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스포리디움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크립토스포리디움 속 원생동물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무증상 감염, 급성 감염, 재발성 급성 감염, 만성 감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면역력이 정상인 사람에게는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면역 저하자에게는 증상이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원인은 오염된 물, 음식, 또는 동물의 배설물과의 접촉이며, 2~10일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현미경 검사, 염색, 항원 검출, PCR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예방을 위해서는 위생 관리와 오염된 물질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이 주로 이루어지며, 면역 저하자에게는 항기생충제 투여와 면역력 개선이 필요하다.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수인성 질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충감염증 - 톡소플라스마증
톡소플라스마증은 톡소플라스마 곤디 감염으로 발생하며, 면역 저하자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임신 중 감염은 태아에게 선천성 톡소플라스마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감염 경로는 덜 익힌 육류 섭취, 오염된 환경 접촉 등 다양하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 원충감염증 - 트리파노소마증
트리파노소마증은 크루지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트리파노소마 등의 기생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샤가스병, 아프리카 수면병 등이 있으며, 흡혈곤충이나 교미를 통해 전파되고 발열, 림프절 종창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혈액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체체파리 구제 등의 예방 조치와 펜타미딘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 소 질병 - 구제역
구제역은 전염력이 매우 강한 가축 질병으로, 구제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고열, 입과 발굽의 수포, 과다한 타액 분비 등의 증상을 보이고,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며 여러 경로로 전파되어 진단 시 RT-PCR, ELISA 검사가 필요하고 살처분 등의 강력한 방역 조치가 시행된다. - 소 질병 - 칸디다증
칸디다증은 칸디다 효모 감염에 의해 피부, 구강, 질 등에서 발생하며, 면역 저하자에게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고, 습한 환경, 면역력 저하, 항생제 사용 등이 원인이며, 항진균제로 치료하고 면역력 강화 및 위생 관리가 예방에 중요하다. - 고양이 질병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고양이 질병 - 히스토플라스마증
히스토플라스마증은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오염된 토양에서 포자를 흡입하여 감염될 수 있고, 무증상부터 호흡기 증상, 심각한 합병증까지 유발하며, 항진균제로 치료하는 감염 질환이다.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 |
|---|---|
| 일반 정보 | |
![]()  | |
| 분야 | 감염병 | 
| 증상 | 물 설사, 메스꺼움, 복통, 발열 | 
| 원인 | 크립토스포리디움 감염 | 
| 위험 요인 | 면역 저하 | 
| 치료 | 니타족사니드 | 
| 예방 | 오염된 물 피하기 | 
| 추가 정보 | |
| 관련 질병 | 크립토코쿠스증 | 
2. 징후 및 증상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무증상, 급성, 재발성 급성, 만성 감염으로 나타날 수 있다. 급성 감염은 2주 미만 지속되고, 재발성 급성 감염은 증상 회복 후 최대 30일까지 재발하며, 만성 감염은 증상이 심하고 2주 이상 지속된다. 면역 체계가 심각하게 손상된 사람에게는 만성 감염이 치명적일 수 있다.[2][8]
감염 후 5~10일(범위: 2~28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면역력이 정상인 경우 최대 2주 동안 지속된다.[2][8][9] 설사가 호전된 후에도 재감염으로 며칠 또는 몇 주 후에 증상이 재발할 수 있다.[8][9][5][39] 잠복감염 상태에서도 타인에게 전염시킬 수 있으며, 증상 치료 후에도 수 주 동안 다른 개체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72] 심한 경우 췌장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2. 1. 장관 크립토스포리디움증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무증상, 급성(2주 미만), 재발성 급성(증상 회복 후 최대 30일까지 재발), 만성(2주 이상 지속)으로 나타날 수 있다.[2][8][9][5] 면역 체계가 심각하게 손상된 사람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2][8] 증상은 보통 감염 후 5~10일(범위: 2~28일) 후에 나타나며, 면역력이 정상인 사람은 최대 2주 동안 지속된다.[2][8][9] 면역 저하자는 증상이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2][8][9] 설사 후 재감염으로 며칠 또는 몇 주 후에 증상이 재발할 수 있다.[8][9][5][39] 재감염 가능성은 면역 저하 성인에게 높고, 정상 면역 체계인 사람에게는 낮다.[39][6]면역력이 정상인 경우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주로 회장 말단 소장에 국한되고 때로는 호흡기계에도 영향을 미친다.[2][9] 면역 저하자는 담도계, 췌장, 상부 소화관, 방광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2][9] 췌장과 담도 감염에는 담석 없는 담낭염, 섬유화성 담관염, 유두 협착증, 췌장염이 포함될 수 있다.[9][7]
장관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의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중등도에서 중증의 수양성 설사[2][8][9] (때때로 점액 포함, 드물게 혈액이나 백혈구 포함)[9]
 - 매우 심한 경우, 다량의 콜레라 유사 설사, 흡수장애와 저혈량증 동반[9]
 - 저열[2][8][9]
 - 경련성 복통[2][8][9]
 - 탈수[2][8]
 - 체중 감소[2][8]
 - 피로[39]
 - 메스꺼움과 구토[2][8][9] – 상부 위장관 병변 시사, 호흡기 크립토스포리디움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2]
 - 상복부 또는 우상복부 압통[9]
 
