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요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요도는 혼슈의 세토 내해 연안 지역을 가리키는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효고현 서부에서 야마구치현에 이르는 지역을 포함한다. 율령제 시대의 칠도 중 하나로, 야마토 조정과 규슈의 다자이후를 잇는 중요한 간선 도로였다. 고대에는 외교 사절의 입경로로 중요시되었으며, 중세에는 숙역이 발달하고, 근세에는 가도가 정비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국도, 철도, 고속도로의 주요 노선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킨키 지방과 규슈를 잇는 역할을 한다. 20세기 동안 인구 증가를 보였으나, 21세기 초부터는 인구 감소 추세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2호선 (일본) - 간몬 국도 터널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와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모지구를 잇는 간몬 국도 터널은 1958년 개통된 해저 터널로, 차도와 함께 혼슈와 규슈를 도보로 연결하는 인도 터널이 별도로 건설되어 지역 교통과 관광에 기여하고 있다.
  • 주고쿠 지방의 지리 - 세토우치 공업지역
    세토우치 공업지역은 세토 내해를 따라 발달한 일본의 주요 공업 지역으로, 수운과 연안 매립의 용이성을 바탕으로 중화학 공업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조선, 섬유, 석유 화학, 제철 등의 산업이 발달해 있다.
  • 주고쿠 지방의 지리 - 산인도
    산인도는 일본 혼슈 동해 쪽 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오기칠도 중 하나이며, 단바국, 단고국, 다지마국, 인바국, 호키국, 이즈모국, 이와미국, 오키국 등의 구니가 설치되었고 율령제 하에서 기나이와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였으며, 에도 시대 산인 가도가 설치되었고 현재는 국도 9호선, 산인 본선, 산인 자동차도 등이 주요 교통망이다.
  • 오카야마현의 도로 - 국도 제2호선 (일본)
    국도 제2호선은 오사카에서 기타큐슈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675km의 일본 국도로,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고대 산요도로의 역사를 잇고, 고속도로와 병행하는 구간이 있으며, 혼슈와 규슈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오카야마현의 도로 - 국도 제180호선 (일본)
    국도 제180호선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를 기점으로 시마네현 마쓰에시를 종점으로 하는 총 연장 177.2km의 일반 국도로,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다른 국도 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 있고 교통 흐름 개선을 위한 바이패스가 건설되었다.
산요도
지리 정보
개요
정의주코쿠 지방의 세토 내해 쪽을 가리키는 옛 이름
지역 구분주고쿠 지방의 남쪽, 세토 내해에 면한 지역
역사적 의미고대부터 중세에 걸쳐 주요 도로였던 산요도가 지나간 지역
도로 정보
고대 도로산요도
현대 도로산요 자동차도 (산요도와 유사한 경로)
행정 구역
고대고키시치도의 일부
현대주코쿠 지방의 남쪽 해안 지역
명칭
한국어산요도
한자 표기山陽道
관련 링크
위키백과영어 위키백과
일본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

2. 행정 구역

산요도


율령에 규정된 행정 구획은 당시 "오기칠도(五畿七道)"라고 불렸듯이, 중앙의 오기(五畿)와 지방인 칠도(七道)로 구성되어 있었다. 산요도(山陽道)는 그 "오기칠도" 중 하나로, 혼슈(本州)의 세토 내해(瀬戸内海) 쪽을 가리키며, 기나이(畿内)의 서쪽에 위치하여 현재의 효고현(兵庫県) 서부에서 야마구치현(山口県)에 이르는 세토 내해 연안을 총칭했다.[5][6] 이를 총괄하는 관청은 원칙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기본적으로 구획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산요도에 속한 구니는 다음과 같다.

