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도리도마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도리도마뱀은 아가마도마뱀과에 속하는 도마뱀으로, 머리와 목에 덮개 형태의 피부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뉴기니 섬 남부에 서식하며, 위협을 느끼면 목도리를 펼쳐 몸집을 크게 보이게 하여 방어한다. 곤충과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으며, 맹금류, 뱀 등에게 잡아먹힌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하지만, 애완동물 거래와 서식지 감소로 인해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된다.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 여겨지며, 미디어에도 자주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가마과 - 가시도마뱀
    가시도마뱀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온몸이 가시로 덮여 있고, 모세혈관 작용으로 수분을 섭취하며, 암컷은 알을 낳는 도마뱀의 일종이다.
  • 오세아니아의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 오세아니아의 파충류 - 데스애더
    데스애더는 코브라과에 속하는 뱀으로, 호주 동부와 남부 해안에 분포하며, 붉은색, 갈색 또는 검은색 줄무늬를 가진 굵은 몸통과 꼬리를 움직여 먹이를 유인하는 매복형 포식자이다.
  • 1825년 기재된 파충류 - 바다이구아나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바다이구아나는 육지 이구아나와 가까운 종으로 해조류를 섭취하며 염분샘을 통해 염분을 배출하고 국립공원에서 보호받는 다양한 아종으로 나뉜다.
  • 1825년 기재된 파충류 - 검은카이만
    검은카이만은 아마존 지역에 서식하며 어두운 피부와 큰 눈을 가진 악어의 일종으로, 야행성이며 다양한 동물을 섭취하는 최상위 포식자이다.
목도리도마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frill-neck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8692622586)
엘리마키도마뱀
학명Chlamydosaurus kingii
명명자Gray, 1825
영명Frilled lizard
엘리마키도마뱀속
속 명명자Gray, 1825
Chlamydosaurus kingii 분포 지도
Chlamydosaurus kingii 분포 영역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유린목
아목도마뱀아목
하목이구아나하목
아가마과
아과히게도마뱀아과
크기 및 무게
길이90 cm
무게600 g
보존 상태
IUCNLC
IUCN 기준IUCN3.1
IUCN 참고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70384/21644690

2. 분류

목도리도마뱀은 1825년 영국의 동물학자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Clamydosaurus kingii''로 처음 기재했다.[3][4] 속명 ''Chlamydosaurus''는 "망토를 두른"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chlamydo|클라미도grc(χλαμύς)와 "도마뱀"을 뜻하는 라틴어 saurus|사우루스la(''sauros'')에서 유래했다.[5] 종명 ''kingii''는 필립 파커 킹 선장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6] 목도리도마뱀은 이 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11]

2. 1. 계통 분류

목도리도마뱀은 아가마도마뱀과 Amphibolurinae 아과에 속한다.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약 1천만 년 전에 현존하는 가장 가까운 친척과 분기되었다.[7] 2017년 이 종의 분포 범위에 걸쳐 이루어진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오드 강과 카펜테리아 만 남동쪽 모서리(카펜테리안 갭)에 의해 구분되는 세 개의 계통이 밝혀졌다. 한 계통은 퀸즐랜드와 남부 뉴기니에 걸쳐 분포하며, 퀸즐랜드 서부에서 오드 강까지 분포하는 계통과 자매 분류군이다. 이 둘의 조상은 킴벌리에 서식하는 계통에서 분기되었다. 목도리도마뱀은 해수면이 낮아지고 섬이 케이프 요크와 연결되는 빙하기 동안 약 17,000년 전에 남부 뉴기니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서로 다른 개체군이 "얕은 이소종 분지군"인 ''C. kingii''를 하나의 종으로 유지한다.[8]

다음 분기도는 Pyron과 동료(2013)에 기반한다.[9]

