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 드 부르고뉴 여공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 드 부르고뉴는 용담공 샤를의 딸로, 1477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부르고뉴 공국을 상속받아 여공작이 되었다. 그녀는 막대한 영토와 재산을 물려받아 많은 왕자들의 구혼을 받았으며, 1477년 오스트리아의 대공 막시밀리안과 결혼했다. 마리는 남편과 공동으로 통치하며 프랑스의 침략에 맞서 싸웠지만, 1482년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그녀의 죽음 이후 부르고뉴는 혼란에 휩싸였고,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결혼은 프랑스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마리는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그녀의 통치와 삶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노 백작 - 보두앵 6세 드 에노
    보두앵 6세 드 에노는 에노 백작이자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9세로, 제4차 십자군 원정 후 라틴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사망 후 가짜 보두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에노 백작 - 에노 백국
    에노 백국은 9세기 로타링기아 왕국에서 유래하여 하인 강 유역의 현재 벨기에-프랑스 국경 지역에 걸쳐 존재했던 신성 로마 제국의 봉건 영토로, 플랑드르, 홀란트 백작들과 동군 연합을 이루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를 거쳐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와 벨기에로 분할되었으며 현재 벨기에 에노주 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 홀란트 백작 - 선량공 필리프
    필리프 3세는 부르고뉴 공작으로서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고 잔 다르크를 넘겼지만, 아라스 조약으로 동맹이 깨졌으며, 영토 확장과 예술 후원에 힘썼고, 황금 양모 기사단의 단장이었다.
  • 홀란트 백작 - 카를 5세
    카를 5세는 1500년에 태어나 1558년에 사망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인물로, 스페인과 신성 로마 제국을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통치했으며, 프랑스와의 전쟁, 종교 개혁, 오스만 제국과의 갈등 등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다.
  • 1457년 출생 - 헨리 7세
    헨리 7세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튜더 왕조를 창시하고, 요크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장미 전쟁을 종식시키며 왕권을 강화하고 잉글랜드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한 인물이다.
  • 1457년 출생 - 성종 (조선)
    성종은 조선의 제9대 국왕으로, 세조의 손자이자 덕종의 아들이며 예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을 거쳐 친정 후 홍문관 설치, 경국대전 반포 등 조선의 통치 체제 확립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폐비 윤씨 사사 사건과 서얼 차별 강화는 비판받기도 한다.
마리 드 부르고뉴 여공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5세기 후반 네덜란드 또는 남독일 학교에서 그린 부르고뉴의 마리 (1458–1482) 초상화
1490년경 미하엘 파허가 그린 초상화로 추정
이름마리
프랑스어 이름Marie de Bourgogne
네덜란드어 이름Maria van Bourgondië
통치 기간
재위 기간1477년 1월 5일 ~ 1482년 3월 27일
전임자샤를 1세
후임자펠리페 4세
섭정 유형배우자와 함께
섭정막시밀리안
가족 관계
배우자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1477년 결혼)
자녀미남왕 펠리페
마르가레테, 사보이 공작부인
자녀 정보더보기...
가문발루아-부르고뉴 가문
아버지용담공 샤를
어머니이자벨 드 부르봉
출생과 사망
출생일1457년 2월 13일
출생지브뤼셀, 브라반트 공국, 부르고뉴 네덜란드
사망일1482년 3월 27일 (25세)
사망지빈넨달레 성, 플랑드르 백국, 부르고뉴 네덜란드
매장지브뤼헤 노트르담 교회, 벨기에

2. 유년 시절

마리는 당시 샤롤레 백작이었던 용담공 샤를과 그의 아내 부르봉의 이자벨라 사이에서 브뤼셀의 쿠덴베르크 공작성에서 태어났다. 궁정 연대기 작가 조르주 샤텔랭은 그녀가 맑은 황혼 하늘에 천둥이 치는 가운데 태어났다고 기록했다. 그녀의 대부는 당시 부르고뉴에 망명 중이던 프랑스의 도팽 루이였는데, 그는 자신의 어머니 앙주의 마리의 이름을 따서 마리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마리의 출생에 대한 반응은 엇갈렸다. 할아버지인 선량공 필리프 공작은 그녀가 아들이 아닌 딸이라는 이유로 세례식에 참석하지 않을 정도로 탐탁지 않게 여겼다. 반면, 할머니 포르투갈의 이자벨라는 손녀의 탄생을 크게 기뻐했다.

마리의 교육은 사촌 고모인 안 반 부르공디에가 맡았고, 잔 드 클리토가 가정교사로 임명되었다. 잔은 이후 마리의 평생 친구이자 가장 가까운 동반자 중 한 명이 되었다. 마리는 생모 부르봉의 이자벨라와는 일찍 사별했지만, 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재혼한 계모 요크의 마거릿과는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자랐다.

그녀는 아버지 샤를의 유일한 자녀였으며, 당시 유럽에서 손꼽히는 경제력과 수준 높은 문화를 자랑하던 부르고뉴 공국의 유일한 상속녀로서 부족함 없는 유년 시절을 보냈다.

3. 상속녀 시절

1467년 할아버지 필리프 3세가 사망하자, 마리의 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부르고뉴 공작위를 계승했다. 당시 샤를에게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마리는 그의 유일한 상속녀가 되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부르고뉴 공국, 프랑슈-콩테, 그리고 저지대 국가의 대부분을 아우르는 광대하고 부유한 영토를 다스렸다. 이 때문에 마리는 유럽에서 가장 주목받는 상속녀였으며, 여러 왕족과 귀족들이 그녀와의 결혼을 통해 부르고뉴의 막대한 부와 영토를 얻고자 했다.

마리가 겨우 다섯 살 때, 첫 번째 결혼 제안이 들어왔는데, 상대는 훗날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가 될 인물이었다. 이후 프랑스 국왕 루이 11세의 동생인 베리 공작 샤를 드 발루아가 마리에게 접근했다. 루이 11세는 동생이 부르고뉴의 힘을 얻는 것을 경계하여 이 결혼을 격렬하게 반대했고, 근친혼에 필요한 교황의 허가를 받지 못하도록 방해했다.

마리 드 부르고뉴의 배우자 후보들


루이 11세는 자신의 아들이자 미래의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마리와 결혼하기를 원했다. 이는 부르고뉴를 프랑스 왕령으로 편입시키려는 의도였으나, 샤를 8세는 마리보다 열세 살이나 어렸다. 한편, 마리보다 몇 살 위였던 로렌 공작 니콜라 1세는 자신의 공국과 부르고뉴 영토를 합치려 했으나, 1473년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무산되었다. 그의 죽음은 독살 의혹을 낳았다.[3]

또 다른 유력한 구혼자는 잉글랜드의 클라렌스 공작 조지였다. 마리의 계모이자 그의 누이였던 요크의 마거릿이 이 결혼을 지지했다. 그러나 조지의 형인 에드워드 4세는 정치적 이유와 개인적인 감정(처남인 리버스 백작 앤서니 우드빌을 지지하려 함)으로 결혼을 반대했다. 이로 인해 클라렌스 공작은 형에게 불만을 품고 갈등을 빚다가 결국 처형당하는 비극을 맞았다.[4][5]

마리는 아버지 용담공 샤를과 어머니 이자벨 드 부르봉 사이에서 태어난 유일한 자녀였다. 유럽 최고 수준의 경제력과 문화를 자랑하던 부르고뉴 공국의 상속녀로서 풍족한 환경에서 자랐다. 생모 이자벨과는 일찍 사별했지만, 계모 요크의 마거릿과는 사이가 매우 좋아 많은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처럼 마리는 어린 시절부터 유럽 정치의 중심에 서게 되었고, 그녀의 결혼은 부르고뉴의 미래뿐만 아니라 유럽의 세력 균형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였다.