덜 흔하거나 드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
증상은 감염 후 2~10일 후 나타나 약 2주간 지속된다. 수양성 설사 외 위통, 복통, 드물게 발열이 나타난다. 잠복감염인 경우도 타인에게 전염시킬 수 있다. 증상 치료 후에도 수 주 동안 다른 개체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72] 중증화되면 췌장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2. 2. 호흡기 크립토스포리디움증
면역력이 정상인 사람의 경우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주로 회장 말단 소장에 국한되고 때로는 호흡기계에도 영향을 미친다.[2][9]상기도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비강 점막, 부비동, 후두 또는 기관의 염증[2]
 - 콧물[2]
 - 목소리 변화[2] (예: 쉰 목소리)[9]
 
하기도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3. 원인
''크립토스포리디움''속(''Cryptosporidium'')은 아피콤플렉사문(Apicomplexa)에 속하는 원생동물 병원체이다.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C. parvum''과 ''C. hominis''이며, ''C. canis'', ''C. felis'', ''C. meleagridis'', ''C. muris''도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2][10]
''크립토스포리디움''은 단일 숙주 내에서 생활주기를 완료하며,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 새로운 숙주로 전파될 수 있는 미생물낭종(오오시스트) 단계를 거친다. 1970년대부터 수행된 전자 현미경 연구는 세포 내이지만 세포 외에 위치하는 ''크립토스포리디움'' 종을 보여주었다. DNA 연구는 ''크립토스포리디움''이 코시디아가 아닌 그레가리나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11]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Cryptosporidium parvum'')의 게놈은 2004년에 시퀀싱되었으며, 미토콘드리아가 DNA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등 진핵생물 중에서 특이한 것으로 밝혀졌다.[12]
2018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부터 15년 사이에 수영장이나 온욕 시설의 물을 원인으로 발생한 집단 감염 493건 중 58%가 크립토스포리디움이었다.[71]
3. 1. 전파
감염은 오염된 토양, 물,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과 접촉한 날것 또는 교차 오염된 음식과 같은 오염된 물질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입으로 옮겨 삼켜야 한다. 특히 수영장과 같은 레크리에이션 용수를 포함한 담수와 정기적으로 접촉하는 사람들에게 흔하다. 다른 잠재적 원인으로는 처리가 부족한 상수도, 오염된 식품 또는 배설물 노출이 있다.[17] 크립토스포리디움 우낭은 소독제(예: 염소 표백제)에 대한 저항성이 높기 때문에 오랫동안 생존하면서 여전히 감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15] 일부 발생은 기저귀 교체와 관련된 어린이집에서 발생했다.[16]다음 그룹은 ''크립토스포리디움''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17]
- 어린이집 교사
 - 감염된 어린이의 부모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환자를 돌보는 사람들
 - 해외 여행객
 - 여과되지 않고 처리되지 않은 물을 마시는 배낭 여행객, 등산객 및 캠핑객
 - 오염된 수원의 물을 삼키는 사람들(수영객 포함)
 - 감염된 소를 취급하는 사람들
 - 성 접촉을 통해 사람의 배설물에 노출된 사람들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적절하게 소독된 상수도가 있는 도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깨끗한 물이 있는 도시에서는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의 원인이 다른 곳에 있을 수 있다.[17] 특정 감염의 원인을 확인하려면 물 검사와 역학 조사가 필요하다. ''크립토스포리디움''은 겉으로 보기에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 저하자에게 더 자주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18] 일부 어린이와 면역 저하된 성인에게 만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면역 저하자의 하위 집단에는 AIDS 환자가 있다. 일부 성행위는 기생충을 직접 전파할 수 있다.[17]
2018년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부터 15년 사이에 수영장이나 온욕 시설의 물을 원인으로 발생한 집단 감염 493건 중 58%가 크립토스포리디움이었다.[71]
3. 2. 생활사
''크립토스포리디움''은 단일 숙주 내에서 생활주기를 완료하며, 그 결과 대변으로 배설되는 미생물낭종 단계가 생성되어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 새로운 숙주로 전파될 수 있다.[2][10] ''크립토스포리디움''의 생활주기 패턴은 소목 ''아이메리이나''(Eimeriina)의 다른 장내 균질 코시디안 속과 유사하다. 대형 및 소형 배우체는 독립적으로 발달하며, 소형 배우체는 수많은 수컷 배우자를 생성하고, 환경에서 기생충의 확산에 기여하는 오오시스트를 형성한다.DNA 연구는 코시디아가 아닌 그레가리나와의 관계를 시사한다.[11]
'''크립토스포리디움'''속(屬)(''Cryptosporidium'' spp.)은 감염 과정에서 유성 생식 단계와 무성 생식 단계 등 여러 세포 유형으로 존재한다.[1] 내구성이 강하고 두꺼운 벽을 가진 포자의 일종인 오오시스트(oocyst)는 환경에서 수개월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특히 염소계 소독제를 포함한 많은 일반적인 소독제에 내성이 있다.[19][20]