{| class="wikitable"

|-

|
목도리도마뱀 (''Clamydosaurus kingi'')


|-

|

{| class="wikitable"

|-

|
길버트 채찍꼬리 도마뱀 (''Lophognathus gilberti'')


|-

|

재키 드래곤 (Amphibolurus muricatus)
말리 히스 드래곤 (Amphibolurus norrisi)



|}

|}

3. 묘사

목도리도마뱀은 총 길이 약 90cm, 머리-몸길이 약 27cm, 몸무게 최대 600g까지 자란다.[81][90][82] 크고 넓은 머리, 긴 목, 긴 다리와 꼬리를 가지고 있다.[83][90][84]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목도리, 머리, 턱이 더 크다.[81][90][85] 눈꼬리는 뾰족하고, 콧구멍은 둥글고 아래쪽을 향한다. 비늘은 대부분 굽이쳐 있으며, 등쪽에는 작은 비늘과 큰 비늘이 번갈아 나타난다.[83]

몸 색깔은 등쪽이 회색, 갈색, 주황갈색, 검은색으로 다양하며, 아랫면은 더 옅은 흰색 또는 노란색이다. 수컷은 어두운 배와 더 밝은 가슴을 가지고 있다. 이 종의 아랫면과 측면은 꼬리에 띠를 형성하기 위해 합쳐지는 어두운 갈색 반점으로 덮여 있다.[11]

파충류 전시장에 있는 목도리도마뱀(목도리 접힘)


목도리를 접은 모습

3. 1. 목도리

독특한 목도리는 머리와 목에서 뻗어 나온 피부 덮개로, 여러 개의 접힌 능선이 있다. 목도리를 완전히 펼치면 원반 모양이 되며[87][89][81], 지름이 약 30cm에 달할 수 있다. 펼치지 않으면 목과 어깨에 걸쳐 망토를 두른 것처럼 몸을 감싼다.[86] 목도리는 좌우 대칭이며, 오른쪽과 왼쪽은 아래쪽에 V자 모양으로 부착되어 있고, 연골 모양의 결합 조직은 상단부와 귀 입구 근처의 머리 양쪽을 연결한다.[84][87]

목도리는 막대 모양의 목뿔뼈로 지지되며, 이 뼈, 아래턱 및 연골의 움직임에 의해 펼쳐진다.[87] 이 구조는 주로 포식자에게 위협이 되고, 개체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기능한다.[89] 접었을 때 위장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이는 선택 압력의 결과일 가능성은 낮다.[89] 목도리는 방향성 마이크처럼 작동하여 앞에서는 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지만, 주변에서는 들리지 않을 수 있다.[88] 음식 보관, 활공 또는 온도 조절과 같은 다른 제안된 기능에 대한 증거는 없다.[89]

목도리도마뱀의 목도리 해부학


목도리의 색상은 서식지에 따라 다르다. 오드 강 서쪽에 사는 도마뱀은 붉은색 목도리를 가지고 있고, 강과 카펜테리아 갭 사이에 사는 도마뱀은 주황색 목도리를 가지고 있으며, 갭 동쪽에 사는 도마뱀은 노란색에서 흰색 목도리를 가지고 있다. 뉴기니 목도리도마뱀은 노란색 목도리를 가지고 있다.[8] 더 다채로운 목도리는 과시 효과를 더할 수 있는 흰색 반점을 가지고 있다.[21] 색상은 주로 카로티노이드프테리딘 색소에 의해 생성된다. 붉은색과 주황색 목도리를 가진 도마뱀은 노란색과 흰색 목도리를 가진 도마뱀보다 더 많은 카로티노이드를 가지고 있으며, 후자 두 종은 프테리딘도 부족하다.[8][18] 노란색은 더 높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관련이 있다.[18]

4. 분포 및 서식지

목도리도마뱀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뉴기니섬 남부에 서식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킴벌리 지역에서 동쪽으로 노던 준주의 탑엔드를 거쳐 퀸즐랜드주 케이프요크반도와 인근의 무랄루그섬, 바두섬, 모아섬, 남쪽으로 브리즈번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80][83] 뉴기니섬에서는 파푸아뉴기니인도네시아 양쪽의 트랜스플라이 생태계에서 서식한다.[80]

주로 사바나와 경엽수림에 서식하며,[83][81] 배수가 잘 되는 토양과 다양한 수종, 특히 유칼립투스 종을 선호한다. 멜랄루카와 판다누스 나무가 있는 낮은 평원은 피한다.[90] 지상에서 먹이를 더 잘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지상 식생이 적은 지역을 선호한다.[91]

