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프노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프노르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한 고대 호수로, 기원전 1800년경부터 9세기까지 토하라인 문화의 중심지였다. 실크로드와 관련하여 고대 로란 왕국이 번성했으며, 다양한 고대 문헌에 옌쩌, 푸창 하이 등으로 기록되었다. 20세기 초 타림강의 물길 변화로 '방랑 호수'로 불리기도 했으며, 탐험가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1964년부터 핵실험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중반까지 물이 있었으나 현재는 말라붙어 호수의 모습을 잃었다. 로란, 샤오허 묘지, 카우리굴, 미란 등 고고학 유적이 존재하며, 하미-로프누르 철도와 성도 235호선 등 교통망이 갖춰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 미란
    미란은 실크로드 남로의 주요 거점이었던 오아시스 도시로, 티베트 제국의 요새 도시이자 불교 사원 단지로서 번성했으며, 고고학 발굴을 통해 불교 미술과 고대 로마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유물이 발견되었다.
  •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 보쓰텅호
    보쓰텅 호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한 호수로 톈산산맥의 만년설이 수원이며, 과거 로프노르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관개 시설 개발과 댐 건설로 인해 염호화가 진행 중이며, 국가급 풍경명승구이자 5A급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로프노르
개요
로프누르 분지
로프누르의 위성 사진. 사라진 호수의 동심원 모양의 해안선이 보인다.
위치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면적10,000 km² (추정)
이전 면적3,100 km²
평균 염분 두께30 ~ 100 cm
명칭
중국어 간체罗布泊
중국어 정체羅布泊
병음Luóbù Pō
웨이드-자일스Lo²-pu⁴ P'o¹
위구르어لوپنۇر
위구르어 (라틴)Lopnur
몽골어ᠯᠣᠪ ᠨᠠᠭᠤᠷ
칼미크어Лоб Нуур
다른 중국어 이름罗布淖尔 (Luóbù Nào'ěr)
어원몽골어 '호수 (Nor)' 와 불명확한 'Lop' 의 조합으로 추정
역사
과거소금 호수
현재마른 호수 분지
핵 실험장로프누르 핵 실험장
참고호수 바닥에서 미녀 로프 발견
행정 구역
관련 지역로프누르 진 (罗布泊镇)
로프중罗中
지리
특징쿠무타크 사막 과 아스틴 타크 산맥 사이에 위치

2. 역사

타림 분지히말라야 조산 운동으로 형성된 지형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2만 년 전 마지막 빙기에서 현재의 간빙기로 변화할 무렵, 분지 거의 전역이 카스피해처럼 매우 광대한 호수가 되었지만, 이후 기후 온난화로 점차 물이 줄어들고 대부분 사막화되었다고 여겨진다.[71] 이 이론에 따르면 로프노르 등 타림 분지 곳곳에 흩어져 있는 호수는 당시 호수의 마지막 잔재이다.

로프노르는 내륙 하천타림 강 말단 호수 가운데 하나이며, 강한 햇빛에 의한 증발과 땅 속으로 스며들어 사라지는 물 때문에 점차 염분이 축적되어 염호가 되었다. 기원전 1세기 무렵에는 꽤 큰 호수였다는 기록이 있지만, 4세기 전후에는 말라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1901년 중앙아시아 탐험가에 의해 "로프노르 지역은 해발 차이가 별로 없고, 퇴적침식 작용 등에 의해 타림 강의 흐름이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호수의 위치가 남북으로 이동하는 '떠도는 호수'(Wandering Lake)설"이 제시되었다. 1921년 실제로 타림 강의 흐름이 바뀌어 호수가 부활한 것으로 알려졌다.[72] 부활 후에도 상류의 톈산산맥 등의 강설, 강우에 의해 유입 수량이 변하여 줄어들고 불어나기를 반복하면서도 20세기 중반까지 물이 가득했다. 그러나 타림 강에 댐이 건설되는 등의 이유로 현재는 다시 완전히 말라 있다. 마른 호수의 모습은 인간의 귀 모양을 닮았으며, 호수 심장부를 성도(省도) 235호선이 관통하고 있다.

폴케 베리만이 작성한 로프노르 주변의 지도(1935년). 오른쪽 윗부분의 조롱박 모양이 당시의 호수이다. 하반부가 마른 후 인간의 귀를 닮은 모습으로 보이고 있다.


1964년부터 로프노르 지역은 중국의 핵 실험장으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군사상의 출입 금지 구역이었지만, 로프노르 호수 바닥이 실험장이 된 적은 없다.[94] 1980년대에 출입 금지가 해제된 뒤에는 탐험가, 학자, 미디어,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1921년에는 인간의 개입으로 종착 호수가 다시 로프노르로 이동했다. 1930–1931년에는 호수의 면적이 2400km2였다. 1934년 스벤 헤딘[15]은 카누를 타고 새로운 쿠루크 다르야("마른 강")를 따라 내려갔다. 그는 삼각주가 채널의 미로였고 새로운 호수가 너무 얕아서 카누로도 항해하기 어려웠다고 기록했다.

