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란은 고대 실크로드 남부의 오아시스 도시로, 현재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해 있다. 기원전 1세기부터 불교 문화가 번성했으며, 2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는 번성한 무역 중심지였다. 8세기 중반에는 티베트의 지배를 받으며 요새 도시로 발전했지만, 이후 관개 시스템의 쇠퇴와 함께 사막화되어 버려졌다. 20세기 초 고고학 발굴을 통해 불교 사원 단지와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오렐 스타인 등 여러 탐험가들이 미란 유적을 연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 로프노르
로프노르는 타림 분지에 위치했던 과거의 거대한 호수이자 현재는 사막화된 지역으로, 고대에는 토하라인 문화와 로란 왕국의 번성을 지원하고 실크로드의 요충지였으나, 20세기에는 호수 위치가 바뀌는 현상이 관찰되었고 중국 핵 실험장으로 사용되어 환경 오염을 겪었으며, 현재는 염전 지대로 활용되고 야생 박트리아 낙타의 서식지이자 고고학적 유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 보쓰텅호
보쓰텅 호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한 호수로 톈산산맥의 만년설이 수원이며, 과거 로프노르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관개 시설 개발과 댐 건설로 인해 염호화가 진행 중이며, 국가급 풍경명승구이자 5A급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 중국의 오아시스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 중국의 오아시스 - 고창국
고창국은 기원전 1세기부터 14세기까지 투르판 지역에 존속하며 실크로드 교역의 요충지 역할을 했던 고대 왕국으로, 한족이 다수 거주했으나 여러 세력의 영향을 받았고 국씨 왕국을 거쳐 당나라 멸망 후 위구르족에 의해 고창 왕국으로 이어졌다. - 신장의 역사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신장의 역사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 미란 | |
|---|---|
| 개요 | |
| 위치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
| 좌표 | 39°14′03″N 88°56′22″E |
| 일반 정보 | |
| 유형 | 고대 도시 |
| 문화 | 불교 |
| 관련 문화 | 간다라 미술 영향 |
| 역사 | |
| 설명 | 기원후 3세기 경부터 투르판과 중국을 연결하는 실크로드 남쪽 길의 중요한 도시였다. 티베트에 의해 점령되기 전까지 번성했다. |
| 점령 | 티베트 |
| 소멸 시기 | 알려지지 않음 |
| 유적 | |
| 유적 상태 | 파괴됨 |
| 설명 | 많은 사원과 요새의 유적이 남아있다. 특히, 기원후 3~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간다라 양식의 벽화가 발견되었다. |
![]() | |
| 발굴 | |
| 발굴자 | 오렐 스타인 |
| 발굴 시기 | 20세기 초 |
2. 명칭
라이오넬 자일스는 미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름을 기록했다(중국어 이름을 웨이드-자일스 표기에서 병음으로 변환).[1]
- "유니", 로란의 옛 수도 [전한]
- "옛 동부 도시" ; "작은 산산" [후한]
- 치툰 청 ; 툰 청 [당]
- 미란 [현대 이름].
티베트 점령기(8세기 중반~9세기 중반)에는 이 지역을 노프 충구(또는 ''노브 추 응구'')라고 불렀다.[2]
3. 역사
미란은 실크로드 남부의 번화한 무역 중심지였으나, 강이 말라 사막화되면서 버려졌다. 20세기 초 고고학 발굴로 2~5세기 불교 사원 단지가 발견되었다. 미란은 3세기 한나라 지배를 받았고, 4세기 이후 쇠퇴, 8세기 중반 티베트 요새 도시가 되었다가 9세기 중반 티베트 제국이 멸망하면서 버려졌다.