5. 생태

목도리도마뱀은 주행성이며 수목 생활을 하는 동물로, 하루의 90% 이상을 나무 위에서 보낸다.[8] 먹이를 먹거나, 다른 도마뱀과 교류하거나, 새로운 나무로 이동할 때를 제외하고는 땅에서 보내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수컷은 암컷보다 더 많이 이동하며, 더 넓은 영역을 가진다. 카카두 국립공원에서 수컷의 평균 생활권은 건기에 1.96ha, 우기에 2.53ha이며, 암컷은 우기와 건기에 각각 0.63ha와 0.68ha이다.[19][20]

목도리도마뱀은 이족 보행이 가능하며, 사냥을 하거나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사용한다.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머리를 뒤로 젖혀 꼬리 기저부 뒤에 맞춰 정렬한다.[19][12][21] 우기에는 더 활동적이며 더 작은 나무를 선택하고 땅 근처에서 발견되는 반면, 건기에는 더 큰 나무를 사용하며 더 높은 곳에서 발견된다.[22] 건기 동안 무활동 상태에 들어가지 않지만, 음식과 물이 부족할 때 에너지 사용량과 신진대사율을 크게 줄일 수 있다.[23]

체온은 40°C에 가까워질 수 있으며,[19] 아침과 저녁 무렵 나무 줄기에서 수직으로 일광욕을 하여 체온을 조절한다.[19][24] 건기에는 에너지와 물을 절약하기 위해 낮은 체온에서 일광욕을 중단한다.[24][25] 낮 동안 더 더워지면 그늘을 찾아 나무 꼭대기로 더 높이 올라간다.[19] 산불 발생 시 큰 나무와 흰개미 언덕을 피난처로 사용하며, 숲이 불탄 후에는 더 연속적인 수관을 가진 나무를 선택한다.[26]

나무 위의 목도리도마뱀

5. 1. 먹이

목도리도마뱀은 주로 곤충과 기타 무척추동물을 먹으며, 척추동물을 먹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흰개미, 개미, 지네 등이 주요 먹이이며, 흰개미는 특히 건기에 중요하고, 나방의 유충은 우기에 중요하다.[22]

목도리도마뱀은 매복 포식자로, 나무 위에서 먹이를 기다렸다가 발견하면 두 다리로 달려들어 네 다리로 내려와 잡아서 먹는다. 먹이를 먹은 후에는 다시 나무 위로 올라간다.[19]

5. 2. 천적 및 방어

맹금류와 더 큰 도마뱀, 이 목도리도마뱀의 천적이다.[19][21] 위협을 느끼면 목도리를 세워 몸집을 더 크게 보이게 하고, 입을 벌리고 쉭쉭거리는 소리를 내며 꼬리를 흔든다.[21] 포식자로부터 도망쳐 숨기도 한다.[21]

몇몇 종의 선충이 목도리도마뱀의 위장관에 기생하며,[27] 크립토스포리디움증으로 사망한 사례도 보고되었다.[28]

5. 3. 번식

목도리도마뱀은 건기 말과 우기 초에 번식한다.[19] 수컷들은 서로 경쟁하며 입을 벌리고 목도리를 펼쳐 구애 행동을 한다. 이 과정에서 싸움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서로의 머리를 덮치고 무는 행동을 보인다.[17] 암컷은 얕은 구멍을 파서 알을 낳는데,[30][29] 한 번에 4개에서 20개 이상의 알을 낳으며, 계절에 따라 여러 번 산란할 수 있다.[19][30]

알은 2~4개월 후에 부화하며,[30][29] 부화 시 기온에 따라 성별이 결정된다. 온화한 기온에서는 수컷이, 극심한 기온에서는 암컷이 더 많이 태어난다.[29] 갓 태어난 새끼는 성체보다 목도리가 작다.[17]

목도리도마뱀은 우기에 먹이가 풍부해지면 성장 속도가 빨라지며,[22] 수컷이 암컷보다 더 빨리 성장한다.[31] 또한 어린 수컷은 부화한 지역에서 더 멀리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32] 이들은 2년 이내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수명은 수컷이 6년, 암컷이 4년 정도이다.[20]