2. 1. 구니 목록

구니 이름원어 표기비고
하리마국播磨国|하리마 국일본어
미마사카국美作国|미마사카 국일본어713년 비젠국에서 분리
비젠국備前国|비젠 국일본어
빗추국備中国|빗추 국일본어
빈고국備後国|빈고 국일본어
아키국安芸国|아키 국일본어
스오국周防国|스오 국일본어
나가토국長門国|나가토 국일본어


2. 2. 변천

701년 다이호 율령 제정 이후 산요도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시기사건관련 지역현재 행정구역
7세기 이전침간국(針間国) 설치하리마국(播磨国)효고현(兵庫県) 남서부
7세기 이전아키국(阿岐国) 설치아키국(安芸国)히로시마현(広島県) 서부
7세기 이전스오국(周防国) 설치스오국(周防国)야마구치현(山口県) 남서부
7세기 이전아나몬국(穴門国) 설치나가토국(長門国)야마구치현(山口県) 서부
689년기비국(吉備国)[9] 분할비젠국(備前国), 비추국(備中国), 비고국(備後国)오카야마현(岡山県), 히로시마현(広島県) 동부
701년다이호 율령 제정하리마국(播磨国), 비젠국(備前国), 비추국(備中国), 비고국(備後国), 아키국(安芸国), 스오국(周防国), 나가토국(長門国) 확정효고현(兵庫県) 남서부, 오카야마현(岡山県), 히로시마현(広島県), 야마구치현(山口県)
713년 (와도(和銅) 6년)비젠국(備前国)에서 미사키국(美作国) 분할미사키국(美作国)오카야마현(岡山県) 동북부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3. 도로

산요도는 시대에 따라 그 역할과 경로가 변천해왔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역로는 사라졌지만, 육상 교통은 유지되었다. 역가(駅家) 대신 숙역이라는 교통 요충지에 숙박 시설과 운송을 위한 인력과 말을 갖춘 마을이 발달하였다. 이러한 숙역들은 에도 시대에 이르러 숙장 마을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시대의 산요도는 진제탐제부가 있던 하카타와 육파라탐제가 설치되었던 교토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였으며, 막부의 긴급 연락 시에는 조마(早馬)가 사용되었다.[1]

원나라의 침입, 즉 몽골 침략(원구)은 산요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 분영의 역(1274년) 당시, 조마를 이용한 몽골 침입 첫 보고는 하카타와 교토 사이를 약 9일 만에 전달되었고, 다른 급한 소식은 16일 정도 걸렸다.[2] 이는 고대 율령 시대의 飛驛|비역일본어을 통한 통신에 비해 매우 느린 속도였다.[3] 홍안의 역(1281년) 때는 하카타와 교토 사이를 6~7일 만에 소식을 전달했는데, 이는 가마쿠라 막부가 운송 체계를 개선했기 때문으로 보인다.[4] 몽골의 침입이 산요도 정비와 개선에 영향을 주었다는 견해도 있다.[4]

산요도는 점차 직선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정비가 용이한 자연 지형을 활용하는 경로로 바뀌었다. 재해 복구, 고개 우회, 하천 도하 지점 변경, 주요 마을 간 연결 등이 노선 변경의 주된 이유였다. 해안선 후퇴로 인해 세토나이카이 연안을 따라가는 경로가 선호되기도 했다.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는 지방 영주들이 도로 정비를 담당하면서, 성하 마을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동서를 잇는 단거리 노선으로서의 성격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었다.

에도 시대에는 "가도(街道)"가 정비되었다. 이 가도에서는 번(藩)의 영지 내에서도 에도 막부의 도중봉행이 관리하는 등, 중앙 정부와 지방 간의 연락이 국가 차원에서 정비되었다. 가도에는 숙장(宿場)이 지정되었고, 인마(人馬)의 계립(継立)을 행하는 톤야바, 여러 다이묘의 숙소인 본진, 와키본진, 무사나 일반 서민 등의 숙소였던 여관 등이 정비되었다. 과거 일급 간선도로였던 산요도는 오가도와 연결되는 와키가도로 취급이 강등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 정부는 국도에 번호를 붙여 관리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에도 시대까지의 산요도는 메이지 시대에 도쿄와 고베를 잇는 국도 3호(2호에서 교토에서 분기), 그리고 도쿄와 나가사키를 잇는 국도 4호의 일부가 되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도쿄와 가고시마를 잇는 국도 2호(1호에서 미에현에서 분기)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 산요도의 기능은 오사카기타큐슈(모지)를 잇는 국도 2호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율령 시대나 에도 시대의 산요도와는 다른 도로 구간도 많다. 현대에도 긴키 지방규슈를 잇는 기능은 율령 시대부터 계속 유지되고 있다.