4. 부르고뉴 여공작 즉위

1500년경 니클라스 라이저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부르고뉴 여공작 마리의 초상화


1477년 1월 5일, 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낭시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하자, 마리는 그의 광대한 영지를 상속받아 부르고뉴 여공작으로 즉위했다. 그녀가 물려받은 영토는 부르고뉴 공국과 부르고뉴 백국 외에도 림부르크 공국, 브라반트 공국, 룩셈부르크 공국, 나뮈르 백국, 홀란드 백국, 에노 백국저지대 국가의 여러 지역을 포함했다.[6][7][8] 그러나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정치적 공백을 만들었고,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부르고뉴 공국과 프랑슈콩테, 피카르디, 아르투아 지역을 점령하려 했다.

위기에 처한 마리는 백성들에게 부르고뉴 가문에 대한 충성을 호소하며 지지를 요청했다(마리가 부르고뉴 공국과 아라스에 보낸 지원 요청 서한이 현재까지 남아있다).[9] 루이 11세는 아라스를 점령했으나, 시민들은 마리의 승인 없이는 항복하기를 거부하며 저항했다. 이에 루이 11세는 마리를 만나려던 시민 18명을 발각하여 참수하고 대규모 추방을 명령했으며, 도시 이름마저 프랑시스로 바꾸는 등 강압적인 통치를 시도했다.[10]

루이 11세는 마리를 자신의 아들인 도팽 샤를(훗날 샤를 8세)과 결혼시켜 저지대 국가의 상속권을 확보하려 했으며, 필요하다면 무력 사용도 불사할 생각이었다. 1477년 2월, 마리의 고문들과 삼부회는 프랑스 군대에 맞설 힘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재상 위고네는 마리와 도팽 샤를의 결혼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프랑스에 대표단을 이끌고 갔으나, 루이 11세는 부르고뉴 공국과 선량공 필리프, 용담공 샤를 시대에 획득했던 프랑스 내 영토의 반환 등 마리 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과도한 조건을 요구하며 협상을 결렬시켰다. 더욱이 루이 11세는 마리가 겐트 시민들에게 보낸 비밀 서한을 폭로하는 배신 행위를 저질렀다. 이 서한에는 위고네와 옹베르쿠르 영주가 언급되어 있었는데, 분노한 겐트 시민들은 이 두 사람을 체포했고, 마리의 간절한 호소에도 불구하고 1477년 4월 3일 처형했다. 다른 고문들 역시 시민들에게 끌려갔다.[11][12] 일부에서는 루이 11세가 이 서한을 위조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이러한 프랑스의 군사적, 정치적 압박 속에서 마리는 내부적으로도 플랑드르, 브라반트, 에노, 홀란드 등 각 지역과 도시들의 거센 자치권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는 결국 그녀가 1477년 2월 10일 헨트에서 대특권에 서명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4. 1. 대특권

1477년, 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낭시 전투에서 전사하자 부르고뉴 공국은 큰 혼란에 빠졌다.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부르고뉴 공작령과 프랑슈콩테를 침공하여 점령했다. 설상가상으로 네덜란드와 플랑드르의 귀족들 역시 자신들의 권리를 확대하고자 움직이기 시작했다.

루이 11세와 손을 잡은 일부 귀족과 대상인들은 마리에게 도시의 자치권을 승인하고 프랑스 왕세자 샤를(훗날 샤를 8세)과 결혼할 것을 강요했다. 마리는 이를 거부했지만, 정치적으로 고립되어 사실상 유폐와 다름없는 힘든 시기를 보내야 했다. 결국 1477년 2월, 마리는 압박에 못 이겨 대 특허장(Groot Privilege)이라는 문서에 서명하게 되었다. 이 문서는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의 여러 지역과 도시에 상당한 수준의 자치권과 특권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마리는 계모 요크의 마거릿의 조언에 따라, 아버지 샤를이 생전에 약혼자로 정했던 오스트리아의 대공 막시밀리안에게 도움과 결혼을 요청했다. 막시밀리안은 이를 수락했고, 두 사람은 1477년 8월 19일 겐트의 성 바보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4. 2. 막시밀리안과의 결혼

부르고뉴의 마리, 매를 든 채 말을 탄 모습, 1477년경


1477년 8월 19일, 마리는 겐트의 성 바보 교회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 막시밀리안과 결혼식을 올렸다. 이는 1477년 아버지 샤를 용담공이 낭시 전투에서 전사한 후, 프랑스의 루이 11세부르고뉴 공작령프랑슈콩테를 점령하고,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귀족들이 권력 확대를 꾀하며 마리에게 프랑스 왕세자 샤를과의 결혼을 강요하는 등 정치적 위기에 몰린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마리는 대 특허장에 서명하여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에 특권을 부여해야 했지만, 계모 요크의 마거릿의 조언에 따라 막시밀리안에게 결혼을 통한 구원을 요청했다.

막시밀리안은 결혼 당시 재정, 군사 기반이나 통치 경험이 없었지만, 그의 군사적 능력과 황제의 아들이라는 명성은 마리의 영토 안정에 기여했다.[23] 그는 군사 및 재정 문제에서 전쟁 노력을 주도하며 마리의 정치적, 군사적 입지를 강화했다.

그러나 당시 부르고뉴는 샤를 용담공 사후 많은 군 지휘관들이 프랑스로 망명하면서 지도부가 약화된 상태였다. 부르고뉴 공국의 상실은 프랑스어권 귀족 중심의 정부 체계를 무너뜨렸다.[27][24] 마리의 사촌이자 어린 시절 친구였던 클레브의 필리프는 1477년 총독으로 임명되어 막시밀리안의 부관 역할을 수행했다.[25][26] 부르고뉴 궁정은 과거 사치로 유명했으나, 샤를 용담공의 전쟁으로 재정이 고갈된 상태였다. 저지대 국가는 부유했지만, 신분 의회는 전쟁 자금 지원을 꺼렸고, 영토 상실과 규제로 정부 수입은 절반으로 줄었다.[27] 이로 인해 마리는 군대 유지를 위해 가보를 전당포에 맡겨야 했으며,[28] 프랑스에 맞선 전쟁 지원을 대가로 신분 의회의 특권 요구를 수용해야 했다. 한편, 마리는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강력한 크로이 가문을 왕가에 묶어두는 데 성공했다.[29]

마리는 프랑스에 빼앗긴 부르고뉴 공국을 되찾지는 못했지만, 나머지 영토는 지켜낼 수 있었다.[30][31] 1478년부터 1479년까지 막시밀리안은 프랑스를 상대로 르 케스누아, 콩데, 앙투앵 등을 탈환하는 군사 작전을 벌였다.[32] 1479년 8월 7일에는 기네게이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33] 그러나 승리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인들이 그의 세력 강화를 경계하거나 재정 부족 문제로 인해 군대를 해산해야 했다. 그는 또한 저지대 국가의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샤를 용담공처럼 가혹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으며, 훅-대구 전쟁에서는 대특권을 무시하고 대구파의 지배를 강화했다.[34] 샤를 용담공 시대의 주요 인물들이 사망하거나 망명하여 5년간 공백 상태였던 금모양모 기사단은 막시밀리안에 의해 새로운 군주 아래 재편되었다.[35]