1952년에는 타림강과 콘케강이 인간의 개입으로 분리되면서 종착 호수가 타이테마 호수로 이동했고, 1964년까지 로프노르는 다시 말랐다. 1972년 다시하이즈 저수지가 건설되면서 호수 수원이 차단되어 대부분의 호수가 말랐다. 2000년에는 보스텐 호수에서 물을 끌어와 타이테마 호수를 채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타이테마 호수는 사막의 확산 등으로 인해 지난 40년 동안 30km에서 40km 서쪽으로 이동했다.[17]

카라코슌 건조 분지는 더 넓은 로프노르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13]

1980년 6월 17일, 중국 과학자 펑 지아무가 로프노르에서 실종되었고, 1996년 6월 3일에는 중국 탐험가 위 춘순이 로프노르를 횡단하려다 사망했다.[20]

1964년 로프노르에서 있었던 중국 최초의 핵무기 실험인 596 프로젝트의 버섯구름.


중국은 1959년 10월 16일 로프노르 핵무기 실험장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설립했다.[2] 1964년 10월 16일, 로프노르에서 암호명 "596 프로젝트"로 명명된 첫 번째 중국의 핵실험이 실시되었다. 중국은 1967년 6월 17일 최초의 수소 폭탄을 터뜨렸고, 1996년까지 45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했다.

2009년, 일본 과학자 타카다 준은 중국에서 핵 관련 질병으로 19만 명이 사망했을 수 있다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23] 망명한 친위구르 독립 운동가 엔베르 토티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암 발병률이 전국 평균보다 30~35% 더 높다고 주장했다.[24] 1996년 7월 29일, 중국은 45번째이자 마지막 핵실험을 실시했고, 다음 날 핵실험에 대한 공식적인 모라토리엄을 발표했다.[25]

2023년 12월, 중국이 외딴 사막에서 핵실험을 재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위성 사진은 깊은 수직 갱도를 만든 굴착 장치의 존재를 보여주었다.[21]

2. 1. 고대 ~ 중세

고대 중국에서 서역이라 불리는 지역에 위치한 로프노르는 ‘염택’(塩澤) 또는 ‘포창해’(蒲昌海) 등의 이름으로 알려졌다. 기원전 1세기경 한대(漢代)에는 “가로세로 모두 300함호(鹹湖)로 겨울이나 여름에도 그 수량이 변하지 않는다”고 《한서》 서역전 서문에 기록된 광대한 호수였다.[9] ''사기''에서는 옌쩌(鹽澤, 문자 그대로 소금 습지)라고 불렸으며, 고대 로란 왕국이 위치한 곳 근처의 염호의 성질을 나타냈다.[10] ''한서''에서는 푸창 하이(蒲昌海, 문자 그대로 풍성한 갈대의 바다)라고 불렸으며, 길이와 너비가 300~400 리(약 120–160 km)로 표시되어 한때 거대한 호수였음을 나타냈다.[11]

호수 서안에는 도시 국가 누란이 번성하여, 실크로드의 요충지가 되고 있었다. 그러나 3세기 경부터 이 지역 일대의 건조화가 진행되었고, 풍부한 물을 잃은 누란은 4세기 이후 급속히 쇠퇴해 갔다. 로란은 기원전 55년에 중국 제국의 속국이 되었고, 산산으로 개명되었다. 법현은 인도 인더스 계곡으로 가는 길에 로프 사막을 거쳐 갔고(395–414),[5] 이후 중국 순례자들이 뒤따랐다. 마르코 폴로도 여행 중 로프 사막을 통과했다.[6]

13세기(元)의 대도를 방문한 베니스의 상인 마르코 폴로카슈가르에서 서역 남도를 따라 호수의 남쪽 가장자리를 스치는 루트를 통해 둔황에 이른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의 저서 《동방견문록》에서 로프노르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1901년에 중앙 아시아의 탐험가에 의해 "로프노르의 지역은 해발 차이가 별로 없고, 퇴적침식 작용 등에 의해 타림 강의 흐름이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호수의 위치가 남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로프노르는 언젠가 반드시 원래 위치로 돌아올 것이다"라는 이른바 '떠도는 호수'(Wandering Lake)설이 제시되고 그로부터 불과 20년 후인 1921년에 실제로 타림 강의 흐름이 바뀌어 호수가 부활한 것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다.[72]

1928년, 투루판에 머물고 있던 헤딘은 이 지역의 상인에게서 1921년에 타림 강이 동쪽으로 흐름을 바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당시 중국의 복잡한 상황으로 인해 곧장 현지로 들어가지는 못했지만, 1934년에 헤딘은 말라 있던 쿠르크 다리야, 물이 돌아오고부터는 쿰 다리야(모래 강)라고 불리게 된 강을 카누를 타고 내려와, 물이 가득찬 로프노르에 도달하게 되었고, 자신의 예언이 맞았다는 것을 자신의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고 한다.[73]

2. 2. 떠도는 호수



타림 분지는 히말라야 조산 운동으로 형성된 지형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2만 년 전 마지막 빙기에서 현재의 간빙기로 변화할 무렵, 분지 거의 전역이 카스피해처럼 매우 광대한 호수가 되었지만, 이후 기후 온난화로 점차 물이 줄어들고 대부분 사막화되었다고 여겨진다.[71] 이 이론에 따르면 로프노르 등 타림 분지 곳곳에 흩어져 있는 호수는 당시 호수의 마지막 잔재이다.

