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루쿠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루쿠 제도는 인도네시아에 속한 1,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향신료 제도'로도 알려져 있다. 어원은 불분명하나, 14세기 자바 문헌에 등장하며, 테르나테어에서 유래했다는 설, 아랍 상인들이 '여왕의 섬'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 로마 시대부터 향신료 무역으로 번성했으며, 이슬람 상인,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거쳤다. 1950년 남말루쿠 공화국 독립 시도가 있었고, 1999년에는 종교 및 민족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는 말루쿠 주와 북말루쿠 주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다. 농업, 어업, 임업이 주요 산업이며, 정향, 육두구, 코코아 등을 재배한다.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테르나테 크리올어와 암본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루쿠 제도 - 미솔섬
    미솔섬은 인도네시아 라자 암팟 제도에 속하며,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닌 산호 삼각지대의 일부이고, 역사적으로 이슬람교 전파 및 식민 통치를 거쳤으며, 현재 남쪽 지역은 자연 보호 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 말루쿠 제도 - 부루섬
    부루섬은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에 위치한 세 번째로 큰 섬으로, 산악 지형과 열대 우림, 독특한 동식물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지배와 정치범 수용소 이용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농업이 주요 산업인 부루 군과 남부 부루 군으로 나뉜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순다 열도
    순다 열도는 말레이 제도에 위치하며 대순다 열도와 소순다 열도로 나뉘고, 순다 대륙붕 위에 위치하여 화산 활동과 지진이 잦으며, 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5개국에 걸쳐 있는 섬들이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말레이 제도
    말레이 제도는 2만 5천 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군도로, 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필리핀 제도를 포함하며 다양한 국가가 위치하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열대 기후, 독특한 생물 다양성,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진 3억 8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말루쿠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말루쿠 제도
영어 이름Moluccas
네덜란드어 이름Molukken
인도네시아어 이름Kepulauan Maluku
위치오세아니아, 멜라네시아
총 섬 수~1000
주요 섬할마헤라 섬
세람 섬
부루 섬
암본 섬
테르나테 섬
티도레 섬
아루 제도
카이 제도
루시파라 제도
면적78897 km²
최고봉비나이야 산
해발고도3027 m
국가인도네시아
행정 구역말루쿠 주
북말루쿠 주
최대 도시암본
인구3,131,860명
인구 조사 기준2020년
주요 민족암본인
알푸르족
누아울루족
부기스족
역사
별칭향신료 제도
언어
IPA 표기
발음 표기
추가 정보
참고 자료Moluccas - Islands, Indonesia - Britannica
Welcome to Maluku - Lonely Planet
Maluku, Melanesia
IV. THE CONFLICT

2. 어원

'말루쿠(Maluku)'라는 단어의 어원은 불분명하며 많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6]

'말루쿠'와 동일시될 수 있는 최초의 기록된 단어는 1365년의 자바어 찬가인 나가라크르타가마(Nagarakertagama)에서 나온다. 14장 5절에는 '말로코(Maloko)'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테르나테(Ternate) 또는 몰루카 제도(Moluccas)로 확인된다.[7][8]

한 이론에 따르면 '말루쿠'는 '몰로코 키에 라하(Moloko Kie Raha)' 또는 '몰로쿠 키에 라하(Moloku Kie Raha)'라는 구에서 유래한다. 테르나테어(Ternate language)에서 '라하(raha)'는 "네"를 의미하며, '키에(kie)'는 여기서 "산"을 의미한다. '키에 라하(kie raha)' 또는 "네 개의 산"은 테르나테(Ternate), 티도레(Tidore), 바깐, 그리고 자일롤로(Jailolo)(과거 '자일롤로'는 할마헤라(Halmahera) 섬을 가리키는 데 사용됨)를 가리킨다.[9]

'몰로코(Moloko)' 또는 '몰로쿠(Moloku)'의 의미는 불분명하다. 한 가지 가능한 의미는 테르나테어(Ternate language)에서 "잡다 또는 붙잡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경우 '몰로코 키에 라하(Moloko Kie Raha)'는 "''''네 산의 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이 단어가 '말로코(maloko)'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것이다. 북 할마헤라 제도 언어(North Halmahera languages)에서 '로코(loko)'는 산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단어를 의미하며, 이 경우 "테르나테 세 티도레, 모티 세 마라 말로코 키에 라하(Ternate se Tidore, Moti se Mara Maloko Kie Raha)"라는 구절에서 "테르나테, 티도레, 모티, 그리고 마라 ''''네 산의 장소''''"를 의미하거나, '로코(loko)'의 발음이 '루쿠(luku)'로 변화하면서 "테르나테, 티도레, 모티, 그리고 마라 ''''네 산의 세계''''"를 의미한다.[10]