결혼 생활 중에도 마리는 정치적 주도권을 유지했다. 그녀의 신하들은 외국인인 막시밀리안과 그의 군사적 야심을 의심했으며, 그가 부르고뉴 공국 탈환을 위해 전쟁을 계속하거나, 성공을 통해 샤를 용담공처럼 강력한 군주가 될 것을 두려워했다.[36][37] 필리프 드 코민에 따르면, 막시밀리안은 너무 어리고 국정 경험이 부족했다.[38] 마리와 마거릿은 그에게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를 가르치려 했으나 그는 배우는 데 소홀했다. 마리는 막시밀리안과 함께 여행하며 독일어를 사용하는 그와 신하들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했다.[39] 당대 작가인 후안 루이스 비베스에 따르면, 신하들이 정치적 문제로 그녀에게 접근하면 그녀는 남편에게 자문을 구했는데 "그의 의지를 법으로 간주"했지만, 항상 자신의 뜻대로 모든 것을 관리할 수 있었고, 온화한 남편인 막시밀리안은 결코 그녀의 뜻에 반대하지 않았다.[40] 그녀는 내정을 관리하고 부부가 수입을 늘려야 하는 모든 회의에 참석했다. 부르고뉴 주화는 막시밀리안이 아라곤의 페르디난드와 같은 동시대 왕족 남편이 아내의 재산에서 얻었던 공식적인 지위를 결코 부여받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분명히, 그녀는 군사 문제에서도 배우자에게 자신의 의지를 관철할 수 있었는데, 이는 그녀가 두 번이나 그렇게 하려고 시도한 경우에 나타난다. 한 경우, 막시밀리안이 ''바이스쿠니히'' 원고에서 묘사한 바에 따르면, 그의 고문들은 그가 전선에 집중된 더 강력한 프랑스군에 맞서 전쟁을 벌이는 것을 막으려 했지만, 그는 그것을 수행하기로 결심했다. 고문들은 마리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마리는 그에게 가도 좋지만 먼저 그녀에게 작별 인사를 하러 돌아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돌아왔을 때, 그녀는 그를 즉시 자신의 아파트에 가두었다. 오랜 협상 끝에 그는 대신 춤을 추기로 동의하고 풀려났다.[41] 그녀의 공식적인 이미지와 프레젠테이션에서 그녀는 활동적이고 지휘하는 통치자, 보통 말에 탄 채 매를 든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그녀는 아버지보다 더 평화로운 이미지를 채택했지만, 정당한 통치자로서의 그녀의 지위가 강조되었고, 반면에 막시밀리안은 갑옷을 입고 무장한 채 아내 뒤에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그의 후기 황제 재위 기간 동안 막시밀리안이 의뢰한 프로필 초상화와는 대조적인데, 그곳에서 그녀는 종종 수동적인 면으로 묘사되었다.[42]

정부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그녀는 공공 행사에, 특히 공공 경건함의 과시에 가장 집중했다.[43][44]

정략결혼이었음에도 두 사람의 부부 관계는 매우 다정했다고 전해지며, 함께 사냥을 즐기기도 했다. 슬하에 펠리페와 마르가리타 데 아우스트리아 두 자녀를 두었다(차남 프랑수아는 요절).

1481년 10월 20일, 얀 반 다디젤 살해 사건은 마리 통치 말기의 정치적 분열을 심화시켰다. 당시 막시밀리안과 그의 측근인 가스베크 영주 필립스 반 호른(1421-1488)이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었다.[46][47] 2023년, 헤머스와 반 드리엘이 발견한 ''겔더스 아르키프''에 보존된 프레데릭 반 호른이 쓴 편지는 반 호른이 살인을 저지른 인물임을 보여준다. 반 호른에 따르면 다디젤 살해 후 마리는 그에게 편지를 써서 다디젤이 그녀와 막시밀리안의 충실한 신하들을 자신의 판단에 따라 그가 선택한 사람들로 대체하려 한 악당이자 배신자이며, 그녀는 그 살해를 자신을 위한 복수로 간주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헤머스는 그녀가 실제로 다디젤을 죽일 준비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한다 (반 호른이 마리의 편지에 대해 정직하다면 - 당시 그는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고 사면을 받으려 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범인이 아니었다. 결국 마리는 프레데릭 반 호른을 사면하고 변호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나중에 막시밀리안에 대항한 플랑드르 반란 (1482–1492)으로 이어지는 데 기여했다.[48]

1482년 초, 프랑스의 침략이 일시적으로 저지되고 내부 평화가 어느 정도 회복되는 등 네덜란드의 정치 상황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45] 그러나 1482년 3월, 넷째 아이를 임신 중이던 마리는 낙마 사고로 유산하고 심각한 부상을 입어 3주 후 사망했다.[123] 그녀는 사망 전 필리페와 마르가리타를 상속인으로 지정하고, 필리페가 15세가 될 때까지 막시밀리안을 후견인으로 한다는 유언을 남겼으나, 그녀의 사후 부르고뉴는 다시 내란에 휩싸였다. 마리의 시신은 브뤼주의 성모 교회에 안장되었으며, 훗날 막시밀리안의 심장도 그녀의 무덤 곁에 묻혔다.

4. 3. 막시밀리안과의 공동 통치



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1477년 낭시 전투에서 전사한 후, 마리는 프랑스 루이 11세의 침공과 내부 귀족들의 압박에 직면했다. 프랑스 왕세자와의 강제 결혼을 거부한 마리는 계모 요크의 마거릿의 조언에 따라 아버지 대부터 약혼자였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 막시밀리안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막시밀리안은 이를 수락하여 1477년 8월 19일, 헨트의 성 바보 교회에서 마리와 결혼식을 올렸다.

정략결혼이었지만, 마리와 막시밀리안은 함께 사냥을 즐기는 등 매우 다정한 부부였다고 한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아들 펠리페 1세와 딸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가 태어났으며, 차남 프랑수아는 일찍 사망했다.

그러나 마리의 통치와 결혼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1482년 3월, 빈넨달 성 근처에서 클레베 공작 아돌프, 라벤슈타인 영주가 주최한 매 사냥에 참여했다가 낙마하는 사고를 당했다. 말이 마리 위로 넘어지면서 등뼈가 부러지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내부 장기 손상으로 인해 같은 해 3월 27일 사망했다. 당시 그녀는 셋째 아이를 임신 중이었다는 기록도 있다.[51] 마리는 처음에는 남편을 안심시키려 부상의 심각성을 숨겼으나, 상태가 악화되자 막시밀리안에게 자녀들과 영토의 안위를 부탁하는 유언을 남겼다.[52][53] 막시밀리안은 마리의 죽음에 깊이 슬퍼했으며, 궁정은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은기를 녹여 성대한 장례식을 치렀다.[54] 마리의 시신은 1482년 4월 3일 브뤼헤의 성모 교회에 안장되었고[123], 훗날 막시밀리안이 사망했을 때 그의 심장도 마리의 무덤 곁에 함께 묻혔다.

마리는 유언을 통해 자녀 필리프와 마르가레테를 상속자로 지정하고, 필리프가 성년이 될 때까지 남편 막시밀리안을 후견인으로 삼았다. 그러나 그녀의 사후 부르고뉴는 다시 혼란에 빠졌다.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적대 행위를 재개했고, 막시밀리안은 네덜란드 도시들의 반발 속에서 아라스 조약 (1482)을 체결할 수밖에 없었다. 이 조약으로 프랑슈콩테와 아르투아가 일시적으로 프랑스에 넘어갔으나, 1493년 생리스 조약을 통해 다시 회복되어 저지대 국가에 평화를 가져왔다. 마리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결혼은 결과적으로 프랑스에게 큰 부담이 되었으며, 부르고뉴 상속 문제는 이후 스페인 및 신성 로마 제국과의 오랜 갈등의 씨앗이 되었다.