3. 1. 고대 산요도

고대 산요도(山陽道)는 야마토 조정(大和朝廷)과 규슈(九州)의 다자이후(太宰府)를 잇는 중요한 간선도로였으며, 기나이(畿内)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칠도역로(七道駅路) 중 유일한 대로였다.

고대 일본에서는 태양의 출몰 방향에 따라 동서를 히타테(ひたて), 남북 방향을 히요코(ひよこ)라고 불렀다. 산릉의 남쪽 사면을 카게토모(かげとも), 북쪽 사면을 소토모(そとも)라고 불렀으며, 혼슈 서부 남해안의 가도를 "카게토모노미치"(かげとものみち, 그림자면의 길), 즉 "산양도"라고 불렀다.

나라 시대(奈良時代)에는 헤이조쿄(平城京)에서 키즈가와를 따라 북상하여 요도가와(淀川) 건너편의 세쓰국(摂津国) 시마카미군(島上郡) 오하라역(大原駅)을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는 헤이안쿄(平安京)에서 남하하여 산조국(山城国) 오토쿠니군(乙訓郡)의 야마자키역(山崎駅)에서 다카츠키(高槻)를 거쳐 서쪽으로 향하는 노선이 되었다.

고대 산양도는 원칙적으로 30리(약 16킬로미터, 1리는 약 540m)마다 역가(うまや)를 설치했다. 도폭은 약 6~9미터였으며, 직선적으로 단락하도록 계획되어 각국의 국부(国府)를 효율적으로 연결했다. 미사키국(美作国)에는 하리마국(播磨国) 쿠사가미역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는 도로(미사키로)가 있었다.

산양도가 중요시된 것은 외교 사절의 입경로였기 때문이며, 역가는 기와지붕에 백벽으로 건축되었다. 덴표 원년(729년)에는 이에 대한 재정 조치가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육상 교통로를 통해 지방관인 국사가 왕복하고, 세금인 용(庸)·조(調)을 운반했다. 그러나 대량 물자 수송은 세토나이카이(瀬戸内海)를 경유하는 수운이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수운의 비중이 높아졌다. 10세기 후반 또는 11세기 초에는 역전제와 역로가 폐절되었다.

고대 산양도의 노선지가 발굴 조사에서 확인된 사례는 적다. 다카츠키시(高槻市) 군게 가와니시 유적(폭 8미터), 오카야마현 비젠국분니지 터(폭 7미터), 효고현 다츠노시(たつの市) 코이누마루 유적, 카미고리쵸(上郡町) 오로치 유적 등이 있다. 히로시마현(広島県) 후추시에서는 시내 3곳에서 고대 산양도 유구가 출토되었고, 도폭이 10미터였다는 것[10]과 비고국부(備後国府) 터로의 분기점도 확인되었다.[11]

히로시마현 후추시 후추정에서의 옛 산양도 발굴 작업

3. 1. 1. 역가(駅家)

다이토(大同) 2년(807년) 개정 전까지, 하리마국 서쪽 산양도에는 역가 51곳이 있었고(역간 거리 약 13리), 각 역에는 역마 25필이 있었다.[10] 이후 신임 국사(国司) 부임에 해로를 이용하면서 역로(駅路) 이용은 쇠퇴했다.

연희식(延喜式) (927년 편찬)에는 역로(칠도)별 역 이름이 기재되어, 당시 역로를 대략 복원할 수 있다. 연희식 병부성 제국역전마조(兵部省諸国駅伝馬条)에 따르면 산조국(山城国) 야마자키역(山崎駅)에서 츠쿠시국(筑前国) 쿠니역(久爾駅)까지 58개 역이 있었다.