몰루카 제도의 이름은 아랍 상인들이 붙인 '여왕의 섬'이라는 말의 '여왕' 부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말리쿠 참조).[35] 그러나 그 이름은 14세기에 이미 등장하며, 아랍 상인들이 도착한 15세기 후반보다 앞선다.

현지어로 '소의 머리' 또는 어떤 큰 물건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지만, 어느 것도 정설로 여겨지지는 않는다.[36]

3. 역사

빌렘 블라우(Willem Blaeu)의 지도 (1630년)


타닌바르 제도의 전사들


말루쿠 제도는 반다 해를 중심으로 로마 제국 시대부터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향신료 무역을 해왔다. 이슬람교 세력이 커지면서 이슬람 상인들이 무역을 주도하게 되었다. 고대 아랍 자료에는 말루쿠 제도가 자바섬에서 동쪽으로 15일 항해 거리라고 기록되어 있다. 13세기 후반 이슬람 상인들은 술탄 제도를 도입하여 섬의 부유층에게 새로운 사회 조직을 보여주고 외국과의 거래가 효과적임을 알렸다.

베네치아는 1200년부터 1500년 사이 지중해 항로를 통해 유럽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했다. 이러한 독점을 깨기 위한 노력은 유럽 대항해시대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포르투갈은 아프리카 남단을 도는 항로를 개척하고, 브라질을 발견하는 등 해상 진출에 앞장섰다. 다른 유럽 국가들(스페인,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도 포르투갈의 지위에 도전하며 해상력을 키웠다.

향신료가 유럽에서 높은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네덜란드와 영국은 이 지역의 독점권을 얻기 위해 경쟁했다. 반다 제도를 차지하기 위한 다툼은 매우 치열하여, 네덜란드는 맨해튼섬을 영국에 넘겨줄 정도였다. 이 과정에서 반다 제도 원주민들은 네덜란드에 의해 학살되거나 노예가 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향신료 전쟁으로 6000명 이상이 사망했다.[20]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서인도 제도를 발견하고, 향신료 제도에 대한 포위망을 넓혀가며 유럽 국가들의 해상 경쟁을 가속화했다. 결국 프랑스와 영국이 향신료 씨앗을 모리셔스, 그레나다 등 다른 지역에 심으면서 향신료는 더 흔해졌고, 말루쿠 제도의 역할은 막을 내렸다.

3. 1. 초기 역사

말루쿠 제도에는 약 4만 년 전부터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이 거주하였다.[11] 기원전 2000년경에는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이주해 왔다.[11]

테르나테(Ternate)에서 발견된 데비 파르바티 석상은 마자파히트 제국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초기 힌두교 및 불교의 영향을 보여준다.[38] 14세기경에는 아랍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전파하기 시작했다.[39] 이슬람교는 무역 중심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었으나, 내륙 지역이나 고립된 섬에서는 원주민의 정령신앙(animism)이 오랫동안 유지되었다.[39] 고고학적 증거, 특히 돼지 이빨의 발견 여부는 이슬람교 전파 시기와 범위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39]

마자파히트 원정의 흔적 또한 구전과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카이 케칠 섬의 레트부안의 이야기는 가자 마다의 발리 사절인 카스데브와 관련된 이야기를 전하며, 레트부안 남쪽 소르바이 만에서 발견된 고대 무덤의 고고학 유적지는 이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13]

3. 2. 유럽 열강의 도래와 식민 지배

1511년 8월, 포르투갈은 말라카를 정복했다. 이는 동남아시아 교역의 파괴와 재구성을 가져왔고, 말루쿠 제도를 포함한 인도네시아 동부에 가톨릭교가 유입되는 결과를 낳았다.[40]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반다 제도와 향료 제도로 가는 항로를 알게 되었고, 탐험대를 파견하였다.[42] 1512년, 프란시스쿠 세랑은 히투 섬에 좌초되었고, 그곳에서 지역 통치자와 관계를 맺었다. 테르나테 술탄국과 티도레 술탄국 통치자들도 포르투갈의 지원을 요구했다.[43]