1901년 중앙아시아 탐험가 스벤 헤딘은 "로프노르 지역은 해발 차이가 별로 없고, 퇴적침식 작용 등으로 타림강의 흐름이 크게 변동하여 호수 위치가 남북으로 이동한다. 로프노르는 언젠가 반드시 원래 위치로 돌아올 것이다"라는 '떠도는 호수'(Wandering Lake)설을 제시했다.[72] 그로부터 불과 20년 후인 1921년에 실제로 타림 강의 흐름이 바뀌어 호수가 부활했다.

20세기 중반까지는 상류의 톈산산맥 등의 강설, 강우에 의해 유입 수량이 변하여 줄고 불기를 반복하면서 물이 가득했다. 그러나 타림 강에 댐이 건설되는 등의 이유로 현재는 다시 완전히 말라 있다. 위성 사진에서 마른 호수는 인간의 귀 모양을 닮았으며, 호수 심장부를 가로지르듯 성도(省道) 235호선이 관통하고 있다.

2. 2. 1. 1600년 주기설에 대한 오해

헤딘이 주창한 '방황하는 호수'설은 '1600년 또는 1500년 등 일정한 주기로 호수가 철새처럼 남북으로 이동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75][76] 일본 소설가 이노우에 야스시1958년에 발표한 소설 『누란[77]에서 '1500년의 주기로 남북으로 이동하는 호수라는 추정이 이루어졌고 그것이 하나의 움직일 수 없는 정설이 되었다'고 썼으며, 1980년에 방송된 『NHK 특집 실크로드 -비단의 길(絲綢之路)-』의 '제5집 누란 왕국을 발굴하다'에서도 같은 설명이 나왔다. 그러나 헤딘 자신이 그렇게 말했다는 흔적은 전혀 없다.

1901년에 헤딘이 예언한 것은 '타림 강 물은 언젠가 반드시 로프노르로 돌아올 것이고, 그때가 오면 호수가 이동하는 주기의 길이도 알 수 있을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헤딘은 이 주장을 했던 시점에서 주기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이동이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된다고 생각했던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헤딘은 퇴적 및 침식 등의 원동력으로 그런 큰 변화가 일어나려면 '수천 년이 아니라 수만 년이 걸린다'고 보았고, 이는 『방황하는 호수』[78]에도 기록되어 있다. 그는 먼 장래에 자신의 예언대로 된다 하더라도 '그때는 이미 예언한 당사자도 그 저작도 벌써 잊혀져 있을 수 있다'고까지 썼다.

헤딘은 자신의 예언으로부터 20년 후, 로프노르가 마르고 '겨우' 1600년 정도로 호수가 제자리에 돌아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이번에는 우연히 대략 1600년 만에 일어났겠지만 과거의 일은 모르고 미래도 반드시 같은 주기로 그렇게 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이 다음에 또 어디로 이동할지에 대해서도 확실한 답은 없다고 생각이 변해 갔다.

본문 중에 '1600년 주기'라는 말은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헤딘은 자신이 상정한 원동력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울 만큼 짧은 기간에 큰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았다. 그가 저서 집필 시점에 최종 도달했던 '방황하는 호수'설은, 로프노르는 꼭 철새와 같은 일정한 주기를 두고 이동을 반복하는 것은 아니고 말 그대로 '방황하는 호수'라는 것이다. 그는 '... 지금 그 시작 주기의 길이에 대해서는 일체의 예단을 삼가하는 것이 최선이다. 서기 330년에 강과 호수가 강바닥을 버리기 전 수백 년 동안 누란 근처에 있었을지, 우리는 알 수 없다. 다음의 큰 주기 역시 1600년으로 지속될 것인가. ... (중략)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것은 미래뿐이다 ...'라고 말했다.[79]

이러한 주장이 본문에 명료하게 기술되어 있음에도, '1600년 주기로 이동을 반복'한다는 오해가 만연하게 된 원인이 있다. 그것은 헤딘의 저서가 널리 소개되는 과정에서 어느새 예언에서 '주기'라는 말과 (그 주기가) 이번에는 (우연히) '1600년'이었다는 사실이 서로 합쳐져 '1600년 주기'라는 말이 만들어졌고, 이것이 확장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와나미 문고판 『방황하는 호수』[80]의 번역자 후쿠다 히로토시는 번역 후기에서 본문에 존재하지도 않는 '1600년 주기'라는 말을 사용하여 헤딘의 학설에 대한 잘못된 해설을 했다. 심지어 책 표지의 광고 문구까지도 '1600년 주기'라고 인쇄되어 있다.[81] 이런 일이 많은 독자들에게 심각한 오해를 주고 잘못된 설이 유포되는 결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82]

그러나 이와나미 문고판이 저술된 것은 1990년이고 이노우에 야스시가 『누란』을 발표한 것은 1958년이다. 즉, 1950년대에 이미 '1600년 주기'설이 이노우에 야스시의 말처럼 '하나의 움직일 수 없는 정설'로 통하고 있었고, 이와나미 문고판보다 훨씬 이전에 그러한 오해가 퍼져 있었다.