고대 산양도는 원칙적으로 30리(약 16km, 1리는 약 540m)마다 역가(うまや)를 설치했다.[10]

국명역명 (설치 군명)비고 (역마 수 등)고대 산양도 역가 추정지 (추정지 관련 정보)
야마시로 (1역)야마자키 (오토쿠니군)역마 20필
셋쓰 (5역)오하라 (시마카미군 신내·가지하라 남쪽 지역)711년 설치오사카부 미시마군 시마모토정 사쿠라이 1정목 (사쿠라이역 터)
쇼쿠무라 (시마시모군)711년 설치
쿠사노 (카야노, 토요시마군)역마 13필미노오시 쿠사노 지역
아시야 (토하라군)12필후카에키타마치 유적
스마 (야부군)13필
하리마 (9역, 폐역 2역)아카시 (아카시군)역마 30필[12]효고현 아카시시
오우미 (폐지)효고현 아카시시 나가사카데라 유적[13]
카코 (가코, 카코군)40필[12]효고현 카코가와시 노구치정 (고다이치 유적[14])
사토쓰 (폐지)효고현 히메지시 베소정 사토 주변
쿠사가미 (쇼키마군)30필[12]효고현 히메지시 이마야도
오이치 (이보군)20필[12]효고현 히메지시 오이치나카 (무카야마 유적[15])
누세 (이보군)20필[12]효고현 다쓰노시 이보니시정 (코이누마루 유적[16])
타카다 (아카호군)20필[12]효고현 아카호군 카미고리정 (쓰지가우치 유적[17])
노마 (야마, 아카호군)20필[12]효고현 아카호군 카미고리정 (오로치 유적(하치탄보 지역·이이사카 지역))
rowspan="2"|고시베 (이보군)5필[12] (미사쿠로 - 하리마 국후와 미사쿠 국후 연결 지로)효고현 다쓰노시 신구정
나카가와 (사요군)5필[12] (미사쿠로 - 하리마 국후와 미사쿠 국후 연결 지로)효고현 사요군 사요정
비젠 (4역)사카나가 (와키군)역마 20필오카야마현 비젠시 요시나가정
카마 (이와나시군)20필 (788년 후지노역 폐지 후 설치)
타카쓰키 (아카사카군)20필아카이와시 우마야
쓰타카 (쓰타카군)14필오카야마시 기타구 이치노미야 부근
비추 (4역)쓰게나 (토우군)역마 20필쿠라시키시 야베
가와베 (시모미치군)20필쿠라시키시 마비정 가와베
오다 (오다군)20필오다군 야가키정 오다
고게쓰 (고게쓰군)20필이하라시 나나카이치정
비고 (5역, 『연희식』에는 안나, 혼지, 아시다 3역)안나 (야스나, 안나군)역마 20필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구후카야스군 칸베정) 고료
혼지 (혼지, 혼지군)20필후쿠야마시 에키야정
아시다 (칸도?, 미조군)20필
아키 (13역)신라 (신라, 누마타군)역마 20필미하라시 타카사카정 신라
나시와 (나시와, 누마타군)20필미하라시 혼고정
쓰우·쓰우 (쓰우, 누마타군)20필 (『와명류주초』에 "누마타 7향": 이마아리·누마타·후네키·안나오·신라·나시와·쓰우)
가무쓰키 (가무쓰키, 누마타군)20필
유 (유, 카모군)20필히가시히로시마시 사이조 지역
오야마 (카모군)20필히가시히로시마시 야본마쓰 지역
아라야마 (아키군)20필히로시마시 아키구 나카노히가시 지역
아키 (아키군)20필아키군 후추정 시로가오카 시모오카다 유적
탐부 (사에키군)20필히로시마시 아사미나미구 탐부 지역
오마치 (사에키군)20필히로시마시 사에키구 리마쓰 지역 주변
헤라 (헤라, 사에키군)20필하타카시 시모히라라 지역
오노·오노 (오노·오노, 사에키군)20필하타카시 오노타카하타 지역 (『만엽집』 타카바노우마야 터)
오쿠다 (오쿠다, 사에키군)20필오타케시
스오 (8역, 폐역 1역)이와쿠니 (이와쿠니, 쿠카군)역마 20필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세키토 부근
노구치 (쿠카군)20필이와쿠니시 쿠카정 노구치
스오 (미츠시 코스오, 쿠마게군 쿠마게정 미쿠·타카미즈·카쓰마 부근)20필
이쿠노야 (이쿠노야, 쓰노군)20필 (현 이쿠노야)이쿠노고
히라노 (쓰노군)20필신난요시 서부 히라노고
오사키 (오사키, 889년 폐지)보후시
카쓰마 (카쓰마, 사하군)20필보후시 카쓰마
야치 (야치, 요시키군)20필야마구치시 츄센지 야지
카가호 (카가호, 요시키군)20필야마구치시 카가와 (카호우)
나가토 (5역)아타미 (아타미, 아쓰사군)역마 20필우베시 요시미
아쓰사 (아쓰사군)20필산요오노다시
하부 (하부, 아쓰사군)20필산요오노다시 하부
타카 (타카, 토요우라군)20필 (무로가)시모노세키시 고즈키
린몬 (린몬, 토요우라군)20필 (일본서기 기록: 아나몬칸, 후 린카이칸. 외국 빈객 접대)시모노세키시 마에다 부근
다자이후로부젠 (2역)
모니사이 (키쿠군)역마 20필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몬지구
(히키(히보))
이타무쓰 (이타무쓰, 키쿠군)15필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츠쿠젠 (9역, 『연희식』에는 8역)히토미 (온가군)역마 15필기타큐슈시 야하타히가시구
야쿠 (야쿠, 온가군)15필기타큐슈시 야하타니시구 카미쓰야쿠
시마몬 (온가군)23필온가군 온가정
쓰히 (무나카타군)22필무나카타시 (구 무나카타군 겐카이정)
세키나이 (무나카타군)15필고가시 무시나이 부근 (세키우치)
히나모리 (카사야군)15필
미노 (나카군)15필
쿠지 (세키다군)10필후쿠오카시 하카타구 히가시히라오 부근