1493년, 황제 프리드리히 3세가 사망하자 막시밀리안은 제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고, 네덜란드의 지배권은 아들 필리프에게 넘겨주었다. 이 시기까지 막시밀리안은 네덜란드 내 반란을 진압하고 강력한 중앙 집권적 통치 기반을 마련했다.

마리 드 부르고뉴의 짧은 통치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올가 카라스코바는 "부르고뉴의 메리는 통치자로서 그녀의 짧은 통치 기간은 그녀의 호전적인 아버지인 용담공 샤를과 그녀의 강력한 배우자인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사이에 끼여 연구자들에게 종종 소외되었기 때문에, 연구 주제로는 그다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다소 모호한 인물로, 경험이 부족하고 약한 공작 부인,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서 벌어진 거대한 정치 게임의 단순한 폰,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자신의 의지를 지시할 수 있었고 전기 작가들에게 칭찬받는, 자결적인 젊은 공주라는 두 가지 상반된 개념 사이 어딘가에 있는 이미지로, 메리는 부르고뉴 공국의 많은 출판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가장 가까운 친족의 그늘에 남아 있다."고 요약한다.[55]

2019년 네덜란드 정경에 포함되면서 그녀의 역할이 재조명되었다. 제임스 케네디가 이끄는 위원회는 "그녀의 합스부르크 결혼은 수세기 동안 네덜란드의 국제적 지위를 결정했다."고 설명했고, "그녀의 성격과 그녀의 정부의 관대함"은 비록 국가 원수의 대부분의 기능이 활발한 남편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부르고뉴 네덜란드의 핵심 지역의 단결"을 보존했다고 평가했다.[56][57] 역사학자 옐러 하머스는 그녀를 페미니스트 아이콘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58]

막시밀리안은 마리를 자신과 동등한 파트너로 묘사했으며[59][60], 저지대 국가 주민들이 마리에게 보낸 깊은 애정(종종 성모 마리아에 비견될 정도)은 그녀 사후의 혼란기에 막시밀리안과 그 자녀들, 그리고 중앙 정부에 큰 힘이 되었다.[61]

5. 죽음과 유산

넷째 아이를 임신 중이던 1482년 3월, 마리는 사냥 중 낙마 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로 유산하고 큰 부상을 입었으며, 결국 3주 후에 사망했다.[123]

죽음을 앞두고 마리는 유언장을 작성했다. 유언장에는 아들 펠리페 1세와 딸 마르가리타 데 아우스트리아를 공국의 상속인으로 지정하고, 펠리페가 15세가 될 때까지 남편 막시밀리안을 후견인으로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또한 가신들에게 남편 막시밀리안을 잘 섬겨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그녀의 유언은 지켜지지 않았고, 그녀의 사후 부르고뉴 공국은 다시 내란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마리의 시신은 브뤼주의 성모 교회에 안치되었다. 훗날 남편 막시밀리안이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심장만이 마리의 무덤 곁에 함께 묻혔다.

6. 예술과 대중문화 속의 마리

부르고뉴의 마리, 성 마들렌 전설의 장인(Maître de la Légende de sainte Madeleine)의 화가 그룹의 초상화, Château de Gaasbeek, c. 1530–40.

  • 파우스트 전설은 마리, 막시밀리안, 그리고 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마법사로 의심받았던 사제이자 수도원장이며 인문주의자인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1462–1516)를 둘러싼 이야기에 상당 부분 기반을 두고 있다. 트리테미우스는 1507년 기록을 통해 역사적 인물 파우스트 박사를 처음 언급한 인물이다. 그는 1506년과 1507년에 황제의 궁정에 소환되어 막시밀리안의 트로이 기원을 "증명"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마르틴 루터는 1569년판 《식탁 담화》에서 한 마법사(트리테미우스로 추정)가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다른 고대 영웅들, 그리고 황제의 죽은 아내인 부르고뉴의 마리를 불러내 막시밀리안을 즐겁게 했다고 기록했다.[62] 헤르만 빌켄의 필명인 아우구스틴 레르히마이어(1522–1603)는 1585년 기록에서 마리가 죽은 후 상심한 막시밀리안을 위로하기 위해 트리테미우스가 소환되었다고 적었다. 트리테미우스는 살아있을 때와 똑같은 모습의 마리 영혼을 불러냈고, 막시밀리안은 그녀 목에 자신만이 아는 점을 확인했다. 이 경험에 충격을 받은 그는 트리테미우스에게 다시는 그런 일을 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1587년 익명의 기록은 이 이야기를 덜 동정적인 시각으로 각색했다. 이 이야기에서는 황제가 카를 5세로 바뀌었고, 그는 흑마법의 위험을 알면서도 파우스트에게 알렉산더 대왕과 그의 아내를 죽음에서 불러내라고 명령했다. 카를은 그 여인에게서 자신이 들었던 점을 확인했다.[63] 이후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에서는 이 여인이 헬레네가 되었다.[64]



마리는 생전에 자신의 공식 이미지에 매와 말을 선호하는 상징으로 자주 사용했다. 앤 M. 로버츠는 매가 그녀의 지위와 기량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인장에 사용했던 검을 대체하는 것처럼 보였으며, 사냥꾼으로서의 그녀의 능력을 군사 지도자인 남편의 능력과 동등하게 여기는 것처럼 보였다고 지적한다. 또한 로버츠에 따르면, 남편 막시밀리안의 후기 통치 기간에 제작된 사후 초상화들은(그 수가 훨씬 많았다) 완전히 다른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막시밀리안은 마리를 젊고(개인적 특징은 줄이고, 엔닌, 자수 옷, 목걸이, 브로치 등 소지품으로만 식별 가능), 덕망 있고, 경건하며, 수동적인 신부로 묘사하는 프로필 초상화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그가 마리의 부를 소유하고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두 사람 사이의 낭만적인 사랑의 신화를 창조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66]

올가 카라스코바는 마리가 초상화에서 최고의 자리에 위치하고 그녀의 문장이 남편의 문장 위에 겹쳐지는 방식이 그녀 자신에 대한 생각과 동시대 사람들에게 보여지기를 원했던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한다. 막시밀리안은 후기 통치 기간 동안 다양한 정치적 목적을 위해 마리의 수많은 초상화를 의뢰했다. 카라스코바에 따르면 매 상징은 사라지지 않았고, 막시밀리안이 자신과 후손들의 상속권을 주장해야 할 때 다시 등장했다. 공개 초상화에서 매를 들고 있는 마리의 이미지는 카를 5세의 즉위식 때 다시 한번 나타났다. 막시밀리안은 또한 매를 들고 있는 필리프 1세와 카를 5세의 초상화를 의뢰하여 그들과 마리 사이의 연결을 강조했는데, 이는 동시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마리의 이미지를 활용해야 했기 때문이다. 《오스트리아 막시밀리안의 옛 기도서》(《l'Ancien livre de prières de Maximilien d'Autriche》, 1486, 비엔나, ÖNB, Cod. 1907, f. 61v)에는 마리, 필리프 1세, 막시밀리안을 상징하는 듯한 세 마리의 매가 묘사되어 있다. 마리는 필리프와 함께 있고 막시밀리안은 다른 새를 쫓고 있는데, 이는 상징적으로 아내와 자녀를 보호하는 모습으로 해석되며, 독일 독수리와 오스트리아 및 부르고뉴 가문의 문장이 결합된 모습 옆에 그려져 있다. 막시밀리안은 또한 이러한 사후 초상화에서 마리를 사실상 황후의 지위로 "승격"시키려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외르크 쾰데러가 막시밀리안의 영묘에 있는 마리의 조각상을 위해 만든 이미지는 그녀가 생전에 사용할 수 없었던 로마 왕 또는 신성 로마 황제로서의 남편의 상징을 통합한 문장을 보여준다.