세랑은 테르나테와 동맹을 맺고 요새를 설치하여, 포르투갈 뱃사람들로 구성된 용병 부대의 수장이 되었다. 1513년, 포르투갈인들은 암본에 상륙하였으나, 테르나테에서 쫓겨난 후 암본은 포르투갈인들의 말루쿠 활동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 포르투갈-테르나테 전쟁은 술탄 밥 울라와 그의 아들 술탄 사이디 베르캇의 재위 기간 동안 발생하였다.[45] 포르투갈의 선교 활동으로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에는 큰 가톨릭 공동체가 형성되었다.[45]

1846년 사파루아에 있는 두르스테드 요새


1599년 네덜란드인들이 도착하여 포르투갈인들과 경쟁했다.[20]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과정에서 테르나테 술탄국과 동맹을 맺고 1605년에 암본섬티도레섬을 정복하여 포르투갈인들을 축출했다. 필리핀에서 온 스페인의 반격으로 1663년까지 말루쿠 제도 북부 지역에서 이베리아의 지배가 회복되었다. 네덜란드는 1621년 반다 제도 대량 학살, 1623년 암본 학살 등을 통해 향신료의 생산과 무역을 독점했다. 누쿠 반란은 1780년부터 1810년까지 말루쿠 제도와 파푸아의 광대한 지역을 휩쓸었고 영국을 끌어들였다. 프랑스 혁명 전쟁 기간과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영국군은 1796년에서 1801년 그리고 1810년에 각각 섬들을 점령했고 1817년까지 점령했다.[21]

3. 3. 독립 이후

1950년 인도네시아가 단일 공화국으로 선포되면서 남말루쿠 공화국이 분리 독립을 시도했다. 이 독립 시도는 전 동인도네시아 주 최고 검찰총장이었던 크리스 소모킬이 이끌었고, 네덜란드 KNIL 특수부대의 말루쿠인 구성원들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이 운동은 인도네시아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네덜란드와의 특별 합의에 따라 말루쿠 부대는 네덜란드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2] 이들 중 일부는 1975년, 1977년 등 수차례에 걸쳐서 독립을 위한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말루쿠는 인도네시아 최초의 주 중 하나로, 1945년에 선포되어 1999년 북말루쿠 주가 분리 독립될 때까지 존속했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는 종교 분쟁이 발생하여 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이 발생했다.

4. 지리

말루쿠 제도는 총면적이 850000km2이며, 그 중 90%는 바다이다.[23] 약 1,027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24] 가장 큰 두 섬인 할마헤라(Halmahera)와 세람(Seram)은 인구 밀도가 낮은 반면, 가장 발달된 섬인 암본과 테르나테(Ternate)는 면적이 작다.[24]

섬의 대부분은 산림이 우거진 산악 지형이다. 타님바르 제도(Tanimbar Islands)는 건조하고 구릉성이며, 아루 제도는 평평하고 습지가 많다. 세람섬에 있는 비나이야 산(Mount Binaiya)(3027m)은 가장 높은 산이다. 테르나테(Ternate)(1721m)와 같이 여러 섬들은 바다에서 솟아오른 화산섬이며, 해안가에는 마을들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 500년 동안 70회가 넘는 심각한 화산 폭발이 있었고, 지진도 흔하다.[24]

4. 1. 지질

말루쿠 제도는 인접한 누사틍가라 지역과 많은 유사한 역사, 특징 및 과정을 공유한다. 인도네시아 식민 시대부터 이 지역에 대한 오랜 지질학적 연구 역사가 있지만, 지질 형성과 진행 과정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으며, 최근 수십 년 동안 섬의 지질학적 진화에 대한 이론이 크게 바뀌었다.[25] 말루쿠 제도는 네 개의 지각판과 두 개의 대륙 지괴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세계에서 가장 지질학적으로 복잡하고 활동적인 지역 중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26]