오오시스트가 섭취되면, 오오시스트 내의 스포로조이트가 탈피(방출)되어 소장에 도달한다. 방출된 스포로조이트는 소장 상피 세포의 미세융모에 부착된 후 영양형(트로포조이트)이 되어 다중 분열(다핵분열)이라는 과정을 통해 무성 생식을 한다. 영양형은 8개의 딸세포를 포함하는 1형 메론트(meront)로 발달한다.[21]
이 딸세포들은 1형 메로조이트이며, 메론트에 의해 방출된다. 이들 중 일부는 상피 세포에 부착하여 자가 감염을 일으키고, 다른 메로조이트들은 4개의 2형 메로조이트를 포함하는 2형 메론트가 된다.[22] 2형 메로조이트는 방출되어 상피 세포에 부착된 후 대핵세포(거대 배우체) 또는 소핵세포(미소 배우체)가 된다.[22] 이들은 각각 암컷과 수컷의 유성 생식 형태이며,[21] 이 단계는 배우체 형성(gametogony)이라고 한다.[23]
접합자는 미소 배우체(미소 배우자)가 거대 배우체(대 배우자)에 침투하여 형성된다. 접합자는 두 가지 유형의 오오시스트로 발달하는데,[22] 오오시스트의 20%는 얇은 벽을 가지고 있어 파열되어 스포로조이트를 방출, 숙주를 재감염시킨다.[21] 두꺼운 벽을 가진 오오시스트는 환경으로 배출되며,[22] 배출 시 성숙하고 감염성이 있다.[21]
4. 병원성
난형 또는 구형인 오오시스트(oocyst)는 크기가 5~6μm이다. 부유액 표본에서 오오시스트는 높은 굴절률을 보인다.[24]
2개~10개의 오오시스트만으로도 감염이 시작될 수 있다.[27] 기생충은 소장 상피세포의 솔 가장자리에 위치한다.[25] 주로 공장(jejunum)에 위치하며, 포자충(sporozoite)이 상피세포에 부착하면 상피세포막이 포자충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세포 내이지만 세포질 외"에 위치하게 된다.[21] 기생충은 부착 부위의 미세융모(microvilli)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24] 감염된 사람은 감염 초기 1주일 동안 가장 많은 오오시스트를 배출한다.[21] ''C. parvum'' 또는 ''C. hominis'' 감염의 경우 설사 증상이 가라앉은 후에도 수 주 동안 오오시스트가 배출될 수 있다.[1] 그러나 ''C. muris'' 감염이 있는 면역능력이 정상인 사람의 경우 7개월 동안 오오시스트가 배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26]
면역 체계는 1형 메로조이트(merozoite)의 생성과 박벽 오오시스트의 수를 감소시킨다.[21] 이는 자가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B세포는 초기 반응이나 기생충 제거 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27]
면역능력이 정상인 사람의 경우 이전 감염이 향후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거의 제공하지 않지만, 질병의 심각도와 배출되는 오오시스트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28][29]
5. 진단
크립토스포리디움증 진단에는 여러 가지 검사법이 있다. 현미경 검사[1], 염색, 항체 검출 등이 포함된다. 현미경 검사[1]는 대변에서 오오시스트(oocyst)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25] 오오시스트 발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소 3개의 대변 샘플을 검사해야 한다.[23] 대변 샘플이나 오오시스트를 농축하는 여러 가지 기술이 있다. 변형 포르말린-초산에틸(FEA) 농축법은 대변을 농축한다.[24] 변형 황산아연 원심 분리 부유법과 시더의 설탕 부유법 모두 오오시스트를 띄워 농축할 수 있다.[23] 또 다른 현미경 검사법으로는 오라민 염색을 이용한 형광 현미경 검사가 있다.[25]
다른 염색 기술에는 산성 항산 염색[27]이 포함되는데, 이는 오오시스트를 붉게 염색한다.[24] 한 종류의 산성 항산 염색은 키니운 염색이다.[20] 기엠사 염색도 시행할 수 있다.[21] 소장의 일부는 헤마톡실린과 에오신(H&E)으로 염색할 수 있으며, 이는 상피 세포에 부착된 오오시스트를 보여준다.[24]
항원 검출은 질병을 진단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이것은 직접 형광 항체(DFA)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1] 간접 면역형광 분석을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23]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ELISA)도 항원을 검출한다.[25]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은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을 진단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심지어 크립토스포리디움의 특정 종을 식별할 수도 있다.[1] 환자가 담도 크립토스포리디움증에 걸린 것으로 생각되면 적절한 진단 기술은 초음파 검사이다. 만약 그 결과가 정상으로 나오면 다음 단계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수행하는 것이다.[27]
6. 예방
크립토스포리디움증 예방을 위해서는 위생과 청결 관리가 중요하다.[23] 화장실 사용 후, 대변 접촉 후, 식사 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1] 동물의 배설물과 접촉을 피하며,[25]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음식과 물 섭취, 배설물에 노출될 수 있는 성행위는 자제해야 한다.[23]
일반적인 상수도 처리 시설은 강, 호수, 저수지에서 원수를 취수하여 응집, 絮凝(플록큘레이션), 침전, 여과 등의 과정을 거쳐 식수를 생산한다.[30] 미립자 수준이 낮은 물은 침전 없이 응집과 여과를 하는 직접 여과로 처리한다. 느린 모래 여과기, 규조토 여과기, 멤브레인 등도 크립토스포리디움을 99% 제거할 수 있으며,[30] 멤브레인, 백필터, 카트리지 필터는 제품에 따라 크립토스포리디움을 제거한다.