6. 보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목도리도마뱀을 개체 수가 많고 서식 범위가 넓다는 이유로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목도리도마뱀은 애완동물 거래에서 인기 있는 종이며, 이는 일부 야생 개체군을 위협할 수 있다. 대부분의 애완용 도마뱀은 인도네시아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호주와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수출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 정부는 환경 및 임업부 장관 규정 제20조에 따라 목도리도마뱀을 보호종으로 지정했다.[33] 사육 상태에서 번식이 어렵기 때문에, 사육된 것으로 추정되는 많은 도마뱀이 야생에서 포획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목도리도마뱀은 야생 고양이에게 위협받을 수 있으며,[1] 사탕수수 두꺼비의 침입으로 인해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34]

7. 인간과의 관계

목도리도마뱀은 캥거루, 코알라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고대 시대에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목도리도마뱀을 식용으로 섭취했다.[35]

독특한 외모와 행동 때문에 이 생물은 종종 미디어에 등장했다. 스티븐 스필버그의 1993년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 딜로포사우루스는 공격할 때 솟아오르는 비슷한 목도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15] 1994년 LGBT 테마 영화 ''프리실라, 사막의 여왕의 모험''에도 등장했다.[36] 이 종은 일부 호주 동전에 등장하기도 했다.[19]

1984년 일본에서 미쓰비시 미라주(2세대)의 텔레비전 광고 등에 등장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76] 일본에서의 목도리도마뱀 붐에는 센고쿠 쇼이치가 관여했으며, 퀴즈 프로그램 『두근두근 동물랜드』에서 소개된 것도 유행의 한 요인이라고 한다.[77][78]

당시 유행에 따라 가마야쓰 히로시의 『음두 목도리도마뱀의 진실』, 가시와 테쓰의 『원조 목도리도마뱀 음두』, 비토 키요시의 『E・Ri・Ma・Ki 도마뱀 음두』, 하야시 코바의 『그 목도리도마뱀의 노래』 등 음반이 제작되었고, 1984년에 방송된 시대극 『필살 사업인 IV』 제39화 「가요 목도리도마뱀을 목격하다」와 같은 텔레비전 드라마도 제작되었다.

하지만, 당시 일본으로 반입된 목도리도마뱀은 정식 수입 신청이 이루어지지 않은 개체가 많았으며, 각지 순회 공연에서 구경거리로 삼기 위해 정식 수입 업자에게 하루 100만에 빌려달라는 의뢰가 들어오거나, 관광 비자로 현지에 들어간 일본인 그룹의 밀렵에 의한 것이라는 정보도 흘러나와 국제 과학 기술 박람회 유치에 즈음하여 과학기술청 (현: 문부과학성)의 이와도 미치유키 장관을 격노하게 만들었다. 동물원에서는 구사쓰 열대원이 일본에서 최초로 전시를 시작했다.[79]