3. 1. 고대
고대 시대에 미란은 실크로드 남부의 번화한 무역 중심지였다. 실크로드는 북쪽 경로와 남쪽 경로로 갈라졌고, 상인들은 가혹한 타림 분지 사막을 횡단하는 여행을 피하려 했다. 이 길들은 북쪽이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었다.[1]1천년 CE 동안, 인근 산맥에서 강이 이 지역으로 흘러들어 미란은 정교한 관개 시스템을 갖추었다. 강이 말라가면서 이 지역은 사막화 현상을 겪었고, 미란은 점차 버려졌다.[2]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고고학 발굴을 통해 2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존재했던 광대한 불교 사원 단지가 밝혀졌다. 불교 신자들은 부처의 유물을 담은 중앙 기둥이 있는 덮인 원형 탑을 돌았을 것이다.[3]
미란은 로란의 작은 도시 중 하나였으며, 3세기에는 중국 한나라의 지배를 받았다.[4] 4세기 이후 중국 기록에 따르면 무역 중심지로서 쇠퇴하기 시작했다.[5]
8세기 중반, 미란은 티베트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요새 도시가 되었다. 이곳은 중국군이 중국 중부의 반군을 처리하기 위해 철수했을 때 티베트군이 건너온 곳이다. 티베트인들은 9세기 중반 경 티베트 제국이 중앙 아시아의 영토를 잃을 때까지 오래된 관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그곳에 머물렀다.[6]
고대 미란은 타클라마칸 사막 남쪽의 오아시스 도시로, 실크로드상의 로프노르와 알틴산맥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7] 2000년 전, 산 위의 수원으로 인해 미란은 양호한 관개를 할 수 있었고, 서역 남도의 교역 중심지로 번영했다. 불교가 발전하여 사찰이 숲을 이루었다.[8]
중국 역사 문헌 속 미란의 옛 이름은 상당히 혼란스럽다. 오렐 스타인과 귈스렌은 미란을 고대의 우니(扜泥)로 간주했다. 『한서』의 기술에 따르면, 우니는 선선(로란)의 도성이다. 여도원의 설에 따르면 선선의 도성은 이순(伊循)이며, 차르클리크에 해당한다. 당대 여행기에서는 당대 이순이 오늘날의 미란으로 여겨지지만, 차르클리크와 미란 사이에는 80km나 떨어져 있어 이견이 끊이지 않는다.
3. 2. 중국 왕조의 지배와 쇠퇴
고대 시대에 미란은 실크로드 남부의 번화한 무역 중심지였다. 실크로드는 북쪽 경로와 남쪽 경로로 갈라졌고, 상인들은 가혹한 사막의 황무지(중국에서 "죽음의 바다"라고 불림)와 타림 분지를 횡단하는 여행을 피하려 했다. 이 길들은 북쪽이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었다.1천년 CE 동안, 인근 산맥에서 강이 이 지역으로 흘러들어와 미란은 정교한 관개 시스템을 갖추었다. 강이 말라가면서 이 지역은 사막화 현상을 겪었고, 미란은 점차 버려졌다.
미란은 크뢰라이나(일명 로란)의 작은 도시 중 하나였으며, 3세기에는 중국 한나라의 지배를 받았다.[1] 4세기 이후 중국 기록에 따르면 무역 중심지로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8세기 중반, 미란은 티베트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요새 도시가 되었다. 이곳은 중국군이 중국 중부의 반군을 처리하기 위해 철수했을 때 티베트군이 건너온 곳이다. 티베트인들은 9세기 중반 경 티베트 제국이 중앙 아시아의 영토를 잃을 때까지 오래된 관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그곳에 머물렀다.[2]
3. 3. 티베트 점령기
8세기 중반, 미란은 티베트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요새 도시가 되었다. 이곳은 당나라 군대가 중국 중부의 반군을 처리하기 위해 철수했을 때 티베트군이 건너온 곳이다. 티베트인들은 9세기 중반 경 티베트 제국이 중앙아시아의 영토를 잃을 때까지 오래된 관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그곳에 머물렀다.[1]3. 4. 쇠퇴와 재발견
고대 시대에 미란은 실크로드 남부의 번화한 무역 중심지였다. 실크로드는 북쪽 경로와 남쪽 경로로 갈라졌고, 상인들은 가혹한 사막의 황무지(중국에서 "죽음의 바다"라고 불림)와 타림 분지를 횡단하는 여행을 피하려 했다. 이 길들은 북쪽이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었다.1천년 CE 동안, 인근 산맥에서 강이 이 지역으로 흘러들어왔고, 미란은 정교한 관개 시스템을 갖추었다. 강이 말라가면서 이 지역은 사막화 현상을 겪었고, 미란은 점차 버려졌다.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고고학 발굴을 통해 2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존재했던 광대한 불교 사원 단지가 밝혀졌다. 불교 신자들은 부처의 유물을 담은 중앙 기둥이 있는 덮인 원형 탑을 돌았을 것이다.[1]
미란은 크뢰라이나 (일명 로란)의 작은 도시 중 하나였으며, 3세기에는 중국 한나라의 지배를 받았다.[2] 4세기 이후 중국 기록에 따르면 무역 중심지로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8세기 중반, 미란은 티베트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요새 도시가 되었다. 이곳은 중국군이 중국 중부의 반군을 처리하기 위해 철수했을 때 티베트군이 건너온 곳이다. 티베트인들은 9세기 중반 경 티베트 제국이 중앙 아시아의 영토를 잃을 때까지 오래된 관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그곳에 머물렀다.[3]
4. 고고학적 발굴

미란 유적은 큰 직사각형 요새, 수도원(스타인의 기록에 '비하라'), 여러 개의 탑, 그리고 동서로 뻗어 있는 둔황으로 가는 고대 대상로와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많은 햇볕에 말린 벽돌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오렐 스타인은 1907년부터 미란 유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미란에서 발견된 문자 사료의 대부분은 초기의 티베트 문자로 나무나 종이에 쓰여 있었으며, 8세기에서 9세기에 걸친 행정 문서와 군사 자료였다.