크립토스포리디움은 염소 소독에 매우 강하지만,[31] 고농도와 충분한 접촉 시간을 통해 이산화염소와 오존 처리로 불활성화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비교적 낮은 용량으로도 효과적이다.[32][33]
오염 가능성이 있는 식수는 끓여서 소독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34][35] 고도 약 1981.20m 이상에서는 3분, 그 외에는 1분 동안 끓이면 된다. 우유는 71.7°C에서 15초 동안 저온 살균하면 오오시스트의 감염 능력을 파괴할 수 있다.[36] 물은 기공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를 넘지 않거나 NSF 인터내셔널에서 "낭종 제거" 승인을 받은 필터로 여과할 수 있다.[1] 지하수는 병에 든 식수에 포함될 가능성이 적다.[36]
크립토스포리디움증 환자는 설사가 멈춘 후 최소 2주 동안 공공장소에서 수영을 해서는 안 된다. 오오시스트가 항문과 생식기 부위에 존재하며 씻겨 나갈 수 있고, 한동안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과는 거리를 두어야 한다.[1] 면역 저하자는 호수와 개울물, 동물 배설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동물 접촉 후에는 손을 씻어야 한다. 안전을 위해 물을 끓이거나 여과하고, 채소는 씻고 조리해야 한다.[1]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오염된 표면을 3% 과산화수소로 20분 동안 담근 후 헹구는 것을 권장하지만, 어떤 소독제도 완벽하게 효과적이지는 않다고 언급한다. 과산화수소는 표준 표백제 용액보다 효과적이다.[37]
크립토스포리디움은 토양이나 물, 조리되지 않은 음식, 감염자 또는 감염 동물 분변에 오염된 음식 등을 통해 감염된다. 경구 감염을 일으키며, 수영장 등 물놀이, 오염된 수돗물이나 음식물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오오시스트는 염소계 표백제 등 소독제에 저항성이 강해 유행하기 쉽고,[70] 보육 시설 기저귀 교환으로 인한 집단 발생도 발생한다.
샤워 후, 배설물 접촉 후, 식사 전 철저한 손씻기는 예방 효과가 있다. 수돗물 안전성이 우려되면 끓여야 한다.[73] 15분 동안 끓일 필요 없이, 한 번 끓이면 오오시스트는 사멸한다.[74] 여과도 가능하지만, 끓이는 것이 간편하고 특별한 장치가 필요 없다.
7. 치료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면역 상태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면역력이 정상인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면역 저하자의 경우에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7. 1. 일반적인 치료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의 증상 치료는 주로 수분 공급, 전해질 보충(나트륨, 칼륨, 중탄산염 및 포도당), 그리고 항이동성 약물(예: 로페라미드)을 포함한다.[38][40] 아연 보충제는 특히 재발성 또는 지속적인 감염이나 아연 결핍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38]크립토스포리디움에 의한 장염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으므로, 증상 치료를 한다. 설사로 인한 탈수에는 수액 공급이 필요하다. 경구 투여로 충분하지만, 드물게 수액 주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식사는 가능한 한 무유당식으로 해야 한다.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지만, 중증 질환자 또는 면역 체계가 약한 환자에게는 사용된다.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아토바콘(Atovaquone)·니타족사니드(Nitazoxanide)[75]·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7. 2. 면역 정상인
면역력이 정상인 사람의 경우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일반적으로 2주 미만의 짧은 기간 동안 지속되며,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설사 증상을 보인다. 증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재발, 심각하거나 지속적인 증상의 경우에는 항기생충제가 필요할 수 있지만 재감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39]증상 치료는 주로 수분 공급, 전해질 보충(나트륨, 칼륨, 중탄산염 및 포도당), 그리고 항이동성 약물(예: 로페라미드)을 포함한다.[38][40] 아연 보충제는 재발성 또는 지속적인 감염이나 아연 결핍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38]
2015년 기준으로, 니타족사니드는 면역력이 정상인 사람의 크립토스포리디움증에 효과가 입증된 유일한 항기생충제이다.[39][38][40][41] 그러나 심하게 면역 저하된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다.[41] 파로모마이신과 아지트로마이신 같은 특정 약제가 때때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부분적인 효과만 보인다.[38]
크립토스포리디움에 의한 장염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으므로 증상 치료를 한다. 설사로 인한 탈수에는 수액 공급이 필요하며, 경구 투여로 충분하지만 드물게 수액 주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식사는 가능한 한 무유당식으로 해야 한다.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지만, 중증 질환자 또는 면역 체계가 약한 환자에게는 사용된다. 재발하는 경우가 있으며, 파로모마이신, 아토바콘, 니타족사니드[75], 아지트로마이신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면역력이 정상인 환자는 수액 요법과 하제를 사용한 대증 요법으로 2주 이내에 자연 회복된다.
7. 3. 면역 저하자