언제 어디서 처음 이런 오해가 발생했는지는 지금까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헤딘의 『방황하는 호수』는 이와나미 문고판에 앞서 치쿠마 서방[83], 백수사[84], 가도카와 문고[85], 주고 문고[86] 등에서 출판되었다. 이들 가운데 백수사판만 감수자 중 한 명인 후카다 규야가 권말 설명에서 '로프노르는 1,600년을 주기로 그 위치를 바꾸는 것이 입증됐다'고 말하고 있다.[87] 그러나 이것도 1964년에 발행된 것으로 오해의 '진원지'는 아니다. 다른 번역판에서는 잘못된 내용의 해설은 보이지 않는다. 헤딘의 기행문[88][89][90][91], 전기[92], 자서전[93]에도 그러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은 보이지 않는다.

2. 3. 근현대

타림 분지 곳곳에 흩어져 있는 호수는 빙하기에서 간빙기로 변화할 무렵 형성된 거대한 호수의 마지막 잔재로 여겨진다.[71] 로프노르는 내륙 하천타림 강 말단 호수 가운데 하나이며, 강한 햇빛에 의한 증발과 땅 속으로 스며들어 사라지는 물 때문에 점차 염분이 축적되어 염호가 되었다. 기원전 1세기 무렵에는 꽤 큰 호수였다는 기록이 있지만, 4세기 전후에는 말라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1901년 중앙 아시아 탐험가에 의해 "로프노르 지역은 해발 차이가 별로 없고, 퇴적침식 작용 등에 의해 타림 강의 흐름이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호수의 위치가 남북으로 이동하는 '떠도는 호수'(Wandering Lake)설"이 제시되었다. 1921년 실제로 타림 강의 흐름이 바뀌어 호수가 부활한 것으로 알려졌다.[72] 부활 후에도 상류의 톈산산맥 등의 강설, 강우에 의해 유입 수량이 변하여 줄어들고 불어나기를 반복하면서도 20세기 중반까지 물이 가득했다.

그러나 타림 강에 댐이 건설되는 등의 이유로 현재는 다시 완전히 말라 있다. 마른 호수의 모습은 인간의 귀 모양을 닮았으며, 호수 심장부를 성도(省道) 235호선이 관통하고 있다.

로프노르 지역은 1964년부터 중국의 핵 실험장으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군사상의 출입 금지 구역이었지만, 로프노르 호수 바닥이 실험장이 된 적은 없다.[94] 1980년대에 출입 금지가 해제된 뒤에는 탐험가, 학자, 미디어,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1921년에는 인간의 개입으로 종착 호수가 다시 로프노르로 이동했다. 1930–1931년에는 호수의 면적이 2400km2였다. 1934년 스벤 헤딘[15]은 카누를 타고 새로운 쿠루크 다르야("마른 강")를 따라 내려갔다. 그는 삼각주가 채널의 미로였고 새로운 호수가 너무 얕아서 카누로도 항해하기 어려웠다고 기록했다.

1952년에는 타림강과 콘케강이 인간의 개입으로 분리되면서 종착 호수가 타이테마 호수로 이동했고, 1964년까지 로프노르는 다시 말랐다. 1972년 다시하이즈 저수지가 건설되면서 호수 수원이 차단되어 대부분의 호수가 말랐다. 2000년에는 보스텐 호수에서 물을 끌어와 타이테마 호수를 채우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타이테마 호수는 사막의 확산 등으로 인해 지난 40년 동안 30km에서 40km 서쪽으로 이동했다.[17]

카라코슌 건조 분지는 더 넓은 로프노르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13]

1980년 6월 17일, 중국 과학자 펑 지아무가 로프노르에서 실종되었고, 1996년 6월 3일에는 중국 탐험가 위 춘순이 로프노르를 횡단하려다 사망했다.[20]

중국은 1959년 10월 16일 로프노르 핵무기 실험장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설립했다.[2] 1964년 10월 16일, 로프노르에서 암호명 "596 프로젝트"로 명명된 첫 번째 중국의 핵실험이 실시되었다. 중국은 1967년 6월 17일 최초의 수소 폭탄을 터뜨렸고, 1996년까지 45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했다.

2009년, 일본 과학자 타카다 준은 중국에서 핵 관련 질병으로 19만 명이 사망했을 수 있다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23] 망명한 친위구르 독립 운동가 엔베르 토티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암 발병률이 전국 평균보다 30~35% 더 높다고 주장했다.[24] 1996년 7월 29일, 중국은 45번째이자 마지막 핵실험을 실시했고, 다음 날 핵실험에 대한 공식적인 모라토리엄을 발표했다.[25]

2023년 12월, 중국이 외딴 사막에서 핵실험을 재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위성 사진은 깊은 수직 갱도를 만든 굴착 장치의 존재를 보여주었다.[21]

3. 현재

로프노르는 한때 물이 가득했지만 2010년 현재는 완전히 말라붙어 호수로서의 모습은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과학원에 따르면, 1959년에는 존재가 확인되었으나[95] 1972년에 이미 소멸했다.[96] 중국과학원은 로프노르가 완전히 마른 시기를 1962년으로 추정하고 있다.[96] 2004년에는 중국과학원의 현지 조사에 의해 로프노르가 부활했다고 보도되었지만, 그것은 1km2 정도의 작은 호수에 지나지 않았고, 그마저도 이듬해에는 다시 소멸했다.[76]

1901년 중앙아시아 탐험가에 의해 "로프노르 지역은 해발 차이가 별로 없고, 퇴적침식 작용 등에 의해 타림강의 흐름이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호수의 위치가 남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로프노르는 언젠가 반드시 원래 위치로 돌아올 것이다"라는 '떠도는 호수'설이 제시되었다.[72] 1921년에 실제로 타림 강의 흐름이 바뀌어 호수가 부활하면서 널리 알려졌다.[72] 부활 후에는 상류의 톈산산맥 등의 강설, 강우에 의해 유입 수량이 변하기 때문에 줄어들고 불어나기를 반복하면서도 20세기 중반까지 물이 가득했다.

