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아 사제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사제 운동은 1972년 스테파노 고비 신부가 성모 마리아로부터 내적 발현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시작된 가톨릭 신종교 운동이다. 이탈리아 밀라노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봉헌, 교황과의 일치, 신자들을 성모 마리아께 인도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삼는다. 마리아 사제 운동은 "친교 모임"을 통해 묵주 기도와 성체 숭배를 강조하며, 전 세계적으로 300명 이상의 추기경 및 주교, 10만 명 이상의 성직자가 참여하고 있다. 교황청은 고비 신부의 메시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요한 바오로 2세는 이 운동에 축복을 내린 바 있다. 이 운동은 고비 신부의 내적 발현 메시지를 담은 "사랑하는 성모님의 아들, 사제들에게"를 안내서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리아 사제 운동
일반 정보
이름마리아 사제 운동
약칭MMP
유형가톨릭 마리아 신심 단체
창립일1972년 5월 8일
창립자스테파노 고비 신부
목적사제들의 성화, 교황과의 일치, 신자들의 마리아 신심 고취
활동기도 모임, 묵주 기도, 성체 조배, 마리아 메시지 전파
본부이탈리아 밀라노
조직
회원사제, 수도자, 평신도
조직 구조지역별 책임자, 국가별 책임자
활동 지역전 세계
주요 메시지
핵심 내용성모 마리아의 티 없으신 성심께 봉헌
교황에 대한 충성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준수
묵주 기도의 생활화
성체 성사의 중요성 강조
영성
특징스테파노 고비 신부에게 전달된 성모 마리아의 메시지 기반
기도와 묵상을 통한 내적 변화 추구
성모 마리아의 인도에 대한 신뢰
관련 정보
관련 인물스테파노 고비
관련 문서푸른 책 (성모 마리아 메시지 모음집)
기타
외부 링크마리아 사제 운동 미국
마리아 사제 운동 방글라데시
마리아 사제 운동 아시아

2. 기원

마리아 사제 운동은 1972년 이탈리아 출신의 사제 스테파노 고비가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성모 마리아로부터 내적 말씀을 들었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2] 고비 신부에 따르면, 이 내적 말씀은 일부 사제들의 로마 가톨릭교회 이탈 움직임에 대한 우려 속에서,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자신을 봉헌하고 교황 및 교회와 일치하려는 사제들을 모으라는 요청이었다.[2][5] 이후 고비 신부는 나자렛에서 이 메시지에 대한 확신을 얻었다고 전했다.[2][5]

이 경험을 바탕으로 고비 신부는 1972년 10월, 다른 두 명의 사제와 함께 이탈리아 코모 근처에서 첫 모임을 갖고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 이듬해인 1973년에는 로마 근교에서 첫 전국 모임이 열렸으며, 1974년부터는 사제뿐만 아니라 평신도들을 위한 기도 모임인 체나콜로(Cenacolo, 다락방 기도 모임)가 시작되었다.

2. 1. 스테파노 고비 신부와 내적 발현

1972년 5월 8일, 이탈리아 밀라노 출신의 스테파노 고비 신부는 포르투갈 파티마로 순례를 떠났다. 그는 파티마의 성모 대성당에서 사제직을 버리거나 로마 가톨릭교회에 반역을 계획하는 일부 사제들을 위해 기도하던 중, 성모 마리아로부터 첫 번째 내적 말씀을 들었다고 보고했다.[2] 고비 신부에 따르면, 이 내면의 목소리는 그에게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성심)에 대한 신뢰를 갖고, 자신을 성모 성심에 봉헌하며, 로마 교황 및 가톨릭 교회와 강력하게 연합하기를 원하는 사제들을 모으라고 촉구했다.[2][5]

고비 신부는 자신이 들은 내면의 목소리에 대한 확신을 얻기 위해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했으며, 1972년 5월 말 나자렛의 수태고지 대성당(수태고지 교회)에서 기도하던 중 그 확신을 얻었다고 보고했다.[2][5]

2. 2. 초기 활동

1972년 5월 8일, 이탈리아 밀라노 출신의 스테파노 고비 신부는 포르투갈 파티마의 파티마의 성모 대성당으로 순례를 갔다. 그는 그곳에서 사제직을 포기하거나 로마 가톨릭교회에 반하려는 일부 사제들을 위해 기도하던 중, 성모 마리아로부터 첫 번째 내적 말씀을 들었다고 전했다. 고비 신부에 따르면, 이 내면의 목소리는 그에게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믿음을 갖고, 티 없는 성심에 자신을 봉헌하며 교황 및 가톨릭 교회와 강하게 연합하려는 사제들을 모으라고 촉구했다.