면역저하자의 경우,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서서히 회복되거나 전혀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심각하고 지속적인 수양성 설사와 장관을 통한 주요 영양소 흡수 능력의 현저한 감소를 동반한다. 감염된 개인은 심각한 탈수, 전해질 불균형, 영양실조, 소모 및 잠재적으로 사망을 경험할 수 있다.[42]일반적으로 감염된 에이즈 환자의 사망률은 CD4+ T 세포 수치에 따라 달라진다. CD4+ 수치가 180 cells/mm³ 이상인 환자는 지지적인 병원 치료와 약물 치료로 회복되지만, CD4+ 수치가 50 cells/mm³ 미만인 환자의 경우, 3~6개월 이내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1993년 밀워키 크립토스포리디움증 발생(최대 규모) 동안, CD4+ 수치가 50 cells/mm³ 미만인 에이즈 환자의 73%와 50~200 cells/mm³ 사이인 환자의 36%가 감염 후 1년 이내에 사망했다.[42]
최상의 치료법은 고활성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법을 사용하여 면역 결핍 환자의 면역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HIV 프로테아제 저해제와 지속적인 항기생충제 사용이 포함된다.[38][40] 면역 저하자에 대한 항기생충제 치료는 일반적으로 니타족사나이드, 파로모마이신, 및 아지트로마이신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39][38] 이러한 약물은 면역능력이 있는 사람에 대한 효과와 비교하여 HIV/AIDS 환자에게는 부분적으로만 효과가 있다.[38] 코크란 협력 연구 검토에서는 면역 저하자에게 효과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니타족사나이드 사용을 고려할 것을 권장했다.[40]
현재 분자 기반 면역 요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in vitro'' 및 동물 연구에서 ''Cryptosporidium parvum''을 퇴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3] 티아졸리드로 알려진 니타족사나이드 유도체도 ''in vitro''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44] 리팍시민도 때때로 면역 저하 환자/중증 질환 환자에게 사용된다.
8. 역학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기생충에 의한 수인성 질병의 50.8%를 차지한다.[20] 개발도상국에서는 설사 질환의 8~19%가 ''크립토스포리디움''에 기인하며,[45] 인구의 10%가 오오시스트를 배출한다. 선진국에서는 그 수치가 1~3%로 낮다.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연령대는 1~9세 어린이다.[27][46]
동유럽에서는 인간과 동물에서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이 흔하지만, 감시 체계의 차이와 비교 가능한 방법이 부족하여 질병에 대한 이해와 발생 추적에 제한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동물에서 기생충의 동물인수공통 감염 아형의 다양성이 풍부하여 동물에서 사람으로의 전파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47][48]
미국 성인의 약 30%는 크립토스포리디움증에 대해 혈청양성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생애의 어느 시점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한다.[39]
주요 발병 사례:
9. 역사
이 기생충은 1907년 타이저(Tyzz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는데, 그는 이것이 콕시듐류임을 인지하였다.[49]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의 주요 발병 사례는 다음과 같다.
10. 연구
재조합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Cryptosporidium parvum*) 난포낭 표면 단백질(rCP15/60) 백신은 많은 소에서 항체 반응을 유발했으며, 이 백신을 접종한 소가 생산한 rCP15/60 면역 초유를 섭취한 송아지에서도 항체 반응이 나타났다. 이는 매우 고무적인 결과이다. 인간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 감염은 개발도상국의 유아에게서 특히 흔하며 종종 치명적이고, 면역 저하자(예: 에이즈 환자)에게도 위험하다. 현재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에 대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효과적인 백신은 없지만, 서로 다른 조이트(zoite) 표면 (글리코) 단백질을 이용한 수동 면역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기생충의 생활 주기 발달 단계는 백신 개발을 위한 가능한 표적이 될 수 있다. 이 기생충은 미국 지표수 공급의 65~97%에서 검출되며, 식수 처리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독제에 내성이 있다.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에 감염된 사람과 동물의 혈청 내 항체는 여러 항원과 반응하는데, 그 중 하나는 기생충 표면에 위치한 15 kDa(킬로달톤) 단백질(CP15)이다. 이 단백질은 이전 연구에서 CP15에 대한 단클론 항체가 마우스에 수동 면역을 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 분자 백신으로 사용하기에 좋은 후보이다. 현재 HIV/AIDS 환자에게는 크립토스포리디움 파르붐에 대한 백신이나 완전히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이 없다.[38][40]
2020년에는 2019년 6월에 개최된 크립토스포리디움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발견에 대한 요약이 발표되었다.[50]
참조
[1] 
웹사이트
 