황제의 개인적인 용도로 제작된 도상학(대중을 향한 정치적 선전 대신)도 있었는데, 이는 베른하르트 슈트리겔에 의해 그려졌다. 황후 스타일로 그의 황후, 여왕 에렌라이히, 영원한 동반자로 묘사된 마리는 창밖으로 매를, 가슴에는 사냥 장면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궁정의 사랑과 황제의 행복했던 시절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도상학은 베른하르트 슈트리겔의 이중 패널 《황제 막시밀리안과 그의 가족의 초상》(아래 언급)과도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막시밀리안 1세와 부르고뉴의 마리, 스테인드글라스, 브뤼헤의 성혈 대성당, 1480년에서 1490년 사이


《마리와 막시밀리안의 기도서》(베를린, SM, Kupferstichkabinett, Ms. 78 B 12, f. 220v.)에서 매와 사냥 장면은 정치적 중요성을 과시하기보다는 비극을 보여주는 데 사용되었다. 카라스코바는 공작 부인이 가장 좋아했던 묘사 방식과 그녀의 죽음 방식(낙마 사고)이 일치한다는 점이 삽화가와 의뢰인(이 경우 막시밀리안)에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정한다.[68] ZDF의 다큐멘터리 《Der letzte Ritter》에 따르면, 황제는 딸 마르가레트와의 대화에서 매의 울음소리를 "인생에서 가장 암울한 날"과 연관시켰다고 한다(그럼에도 그는 열정적인 매사냥꾼으로 남았다. 그의 영묘에는 마리와 그의 조각상도 있는데, 마리의 할아버지 선량공 필립의 벨트에는 남성 및 여성 매사냥꾼의 이미지가 묘사되어 있다).[60][69]

베른하르트 슈트리겔의 《황제 막시밀리안과 그의 가족의 초상》


카라스코바는 로버츠가 막시밀리안의 선호에 따른 산물이라고 본 프로필 초상화(마리를 젊고 부유하게 묘사하는)가 실제로는 마리 생전에도 존재했고 복제되었으며, 이는 그녀를 조상, 특히 비슷한 프로필 초상화를 가졌던 용담공 필립과 연결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한다. 1494년 비앙카 마리아와 결혼한 후, 막시밀리안은 자신을 두 아내와 함께 묘사하기도 했다. 특히 가계도 묘사(1497년 의뢰된 것과 10년 후의 것)에서 두드러진 경향이 나타났는데, 표면적으로는 단결된 모습이었지만 막시밀리안은 비앙카에게 등을 돌리고 그의 아이들의 어머니인 마리를 바라보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운터홀츠너는 막시밀리안이 매우 위험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항상 상속 정치 측면에서 첫 번째 결혼의 자녀들에게 집중했다고 언급했다. 나중에 그의 유일한 (적법한) 자녀의 어머니로서 부르고뉴의 마리는 더욱 중요해졌다).[70]

얀 모스타르트의 이중 패널의 오른쪽 날개 - 부르고뉴의 마리


나중에 그녀의 자녀 필리프와 마르가레트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공작 부인의 이미지가 아닌, 논쟁의 여지가 없는 공작들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통치를 공고히 하려 했지만(공공장소에 전시), 이것이 그녀에 대한 감정적인 부인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1520년 얀 모스타르트가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 의뢰한 유명한 이중 패널이 이를 보여준다. 그러나 카를 5세는 아버지 쪽 조상, 특히 막시밀리안과 마리를 자신의 가문의 진정한 조상으로 묘사했다. 매도 다시 등장했고 부르고뉴 공작 부인으로서의 마리의 역할도 강조되었다.

클라라 키서의 《카를 5세의 신격화》: 카를 5세와 그의 가계도, 그의 두 아버지 쪽 조상이 헤라클레스의 기둥 위에 서 있다. 필리프 1세로 이어지는 가지는 어머니 쪽에서도 온다.

  • 《Theuerdank》, 《Freydal》, 기사 소설 《Weisskunig》과 같은 대규모 자전적 작품(막시밀리안이 의뢰했으며, 그가 주요 작가였을 가능성이 높음[71])은 마리와 막시밀리안의 사랑과 결혼에 대한 찬사였다. 《Theuerdank》에서 여왕 에렌라이히(명예로운 자)로서 마리는 기사 토이얼단크(고귀한 생각, 막시밀리안의 또 다른 자아)에게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라고 촉구했다.[72]


마리는 살아있는 동안에도 성모 마리아와 연관된 숭배의 중심이 되었다. 당시 젊은 여성을 성모와 연관시키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었지만, 이름이 비슷했기 때문에 마리의 경우는 더욱 쉬웠고 주목받았다. 그녀가 죽은 후 막시밀리안과 그녀의 부르고뉴 신민들은 이 숭배에 많은 예술 작품과 선전을 쏟아부었다.

Folio 14v: 교회의 성모와 부르고뉴의 마리가 경건하게 기도하는 모습

  • 부르고뉴의 마리의 시간서(1477)는 그녀를 위해 의뢰되었으며(처음에는 계모 요크의 마가렛에 의해, 이후에는 아내와 아들을 성모와 예수의 이미지로 기념하기 시작한 남편 막시밀리안에 의해[73]), 성모의 중요한 역할을 보여준다.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는 마리가 창가에 앉아 자신과 시녀들이 성모와 아기 예수 앞에서 무릎 꿇고 있는 신비로운 환상을 보거나 상상하는 모습이다. 여기서 성모는 책의 중첩된 경건함과 묵주 기도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73] 이것은 또한 부르고뉴의 마리와 성모 마리아를 연관시킨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 나탈리 해리스 블루스톤은 이러한 연관성이 그녀 생전에 시작되었지만 다른 사람들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한다.[74] 글렌 버거는 "부르고뉴의 육체적 마리를 그녀의 상상 속 헌신적 자아 및 영적 상대인 성모 마리아와 함께 배치함으로써, 우리는 현실에서 벗어나 이념적으로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시간적, 공간적 관계를 안정시키는 목적론적 독해 방식으로 이동한다"고 언급한다.[75][76] 마리와 막시밀리안의 묘사에서 여러 번 나타나는 개의 모티프는 그녀의 석관 일부 또는 막시밀리안의 첫 기도서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노아 투렐은 마리와 그녀의 계모 요크의 마가렛이 마가렛을 성 안나로, 마리를 성모로 묘사하는 궁정의 "경건의 극장"에 기꺼이 참여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그들의 행동과 필리프 1세의 세례 관련 원고에 그들을 삽입한 것에서 증명된다는 것이다(모계 상속을 통한 영토 계승 주장은 그를 아기 예수로 묘사하기도 하는 이 연관성을 통해 강화될 수 있었다).[77] 투렐은 연대기 작가 올리비에 드 라 마르슈가 이 중요한 사건을 간략하게만 기록한 이유가 그가 '수석 집사'로서 세례 당시 막시밀리안과 함께 전장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 장 몰리네의 《처녀의 난파》(1477)에서 '처녀'는 성모 마리아와 부르고뉴의 마리를 모두 상징하는 알레고리였다. 아버지가 죽자 처녀는 프랑스를 상징하는 고래와 다른 바다 괴물들의 공격을 받는 배를 지휘하게 된다. 그녀의 동반자 '쾨르 레알'은 세미라미스, 제노비아, 아르테미시아 1세, 잔 다르크와 같은 여전사들의 예를 들어 그녀를 위로하지만, 고통에 대한 수동적 저항을 통해 역경을 극복한 장 와케린의 《마네킨》 이야기를 강조한다. 여기서 수동적 저항은 긍정적으로 묘사되는데, 몰리네는 이를 부르고뉴를 파멸로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샤를 용담공과 자주 대조되는 선량공 필립의 안정된 시대와 연결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독수리(막시밀리안의 상징)가 나타나 배를 구한다.[79][80] 몰리네가 그들을 이교도 신으로 묘사한 《수심 없는 베르제》(1485)에서는 마리를 루나(달, 다이아나), 막시밀리안을 아폴론, 포에부스, 티탄 또는 일리온의 왕, 필리프를 주피터, 오스트리아의 마가레트를 비너스, 프랑스 왕을 , 영국 왕을 넵튠으로 묘사했다.[81][82]