3. 1. 2. 특징

고대 산양도는 야마토 조정과 규슈의 다자이후를 잇는 중요한 간선도로였으며, 기나이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나가는 칠도역로 중 유일한 대로였다.

고대 일본에서는 태양의 출몰 방향에 따라 동서를 히타테, 남북 방향을 히요코라고 불렀다. 산릉의 남쪽 사면을 카게토모, 북쪽 사면을 소토모라고 불렀으며, 혼슈 서부 남해안의 가도를 "카게토모노미치"(그림자면의 길), 즉 "산양도"라고 불렀다.

807년까지 하리마 이서의 산양도에는 51개의 역가(駅家)가 있었고(역간 거리 13리), 각각 25필의 역마가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후 신임 국사의 부임도 해로를 이용하게 되면서 역로(駅路) 이용은 쇠퇴해 갔다.

『연희식(延喜式)』(927년 편찬)에는 역로별로 각 역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어, 당시의 역로를 대략 복원할 수 있다. 산조국(山城国)의 야마자키역에서 츠쿠시국(筑前国)의 쿠니역까지 58역이었다. 나라 시대(奈良時代)에는 헤이조쿄에서 키즈가와를 따라 북상하여 요도가와(淀川) 건너편의 세쓰국(摂津国) 시마카미군(島上郡) 오하라역을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는 헤이안쿄에서 남하하여 산조국 오토쿠니군의 야마자키역에서 다카츠키를 거쳐 서쪽으로 향하는 노선이 되었다.

고대 산양도는 원칙적으로 30리(약 16킬로미터)마다 역가를 설치했다. 도폭은 약 6~9미터였으며, 직선적으로 단락하도록 계획되어 각국의 국부(国府)를 효율적으로 연결했다. 미사키국(美作国)에는 하리마국(播磨国) 쿠사가미역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는 도로(미사키로)가 있었다.

산양도가 중요시된 것은 외교 사절의 입경로였기 때문이며, 역가는 기와지붕에 백벽으로 하였다.