Cryptosporidiosi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02-05
 
[2] 
논문
 
The evolution of respiratory Cryptosporidiosis: evidence for transmission by inhalation
 
[3] 
논문
 
Prevalence of ''Cryptosporidium'', microsporidia and ''Isospora'' infection in HIV-infected people: a global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1-09
 
[4] 
논문
 
Cryptosporidiosis in HIV-positive patients and related risk fact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5] 
웹사이트
 
Cryptosporidium: Nitazoxanide
 
https://www.cdc.gov/[...]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02-20
 
[6] 
논문
 
Recent advances in cryptosporidiosis: the immune response
 
2002-08
 
[7] 
논문
 
Acute pancreatitis: a new finding in cryptosporidium enteritis
 
[8] 
웹사이트
 
Cryptosporidium: Illness & Symptoms
 
https://www.cdc.gov/[...]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02-20
 
[9] 
웹사이트
 
Cryptosporidiosis Clinical Presentation
 
http://emedicine.med[...] 
WebMD
 
2015-08-18
 
[10] 
논문
 
Mechanical transport and transmission of ''Cryptosporidium parvum'' oocysts by wild filth flies
 
[11] 
논문
 
Cryptosporidium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gregarines than to coccidia as shown by phylogenetic analysis of apicomplexan parasites inferred using small-subunit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http://link.springer[...] 
1999-11
 
[12] 
논문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Apicomplexan, ''Cryptosporidium parvum''
 
[13] 
논문
 
The genome of ''Cryptosporidium hominis''
 
[14] 
웹사이트
 
CryptoDB
 
https://cryptodb.org[...] 
[15] 
논문
 
Chlorine Disinfection of Recreational Water for ''Cryptosporidium parvum''
 
[16] 
논문
 
Brote de diarrea y transmisión de ''Cryptosporidium hominis'' asociados al uso de pañal en niños
 
[17] 
웹사이트
 
Cryptosporidium: Sources of Infection & Risk Factors
 
https://www.cdc.gov/[...]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04-01
 
[18] 
논문
 
Defining "Serious Illness"
 
[19] 
웹사이트
 
Chlorine Disinfection of Recreational Water for ''Cryptosporidium parvum''
 
https://www.cdc.gov/[...] 
CDC
 
[20] 
웹사이트
 
Cryptosporidiosis
 
http://web.gideononl[...] 
Gideon
 
2009-02-23
 
[21]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An Introduction to Infectious Disease
 
McGraw-Hill
 
[22] 
논문
 
Cryptosporidiosis
 
2002-05
 
[23] 
서적
 
Medical Microbiology
 
Elsevier Inc.
 