4. 2. 생태

생물지리학적으로 아루 제도(Aru Islands)를 제외한 모든 섬은 왈라세아(Wallacea)에 위치한다. 왈라세아는 순다 대륙붕(Sunda Shelf)(아시아 지괴의 일부)과 아라푸라 해(Arafura Sea)(오스트레일리아 지괴의 일부) 사이의 지역이다. 섬들은 베버선(Weber's Line)과 라이데커선(Lydekker's Line) 사이에 위치하며, 동물상은 아시아보다 오스트레일리아에 더 가깝다. 말루쿠 제도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다르게, 세계에서 가장 깊은 바다 중 일부에 흩어져 있는 산호섬이며, 자바(Java)나 수마트라(Sumatra)와 같은 큰 섬이 없어 동식물 이동이 제한되어 고유종 생물군이 높은 비율로 진화하게 되었다.[25]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Alfred Wallace)의 저서 ''말레이 제도(The Malay Archipelago)''는 이 지역의 자연사에 대한 최초의 중요한 연구였으며, 인도네시아 생물다양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말루쿠 제도는 게오르크 에버하르트 룸피우스(Georg Eberhard Rumphius)의 ''Herbarium Amboinense''와 ''Amboinsche Rariteitkamer''의 주제이기도 하다.[27]

대부분의 북부 및 중부 말루쿠 제도는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었지만, 작은 섬에서는 정향(cloves)과 육두구(nutmeg)를 포함한 농장으로 대체되었다. 타님바르 제도(Tanimbar Islands)와 기타 남동부 섬들은 건조하고 초목이 드물다.[24] 1997년에는 마누셀라 국립공원(Manusela National Park)이, 2004년에는 아케타자웨-롤로바타 국립공원(Aketajawe-Lolobata National Park)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주머니쥐(marsupials)류 야행성 동물인 쿠스쿠스(cuscus)와 반디쿠트(bandicoots)가 포유류 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말레이족제비(Malayan civet)와 들개가 도입되었다.[24] 조류는 약 100종의 고유종이 있으며, 할마헤라(Halmahera)와 세람(Seram)과 같은 큰 섬에 가장 다양하게 서식한다. 북말루쿠에는 두 종의 고유 극락조가 있다.[24] 아루 제도(Aru Islands)만 유일하게 캥거루, 카소와리(cassowaries), 극락조를 포함한 순수한 파푸아 동물상을 가지고 있다.[24]

4. 3. 기후

말루쿠 제도 중부와 남부는 10월부터 3월까지는 건기, 5월부터 8월까지는 우기가 지속된다. 이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는 반대되는 기후이다. 건기의 최고 기온 평균은 30°C인 반면, 우기의 최고 기온 평균은 23°C이다. 말루쿠 제도 북부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12월부터 3월까지 우기가 있다. 각 섬들은 기후 변화가 있으며, 큰 섬들은 해안 저지대가 건조하고 산악 지대는 습한 경향이 있다.[24]

5. 인구

2020년 말루쿠 제도의 총 인구는 3,131,860명이었다. (말루쿠 주: 1,848,923명, 북말루쿠 주: 1,282,937명)[2]

티도레 주민들이 군 수송 사령부의 병원선 USNS ''머시'' (T-AH-19) 방문

5. 1. 민족 구성

오랜 무역과 항해의 역사로 인해 말루쿠 제도에는 다양한 혼혈 조상이 많다.[24] 기원전 2000년경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원주민 멜라네시아인에 추가되었다.[32] 멜라네시아계 특징은 케이 제도, 아루 제도, 스람섬, 부루섬의 내륙 사람들에게서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이후 이 오스트로네시아-멜라네시아 혼혈에 인도아랍인계 일부가 추가되었다. 최근에는 술라웨시섬 출신의 부기스족 상인 정착민과 자와족 이주민들이 포함된다.[24]

5. 2. 종교

말루쿠 제도에는 이슬람교, 개신교(프로테스탄티즘), 로마 가톨릭교회(가톨릭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이슬람교가 61.87%로 가장 많고, 개신교가 33.40%, 로마 가톨릭교회가 4.23%를 차지한다.[31] 그 외에 민간 신앙(0.26%), 힌두교(0.23%), 불교(0.02%), 유교(0.005%) 순으로 나타났다.[31]

5. 3. 언어

한때 130개가 넘는 언어가 이 섬들에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많은 사람들이 북말루쿠와 남말루쿠의 공용어인 테르나테 크리올과 암본어로 바뀌었다.[24]

6. 행정 구역

말루쿠 제도는 인도네시아의 말루쿠주북말루쿠주로 나뉜다.