고비 신부는 이 내적 말씀에 대한 확신을 얻기 위해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했으며, 1972년 5월 말 나자렛의 수태고지 대성당에서 기도하던 중 다시 목소리를 들었다고 보고했다.[2][5]

영적 지도자와 상의한 후, 고비 신부는 1972년 10월 다른 두 명의 사제와 함께 이탈리아 코모의 제라 라리오에 있는 한 교회에서 만나 마리아 사제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공고를 일부 가톨릭 신문과 지역 신문에 발표했다. 1973년 9월, 당시 운동에 참여했던 80명의 가톨릭 사제 중 25명이 로마 근처의 산 비토리노에서 마리아 사제 운동의 첫 번째 전국 모임을 가졌다. 1974년부터 고비 신부는 사제들뿐만 아니라 평신도 가톨릭 신자들을 위한 기도의 체나콜로(Cenacolo, 다락방 기도 모임)를 열기 시작했다.

3. 영성

마리아 사제 운동의 영성은 1972년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스테파노 곱비 신부가 받았다고 전해지는 내적 담화에 뿌리를 둔다. 이 운동의 핵심은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봉헌교황과의 깊은 일치를 통해 가톨릭 교회를 영적으로 강화하는 데 있다. 주요 영성적 가치에는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봉헌, 교황과의 일치, 그리고 신자들이 성모 마리아를 신뢰하도록 이끄는 것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묵주 기도와 성체 숭배와 같은 실천이 강조된다.

3. 1. 주요 가치

오늘날 마리아 사제 운동(MMP)의 기본적인 생각은 1972년 5월 8일,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스테파노 곱비 신부가 처음 받았다고 전하는 내적 담화에서 나타난 것과 같다. 그 핵심은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을 통해 교황과 일치하여 가톨릭 교회를 더욱 굳건하게 만들도록 사제평신도를 격려하는 것이다.

마리아 사제 운동의 세 가지 중요한 영적 가치는 곱비 신부의 회람 21, 23, 24호에 공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1.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개인적인 봉헌: 마리아 사제 운동은 성모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봉헌과 관련하여 독자적인 교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성좌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봉헌 지침을 따른다.

2. 교황과의 일치와 헌신: 이 가치에는 현대적인 인간의 해석과 다수의 합리화를 통해 본래의 의미가 약해졌다고 보는 예수의 신성한 가르침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생각이 포함되어 있다.

3. 신자들이 성모 마리아를 신뢰하도록 이끄는 것: 1973년 11월 1일자 메시지 25호에 따르면, 사제들은 신자들이 성모 마리아를 '"''무적의 동료''"'로서 여기고 예수의 길을 따르도록 그들 주변에 모이게 해야 한다.

마리아 사제 운동은 교회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성 묵주 기도와 성체 숭배의 힘을 특히 중요하게 여긴다.

3. 2. 실천

마리아 사제 운동은 교회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묵주 기도와 성체 숭배의 힘을 특별히 강조한다.

이 운동의 전통에 따라, 회원들은 "친교 모임"(Cenacles영어)에 모이도록 요청받는다. 이는 신약의 사도들이 성령 강림 때 다락방(라틴어: cenaculum|체나쿨룸la)에서 기도하고 성체성사를 거행했던 것을 모델로 삼는다. 회원들은 이 모임에서 성모 마리아를 통하여 예수께 기도하며, 마리아께 개인적인 봉헌을 한다.

또한, 묵주기도를 바칠 때 각 10단(신비) 후에 다음 두 가지 기도를 추가하도록 권장된다.

  • 사랑의 행위: "예수, 마리아, 그리고 요셉! 당신을 사랑합니다! 영혼을 구원하소서! 저희는 모든 심장 박동과 모든 호흡을 천 번의 사랑의 행위로 바칩니다."
  • 성령을 위한 기도: "지극히 사랑하시는 당신의 배필이신 동정 성모 마리아의 가장 강력한 전구를 통하여 오소서, 성령이시여."