[24] 
서적
 
Koneman's Color Atlas and Textbook of Diagnostic Microbi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5] 
서적
 
Jawetz, Melnick, & Adelberg's Medical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Lange Medical Books/McGraw Hill
 
[26] 
논문
 
Cryptosporidium muris: infectivity and illness in healthy adult volunteers
 
[27] 
논문
 
Cryptosporidium parvum infection in gene-targeted B cell-deficient mice
 
2003-04
 
[28] 
논문
 
New Insights into Human Cryptosporidiosis
 
1999-10-01
 
[29] 
논문
 
Susceptibility and Serologic Response of Healthy Adults to Reinfection with Cryptosporidium parvum
 
1998-02-01
 
[30] 
웹사이트
 
The Interim Enhanced Surface Water Treatment Rule – What Does it Mean to You?
 
http://www.epa.gov/s[...] 
USEPA
 
[31] 
논문
 
Effects of ozone, chlorine dioxide, chlorine, and monochloramine on Cryptosporidium parvum oocyst viability
 
1990-05
 
[32] 
논문
 
Irreversible UV inactivation of ''Cryptosporidium'' spp. despite the presence of UV repair genes
 
2004-09-10
 
[33] 
웹사이트
 
Ultraviolet Disinfection and Treatment
 
http://www.waterrese[...] 
WaterResearchFoundation (formerly AwwaRF)
 
[34] 
뉴스
 
Boil water warning 'precaution'
 
http://news.bbc.co.u[...] 
BBC
 
2008-09-02
 
[35] 
뉴스
 
Boil water 'into January' warning
 
http://news.bbc.co.u[...] 
BBC
 
2005-11-30
 
[36] 
서적
 
Markell and Voge's Medical Parasitology
 
Elsevier Inc.
 
[37] 
웹사이트
 
Control measures for Outbreaks — Intensified Cryptosporidiosis (Crypto) Control Measures for the Child Care Setting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01-07
 
[38] 
웹사이트
 
Cryptosporidiosis Treatment & Management
 
http://emedicine.med[...] 
WebMD
 
2015-08-18
 
[39] 
논문
 
Prevalence,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outcome of cryptosporidiosis in immunocompetent adult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diarrhoea
 
[40] 
논문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ryptosporidiosi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https://researchonli[...] 
2007-01-01
 
[41] 
논문
 
Treatment of Cryptosporidium: What We Know, Gaps, and the Way Forward
 
[42] 
논문
 
Cryptosporidiosis in Patients with HIV Disease: Is It Safe to Drink the Water?
 
http://www.thebody.c[...] 
1996-10-01
 
[43] 
논문
 
Identification of Isoflavone Derivatives as Effective Anticryptosporidial Agents in Vitro and in Vivo
 
https://doi.org/10.1[...] 
2006-02-01
 
[44] 
논문
 
Drug treatment and novel drug target against Cryptosporidium
 
2008-09-01
 
[45] 
논문
 
Cryptosporidiosis: prevalence, genotype analysi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infections in children in Kenya
 
http://www.ajtmh.org[...] 
2006-07-01
 
[46] 
논문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https://zenodo.org/r[...] 
2012-12-15
 
[47] 
논문
 
Review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the eastern part of Europe, 2016
 
[48] 
논문
 
Molecular epidemiology of Cryptosporidium spp. in calves in Estonia: high prevalence of Cryptosporidium parvum shedding and 10 subtypes identified
 
https://www.cambridg[...] 
[49] 
논문
 
Cryptosporidium Taxonomy: Recent Advance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50] 
논문
 
Update on ''Cryptosporidium'' spp.: highlights from the Seventh International Giardia and Cryptosporidium Conference
 
[51] 
논문
 
Cryptosporidiosis - an occupational risk and a disregarded disease in Estonia.
 
2014-01-01
 
[52] 
뉴스
 
Scientists Nab Water-Polluting Parasite
 
https://www.sciencen[...] 
1989-06-03
 
[53] 
서적
 
Environmental Science, Earth as a Living Planet
 
[54] 
논문
 
Costs of Illness in the 1993 Waterborne Cryptosporidium Outbreak, Milwaukee, Wisconsin
 
[55] 
뉴스
 
Cryptosporidium
 
http://www.cbc.ca/ne[...] 
2004-06-23
 
[56] 
웹사이트
 
Waterborne Cryptosporidiosis Outbreak, North Battleford, Ssaskatchewan, Spring 2001
 
http://www.phac-aspc[...]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01-11-15
 