초기에는 육상 교통로를 통해 지방관인 국사가 왕복하고, 세금인 용(庸)·조(調)을 운반했다. 그러나 대량 물자 수송은 세토나이카이(瀬戸内海)를 경유하는 수운이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수운의 비중이 높아졌다. 10세기 후반 또는 11세기 초에는 역전제와 역로가 폐절되었다.

고대 산양도의 노선지가 발굴 조사에서 확인된 사례는 적다. 다카츠키시(高槻市) 군게 가와니시 유적(폭 8미터), 오카야마현 비젠국분니지 터(폭 7미터), 효고현 다츠노시(たつの市) 코이누마루 유적, 카미고리쵸(上郡町) 오로치 유적 등이 있다. 히로시마현(広島県) 후추시에서는 시내 3곳에서 고대 산양도 유구가 출토되었고, 도폭이 10미터였다는 것[10]과 비고국부(備後国府) 터로의 분기점도 확인되었다.[11]

3. 2. 중세 산요도

가마쿠라 시대에는 계획적인 국가 정비 도로로서의 역로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육상 이동 교통이 완전히 소멸한 것은 아니었고, 그 후에도 지역 간 연락로로서의 기능은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역가 대신 숙역이라 불리는 교통 요지의 숙박 시설과 수송 인마를 갖춘 마을이 발달했으며, 이들은 에도 시대에 걸쳐 숙장 마을로 발전한 경우가 많다. 이 시대의 산요도는 막부 출선 기관인 진제탐제부가 있는 하카타와, 교토 슈고(후에 육파라탐제)가 배치된 교토를 잇는 교통의 요로였고, 막부의 긴급 연락 시에는 조마를 사용했다.[1]

산요도의 교통이 주목받은 것은 두 차례의 몽골 침략(원구) 때였다. 첫 번째 분영의 역(1274년) 때 조마에 의한 몽골 침략 제1보는 하카타·교토 간 약 9일, 그 외 급사에 의한 통보는 16일 전후가 걸렸다.[2] 이는 고대 율령 시대의 비역飛驛|비역일본어에 의한 통보와 비교하면 매우 느린 통신이었다.[3] 두 번째 홍안의 역(1281년) 때는 하카타·교토 간을 6, 7일 만에 통보했는데, 문영의 역에서 홍안의 역 사이에 가마쿠라 막부가 택송 제도에 어떤 개선을 한 것으로 추측되며, 몽골 침략이 산요도의 정비 개선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었다고도 지적된다.[4]

산요도에서는 점차 직선적 지향이 사라지고, 정비가 간편한 자연 지형을 이용하는 경로로 노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재해 복구를 포함하여 고개 우회, 하천 도하 지점 변경, 유력 집락 간 연락 중시 등이 주된 이유였으며, 해안선 후퇴로 인해 세토나이카이 연안 경로가 지향되었다.

이러한 변천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평지부 연락이 많았던 세쓰, 하리마에서는 고대의 길 근처에 노선을 찾을 수 있지만, 완전히 동일한 장소에 정비가 계속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히메지 부근에서도 남쪽으로 단층면을 이용하는 형태로 소폭 변경되었다. 비젠으로의 연락은 노마(가미고리정)를 지나, 사카나가(비젠시 요시나가정)→와키→카마(아카이와시 마츠키)→다카즈키(아카이와시 마야) 노선에서, 비젠시 가타카미→비젠시 고토오카야마시 이치니치이치→오카야마시 후지이로 크게 변경되어, 旭川을 건너 비츄로 이어진다.

비츄에서는 오다가와 연안 평지가 가장 타당했으므로, 기본적으로 이 노선이 답습되었다. 현재의 국도 313호(고라시~이바라시: 고라에는 미사쿠에서, 또는 고라가와 연안을 거슬러 오르는 형태로 연락 가능)도 숙역이 정비되어 가도(비츄 왕래)로 이용되었던 것 같다.