4. 1. 주요 발굴 성과
미란 유적에서는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 고대 도시들이 지중해만큼이나 멀리 떨어진 곳과 광범위하고 정교한 교역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미란의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1세기 초부터 예술 작품에 불교의 영향을 보여준다.[1] 이 유적에서 발굴된 초기 불교 조각과 벽화는 서부 중앙아시아와 인도 아대륙 북서부의 간다라 미술 전통과 유사한 세린디아 미술 양식을 보여준다. 그곳에서 발견된 그림의 다른 예술적 측면은 미란이 고대 로마와 그 로마 속주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2]이 로마네스크 양식은 미란에서 자신의 이름을 카로슈티 문자로 "티투스"(𐨟𐨁𐨟|Titakdh)라고 서명한 불교 화가의 작품으로 여겨지는데, 그는 어쩌면 고용을 찾아 실크로드를 따라 동쪽으로 여행한 로마 예술가였을 것이다. 미란 유적에서는 활과 화살을 비롯한 여러 유물이 발견되었다.
4. 2. 주요 탐험 및 방문
- 1876년: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는 로프누르 호수 근처의 폐허가 된 도시를 언급했는데, 이는 그의 지도상 위치로 보아 미란으로 추정된다.[3]
- 1905년: 미국의 지질학자 엘스워스 헌팅턴은 미란을 처음으로 조사하여 요새, 수도원, 두 개의 탑을 확인하고, 유적지의 불교적 성격을 인지했다.
- 1906년~1907년: 아우렐 스타인은 미란 요새와 주변 유적지를 발굴하여 44개의 방(유적 번호 M.I.i - M.I.xliv)을 발견했다. 그는 요새 북쪽과 서쪽의 다른 유적지(유적 번호 M.II - M.X)를 발굴하여 잘 보존된 불교 프레스코와 스투코 이미지가 있는 여러 사찰을 발견했다.[4]
- 1902년과 1910년: 오타니 고즈이 백작은 미란으로 탐험대를 보내 불교 경전, 벽화, 조각품을 가져왔다.[5]
- 1914년: 아우렐 스타인은 세 번째 탐험에서 미란의 다른 유적지(유적 번호 M.XI - M.XV)를 발굴하여 더 많은 스투코 이미지와 나무 조각품을 발견했다.[6]
- 1957년~1958년: 황원비 교수가 이끄는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팀이 미란에서 6일을 보내고, 1983년에 보고서를 발표했다.
- 1959년: 신장 박물관 팀은 미란에서 10일 동안 요새, 사찰 유적지 및 주거 지역을 조사하고, 1960년에 보고서를 발표했다.
- 1965년: 라오 레이푸라는 엔지니어가 미란 지역의 관개 시스템 잔해를 조사하고 1982년에 결과를 발표했다.
- 1973년: 신장 박물관의 또 다른 팀이 유적지를 방문하여 요새, 사찰 및 관개 시스템을 조사하고, 1983년 무 순잉의 탐험 보고서에서 발굴 결과를 논의했다.
- 1978년~1980년: 신장 박물관의 황 샤오징과 장 핑이 가장 광범위한 조사를 수행하고, 1985년 보고서에서 요새, 8개의 탑, 3개의 사찰 유적지, 2개의 등대, 주거지, 무덤, 가마 지역 및 제련 유적지에 대해 논의했다.
- 1988년: XJASS의 고고학 팀이 유적지를 방문하여 보고서를 발표했다.
- 1989년: 왕 빙화 교수가 여러 사찰 유적지를 방문했다.
- 1989년: 크리스타 파울라가 미란을 방문하여 사진과 함께 설명을 발표했다.[7]
- 1996년: 피터 융이 미란을 방문하여 그의 경험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8]
미란 유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처음 실시한 고고학자는 아우렐 스타인이다. 그는 1907년부터 미란 유적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5. 교통
미란에는 미란 철도역(신장)이 있다.
참조
[1]
인용
[2]
웹사이트
Ten Centuries of Art on the Silk Road
http://www.asianart.[...]
2007-08-25
[3]
서적
From Kulja, across the Tian Shan to Lob-Nor.
Sampson Low
1879
[4]
서적
Serindia.
Clarendon
1921
[5]
서적
Central Asian Objects brought back by the Otani Mission.
Tokyo National Museum
1971
[6]
서적
Innermost Asia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28
[7]
서적
The Road to Miran: Travels in the Forbidden Zone of Xinjiang.
HarperCollins
1994
[8]
서적
Bazaars of Chinese Turkestan: Life and Trade Along the Old Silk Roa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