[57] 
웹사이트
 
State Health Department Issues Update on Seneca Lake State Park Gastrointestinal Outbreak
 
http://www.health.st[...] 
[58] 
웹사이트
 
Galway water now safer than ever - HSE
 
https://www.rte.ie/n[...] 
2007-08-20
 
[59] 
웹사이트
 
Cryptosporidium outbreak hits the West
 
https://news.yahoo.c[...] 
[60] 
웹사이트
 
People in Northampton and Daventry warned not to drink tap water
 
http://www.northampt[...] 
[61] 
웹사이트
 
Anglian Water-lifting of boil notice
 
http://www.anglianwa[...] 
[62] 
웹사이트
 
Crypto spreads to private pools
 
http://www.wfaa.com/[...] 
2008-08-13
 
[63] 
웹사이트
 
Gym closes pool in danger bug alert
 
http://www.cambridge[...] 
[64] 
뉴스
 
Woree, Gordonvale residents advised to boil drinking water
 
http://www.abc.net.a[...] 
2010-05-20
 
[65] 
웹사이트
 
Smittskyddsinstitutets arbete med det vattenburna utbrottet av Cryptosporidium i Östersund
 
http://www.smittskyd[...] 
Smittskyddsinstitutet
 
[66] 
뉴스
 
Kommunens parasitenkät avslutas
 
http://op.se/ostersu[...] 
2010-12-13
 
[67] 
뉴스
 
Boil water notice after Cryptosporidiosis outbreak in Co Roscommon
 
http://www.rte.ie/ne[...] 
2013-05-15
 
[68] 
뉴스
 
13 people treated following Roscommon water pollution
 
http://www.rte.ie/ne[...] 
2013-05-17
 
[69] 
웹사이트
 
Human faecal contamination of Queenstown water supply most likely cause of cryptosporidium outbreak
 
https://www.rnz.co.n[...] 
2023-10-06
 
[70] 
논문
 
Chlorine disinfection of recreational water for Cryptosporidium parvum.
 
[71] 
웹사이트
 
プールの水に寄生虫や病原菌、集団感染の原因に
 
https://www.cnn.co.j[...] 
CNN
 
2018-05-19
 
[72] 
논문
 
Acute pancreatitis: a new finding in cryptosporidium enteritis.
 
[73] 
뉴스
 
Residents urged to boil tap water
 
http://news.bbc.co.u[...] 
BBC NEWS
 
[74] 
뉴스
 
'Boil water' warning to thousands
 
http://news.bbc.co.u[...] 
BBC NEWS
 
[75] 
논문
 
New drugs and treatment for cryptosporidiosis
 
http://meta.wkhealth[...] 
[76] 
간행물
 
Cryptosporidiosis in Patients with HIV Disease: Is It Safe to Drink the Water?
 
http://www.thebody.c[...] 
HIV Newsline, San Francisco General Hospital
 
1996-10
 
[77] 
논문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nfection-associated persistent diarrhea.
 
[78] 
논문
 
Cost of illness in the 1993 waterborne Cryptosporidium outbreak, Milwaukee, Wisconsin.
 
[79] 
웹사이트
 
クリプトスポリジウムによる集団下痢症
 
http://www1.iph.pref[...] 
埼玉県衛生研究所
 
2012-10-05
 
[80] 
웹사이트
 
Waterborne Cryptosporidiosis Outbreak, North Battleford, Ssaskatchewan, Spring 2001
 
http://www.phac-aspc[...]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01-11-15
 
[81] 
웹사이트
 
State Health Department Issues Update on Seneca Lake State Park Gastrointestinal Outbreak
 
http://www.health.st[...] 
New York State Health Dept
 
2006-09-29
 
[82] 
뉴스
 
Galway water now safer than ever - HSE
 
http://www.rte.ie/ne[...] 
RTÉ News
 
[83] 
뉴스
 
1302例
 
http://health.utah.g[...] 
Utah Department of Health
 
[84] 
뉴스
 
Cryptosporidium outbreak hits the West
 
http://news.yahoo.co[...] 
Yahoo.com
 
[85] 
뉴스
 
http://www.northampt[...] 
Northampton Chronicle and Echo
 
[86] 
웹사이트
 
Anglian Water-lifting of boil notice
 
http://www.anglianwa[...] 
Anglian Water
 
[87] 
뉴스
 
Crypto spreads to private pools
 
http://www.wfaa.com/[...] 
WFAA-TV
 
2008-08-13
 
[88] 
뉴스
 
Gym closes pool in danger bug alert
 
http://www.cambridge[...] 
Cambridge News
 
[89] 
웹사이트
 
Smittskyddsinstitutets arbete med det vattenburna utbrottet av Cryptosporidium i Östersund
 
http://www.smittskyd[...] 
Smittskyddsinstitutet
 
2011-04-19
 
[90] 
뉴스
 
Kommunens parasitenkät avslutas
 
http://op.se/ostersu[...] 
2010-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