타림 강에 댐이 건설되는 등의 이유로 현재는 다시 완전히 말라있다. 위성 사진에서 마른 호수의 모습이 인간의 귀 모양을 닮은 모습으로 호수 심장부를 가로지르듯 성도 235호선이 관통하고 있다.

염전으로 알려진 구조물 (2009/10). 긴 변이 대략 20km에 달한다. 거의 위쪽이 북쪽. 왼쪽이 귀 같은 로프노르 호수의 말라붙은 자국이며. 그 가운데를 성도 235호선이 달리고 있다.


현재는 마른 호수 자리를 가로지르는 성도 235호선이 부설되어 있으며, 호수 자리를 방문하는 투어 등도 짜여지고 있다. 호수의 중심에는 많은 여행자나 탐험가에 의해 호수 중심부 도달을 기념하는 비석이 세워져 있으며,[97] Google의 지도(항공 사진)를 통해서도 그 모습을 거의 확인할 수 있다.

2002년 무렵부터 호수 자리 동북단의 성도 235호선에 연한 위치에 「염전」이라 알려진 매우 거대한 구조물이 세워진 것이 위성 사진에 의해 밝혀져 있다.[98] 황산칼륨 등 비료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알려져 있으며,[99] Google의 지도(항공 사진)로는 매우 세세한 부분까지 보인다. 비료를 운반하고 로프노르와 하미 (쿠무루)를 연결하는 철도도 건설되었다.[100]

2010년 11월 청두 상업보(成都商業報)에 따르면 중국과학원은 로프노르 지역의 사막화 방지 계획 「신 로랑 계획」의 일환으로 로프노르에 인공 호수를 건설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타림 분지의 지하에 거대한 수원이 존재한다는 정보도 있다.[101]

4. 생태

로프노르는 20세기 중반까지 물이 가득했지만, 2010년 시점에서는 말라버려 호수로서의 모습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지역의 건조화, 타림 강 상류에 건설 등이 소멸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과학원에 따르면, 1959년에는 존재가 확인[95]되었으나 1972년에 이미 소멸했다. 중국과학원은 로프노르가 완전히 마른 시기를 1962년으로 추정하고 있다.[96] 2004년에는 중국과학원의 현지 조사에 의해 로프노르가 부활했다고 보도되었지만, 그것은 1km2 정도의 작은 호수에 지나지 않았고, 그마저도 이듬해에는 다시 소멸했다.[76]

현재는 마른 호수 자리를 가로지르는 성도 235호선이 부설되어 있으며, 호수 자리를 방문하는 투어 등도 짜여지고 있다. 호수의 중심에는 많은 여행자나 탐험가에 의해 호수 중심부 도달을 기념하는 비석이 세워져 있으며[97], Google의 지도(항공 사진)를 통해서도 그 모습을 거의 확인할 수 있다.


  • 2002년 무렵부터 호수 자리 동북단의 성도 235호선에 연한 위치에 「염전」이라 알려진 매우 거대한 구조물이 세워진 것이 위성 사진에 의해 밝혀져 있다.[98] 황산칼륨 등 비료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알려져 있으며[99], Google의 지도(항공 사진)로는 매우 세세한 부분까지 보인다. 비료를 운반하고 로프노르와 하미 (쿠무루)를 연결하는 철도도 건설되었다.[100]
  • 2010년 11월 청두 상업보(成都商業報)에 따르면 중국과학원은 로프노르 지역의 사막화 방지 계획 「신 로랑 계획」의 일환으로 로프노르에 인공 호수를 건설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타림 분지의 지하에 거대한 수원이 존재한다는 정보도 있다.[101]


로프노르에는 야생 박트리아 낙타가 서식하는데, 이는 박트리아 낙타와는 별개의 종이다. 낙타들은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자연적으로 번식을 계속해 왔다. 중국은 1996년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에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았다.[27] 그 후, 낙타는 IUCN 적색 목록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었다.[28] 로프노르에서의 핵실험 중단 이후, 인간의 침입으로 인해 낙타 개체수가 감소했다.[28][29][30] 야생 박트리아 낙타는 2002년부터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었으며,[28] 남아있는 약 1400마리의 야생 박트리아 낙타 중 절반이 로프노르 야생 낙타 국립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이전 로프노르 시험 기지에 살고 있다.