7. 경제

말루쿠 제도에서는 농업, 어업, 임업이 주요 산업이다. 정향과 육두구, 코코아, 커피, 과일 등이 재배된다.[24] 어업은 섬 전체, 특히 할마헤라와 바칸 주변에서 활발하다.[24] 아루 섬에서는 진주를, 세람에서는 바닷가재를 수출한다.[24] 벌목은 큰 섬들에서 중요한데, 세람에서는 철목, 부루에서는 티크와 흑단을 생산한다.[24]

참조

[1] 백과사전 Moluccas islands, Indonesia https://www.britanni[...] 2022-10-04
[2] 웹사이트 Jumlah Penduduk Hasil SP2020 menurut Wilayah dan Jenis Kelamin (Orang), 2020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2022-01-28
[3] 웹사이트 Welcome to Maluku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7-04-11
[4] 웹아카이브 IRJA.org https://web.archive.[...] 2009-04-14
[5] 학술지 IV. THE CONFLICT https://www.hrw.org/[...] 2024-02-27
[6] 서적 The world of Maluku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서적 Java in the 14th Century: A Study in Cultural History, Volume III: Translations Martinus Nijhoff
[8] 서적 Java in the 14th Century: A Study in Cultural History, Volume IV: Commentaries and Recapitulations Martinus Nijhoff
[9] 서적 The world of Maluk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0] 서적 Kepulauan Rempah-rempah Gramedia
[11] 웹사이트 Pameran Cagar Budaya di Ambon pamerkan arca Majapahit ditemukan di Ternate https://ambon.antara[...] 2021-06-14
[12] 학술지 Contact and Colonialism in the Banda Islands, Maluku, Indonesia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TERUNGKAP! Sejarah Hubungan Bali dan Kepulauan Kei yang Tak Banyak Diketahui Orang : Okezone Travel https://travel.okezo[...] 2017-07-21
[14] 학술지 Jejak Kedatangan Utusan Majapahit di Pulau Ambon https://purbawidya.k[...] 2018-08-01
[1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MacMillan
[16]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The Century of Discovery Chicago University Press
[17] 학술지 Missing Links in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Portuguese Cartography of the Netherlands East Indian Archipelago https://zenodo.org/r[...] Blackwell Publishing 1919-12-01
[18]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MacMillan
[19]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MacMillan
[20] 웹사이트 Maluku province, Indones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0-04
[21] 뉴스 Banda, the nutmeg treasure islands http://www.thejakart[...] 2011-01-16
[22] 뉴스 Troubled history of the Moluccas http://news.bbc.co.u[...] 2000-06-26
[23] 서적 The Ecology of Nusa Tenggara and Maluku Periplus Editions Ltd.
[24] 서적 Indonesia Lonely Planet
[25] 서적 The Ecology of Nusa Tenggara and Maluku Periplus Editions Ltd.
[26] 서적 The Ecology of Nusa Tenggara and Maluku Periplus Editions Ltd.
[27] 서적 The Ecology of Nusa Tenggara and Maluku Periplus Editions Ltd.
[28] 서적 The Ecology of Nusa Tenggara and Maluku Periplus Editions Ltd.
[29]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mall island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and Parthenon Publishing Group Inc.
[30]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mall island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and Parthenon Publishing Group Inc.
[31] 웹사이트 Jumlah Penduduk Menurut Agama https://satudata.kem[...]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22-08-31
[32] 서적 Indonesia: Peoples and Histori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3] 和書 カクテルの歴史 原書房
[34] 간행물 水夫の反乱――キリシタン翻訳の一側面 http://www.classics.[...] 2000-11-01
[35] 서적 近代インドネシアの歴史, 第2篇 MacMillan
[36] 서적 マルクの世界:近世の東インドネシア ハワイ大学出版会 1993
[37] 방송 NHKスペシャル 戦国~激動の世界と日本~ https://www2.nhk.or.[...]
[38] 웹인용 Pameran Cagar Budaya di Ambon pamerkan arca Majapahit ditemukan di Ternate https://ambon.antara[...] 2022-01-18
[39] 웹인용 Contact and Colonialism in the Banda Islands, Maluku, Indonesia https://web.archive.[...] 2000
[40]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second edition MacMillan
[41]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The Century of Discovery (Vol 1) Chicago University Press
[42] 저널 Missing Links in the Development of the Ancient Portuguese Cartography of the Netherlands East Indian Archipelago https://zenodo.org/r[...] Blackwell Publishing 1919-12
[4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second edition MacMillan
[44]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second edition MacMillan
[4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1300, second edition MacMil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