성모와 독수리 모티프는 막시밀리안이 안트베르펜에 "기쁜 입성"(1478)을 할 때도 다시 등장했다. 도시는 그에게 독수리가 처녀에게 자신의 피를 바치는 모습이 묘사된 타블로를 선물했다. 안트베르펜과 부르고뉴의 상징 역시 처녀였고, 독수리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상징이었다. 안트베르펜(나중에 막시밀리안의 혼란스러운 섭정 기간 동안 그의 충실한 동맹이 됨) 공동체는 막시밀리안을 구세주로 환영하면서도, 그의 권력의 한계와 마리와 함께 통치자로서의 책임을 미묘하게 상기시키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83]

  • 알브레히트 뒤러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로사리오의 축제에서 성모 마리아(부르고뉴의 마리를 표현)는 아기 예수(펠리페 1세를 표현)를 안고 있으며, 무릎 꿇은 막시밀리안의 머리에 묵주를 올려놓고 있다. 로사리오 형제단이 1475년 쾰른에서 설립되었을 때 막시밀리안과 그의 아버지 프리드리히 3세가 참석했으며 초기 회원이었다. 이미 1478년, 부르고뉴 궁정 연대기 작가 몰리네는 《여인의 작은 모자》에서 상징적인 묵주를 부르고뉴의 마리 머리 위에 올려놓았다.[87] 마찬가지로 1518년, 황제 자신이 죽기 1년 전, 비엔나의 주교 슬라트코냐의 의뢰로 뒤러는 《성모의 죽음》을 그렸는데, 이는 막시밀리안, 스페인의 필리프, 슬라트코냐, 그리고 다른 유명 인사들이 침대 주위에 있는 부르고뉴의 마리의 임종 장면이기도 했다. 필리프는 젊은 성 요한으로, 막시밀리안은 고개를 숙인 사도 중 한 명으로 묘사되었다. 이 작품은 1822년 프리즈 컬렉션 판매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88][89]
  • 베른하르트 슈트리겔이 그린 막시밀리안의 확대된 가족의 유명한 이중 패널(1515년 이후)은 부르고뉴의 마리를 "성모 마리아의 자매로 여겨지는 마리아 클레오파"라고 칭했고, 막시밀리안은 요셉의 형제인 클레오파라고 칭했다.[90] 이 그림은 아마도 1516년의 이중 결혼(합스부르크 가문과 헝가리 가문 사이)을 기념하기 위해 의뢰되었고, 그 후 학자 요하네스 쿠스피니안에게 황제의 호의의 표시로 유증되었다(그것은 그의 가족 제단의 일부가 될 것이다).[91]
  • 알라미르 필사본 VatS 160는 교향곡집으로 부르고뉴-합스부르크 가문의 일원 또는 막시밀리안과 가까운 사람에 의해 교황 레오 10세에게 선물로 보내졌으며, 성모 마리아와 부르고뉴의 마리의 연결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예) 작곡가 야코프 오브레흐트 (d.1505)의 작품 《미사 아베 레지나 첼로룸》은 성모 마리아와 부르고뉴의 마리에 대한 찬사이다. 여기서 마리는 황제 막시밀리안의 죽은 하늘의 어머니, 친구, 여왕이 되었다.
  • 절세 미녀로도 알려져 있다.
  • 이 시대의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운동을 좋아했다. 사냥, 승마, 스케이트를 즐겼다고 한다. 그러나 그 승마를 좋아한 것이 말 그대로의 치명적인 결과가 되었다.
  • 듀셰스 드 부르고뉴(Duchesse de Bourgogne, 듀셰스 드 부르고뉴 또는 드셰스 드 부르고뉴로도 불림)는 벨기에 맥주의 한 종류이다. 프랑스어로 '부르고뉴 여공작'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적갈색을 띠며, 단맛과 가벼운 산미가 있어 상쾌한 맛을 낸다. 라벨에는 마리의 초상화가 인쇄되어 있다.

7. 자녀

마리는 막시밀리안 대공과의 사이에서 1남 1녀, 총 2명의 자녀를 낳았다.

8. 가계도

마리는 막시밀리안 대공과의 사이에서 3명의 자녀를 낳았다.


  • 펠리페 1세 (1478년 7월 22일 – 1506년 9월 25일): '미남왕'으로 불렸으며, 어머니의 뒤를 이어 부르고뉴 공작 펠리페 4세가 되었다. 후아나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국왕 펠리페 1세가 되었다.
  • 마르가레테 (1480년 1월 10일 – 1530년 12월 1일): 처음에는 아라곤 국왕 페르난도 2세와 카스티야 여왕 이사벨 1세의 아들인 후안과 결혼했고, 사별 후 사보이아 공작 필리베르토 2세와 재혼했다.
  • 프란츠 (또는 프랑수아) (1481년 9월 2일 – 1481년 12월 26일)[119][120]


마리의 초상, 브뤼헤 성모 교회


마리의 아들 펠리페는 아버지 막시밀리안의 후견 하에 그녀의 영지를 계승했다.

마리 드 부르고뉴 여공작의 가계
마리아버지:
샤를 (용담공)
친할아버지:
필리프 (선량공)
증조할아버지:
장 (용맹공)
증조할머니:
마르그리트
친할머니:
이자벨
증조할아버지:
주앙 1세
증조할머니:
필리파
어머니:
이자벨
외할아버지:
샤를 1세
증조할아버지:
장 1세
증조할머니:
마리
외할머니:
아녜스
증조할아버지:
장 (용맹공)마르그리트



: 의 결혼은 캉브레 이중 결혼 중 한 쌍(다른 한 쌍은 의 여동생과 의 남동생)으로, 부르고뉴 공국 확장의 근거가 되었다.

:의 오빠는 포르투갈 왕 두아르테 1세와 항해왕자 엔히크이다.

9. 작위

마리는 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사망한 1477년 1월 5일부터 자신이 사망한 1482년 3월 27일까지 다음의 작위들을 보유했다.