5. 고고학 유적

기원전 2천년기의 가면


롭노르 지역은 극심한 건조함과 희박한 인구 밀도로 인해 일부 건물 잔해가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었다. 수천 년 된 고대 무덤이 열렸을 때, 시신은 종종 미라 상태로 발견되었고 부장품도 잘 보존되었다. 가장 초기의 유적은 토착 시베리아 기원의 고대 민족과 관련이 있다.[33]

5. 1. 로란 (누란)

로란(누란)은 기원전 2세기에 이미 알려진 롭 사막 북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중요한 오아시스 도시를 중심으로 한 고대 왕국이었다. 기원전 1세기에 중국이 왕국을 점령한 후 산산으로 개명되었다. 7세기 어느 시점에 버려졌다. 그 위치는 1899년 스벤 헤딘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그는 몇 채의 집을 발굴하여 나무로 된 카로슈티 태블릿과 진나라(266–420)의 많은 중국 필사본을 발견했다.[14] 아우렐 스타인 또한 20세기 초에 이 지역을 발굴했으며, 중국 고고학자들은 20세기 후반에 이 지역을 탐사했다. 로란의 미녀라고 불리는 미라가 토웬강 제방의 묘지에서 발견되었다.

5. 2. 샤오허 묘지

샤오허 묘지는 로프노르 서쪽에 있는 청동기 시대 매장지이다. 타원형 모래 언덕으로, 이곳에서 30구 이상의 보존 상태가 좋은 미라가 발굴되었다. 샤오허 묘지 전체에는 약 330개의 무덤이 있으며, 이 중 약 160개가 도굴꾼에 의해 훼손되었다.[34]

1934년 현지 사냥꾼이 스웨덴 탐험가이자 고고학자인 폴케 베르그만을 이 장소로 안내했다. 신장 문화 유물 고고학 연구소는 2003년 10월부터 발굴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2002년 말부터 총 167개의 무덤을 발굴하였다. 발굴 결과 수백 개의 작은 층상 무덤과 기타 귀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2006년에는 소 가죽으로 싸인 배 모양의 관에서 젊은 여성의 미라가 발견되는 귀중한 고고학적 발견이 있었다.[35]

5. 3. 카우리굴 (구무거우)

1979년, 타림 미라 중 가장 초기의 미라 일부가 로프노르 서쪽에 위치한 쾨치강(콩추에 강)의 카우리굴(구무거우) 매장지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21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제작된 무덤 42개가 발견되었다. 이 유적지에는 두 가지 유형의 무덤이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시대에 속한다.

첫 번째 유형의 매장은 수직 구덩이 무덤으로, 동서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양쪽 끝에 기둥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시신은 일반적으로 동쪽을 향해 뻗어 있었고, 때로는 양모 직물로 감싸져 있었으며 펠트 모자를 쓰고 있었다. 발견된 유물은 다음과 같다.

유물 종류
바구니 세공품
밀알
소 및 양/염소 뿔
새뼈 목걸이와 팔찌
연옥 구슬
구리(또는 청동) 조각



도자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두 번째 유형의 매장은 후대 시대의 것으로, 역시 수직 구덩이 무덤으로 구성되었으며, 일곱 개의 동심원 기둥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남성 무덤 6개가 발견되었으며, 시신은 등을 대고 동쪽을 향해 뻗어 있었다. 구리 또는 청동의 흔적을 제외하고는 유물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5. 4. 미란

미란은 로프노르의 남서쪽에 있다. 이곳에서 불교 사찰이 발굴되었으며, 벽화와 조각상들은 인도중앙아시아의 예술적 영향을 보여주는데, 일부는 로마까지의 영향을 보여주기도 한다.

6. 교통

2006년에 하미에서 로프노르까지의 고속도로(신장 성도 235호선)가 완공되었다.[31]

하미-로프누르 철도는 하미 북쪽으로 374.83km 구간을 운행하며, 2012년 11월에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 이 철도는 호수에서 채굴된 칼륨이 풍부한 소금을 란저우-신장 철도로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31]

호탄-뤄창 철도는 타클라마칸 사막 철도 루프의 일부로, 타림 분지의 남쪽과 서쪽을 돌며 골무드-코를라 철도, 카슈가르-호탄 철도, 남신장 철도 구간과 연결된다.[32]