비고에서는 후쿠야마시 북부(후추에키야 부근)와 아키미하라시 북서부(타카사카·혼고) 경로에서, 아시다가와를 따라 오도 방면을 경유하는 변경이 이루어졌다. 아키에서는 고개를 피할 수 없었지만, 노선 변경이 반복되어 후추 직전에서는 단락을 완화하고, 연안부 카이타시를 경유하는 노선(아키 산요도)으로 되었다. 국을 통과하는 노선이 완전히 변경된 것은 비젠과 비고의 예가 가장 크다.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는 도로 정비가 지방 영주에게 옮겨지고, 성하 마을 형성 수단으로 사용되는 등 동서 단락의 성격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었다(오카야마성하 등).

3. 3. 근세 산요도

가마쿠라 시대에는 계획적인 국가 정비 도로로서의 역로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육상 이동 교통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고, 그 후에도 지역 간 연락로로서의 기능은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역가 대신 숙역이라 불리는 교통 요지에 숙박 시설과 수송을 담당하는 인마를 갖춘 마을이 발달했다. 이들은 에도 시대에 걸쳐 숙장 마을로 발전한 경우가 많다. 이 시대의 산요도는 막부 출선 기관인 진제탐제부가 있는 하카타와 교토 슈고(후에 육파라탐제)가 배치된 교토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고, 막부의 긴급 연락 시에는 조마를 사용했다.[1]

산요도의 교통이 주목받은 것은 두 차례의 몽골 침략(원구) 때였다. 첫 번째 분영의 역(1274년) 때 조마에 의한 몽골 침략의 제1보에 하카타·교토 간에 약 9일이 걸렸고, 그 외의 급사에 의한 통보에는 16일 전후가 걸렸다.[1] 이것은 고대 율령 시대의 飛驛|비역일본어에 의한 통보와 비교하여 매우 느린 통신이었다.[1] 두 번째 홍안의 역(1281년) 때는 하카타·교토 간을 6, 7일 만에 통보하는 데 걸렸는데, 신성상삼은 가마쿠라 막부가 택송 제도에 어떤 개선을 한 것으로 추측했고, 다케베 겐이치도 몽골 침략이 산요도의 정비 개선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지적했다.[1]

산요도에서는 점차 직선적 지향은 사라지고, 정비가 간편한 자연 지형을 이용하는 경로로 노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재해 복구를 포함하여 고개 우회, 하천 도하 지점 변경, 유력 집락 간 연락 중시 등이 주된 이유였고, 노선 변경은 각지에서 이루어졌다. 충적 평야 출현에 의한 해안선 후퇴도 더해져, 전체적으로는 점차 세토나이카이 연안 경로가 지향되었다.

이 변천의 대략적인 내용은, 이전부터 평지부 연락이 많았던 세쓰, 하리마에서는 고대의 길 근처에 노선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히메지 부근에서도 남쪽으로 단층면을 이용하는 형태로 소폭 변경이 이루어졌다. 비젠으로의 연락은, 노마(카미고리 정)를 지나, 사카나가(비젠 시 요시나가 정)→와키→카마(아카이와 시 마쓰키)→다카즈키(아카이와 시 마야) 노선에서, 비젠 시 가타카미→비젠 시 고토→오카야마 시 이치니치이치→오카야마 시 후지이로 크게 변경되어, 아사히가와 강을 건너 비츄로 이어진다.

비츄에서는 오다가와 강 연안 평지가 가장 타당한 선택이었으므로, 기본적으로 이 노선은 답습되고 있다. 현재의 국도 313호(고라시~이와라 시)도 숙역이 정비되어 가도(비츄 왕래)로 이용되었다.

비고에서는 후쿠야마 시 북부(후추~에키야 부근)와 아키의 미하라 시 북서부(다카사카·혼고) 경로에서, 아시다 강에 따르는 형태를 취해 오도 방면을 경유하는 변경이 이루어졌다. 아키에서는 고개는 피할 수 없지만, 노선 변경이 반복되어 후추 직전에서는 단락을 완화하고, 연안부 가이타 시를 경유하는 노선(아키 산요도)으로 되었다. 국을 통과하는 노선이 완전히 변경되었다는 점에서는, 비젠과 비고의 예가 가장 크다.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는 도로 정비가 지방 영주에게 옮겨지고, 성하 마을 형성 수단으로 사용되는 등 동서 단락의 성격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었다(오카야마성하 등).