참조

[1] 간행물 "''Chlamydosaurus kingii ''" 2017
[2] NRDB species
[3] 서적 Upside Down World: Early European Impressions of Australia's Curious Animals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4] 서적 The Naturalist in Australia https://archive.org/[...] Chapman & Hall
[5] 서적 Johnson's Univeral Cyclopædia A Scientific and Popular Treasury of Useful Knowledge · Volume 2 "{{GBurl|id=2J9GAQAA[...] A. J. Johnson
[6]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논문 Phylogeny of Australasian agamid lizards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s: implications for morphological evolution and biogeography
[8] 논문 "Phylogeographic structure across one of the largest intact tropical savannahs: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Australia's iconic frill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 https://www.fondatio[...]
[9]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10] 논문 Passive body movement and gas exchange in the frill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nd goanna (''Varanus gouldii)'')
[11]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CSIRO publishing
[12] 논문 Shape of Western Australian dragon lizards (Agamidae) https://brill.com/vi[...]
[13] 논문 Frillneck lizard morphology: comparisons between sexes and sites
[14] 서적 "A Complete Guide to Reptiles of Australia, Sixth Edition" Reed New Holland
[15] 논문 Elastic instability during branchial ectoderm development causes folding of the ''Chlamydosaurus'' erectile frill
[16] 논문 The acoustical effect of the neck frill of the frill-neck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17] 논문 Function and evolution of the frill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Sauria: Agamidae)
[18] 논문 Red carotenoids and associated gene expression explain colour variation in frillneck lizards
[19] 논문 Ecology of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in tropical Australia
[20] 논문 Demography and home range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in Northern Australia
[21] 논문 Uncovering the function of an enigmatic display: antipredator behaviour in the iconic Australian frillneck lizard
[22] 논문 Diet and habitat use of frillneck lizards in a seasonal tropical environment
[23] 논문 Physiological ecology of frillneck lizards in a seasonal tropical environment
[24] 논문 Seasonal changes in thermoregulation by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in tropical Australia
[25] 논문 Seasonal energetics and water turnover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in the wet-dry tropics of Australia
[26] 논문 The effects of fire on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in northern Australia
[27] 논문 Gastrointestinal nematodes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krjabinoptera goldmanae'' (Spirurida: Physalopteridae)
[28] 논문 Gastric cryptosporidiosis in a wild frilled lizard from Australia
[29] 논문 Temperature-dependent sex determination in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30] 서적 Herpetology in Australia: A Diverse Discipline Transactions of the Royal Zoological Society of NSW
[31] 논문 Population demography of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Gray 1825) in the wet-dry tropics of Australia
[32] 논문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gene flow and sex-biased dispersal in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33] 웹사이트 "''Peraturan Menteri Lingkungan Hidup dan Kehutanan Nomor P.106/Menlhk/Setjen/Kum.1/12/2018 tentang Perubahan Kedua Atas Peraturan Menteri Lingkungan Hidup dan Kehutanan Nomor P.20/Menlhk/Setjen/Kum.1/6/2018 tentang Jenis Tumbuhan dan Satwa Yang Dilindungi ''" https://www.mongaba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estry]]" 2018-12-28
[34] 논문 Detecting the impact of invasive species on native fauna: Cane toads (''Bufo marinus''),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and the importance of spatial replication
[35] 서적 The Alligator Rivers: prehistory and ecology in Western Arnhem Land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6] 논문 Drag queens, thorny devils and frilled lizards: "queerness" takes to the outback in The Adventures of Priscilla, Queen of the Desert https://go.gale.com/[...]
[37] 간행물 "Chlamydosaurus kingii" 2017
[38] 서적 Upside Down World: Early European Impressions of Australia's Curious Animals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39] 서적 The Naturalist in Australia https://archive.org/[...] Chapman & Hall
[40] 서적 Johnson's Univeral Cyclopædia A Scientific and Popular Treasury of Useful Knowledge · Volume 2 https://books.google[...] A. J. Johnson
[41]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2] 논문 Phylogeny of Australasian agamid lizards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s: implications for morphological evolution and biogeography
[43] 논문 Phylogeographic structure across one of the largest intact tropical savannahs: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Australia's iconic frill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https://www.fondatio[...]
[44]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45] 논문 Passive body movement and gas exchange in the frill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nd goanna (''Varanus gouldii'')