참조

[1] 서적 Charles V, Holy Roman Emperor https://books.google[...] F. Watts 1970
[2] 서적 The Parliaments of Early Modern Europe: 1400 - 17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06
[3] 서적 The Good King: René of Anjou and Fifteenth Century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08-10-31
[4] 서적 Elizabeth Woodville - A Life: The Real Story of the 'White Queen'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13-04-15
[5] 서적 The Yorkist Kings and the Wars of the Roses: Part One: Edward IV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2014-07-23
[6] 서적 The Golden Mean of Languages: Forging Dutch and French in the Early Modern Low Countries (1540–1620) https://books.google[...] BRILL 2019-09-02
[7] 서적 A Century of Dutch Manuscript illumin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8-04-14
[8] 서적 Reformation in the Low Countries, 1500-16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6-09
[9] 서적 Les sources de l'histoire de France des origines aux guerres d'Italie (1494).: Introduction generale Les Valois (suite) Louis XI et Charles VIII (1461-1494) https://books.google[...] B. Franklin 1904
[10] 서적 The Valois: Kings of France 1328-1589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7-04-01
[11] 서적 Philippe de Commynes: Memory, Betrayal, Tex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3-03-22
[12] 서적 Women in World History: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Yorkin Publications 1999
[13] 서적 Maximilian I.: Kaiser, Künstler, Kämpfer https://books.google[...] Amalthea 2002
[14] 웹사이트 Mary, Duchess of Burgundy https://www.medieval[...] 2014-01-17
[15] 서적 Die Grabstätten der Habsburger: Kunstdenkmäler einer europäischen Dynastie https://books.google[...] Brandstätter 2007
[16] 서적 The Companion Guide to Burgundy https://books.google[...] Collins 1975
[17] 서적 The Companion Guide to Burgundy https://books.google[...] Collins 1975
[18] 서적 Maria von Burgund: des Hauses Habsburg Kronjuwel https://books.google[...] Seewald 1982
[19] 간행물 Books in Transition at the Time of Philip the Fair: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 the Late Fifteenth and Early Sixteenth Century Low Countries https://books.google[...] Brepols 2010
[20] 서적 For the Common Good: State Power and Urban Revolts in the Reign of Mary of Burgundy, (1477-1482) https://books.google[...] Isd 2009
[21] 서적 Medieval History, Volume 4 https://books.google[...] Headstart History 1994
[22] 서적 The Richest Man Who Ever Lived: The Life and Times of Jacob Fugge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5-08-04
[23] 서적 For the Common Good: State Power and Urban Revolts in the Reign of Mary of Burgundy, (1477-1482) https://books.google[...] Isd 2009
[24] 서적 Charles the Bold: The Last Valois Duke of Burgundy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2
[25] 서적 Philips Van Kleef, een Bijdrage tot de kennis van zijn leven en karakter, academisch proefschrift J.B. Wolters' uitgevers-maatschappij 1937
[26] 서적 Neptune and the Netherlands: State, Economy, and War at Sea in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LL 2004-01-01
[27] 논문 Amable Sablon du Corail, La Guerre, le prince et ses sujets. Les finances des Pays-Bas bourguignons sous Marie de Bourgogne et Maximilien d'Autriche (1477-1493), Turnhout, Brepols, 2019, 632 p., ISBN 978-2-503-58098-2 https://www.cairn.in[...] 2021
[28] 서적 The Growth of the Antwerp Market and the European Economy: Fourteenth-Six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6-29
[29] 논문 14. The House of Croÿ and Mary of Burgundy. Or How to Keep Noble Elites at the Burgundian-Habsburg Court (1477-1482) https://www.mwpweb.e[...] 2021-01
[30] 서적 Vanished Kingdoms: The History of Half-Forgotten Europ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11-10-27
[31] 서적 Punished and corrected as an example to all: On the treatment of rebellious nobles during and after the Flemish Revolts (1482-1492) https://studentthese[...] Leiden University 2014
[32] 서적 Medieval History, Volume 4 https://books.google[...] Headstart History 1994
[33] 문서
[34] 서적 The Promised Lands: The Low Countries Under Burgundian Rule, 1369-153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9
[35] 서적 The Rise of Female Kings in Europe, 13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2-01-24
[36] 서적 Emperor Charles V, Impresario of War: Campaign Strategy, International Finance, and Domestic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11-14
[37] 서적 The Story of the Greatest Nations: A Comprehensive History, Extending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Founded on the Most Modern Authorities, and Including Chronological Summaries and Pronouncing Vocabularies for Each Nation; and the World's Famous Events, Told in a Series of Brief Sketches Forming a Single Continuous Story of History and Illumined by a Complete Series of Notable Illustrations from the Great Historic Paintings of All Lands https://books.google[...] Niglutsch 1914
[38] 서적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1-13
[39] 서적 Flanders in Creative Contrasts https://books.google[...] Davidsfonds 1990
[40] 서적 Habsburg female regents in the early 16th century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1970
[41] 서적 Marie de Bourgogne et le Grand Héritage : l'iconographie princière face aux défis d'un pouvoir en transition (1477-1530), Volume 1 https://www.academia[...] Université Lille Nord de France, Université Charles-de-Gaulle – Lille 3, École doctorale Sciences de l'Homme et de la Société, Centre des recherches IRHiS – UMR 8529, 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Musée de l'Ermitage 2014
[42] 간행물 Excavating the Medieval Image: Manuscripts, Artists, Audiences: Essays in Honor of Sandra Hindm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1-30
[43] 서적 The Hours of Mary of Burgundy: Codex Vindobonensis 1857, Vienna,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https://books.google[...] Harvey Miller 1995
[44] 뉴스 Maria van Bourgondië https://www.brabants[...] 2020-09-01
[45] 문서 Mary, duchess of Burgundy
[46] 서적 Margaret of York: The Diabolical Duchess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09-06-15
[47] 서적 The Court as a Stage: England and the Low Countries in the Later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6
[48] 웹사이트 Cold case na 542 jaar opgelost, dankzij ontdekking in het Gelders Archief - Gelders Archief https://www.geldersa[...] 2023-07-19
[49] 뉴스 Oostenrijkse ambassadeur bezoekt tentoonstelling in Hof van Busleyden https://www.nieuwsbl[...] 2022-01-12
[50] 뉴스 Mechels Museum Hof van Busleyden verwelkomt ene hoge bezoeker na de andere https://www.nieuwsbl[...] 2022-01-26
[51] 서적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 Female Rulers in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2-10-17
[52] 서적 Marullus https://books.google[...] Duckworth 1989
[53] 서적 Memoirs of Mary, the Young Duchess of Burgundy, and Her Contemporaries https://books.google[...] R. Bentley 1853
[54] 서적 De strijd om het regentschap over Filips de Schone : opstand, facties en geweld in Brugge, Gent en Ieper (1482-1488) https://libstore.uge[...] 2014
[55] 간행물 Authority and Gender in Medieval and Renaissance Chronicl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2-12-18
[56] 뉴스 Waarom behoort Maria van Bourgondië nu tot de Canon van Nederland? https://www.groene.n[...] 2020
[57] 웹사이트 Mary of Burgundy https://www.canonvan[...] 2022-03-22
[58] 뉴스 Lady Di zonder de paparazzi: 'Maak van Maria Van Bourgondië vooral geen feministisch icoon' https://www.knack.be[...] 2019-08-20
[59] 서적 Maximilian I.: die Fundamente des habsburgischen Weltreiches https://books.google[...] Verlag für Geschichte und Politik 1991
[60] episode Maximilian - Der letzte Ritter https://www.youtube.[...] 2017
[61] 서적 Networks, Regions and Nations: Shaping Identities in the Low Countries, 1300-1650 https://books.google[...] BRILL 2010
[62] 서적 Trithemius and Magical Theology: A Chapter in the Controversy over Occult Studies in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9
