 위치한 만으로, 역사적, 경제적, 군사적 중요성을 지니며 문화적, 종교적 변화를 겪어왔고 현재는 이스탄불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프닉스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이름프닉스
로마자 표기Pnyx
그리스어Πνύκα
고대 그리스어Πνύξ
위치그리스, 아테네
지역아티카
좌표37°58′18″N 23°43′10″E
역사
건설기원전 507년
시대기원전 5세기 아테네
문화고대 그리스
상태 및 관리
상태폐허
소유주공공 재산
관리그리스 문화체육부
대중 접근제한됨
기타
거리아크로폴리스에서 1 떨어짐
프닉스 연단
프닉스 연설대

2. 역사적 의의

프닉스는 기원전 507년경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으로 아테네 민주주의가 시작되면서 민회의 공식 회의 장소가 되었다. 이곳은 도시의 상업 및 사회 중심지였던 고대 아고라를 내려다보는 곳에 위치해 있었다.

아테네 "황금기"에 페리클레스, 아리스티데스, 알키비아데스 등 아테네를 이끈 정치가들이 이곳에서 연설했으며, 데모스테네스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를 비난하는 연설을 했다.

프닉스는 세계 최초의 민주적 입법부인 아테네 민회가 회의를 개최했던 곳이며, 평평한 바위 플랫폼은 ''베마(bema)''라고 불리는 연설자의 연단이었다. 프닉스는 고대 그리스의 원칙 중 하나인 "이세고리아(isēgoria, ισηγορίαel)"를 구현하고 있다. 이세고리아는 "언론의 평등", 즉 모든 시민이 정치 방침에 대해 발언할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6]

2. 1. 초기 역사와 단계

기원전 508년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이후, 아테네 민주주의 초기부터 프닉스는 민회(ἐκκλησία|에클레시아grc)의 공식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다.[6] 처음에는 아고라에서 회의가 열렸으나, 기원전 5세기 초 어느 시점에 회의 장소가 아크로폴리스 남서쪽 언덕으로 옮겨졌다. 이 새로운 회의 장소를 "프닉스"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리스어로 "빽빽하게 함께 모여 있는"을 의미한다.

프닉스는 세 단계를 거치며 발전했다.

2. 1. 1. 프닉스 I

기원전 5세기 초에 건설되었으며,[6] 사람들은 북쪽에 있는 베마를 바라보며 언덕에 앉았던 것으로 보인다. 수용 인원은 6,000명에서 13,000명 사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계는 고고학적으로 암반에 새겨진 몇 개의 절개부와 경계석(원위치에서 발견되지 않음)으로만 나타나 있어서 정확한 날짜와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중앙에 베마의 조각된 계단이 있는 프닉스

2. 1. 2. 프닉스 II

기원전 5세기 말, 강당의 방향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이는 실제 고고학적 기록보다는 고대 문헌에 더 근거한 재구성이다). 북쪽에는 인공 테라스를 지지하기 위해 계단식 테라스 벽이 만들어졌고, 사람들은 남쪽에 있는 연설대를 바라보며 앉았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이 옹벽은 기원전 500년경에 흙을 지탱하여 비마(bema)를 위한 평평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건설되었다고 한다.[5] 계단식 테라스 벽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으며, 아고라 방향에서 그곳으로 이어지는 암반 절단 계단도 남아 있다. 발굴자들에 의해 복원된 강당의 크기는 프닉스 I보다 크게 확장되지 않았다.

프닉스 전경, 연설대 오른쪽, 아크로폴리스 배경.

2. 1. 3. 프닉스 III

프닉스는 기원전 4세기 3분기, 아마도 기원전 345-335년경에 재건축되고 확장되었다. 북쪽에 거대한 곡선형 옹벽이 건설(또는 적어도 시작)되었다. 강당과 연설대(βῆμα|베마grc)의 남쪽 면은 자연 암반에서 채석되었다. 채석 과정의 흔적은 여전히 거대한 암반 절개부의 동쪽에서 볼 수 있다.[6] 연설대 위의 테라스(남쪽)에는 2개의 긴 스토아의 기초가 시작되었지만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프닉스 III이 에클레시아의 회의 장소로 몇 년 동안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며, 기원전 1세기까지는 아크로폴리스 남쪽 경사면에 있는 디오니소스 극장에서 회의를 열었다.

3. 장소

프닉스는 고대 아고라를 내려다보는 언덕에 위치하며, 공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평평한 돌 플랫폼은 연설단(베마) 역할을 했다. 프닉스는 '이세고리아(ἰσηγορίαel, 언론의 평등)' 원칙을 구현한 곳이다.