참조

[1] 서적 The Mummies of Urümchi W. W. Norton & Company
[2] 웹사이트 Lop Nor Nuclear Weapons Test Base http://www.nti.org/f[...] nti 2007-08-03
[3] 웹사이트 Lop Nur, Xinjiang, China http://earthobservat[...] Earth Observatory 2011-06-19
[4] 웹사이트 三问哈罗铁路 http://blog.sina.cn/[...] 《新疆哈密广播电视报》 2012-12-06
[5] 서적 A record of Buddhistic kingdoms; being an account by the Chinese monk Fâ-Hien of his travels in India and Ceylon, A.D. 399-414, in search of the Buddhist books of discipline. Translated and annotated with a Corean recension of the Chinese text http://archive.org/d[...] Oxford Clarendon Press 1886
[6] 간행물 The travels of Marco Polo the Venetian
[7] 웹사이트 The Wandering Lake http://earthobservat[...] NASA 2007-08-03
[8] 웹사이트 En svensk karta över Lop-nor och Tarimbäckenetb http://www.strindber[...] 2007-08-16
[9] 문서 Zizhi Tongjian http://zh.wikisource[...]
[10] 문서 Shiji http://zh.wikisource[...]
[11] 문서 Hanshu http://zh.wikisource[...]
[12] 서적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2015-09-17
[13] 논문 Evolution of the Lop Desert and the Lop Nor
[14] 웹사이트 Hedin, the Man Who Solved the Mystery of the Wandering Lake: Lop Nor and Lou-lan http://dsr.nii.ac.jp[...] Digital Silk Road
[15] 문서 The Wandering lake
[16] 뉴스 Quenching thirst in Tarim Basin http://www.chinapage[...] 2004-04-13
[17] 웹사이트 Desert Intrudes upon Tarim Lake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07-08-03
[18] 웹사이트 Tarim River Ecological Protection Suggested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07-08-03
[19] 뉴스 China Creates 'Man-made Oasis' Along Longest Inland River http://en.chinagate.[...] Xinhua News Agency 2007-09-15
[20] 웹사이트 Found Dead – Yu Chunshun, 48, Intrepid Chinese explorer http://www.asiaweek.[...] asiaweek.com 2007-09-18
[21] 뉴스 China Quietly Rebuilds Secretive Base for Nuclear Tests https://www.nytimes.[...] 2023-12-20
[22] 서적 Nuclear Weapons Databook Westview Press
[23] 뉴스 China's nuclear tests allegedly caused 190000 deaths http://digitaljourna[...] Digital Journal 2009-04-20
[24] 뉴스 Did China's Nuclear Tests Kill Thousands and Doom Future Generations? https://www.scientif[...] Scientific American 2009-07-08
[25] 웹사이트 Subcritical Testing at Lop Nor http://lewis.armscon[...] Arms Control Wonk 2009-04-03
[26] 뉴스 China to open ex-atomic site to tourists http://www.upi.com/S[...]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12-10-17
[27] 뉴스 China may have conducted low-level nuclear test, US report claims https://www.theguard[...] 2020-04-16
[28] 간행물 Camelus ferus
[29] 뉴스 'New' camel lives on salty water http://news.bbc.co.u[...] 2001-02-06
[30] 웹사이트 Wild Camel http://www.wildcamel[...] Wild Camel Protection Foundation
[31] 웹사이트 China starts building railway into "sea of death" https://web.archive.[...] gov.cn 2010-03-04
[32] 웹사이트 New railway completes 2,700km loop of Taklamakan Desert in move to integrate Xinjiang with rest of China https://www.scmp.com[...] 2022-06-17
[33] 문서 The genomic origins of the Bronze Age Tarim Basin mummies https://pmc.ncbi.nlm[...]
[34] 웹사이트 Burial Site from the Bronze Age, Lop Nur, Xinjiang. http://www.china.org[...] www.china.org.cn 2007-09-18
[35] 웹사이트 Silk Road Documentary Unearths Latest Findings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07-09-18
[36] 논문 The Late Prehistory of Xinjiang in Relation to Its Neighbors
[37] 문서 ロプ・ノール、ロブ・ノール、ロプ湖、ロブ湖とも。(Lop Nor、Lob Nor、Lop Nur、لوپنۇر、罗布泊、Лоб нуур)
[38] 서적 さまよえる湖(上/下) [[岩波文庫]] 1990
[39] 서적 湖がきえた(ロプ・ノールの謎) 築地書館 1988
[40] 웹사이트 「さまよえる湖」の謎を解いたヘディン:ロプ・ノールと楼蘭 http://dsr.nii.ac.jp[...] ディジタル・シルクロードプロジェクト 国立情報学研究所
[41] 웹사이트 1600年の水の旅〜ロプ・ノール湖とタリム川 https://www.suntory.[...] 水大事典 「旅する水」 SUNTORY
[42] 서적 楼蘭 新潮文庫、講談社 1968