[63] 서적 Faustus on Trial: The Origins of Johann Spies's 'Historia' in an Age of Witch Hunting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
[64] 서적 The Legendary Character of Kaiser Maximilia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1
[65] 서적 Marie de Bourgogne et le Grand Héritage : l'iconographie princière face aux défis d'un pouvoir en transition (1477-1530), Volume 1 https://www.academia[...] Université Lille Nord de France, Université Charles-de-Gaulle – Lille 3, École doctorale Sciences de l'Homme et de la Société, Centre des recherches IRHiS – UMR 8529, 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Musée de l'Ermitage 2014
[66] 서적 Women and Portraits in Early Modern Europe: Gender, Agency, Ident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2-05
[67] 서적 Mixed Metaphors: The Danse Macabr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1-05-01
[68] 서적 The Ends of the Body: Identity and Community in Medieval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3-01-29
[69] 서적 Kulturgut: FALKNEREI. Bewerbung zur Eintragung in die nationale Liste des Immateriellen Kulturerbes gemäß UNESCO Konvention MISC/2003/CLT/CH14 https://www.unesco.a[...] UNESCO 2003
[70] 서적 Bianca Maria Sforza (1472-1510) : herrschaftliche Handlungsspielräume einer Königin vor dem Hintergrund von Hof, Familie und Dynastie https://diglib.uibk.[...] Leopold-Franzens-Universität Innsbruck 2015
[7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Germ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6-12
[72] 서적 The Habsburgs: The Rise and Fall of a World Power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20-05-12
[73] 서적 The Virgin Mary's Book at the Annunciation: Reading, Interpretation, and Devotion in Medieval England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20
[74] 서적 Double Vision: Perspectives on Gender and the Visual Arts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995
[75] 서적 Conduct Becoming: Good Wives and Husbands in the Later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8
[76] 간행물 "Imaige a la Vierge Marie"; The Hours of Mary of Burgundy, Her Marriage, and Her Painter, Hugo van der Goes https://www.academia[...] 2020
[77] 서적 Authority and Gender in Medieval and Renaissance Chronicles https://www.academi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2-12-18
[78] 서적 Berichte und Mittheilungen des Alterthums-Vereines zu Wien https://books.google[...] In Commission der Buchhandlung Prandel und Meyer 1890
[79] 서적 Technique and Technology: Script, Print, and Poetics in France, 1470-1550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00
[80] 간행물 A consolatory allusion in Jean Molinet's le naufrage de la pucelle (1477) 2006
[81] 서적 Medien Der Symbolik in Spätmittelalter und Früher Neuzeit https://books.google[...] P. Lang 2005
[82] 서적 Die Allegorie im Werk von Jean Lemaire de Belges https://books.google[...] Librairie Droz 1976
[83] 간행물 The 'joyous entry' of Archduke Maximilian into Antwerp (13 January 1478): an analysis of a 'most elegant and dignified' dialogue 2018
[84] 서적 Rubens: A Genius at Work : the Works of Peter Paul Rubens in the Royal Museums of Fine Arts of Belgium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Lannoo Uitgeverij 2007
[85] 서적 The Decorations for the Pompa Introitus Ferdinandi https://books.google[...] Phaidon 1972
[86] 서적 Marie de Bourgogne et le Grand Héritage : l'iconographie princière face aux défis d'un pouvoir en transition (1477-1530), Volume 2 https://www.academia[...] Université Lille Nord de France, Université Charles-de-Gaulle – Lille 3, École doctorale Sciences de l'Homme et de la Société, Centre des recherches IRHiS – UMR 8529, Institut de Recherches Historiques du Septentrion, Musée de l'Ermitage 2014b
[87] 간행물 Many Paths Must a Choirbook Tread Before it Reaches the Pope? https://www.brepolso[...] 2019
[88]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Albrecht Dürer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6
[89] 서적 Legends of the Madonna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1898
[90] 서적 The Cult of St. Ann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
[91] 서적 Art and Interreligious Dialogue: Six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5
[92] 서적 The Secret History in Literature, 1660-18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3-24
[93] 서적 The Historical Imagination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and the Low Countries https://brill.com/di[...] 2013-01-01
[94] 서적 Victorian Novel Before Victoria: British Fiction During The Reign Of William Iv 1830-37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1-03
[95] 서적 Bulletin https://books.google[...] 1895
[96] 서적 Maria von Burgund: Lustspiel in 1 Aufzuge https://books.google[...] Druck von C. Wolf & Sohn 1853
[97] 서적 Maria von Burgund: Schauspiel in fünf Aufzügen https://books.google[...] Sauerländer 1860
[98] 서적 Hieronymus Rides: Episodes in the Life of a Knight and Jester at the Court of Maximilian, King of the Romans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mpany, Limited 1912
[99] 서적 The Bellman https://books.google[...] 1912
[100] 서적 Das Steiermärkische Landesmuseum Joanneum und seine Sammlungen: mit zustimmung des Steuermärkischen Landes-Ausschusses zur 100 Jährigen Grundungsfeier des Joanneums hrsg. vom Kuratorium des Landesmuseums https://books.google[...] Ulrich Mosers Buchhandlung (I. Meyerhoff) k.u.k. Hofbuchhändler 1911
[101] 서적 Bryan's Dictionary of Painters and Engravers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04
[102] 서적 Landmark Visitors Guide Bruges: Belgium https://books.google[...] Hunter Publishing, Inc 2002
[103] 웹사이트 Kościoły https://en.belgiazwi[...]
[104] 서적 Marie de Bourgogne: la princesse aux chaînes https://books.google[...] Nouvelles Editions Latines 1994
[105] 서적 Le roman historique: guide de lecture https://books.google[...] Le Préambule 1987
[106] 서적 Early Modern Women in the Low Countries: Feminizing Sourc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5-13
[107] 웹사이트 Being Maximilian https://dramaquarter[...] 2017-01-12
[108] 웹사이트 Musical "Maximilian – ein wahrer Ritter" https://maximilian20[...] 2022-01-26
[109] 웹사이트 Eigenproduktion: Der Kaiser auf der Neukloster-Bühne https://www.noen.at/[...] 2019-02-01
[110] 웹사이트 Secrets d'Histoire - Marie de Bourgogne : seule contre tous http://www.francetvp[...] 2021-11-08
[111] 서적 Le Spectacle du monde/réalités https://books.google[...] Compagnie française de Journaux 2001
[112] 웹사이트 De la Maison J. Calvet & Co à la Porte Marie de Bourgogne https://www.beaune.f[...] 2021-11-22
[113] 뉴스 Streetartkunstenaar Stan Slabbinck wekt vier Brugse zotten tot leven vlak bij 't Zand https://kw.be/nieuws[...] 2019-04-25
[114] 서적 Triennial Bruges 2021 https://cdn.uc.asset[...] Triennale de Bruges 2021
[115] 웹사이트 JamzJamezon https://www.streetar[...] 2022-01-29
[116] 서적 Flemish Symphonic Music Since 1950: Historical Overview, Discussion of Selected Works and Inventory https://books.google[...] Matrix, New Music Documentation Centre 2006
[117] 서적 Miroir de Marie Bourgogne ! le Cycle de la Maison de Valois. Le Cri editions 2021
[118] 뉴스 Nieuw standbeeld 'De val van het paard' in Jabbeke: geïnspireerd op fatale val hertogin Maria Van Bourgondië https://www.vrt.be/v[...] 2022-05-08
[119] 서적 The Life and Reign of Edward the Fourth (Vol 2): King of England and of France and Lord of Irela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4-23
[120] 서적 Maximilian I (1459-1519): An Analytic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6-26
[121] 문서 Mary duchess of Burgundy https://www.britanni[...]
[122] 웹사이트 世界の観光地名がわかる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2
[123] 서적 ベルギー・フランダース 中世ヨーロッパ史の縮図 日経BP企画
[124]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25]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26]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27] 서적 대항해 시대의 탄생 시공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