프닉스는 작고 바위가 많은 언덕으로, 측면에는 침식된 돌로 된 넓고 평평한 플랫폼이 있고 경사면에는 계단이 새겨져 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초기에 알려진 민주주의 입법 기관 중 하나인 아테네의 ''에클레시아''(민회)의 회의 장소였으며, 평평한 돌 플랫폼은 베마였다.[3]

프닉스는 "평등한 연설", 즉 모든 시민이 정책 문제를 토론할 수 있는 동등한 권리인 ''이세고리아''의 원칙을 물질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민주주의의 다른 두 가지 원칙은 법 앞의 평등인 ''이소노미아''(ἰσονομίαel)와 투표의 평등 및 정치적 직책을 맡을 수 있는 동등한 기회인 ''이소폴리테이아''(ἰσοπολιτείαel)였다. ''이세고리아''의 권리는 프닉스 민회 의장이 공식적으로 각 토론을 시작할 때 공개적인 초청으로 표현했는데, "''Tís agoreúein boúletai?''"(Τίς ἀγορεύειν βούλεται;el, "누가 민회에서 발언하기를 원하는가?")였다.[4]

프닉스는 클레이스테네스가 권력을 시민에게 양도한 기원전 507년경부터 아테네에서의 시민 집회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그곳은 시내는 아니었지만,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집회에 편리했다. 프닉스의 언덕은 상업 및 사회의 중심지였던 아고라를 내려다보는 위치에 있었다.

4. 아테네 민주주의

프닉스는 아테네 민주주의의 핵심 원칙인 '이세고리아(언론의 평등)', '이소노미아(법 앞의 평등)', '이소폴리테이아(투표의 평등 및 정치 참여 기회의 평등)'가 실현된 공간이었다.[9] 민회 의장은 "Τίς ἀγορεύειν βούλεται|티스 아고류에인 불레타이el" (「말하고 싶은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공개적인 초청으로 토론을 시작했다.[9]

학자들은 프닉스가 약 6,000명에서 최대 20,000명의 시민을 수용할 수 있었다고 추정한다.[7] 500인 평의회 위원들을 위한 나무 의자가 있었고, 후기에는 고위 관계자들을 위한 스토아가 건설되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기간 동안 아테네 민주주의는 기원전 411년과 기원전 404년에 일시 중단되었지만, 기원전 403년에 다시 회복되었다.

5. 발굴

1910년 그리스 고고학 협회에 의해 발굴이 시작되었으며, 이 부지가 프닉스임이 확실히 확인되었다.[8] 1930년1937년 사이에는 호머 톰슨이 K. 쿠루니오테스, 로버트 스크랜턴과 협력하여 대규모 발굴을 여러 차례 진행했다.

발굴을 통해 프닉스의 중요한 건물들의 기초가 발견되었지만, 다른 것은 남아 있지 않다. 여기에는 기원전 330년에서 326년 사이에 세워진 두 개의 큰 스토아, 같은 시기에 세워졌지만 아우구스투스 황제(기원전 1세기) 시대에 제거된 제우스 아고라이오스 제단, 그리고 제우스 헵시스토스 신전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건물들은 대부분 프닉스가 그 실제적인 중요성을 잃은 후에 세워졌다.

제우스 제단의 서쪽에는 메톤의 일식관의 기초가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소이며, 그는 여기서 명명된 19년 주기의 메톤 주기와 관련된 계산을 수행했으며, 이는 기원전 432년에 태음태양 아테네력에 도입되었고, 이 달력은 안티키테라 메커니즘에 나타난다.[8]

6. 현대적 관리

오늘날 프닉스 유적은 그리스 문화부의 선사·고대 부서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낮 동안에는 누구나 무료로 견학할 수 있다.[1]

참조

[1] 문서 Lawrence, 280
[2] 문서 Lawrence, 280
[3] 서적 Athens and Attica: Notes of a Tour John Murray
[4] 서적 Rhetorical Action in Ancient Athens: Persuasive Artistry from Solon to Demosthenes SIU Press
[5] 서적 Strolling Through Athens: Fourteen Unforgettable Walks Through Europe's Oldest City Palgrave Macmillan
[6] 웹사이트 The Pnyx http://www.stoa.org/[...]
[7] 서적 La Vie Quotidienne en Grèce au Siècle de Périclès Librairie Hachette
[8] 간행물 Decoding the ancient Greek astronomical calculator known as the Antikythera Mechanism 2006-11-30
[9] 서적 La Vie Quotidienne en Grèce au Siècle de Périclès Librairie Hachet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