창립자인 스테파노 곱비 신부는 모든 대륙에서 다양한 규모의 친교 모임을 열었다. 예를 들어, 1978년 6월 2일 일본 오이타에서는 몇몇 사제와 수녀가 참석한 소규모 모임이 있었고, 1994년 11월 27일 멕시코시티에서는 도시 경기장에 약 2만 명이 모이는 대규모 친교 모임이 개최되기도 했다.

4. 교황청과의 관계

1994년 10월, 아고스티노 카차빌란 대주교는 바티칸의 신앙교리성 내 일부 관계자들이 고비 신부의 담화가 성모 마리아로부터 온 메시지가 아니라 그의 개인적인 묵상이라고 믿고 있다는 의견을 담은 서한을 보냈다. 이러한 이유로 고비 신부에게 담화를 성모 마리아의 메시지가 아닌 자신의 묵상으로 언급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고비 신부는 그 메시지가 진정한 내적 담화라고 믿었기에 양심상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답하며 교황청에 추가적인 설명을 구했다.

현재까지 신앙교리성이 고비 신부의 메시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취했다는 공식 기록은 없다. 따라서 마리아 사제 운동(MMP)은 성모 마리아에게 담화를 귀속시키는 가톨릭 추기경주교들의 허가와 참여 아래 로마에서 정기적으로 모임을 계속하고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모 마리아에 대한 개인적인 신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년 동안 매년 바티칸의 사도 궁전에 있는 자신의 개인 교황 예배당에서 고비 신부와 만남을 갖고 미사를 봉헌했다. 1993년 11월, 요한 바오로 2세는 미국 메인주 세인트 프란시스에 있는 마리아 사제 운동 미국 지부에 공식적인 교황 축복을 내렸지만, 책에 대한 임프리마투르(교회 인가)를 제공하지는 않았다.

5. 확산

스테파노 고비 신부는 1972년 10월, 그의 정신적인 상담자들과 상의한 후 다른 두 명의 사제와 함께 이탈리아 코모의 제라 라리오(Gera Lario)에서 몇몇 지역 신문과 가톨릭 신문에 마리아 사제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 1973년 3월에는 운동 참여 의사를 밝힌 80명 중 23명의 가톨릭 사제가 첫 국내 회의에 참석했다. 마리아 사제 운동은 현재 이탈리아 밀라노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에 지부를 운영하고 있다[5]

전 세계적으로 약 300명의 추기경주교, 그리고 10만 명이 넘는 성직자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6]

고비 신부는 모든 대륙을 순회하며 다양한 규모의 친교 모임(Cenacles)을 개최했다. 예를 들어, 1978년 6월 2일 일본 오이타에서 열린 모임에는 소수의 사제와 수녀가 참석했으며, 1994년 11월 27일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모임에는 도시 경기장에 약 2만 명이 모였다.

6. 안내서

1973년 7월, 고비 신부는 성모 마리아에게서 온 것으로 여겨지는 메시지, 즉 자신의 내적 발현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1973년 7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받은 이 메시지들은 "사랑하는 성모님의 아들, 사제들에게"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현재 마리아 사제 운동(MMP)의 사실상의 안내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책에는 총 604개의 메시지가 담겨 있으며, 이는 고비 신부의 24년에 걸친 삶의 기록이기도 하다. 책에는 각 메시지가 주어진 날짜와 관련 장소가 명시되어 있으며, 기도 체나클을 거행하며 고비 신부가 여러 곳을 여행한 기록 또한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메시지는 모성적인 어조를 띠고 있으며, 신자들이 예수를 따르고 그분의 가르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권고한다. 예를 들어, 1976년 9월 25일에 주어진 메시지 110번은 복음서의 말씀을 임의로 해석하거나 희석시켜 예수의 본래 가르침을 따르기보다 "''자신의 말로 자신의 복음서''"를 만들려는 태도를 경고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arian Movement of Priests http://www.ewtn.com/[...] EWTN Global Catholic Network
[2] 웹사이트 MMP Worldwide http://www.msm-mmp.o[...] 2008-05-11
[3] 웹사이트 司祭のマリア運動とは何か https://www2n.biglob[...]
[4] 웹사이트 EWTN article about the MMP http://www.ewtn.com/[...]
[5] 웹사이트 MMP Worldwide http://www.msm-mmp.o[...] 2008-05-11
[6] 웹사이트 All About Mary Marian Movement of Priests University of Dayton Website https://www.uday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