[43] 문서 [[岩波文庫#『さまよえる湖』誤解説問題]]
[44] 문서 Wikipediaの他言語版(スウェーデン語版、ドイツ語版、英語版、フランス語版、イタリア語版、スペイン語版、ポルトガル語版、中国語版、モンゴル語版、ロシア語版)を見ても、「1600年周期」説など全く書かれていない。これは日本国内でのみ発生した誤解である。
[45] 문서 訳者の福田宏年は、井上靖の親族で『楼蘭』も含め多くの著作解説、伝記刊行しているので、解説も踏まえたものとなっている。
[46] 서적 彷徨へる湖 筑摩書房 1943
[47] 서적 ヘディン中央アジア探検紀行全集 10 さまよえる湖 白水社 1964
[48] 서적 さまよえる湖 角川文庫 1968
[49] 서적 さまよえる湖 中公文庫、旺文社文庫 2001
[50] 문서 もちろん本文中にそのような記述は全く存在しない。
[51] 서적 中央アジア探検記 角川文庫 1953
[52] 서적 馬仲英の逃亡 中公文庫、改造社 2002
[53] 서적 シルクロード 中公文庫、旺文社 2003
[54] 서적 ヘディン中央アジア探検紀行全集 白水社 1964~1966
[55] 서적 ヘディン伝(偉大なシルクロードの探検者) 中公文庫、新人物往来社 1989
[56] 서적 ヘディン中央アジア探検紀行全集 11 探検家としてのわが生涯 白水社 1966
[57] 웹사이트 Lop Nor - Chinese Nuclear Forces http://www.fas.org/n[...] 1998-06-14
[58]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Lop Desert and the Lop Nor (The Geographical Journal, 1984) https://www.jstor.or[...]
[59] 웹사이트 Quenching thirst in Tarim Basin [塔里木] (China Daily, 2004)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China Creates 'Man-made Oasis' Along Longest Inland River (Chinagate, 2007) http://en.chinagate.[...]
[61] 서적 The mysterious Lop Lake Science Press 1985
[62] 웹사이트 オウミア No.57-3 - 【世界の湖沼研究(4)】中国における湖沼研究(2) 消える湖 - 滋賀県琵琶湖環境科学研究センター https://web.archive.[...] 2010-08-17
[63] 뉴스 <さまよえる湖>ロプノール湖、完全消滅は1962年―新疆ウイグル自治区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08-12-26
[64] 웹사이트 車椅子で「死の海」 ロプノールをわたる http://www.peoplechi[...] 人民中国 2005-11
[65] 웹사이트 「彷徨える湖の残影、ロプ・ノール」 https://www.eorc.jax[...] JAXA 地球観測研究センター
[66] 뉴스 世界最大規模の硫酸カリ生産プロジェクト、年産120万トン―新疆ウイグル自治区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2-06-11
[67] 웹사이트 ハミ-ロプノール鉄道の線路敷設工事が完了 http://j.people.com.[...] 人民網日本語版 2012-07-24
[68] 뉴스 かつての「さまよえる湖」辺りに人造湖を計画=砂漠化対策として―新疆ウイグル自治区 レコードチャイナ 2010-11-29
[69] 뉴스 砂漠の地下に海がある?渇水のタリム盆地に巨大な地下水源の可能性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5-09-22
[70] 웹사이트 中国で砂漠を「ドライブ」した4人が死亡 進入禁止区域を走行 https://www.afpbb.co[...] 東方新報 2023-08-18
[71] 서적 湖がきえた(ロプ・ノールの謎) 築地書館 1988
[72] 서적 さまよえる湖(上/下) 岩波文庫 1990
[73] 서적 さまよえる湖(上/下) 岩波文庫 1990
[74] 서적 湖がきえた(ロプ・ノールの謎) 築地書館 1988
[75] 웹사이트 「さまよえる湖」の謎を解いたヘディン:ロプ・ノールと楼蘭 http://dsr.nii.ac.jp[...] ディジタル・シルクロードプロジェクト 国立情報学研究所
[76] 웹사이트 1600年の水の旅〜ロプ・ノール湖とタリム川 https://www.suntory.[...]
[77] 서적 楼蘭 新潮文庫 1968
[78] 서적 さまよえる湖(上/下) 岩波文庫 1990
[79] 서적 さまよえる湖(上/下) 岩波文庫 1990
[80] 서적 さまよえる湖(上/下) 岩波文庫 1990
[81] 문서 이와나미 문고#『방황하는 호수』 오해설 문제
[82] 문서 Wikipedia의 다른 언어판([[:sv:Lop Nor|스웨덴어판]]、[[:de:Lop Nor|독일어판]]、[[:en:Lop Nur|영어판]]、[[:fr:Lob Nor|프랑스어판]]、[[:it:Lop Nur|이탈리아어판]]、[[:es:Lop Nor|스페인어판]]、[[:pt:Lop Nor|포르투갈어판]]、[[:zh:罗布泊|중국어판]]、[[:mn:Лоб нуур|몽골어판]]、[[:ru:Лобнор|러시아어판]])을 보더라도 「1600년 주기」설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 이는 일본 국내에서 발생하여 한국에까지 알려진 오해이다.
[83] 서적 彷徨へる湖 筑摩書房 1943
[84] 서적 ヘディン中央アジア探検紀行全集 10 さまよえる湖 白水社 1964
[85] 서적 さまよえる湖 角川文庫 1968
[86] 서적 さまよえる湖 中公文庫 2001
[87] 문서 もちろん本文中にそのような記述は全く存在しない。
[88] 서적 中央アジア探検記 角川文庫 1953
[89] 서적 馬仲英の逃亡 中公文庫 2002
[90] 서적 シルクロード 中公文庫 2003
[91] 서적 ヘディン中央アジア探検紀行全集 白水社 1964-1966
[92] 서적 ヘディン伝(偉大なシルクロードの探検者) 中公文庫 1989
[93] 서적 ヘディン中央アジア探検紀行全集 11 探検家としてのわが生涯 白水社 1966
[94] 웹사이트 Lop Nor - Chinese Nuclear Forces http://www.fas.org/n[...] 1998-06-14
[95] 서적 The mysterious Lop Lake Science Press 1985
[96] 웹인용 <さまよえる湖>ロプノール湖、完全消滅は1962年―新疆ウイグル自治区 http://www.recordchi[...] レコードチャイナ 2008-12-26
[97] 웹사이트 車椅子で「死の海」 ロプノールをわたる http://www.peoplechi[...] 人民中国 2005-11
[98] 웹사이트 「彷徨える湖の残影、ロプ・ノール」 https://www.eorc.jax[...] JAXA 地球観測研究センター
[99] 웹인용 世界最大規模の硫酸カリ生産プロジェクト、年産120万トン―新疆ウイグル自治区 http://www.recordchi[...] レコードチャイナ 2012-06-11
[100] 웹인용 ハミ-ロプノール鉄道の線路敷設工事が完了 http://j.people.com.[...] 人民網日本語版 2012-07-24
[101] 웹인용 砂漠の地下に海がある?渇水のタリム盆地に巨大な地下水源の可能性 http://www.recordchi[...] レコードチャイナ 2015-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