[46] 서적 Reptiles & Amphibians of Australia CSIRO publishing
[47] 논문 Shape of Western Australian dragon lizards (Agamidae) https://brill.com/vi[...]
[48] 문서 "[[千石正一]]監修 長坂拓也編著 『爬虫類・両生類800種図鑑 第3版』、ピーシーズ、[[2002年]]、36-37頁。"
[49] 논문 Frillneck lizard morphology: comparisons between sexes and sites
[50] 논문 Phylogeographic structure across one of the largest intact tropical savannahs: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Australia's iconic frill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https://linkinghub.e[...] 2017-01
[51] 논문 Elastic instability during branchial ectoderm development causes folding of the ''Chlamydosaurus'' erectile frill
[52] 논문 The acoustical effect of the neck frill of the frill-neck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53] 논문 Function and evolution of the frill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Sauria: Agamidae)
[54] 논문 Red carotenoids and associated gene expression explain colour variation in frillneck lizards
[55] 논문 Fiery frills: carotenoid-based coloration predicts contest success in frillneck lizards
[56] 논문 Retraction
[57] 논문 Ecology of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in tropical Australia
[58] 논문 Demography and home range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in Northern Australia
[59] 논문 Uncovering the function of an enigmatic display: antipredator behaviour in the iconic Australian frillneck lizard
[60] 논문 Diet and habitat use of frillneck lizards in a seasonal tropical environment
[61] 논문 Physiological ecology of frillneck lizards in a seasonal tropical environment
[62] 논문 Seasonal changes in thermoregulation by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in tropical Australia
[63] 논문 Seasonal energetics and water turnover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in the wet-dry tropics of Australia
[64] 논문 The effects of fire on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in northern Australia
[65] 논문 Gastrointestinal nematodes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krjabinoptera goldmanae'' (Spirurida: Physalopteridae)
[66] 논문 Gastric cryptosporidiosis in a wild frilled lizard from Australia
[67] 논문 Temperature-dependent sex determination in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68] 서적 Herpetology in Australia: A Diverse Discipline Transactions of the Royal Zoological Society of NSW
[69] 논문 Population demography of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Gray 1825) in the wet-dry tropics of Australia
[70] 논문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gene flow and sex-biased dispersal in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71] 웹사이트 Peraturan Menteri Lingkungan Hidup dan Kehutanan Nomor P.106/Menlhk/Setjen/Kum.1/12/2018 tentang Perubahan Kedua Atas Peraturan Menteri Lingkungan Hidup dan Kehutanan Nomor P.20/Menlhk/Setjen/Kum.1/6/2018 tentang Jenis Tumbuhan dan Satwa Yang Dilindungi https://www.mongaba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estry 2018-12-28
[72] 논문 Detecting the impact of invasive species on native fauna: Cane toads (''Bufo marinus''),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and the importance of spatial replication
[73] 서적 The Alligator Rivers: prehistory and ecology in Western Arnhem Land https://openresearch[...] Terra Australis
[74] 서적 爬虫・両生類ビジュアルガイド トカゲ1 アガマ科&イグアナ科 誠文堂新光社 2004年
[75] 논문 Drag queens, thorny devils and frilled lizards: "queerness" takes to the outback in The Adventures of Priscilla, Queen of the Desert https://go.gale.com/[...]
[76] 웹사이트 三菱・ミラージュ…CMが印象的だったクルマ https://gazoo.com/fe[...] トヨタ自動車 2015-09-16
[77] 웹사이트 千石正一 環境教育と生物観察のコツを語る 体験を通じての理解は、感動と知識欲を呼び起こします。 https://www.manabino[...] 内田洋行教育総合研究所 2009-09-15
[78] 웹사이트 1984年に日本上陸「エリマキトカゲ」 大ブームで便乗商品が氾濫、あなたは持ってた? https://urbanlife.to[...] オアシス 2020-11-06
[79] Youtube 【園長の話】日本人で初めて現地でエリマキトカゲを捕獲した当時の貴重なお話を伺いました!! The story of curator, When he captured a frilled lizard https://www.youtube.[...] 草津熱帯圏 2021-06-10
[80] 간행물 ''Chlamydosaurus kingii '' 2017
[81] 논문 Phylogeographic structure across one of the largest intact tropical savannahs: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Australia's iconic frill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 https://www.fondatio[...]
[82] 논문 Passive body movement and gas exchange in the frill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and goanna (''Varanus gouldii)'')
[83]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CSIRO publishing
[84] 논문 Shape of Western Australian dragon lizards (Agamidae) https://brill.com/vi[...]
[85] 논문 Frillneck lizard morphology: comparisons between sexes and sites
[86] 서적 'A Complete Guide to Reptiles of Australia, Sixth Edition' Reed New Holland
[87] 논문 Elastic instability during branchial ectoderm development causes folding of the ''Chlamydosaurus'' erectile frill
[88] 논문 The acoustical effect of the neck frill of the frill-necked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89] 논문 Function and evolution of the frill of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Sauria: Agamidae)
[90] 논문 Ecology of frillneck lizards, ''Chlamydosaurus kingii'' (Agamidae), in tropical Australia
[91] 논문 The effects of fire on the frillneck lizard (''Chlamydosaurus kingii)'' in northern Austral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