에도 시대에는 "가도(街道)"가 정비되었다. 이 가도에서는 번영(藩領) 내라도 에도 막부의 도중봉행이 지배하는 등, 중앙과 지방의 연락이 국가적으로 정비되었다. 가도에는 숙장(宿場)이 지정되었고, 인마(人馬)의 계립(継立)을 행하는 톤야바, 여러 다이묘의 숙소인 본진, 와키본진, 무사나 일반 서민 등의 숙소였던 여관 등이 정비되었다. 과거 일급 간선도로였던 산요도는 오가도와 연결되는 와키가도로 취급이 강등되었다.

3. 4.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 정부는 국도에 번호를 붙여 관리하는 제도를 채택했다. 에도 시대까지의 산요도(山陽道)는 메이지 시대에는 도쿄와 고베를 잇는 국도 3호(2호에서 교토에서 분기), 그리고 도쿄와 나가사키를 잇는 국도 4호의 일부가 되었고, 다이쇼 시대에는 도쿄와 가고시마를 잇는 국도 2호(1호에서 미에현에서 분기)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 산요도의 기능은 오사카기타큐슈(모지)를 잇는 국도 2호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율령 시대나 에도 시대의 산요도와는 다른 도로 구간도 많다. 한 예로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이르는 국도 2호는 옛 산요도를 따라 놓여 있지 않고, 크게 다른 노선인 옛 오가타 왕래(鴨方往来)(하마 가도)와 병주하고 있다. 이는 국도 정비에서 주요 도시였던 오카야마와 후쿠야마 사이를 본래의 동서 단축의 성격으로 도로를 설치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참고로 이 때문에 오카야마현이나 히로시마현 동부에서는 옛 산요도(오다가와 강변)나 그와 평행하는 도로를 "옛 산요도"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산요도"라고 부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산요 자동차도"를 가리킨다.

철도의 산요 본선과 산요 신칸센, 고속도로 산요 자동차도도 고대의 산요도를 따라 설치된 경우도 있다. 현대에도 긴키 지방규슈를 잇는 기능을 율령 시대부터 계속 유지하고 있다.

4. 인구

일본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5],[6] 산요 지방은 20세기 내내 인구가 증가했지만, 21세기 초부터는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연도인구
19203,801,000
19304,112,136
19404,492,504
19505,283,967
19605,456,043
19705,654,135
19806,197,161
19906,348,847
20006,357,707
20106,257,364
20206,079,644


참조

[1] 서적 Handbook to Lif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3] 문서 San'yō translates to "the sunlight-side of a mountain"
[4]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5] 웹사이트 San'yo subregion 1995-2020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citypopul[...]
[6] 웹사이트 San'yo subregion 1920-2000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demograph[...]
[7] 웹사이트 Yahoo!辞書 - 大辞林 http://dic.yahoo.co.[...] 2019-05-31 # 서비스 종료 날짜로 간주
[8] 서적 大辞泉 小学館 1998
[9] 문서 옛날에는 상도국, 삼야국, 대백국, 하도국, 가야국, 립신국, 기비아나국, 기비중현국, 기비품치국이 있었다.
[10] 간행물 備後ふちゅう かわら版 中国新聞備後府中販売所 2017-11-02
[11] 간행물 広報 ふちゅう 府中市人事課秘書課 2016-07-01
[12] 서적 延喜式 兵部省 항목
[13] 웹사이트 古代官道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www.hyogo-ko[...] 2021-10-31
[14] 웹사이트 古代官道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www.hyogo-ko[...] 2021-10-31
[15] 웹사이트 古代官道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www.hyogo-ko[...] 2021-10-31
[16] 웹사이트 龍野市小犬丸遺跡 http://sitereports.n[...] 2021-10-31
[17] 웹사이트 古代官道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www.hyogo-ko[...] 2021-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